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찰에 사용된 적색 및 녹색안료의 종류와 입자특성 분석

        유영미,한민수,이장존,Yoo, Young Mi,Han, Min Su,Lee, Jang Jon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4 보존과학회지 Vol.30 No.4

        사찰의 단청 등 회화에 사용된 적색과 녹색안료에 대해 그 종류를 밝혀내고, 이들의 광물입자 특성을 관찰하여 서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성분분석 결과, 적색안료는 진사(Cinnabar)와 석간주(Hematite), 연단(Minium) 등 3가지 종류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녹색안료는 녹염동광(Atacamite)과 뇌록석(Celadonite) 그리고, 일부 석록(Malachite)이 확인되었다. 이는 사찰별로 독특한 안료를 사용하였다기 보다는 다양한 종류의 안료를 회화의 특성에 맞게 모두 이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안료의 입자특성에서는 적색안료 중에서 같은 진사라 할지라도 매끄럽거나 길쭉하고 각진모양, 판상 등 자형(hedral) 또는 타형(anhedral)의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녹색안료에서도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특히 지금까지 안료의 성분과 결정구조분석을 통해 광물을 확인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왔으나 이에 비해 입자의 형태적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 색상과 종류가 유사한 안료 그룹내에서는 이들을 보다 세밀하게 구분할 수 있고, 인자화 하는데 유리한 방법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species of red and green pigments used on paintings of Korean temples and also to compare the two pigments according to the particle characteristics. The component analysis shows that the red pigment consists of cinnabar, hematite, and minium and the green pigment are composed of atacamite, celadonite, and malachite. The result suggests that mixture of various pigments were applied to the painting. When it comes to the particle characteristics, there are various hedral or anhedral shapes such as sharp, long, angular, and platy shapes even in the same cinnabar. In addition, the green pigment also shows a similar pattern with those of the red pigment. Up to now, an identification of minerals has been relied on examination of component and crystal shape. However, it is notable that using form related characteristics can be a better and useful method not only for categorization of pigments which are similar in terms of color and species but also specific index.

      • KCI등재

        증강현실(AR) 영상인식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교과서 디자인 기획

        유영미(Young-Mi Yoo),조성환(Seong-Hwan Jo)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6

        Digi-Capital 전망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증강현실(AR) 시장 규모는 2020년까지 급성장해 1,5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 고부가가치 효과를 전망하고 있다.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디지털 교과서 또한 인터랙티브한 기능이 추가되어 혁신적인 교육을 선도하고 있다. 이미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는 디지털 교과서에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교과서를 수업에서 활용하고 있다. 이런 기술적인 전망에 맞춰 중학교 과학1 디지털 교과서에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한 디자인 기획 방향을 제안하였다. 현재 중학교 과학1 디지털 교과서를 조사한 결과 단원별 실험 과정이 짧은 동영상만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증강현실 수업 사례를 조사한 결과 학습 효과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이어지지 않은데는 실험 장비 구축의 어려움, 기자재(디바이스) 및 3D 디자인 콘텐츠 부족 등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요구를 종합하여 중학교 과학1 디지털 교과서의 단원별 실험 과정에 증강현실을 적용한 시나리오와 시스템 구성도를 설계하여 AR 아이콘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 증강현실 3D 콘텐츠를 조작하고 탐구할 수 있도록 디자인 하였고 디자인한 모형 평가를 통해 학습 효과의 우수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부의 디지털 교과서 개발에 있어 실험이 필수인 과학 과목에 증강현실을 적용한 디지털 교과서가 개발되어 교사와 학생들에게 위험한 실험, 시간 소요가 많은 실험 등을 대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효과적인 학습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ccording to the Digi Capital forecast, the global augmented reality market is expected to grow rapidly by 2020 to reach 150 billion dollars. In particular, high value added effects are expected in education. As ICT advances, digital textbooks are also leading innovative education by adding interactive functions.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S., are already using digital textbooks that us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their classes. In line with this technological outlook, the ministry proposed a design plan that applie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o middle school science 1 digital textbooks. A study on middle school science 1 digital textbooks showed that each unit provided short videos. In addition, an investigation into the augmented reality class case showed that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experimental equipment, lack of equipment (devices), and 3D design contents that did not continue despite the excellence of learning effects. Based on this demand, we designed an augmented reality scenario and system configuration to be applied to the instrument-specific experiments of middle school science 1 digital textbooks to explore and explore the contents of augmented reality by students. This research will replace the dangerous experiments and time consuming experiments for teachers and students by applying augmented reality to science subjects that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 고등학교 보건동아리 활동에 관한 연구 - 보건교사 지도 사례를 중심으로

