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관 절제 및 단단문합술의 성적 고찰

        유양기,박승일,박순익,김용희,박기성,김동관,최인철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4

        배경: 기관 협착의 치료에는 주기적인 확장, 기관내시경을 통한 협착 조직의 제거, T-tube 삽입 등의 보존적 방법과 수술적 방법이 있다. 그러나, 최근 수술을 통한 기관 절제 및 단단문합술이 기능적으로나 해부학적으로 정상적인 상기도 확보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3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에서 기관 절제 및 단단문합술을 시행한 환자 41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참조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원인 질환으로는 postintubation stenosis 26예, 기관에 발생된 원발성 기관종양이 10예(양성 3예, 악성 7예), 기관내 결핵 1예, 외상 2예, 그리고 갑상선암이 2예였다. 기관 절제 및 단단문합술을 시행한 환자 41예 중 29예는 기관 절제 및 단단 문합술을 시행하였고, 12예는 갑상연골 또는 윤상연골 절제가 동반된 후두 기관 문합술을 시행하였다. 후두 기관 문합술을 시행한 11예 중 4예에서 후두분리술(supralaryngeal release)을 시행하였다. 절제된 기관의 길이는 평균 3.6±1.0 cm였다. 기관 절제 및 단단문합술을 시행한 41예의 환자 중 수술 후 상태가 양호한 환자는 30명(73.2%)이었고, 수술 직후 일부 문합 부위에 육아종 증식 또는 감염이 있었으나 보존적 치료 후 호전된 환자는 8명(19.5%)으로 전체 환자 중 92.7%에서 수술 후 양호한 기도의 확보가 가능하였다. 합병증으로는 육아종 증식을 보여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가 7예, 창상감염 2예, 문합부 dehiscence 2예, 운동 시만 호흡곤란을 보이면서 특별한 치료없이 지내는 재협착이 1예, 수술 후 반복적인 기도 흡인으로 재기관절개술을 시행한 환자가 1예 있었다. 기관 절제 및 단단문합술과 직접 관련된 30일 내의 조기사망은 없었고, 원내사망이 3예 있었다. 결론: 기관 절제 및 단단문합술은 높은 성공률과 낮은 유병률 및 사망률을 보여 병변의 길이가 적절한 경우, 기관 수술의 표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수술부위 육아조직 증식이 가장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선천성 우심방 류의 수술치험 1례 보고

        유양기,김정원,정성호,박정준,윤태진,서동만,김영휘,고재곤,박인숙,김정선 대한흉부외과학회 200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5 No.1

        우심방과 관상정맥동의 선천성 기형은 크게 4 가지로 분류되는데, 전반적으로 확장된 우심방, 단일 낭성 게실(saccular diverticula), 다발성 낭성 게실, 그리고 우심방이나 관상정맥동에서 발생한 류(aneurysm)이다. 환아는 평소 건강하였으며, 우연히 시작된 상기도 감염증상으로 내원하여 시행한 단순 흉부 촬영 및 심초음파에서 다른 동반 기형 없이 우심방의 심한 확장을 발견하였다. 확장된 우심방은 심폐기 보조하에서 광범위한 절제를 시행하였으며, 병리학적 검사에서는 심내막 및 심외막에 경도의 섬유화를 동반한 국소 다발성 심근 소실의 소견을 보였다. 본원에서는 6세 환아의 선천성 우심방 류를 광범위한 우심방 절제를 통해 교정했기에 이에 문헌 고찰과 더불어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 5.Saigusa M, Morimoto K, Koike T, et al. Idiopathic enlargement of the right atrium. Jpn Heart J 1962;3:373-9.6.Marrow AG, Behrendt DM