        유영미 ( Yoo Young Mi ) 한국보건교육학회 2018 한국보건교육학회지 Vol.4 No.1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6년간 보건동아리를 운영한 연구자의 경험을 토대로, 현재 보건동아리 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시흥시 소재 4개의 인문계 고등학교 보건동아리 학생 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학교별 동아리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동아리 유형과 학교별로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동아리를 지도하는 보건교사를 심층 인터뷰하여 보건동아리 지도에 대해 어떤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보건동아리 학생 9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양적연구를 하였고, 연구자를 포함한 지도교사(보건교사)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문제는 ‘보건동아리 활동은 어떤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보건동아리 활동을 경험한 학생들은 동아리 유형과 학교별로 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보건동아리 활동을 지도하는 보건교사는 동아리 지도에 대한 어떤 의미와 가치를 두고 지도 하는가?’ 이다. 연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은 학교별로 대체로 비슷하게 운영되고 있었으나 다른 교과와 연계하여 학교에 따라 특색있게 운영되는 것도 있었다. 둘째, 전체적으로 보건동아리 프로그램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가 높은 프로그램은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 보건관련 대학 견학 프로그램, 손씻기·테이핑 요법 등 건강교육 프로그램이었다. 셋째, 입시 위주의 교육 체제 속에서 인문계 고등학교 보건교사로서 보건동아리 학생들을 지도하는 것은 간호사로서의 측면보다 교사로서의 역할에 의미와 가치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보건동아리 프로그램이 운영 목적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연구 및 운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 보건교육 시간 및 과대학급 고등학교에 보건교사 2인 배치, 지역사회 협력 체계 등 앞으로 해결해야 할 정책과제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health club programs through a survey conducted to 90 students of health clubs in four academic high schools which currently carry out health club activity in Siheung City and to investigate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to types and programs of the club in each high school,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 who has managed health clubs for 6 years in academic high schools. It also aims to examine what significances and values health teachers are placing on their health club guidance by interviewing them in depth. This study carries out a quantitative research(approach) to 90 students of health club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long with a qualitative on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health teachers including the researcher.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programs are health club activities comprised of and how are they performed?, How do students react to the types and activity programs of health club in each school? and what significances and values are health teachers placing on their health club guidan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health club activity program was generally operated similarly but, there was also a feature that varies according to school in conjunction with other subjects. Second, overall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health club program and operation was relatively high. The highly satisfying program was a health education program such as CPR training programs, health-related universities, hands-washing and taping programs. Third, it was found out that a health teacher places significances and values on the role of a teacher rather than as a nurse while guiding health club students in the education system that focuses on college entrance exams. Therefore, the health club program needs to be operated for purposes that require research and operational support in the future and securing health education time and assigning two health teachers to a school which has too many classes remains a policy task to be solved. I hope that at this point when there are no studies at all on high school health club, this study will be a cornerstone of the role of high school health teachers and of the studies on health club in the future.

      • KCI등재

        자화적(自化的)존재 ‘독락(獨樂)’

        유영미(Yoo, Young-Mi) 동서미술문화학회 2019 미술문화연구 Vol.15 No.15

        이 논문은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미적 특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한 작품론이다. 작품형성 배경의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작품의 내재 의미와 표현 형식이 어떻게 연구자의 창작 의도와 의미적 관련성을 갖는지 확인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자의 작품 형성이론 맥락은 사람의 정신적 · 심리적 본성으로서의 ‘자화(自化)’이다. 자화의 주제 의식은 연구자에게 작품 형성의 토대에서 연구자의 심리를 포함하는 창작 의도와 관련되어 있다. 자화적(自化的) 표현 형식은 예술가의 창작 의도와 예술 내용의 표상 방식으로서 창작 주체의 내밀한 심리를 상징화하는 과정에 대한 검토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상징적 이미지로서의 물고기는 이러한 속성들 가운데 주관적 감성이 내재화 되었다는 측면에서 자화(自化)된 심리의 상징적 표상 이미지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의 작품 형식은 표상된 시각적 이미지의 속성이라는 맥락에서 ‘자화적(自化的)’표현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즉자(卽自)에서 대자화(對自化)로의 전이 과정에서 시각적 이미지로 표상된 연구자의 대체 사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심리의 표현 양상은 물고기 이미지를 자화(自化)시켰다는 맥락에서 상징과 비유의 형식을 띤다. 따라서 작품의 상징화 과정에서 자화적 표현방식은 아날로공 개념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창작 주체의 잠재심리와 변화하는 심리의 표상물이라는 점에서 물고기 이미지는 사르트르의 ‘아날로공(Analogon)’ 개념으로 파악하면 자화된 유사표상물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표현방식에 근거한다면, 연구자의 작품은 창작 주체의 심리가 투사되었다는 점에서 자화적(自化的) 심상(心象) 표현의 성격을 띤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물고기 이미지는 화석화(化石化)된 표현이며, 배경은 상처 내기의 표현형식을 특징으로 한다. 화석화는 인간 감정으로서 욕망의 근원성의 표현이며, 시각적 표현 효과에 초점을 둔 감각적 표현이다. 화석화의 표현 형식은 시간의 축적과 뼈대를 드러낸 듯한 물고기 형상을 통해 인간 본성의 원형성을 대신하는 시각적 표상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의도를 담고 있다. 그리고 원형적 시공간 속성을 드러내는 표현요소로는 사각의 틀과 사발 이미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소재들은 화석화된 물고기 이미지의 원형성을 극대화시키려는 의도이다. 특히 화석화와 상처 내기의 표현 방법에는 연구자 자신의 심리가 투사되어 있다. 연구자에게 창작은 심리에 억압된 자화를 분출하는 정신 행위이며, 정화하는 행위 방식이라는 측면에서 상처 내기는 역설적으로 심리 치유의 행위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제 의식인 자화표현은 <독락(獨樂)> 시리즈 이다. 작품의 구성 형식은 연구자의 심미 의식에 따라 변용되고 자기보존의 표상 방식과 충동적 심리표현이 복합적으로 투영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자화적(自化的)존재 독락(獨樂)표현 연구’라는 주제를 분석의 틀로 삼아, 작품에 내재하는 미적 속성과 제작 의도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자의 작품은 연구자 자신을 대신한다는 관점에서 연구자의 심리가 투사된 유사표상물이다. 이 연구 과정은 연구자의 <독락(獨樂)>작품에 관한 분석과 검토가 이루어 졌다는 점에 의미를 두고 있으며, 앞으로의 작업의 방향과 작품의 외연(外延)을 확장시키는 이론적 토대가 되리라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기금 조례 검토

        유영미(Yoo Young-mi) 사회복지법제학회 2018 사회복지법제연구 Vol.9 No.2

        전례에 없던 재난이 국지적으로 발생하자 중앙정부의 지원과 대책을 토대로 지방자치단체의 신속한 초기 대응이 중요하다는 점이 인식되었고 무엇보다 재난관리체계 확립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방안 모색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처럼 재난관리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함에 따라 관련 법의 정비와 함께 그 효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 기반한 자치법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실제로 재난관련 지방자치단체의 참여 및 책임에 대한 조례가 다수 제정되었고 재난에 대응하는 조례의 역할에 주목하게 되었다. 특히 재산피해액 및 복구비의 증가 등의 이슈가 등장함에 따라 재난관련 예산 및 기금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중에서도 17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정한 재난관리기금 조례의 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재난관리기금 조례의 실효성 확보와 아울러 재난관리가 지역사회 중심으로 발전하고 확립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기금 조례를 목적 및 정의, 조성 및 용도, 전달체계, 기금 운용계획 및 결산과 관리, 임대주택 이주지원 및 임차비원 융자로 구분하여 조문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재난관리기금의 정의(용어), 기금운용심의위원회 중 특히 심의(제척사유)에 대해 전혀 제시하고 있지 않으며 운용계획과 결산에 관련된 정책에 대해서는 구체화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 거의 모든 재난관리기금조례의 내용이 유사하며 구체성이 결여되어 있고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되거나 혹은 특성을 반영한 정책 및 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조례의 내용은 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에 기반한 재난관리기금 조례가 책무를 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한 조례로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 및 대상자들의 권리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셋째, 재난 취약계층 관련한 이슈에도 관심을 두어야 한다. It is recognized that the rapid response of local governments is important based on the support and measures of the central government when the unprecedented disasters occur mainly locally. In order to establish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disaster management, the necessity of self - governing laws based on local community has emerged so that the relevant laws can be revitalized and their effects can be fully exercised. In fact, a number of ordinances have been enacted for the participation and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s in disasters, and the role of the ordinance in response to disaster has been noted. Recently, disputes related to the disaster related budget and the need for funds have been increasing as issues such as property damage due to recent disasters and an increase in restoration costs have appear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disaster management fund ordinance established by 17 local governments among the local governments disaster management, and contributes to ens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isaster management fund ordinance and developing and establishing disaster management centered on the community The purpose is to. We analyze the content of the disaster management fund by dividing the disaster management fund ordinance of each municipality into purpose, definition, creation and use, delivery system, fund management plan and settlement and management, rental housing support and lending loan source loan. As a result, some municipalities do not provide any definition of the disaster management fund, especially the deliberation of the fund management review committee, and do not specify the policy related to the operation plan and settlement. There is also.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ontents of almost all disaster management fund ordinances are similar and lack specificity. In particular, the contents of the ordinances which prescribe policies and systems that reflect characteristics of local autonomous bodies or reflect characteristics are poor.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disaster management fund ordinance based on the community are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set as a statut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s and their rights. Third,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ssues related to disaster vulnerability.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대자적(對自的)표현 ‘욕망(慾望)’

        유영미(Yoo, Young-Mi) 동서미술문화학회 2020 미술문화연구 Vol.17 No.17

        이 논문은 연구자 작품의 미적 특성을 분석한 작품론의 성격을 갖고 있다. 연구자의 창작 의도는 작품의 표현 및 형식에 내재한 심미성으로 인간의 욕망에 있다. 작품 형성의 주요 맥락인 욕망은 사람의 정신적・심리적 본성으로서의 욕망이다. 작품에서 주제 의식은 연구자의 심리로 창작 의도와 관련되어 있다. 대자적 표현인 형식은 예술 내용의 표상 방식으로 창작 주체인 연구자의 내밀한 심리를 상징화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욕망은 동양의 지성사에서 이성의 측면과 대립 되는 감성의 속성으로 해석되면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본격적인 담론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정신분석학과 심리학에서는 욕망이 인간의 본질적 속성으로 제시되면서, 인간 이해의 단서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인간의 욕망은 개인의 고유 속성이면서, 예술에서 개인의 특수성을 표상하는 주요 심리 근거로 제시되었다. 더 나아가 사회적인 문제를 이해하는 근거 개념으로 논의되기에 이르렀다. 인간 감정으로서의 욕망은 유학의 관점에서 성정론(性情論)을 중심으로 정(情)과 욕(欲)의 해석 속에서 억제와 절제, 소극적 수용과 긍정에 이르는 과정의 담론으로 형성해왔다. 이처럼 연구자 작품의 상징적 이미지인 물고기는 욕망의 속성 중 주관적 감성이 내재화되어 대자화(對自化)된 심리의 상징적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작품의 주제인 욕망 표현의 속성을 형식적 차이에 따라 구분하면, <Autism-我>, <초인(超人)>, <망아(忘我)> 시리즈로 나누어진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물고기 이미지는 내밀한 존재 심리로 자폐(自閉)성을 들어내는 요소이며, 잠재된 심리는 작품의 표현형식에 복합적으로 투사되어 작품의 특징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또한, 주체와 세계의 충돌과 모순으로 나타나는 상실과 결여는 예술 주체의 현상 세계로 예술적 대상화로 일차적 원인 제공을 한다. 뼈대를 드러낸 듯한 화석화(化石化)된 표현은 기초 작업인 배경이 되었고, 상처 내기의 표현은 형식적 특징으로 연구자 자신의 심리가 투사되어 있다. 창작은 연구자의 심리에 억압된 욕망의 분출 행위이며, 정화하는 행위라는 측면으로 화석화와 상처 내기는 역설적인 심리 치유의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대자적(對自的) 표현 욕망(欲望)’이라는 주제를 분석의 틀로 삼아 작품에 내재한 미적 속성과 제작 의도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상의 특징으로 형성된 작품들은 연구자의 미학적 심리를 반영한다는 포괄적인 관점에서 존재의 대자적(對自的) 표상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has the nature of the work theory which analyz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work. The intention of the researcher"s creation lies in the human" desire" with the aesthetic qualities inherent in the expression and form of the work. Desire, the main context of the formation of a work, is one"s desire as a mental and psychological nature. The subject consciousness in the work is related to the intention of creation as a researcher"s psychology. Form, which is a large-scale expression, is a process that symbolizes the inner psychology of the researcher, who is the main creator, through the intention of the researcher"s creation and the method of representing the contents of art. Desire has become the subject of full-fledged discourse since postmodernism, as it has been interpreted as the property of emotion at odds with the aspects of reason in the Eastern intellectual history. Especially in psychoanalysis and psychology, desire was presented as an essential attribute of human beings, providing a clue to human understanding. Human desire is an individual"s inherent property, and has been presented as the main psychological basis to represent the individual"s specificity in art. Furthermore, it was discussed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social problems. Desire as a human emotion has formed a discourse in the process of inhibition, moderation, passive acceptance and affirma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chastity and profanity, focusing on sexual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fucianism. As such, the fish, a symbolic image of the researcher "s work, can be said to be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a psychology that has internalized subjective sensibility among the attributes of desire. The nature of the desire expression, the theme of the work, is divided into a series of "Autism-我," "Chosen," and "Manga." In the work of the researcher, the fish image is the element that draws out autism with the inner existence psychology, and the latent psychology is combined with the expression form of the work and become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In addition, loss and lack, which appear as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world, provide the primary cause of artistic objectification into the present world of the art subject. The fossilized expression, which seems to reveal the skeleton, has become the background of the basic work, and the expression of the wound is a formal feature, with the researcher"s own psychology projected. Creation is an act of venting the desires suppressed by the psychology of researchers, and the act of fossilization and scarring is an act of paradoxical psychological heali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focused on revealing the aesthetic attributes and production intentions inherent in the work by using the theme of" desire for expression on one"s own side" as the framework of analysis. The works formed by the above features can be said to reflect the aesthetic psychology of researchers, which is a large-scale representation of existence.

      • KCI등재

        빈곤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영미(Yoo Young mi)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 지방정부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빈곤상태를 극빈곤, 빈곤, 완빈곤의 3가지로 분류하여 종단적인 차원에서 빈곤완화에 대한 인적자본, 가족생애주기, 노동시장 요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마코프 전환확률(Markov transition Probability)에 기초한 GARCH와 ARCH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사회안전망 구축을 토대로 네트워크를 통한 통합된 접근과 함께 효율적인 분권화 및 부처 간 횡적 협조ㆍ조정체계를 구축을 통해 적절한 서비스 지원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법률 재편을 통한 정책 개선과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빈곤층의 고용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일-양육 양립 관련 정책과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 확대 등의 정책ㆍ제도적인 개편에 대한 방향성을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빈곤층의 필요와 욕구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해야 하며, 이때 시민사회의 자율성 보장과 기업, 민간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factors on poverty alleviation.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human capital factor, family life cycle factor, and labor market factor. The major results of analyzing by appling GARCH and ARCH model based on Markov transition Probability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actors in discrepancies of poverty stat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social safety net should be absolutely established for activation of anti-poverty policy. Second, in connection with the approach through network, appropriate service support should be sought through efficient decentralization and establishment of horizontal cooperation and adjustment system. Third, the need for policy improvement and arrangement of program through reorganization of legislation can be proposed, advanced from the lukewarm management of today. Fourth, the direction needs to be set in regard to the policy and systematic reform to expand the policy that ensures compatibility between work and child caring. Furthermore, customized service and program should be arranged that meet the need of the poor, in which the autonomy of civil society and the role of the corporate and private sectors are ens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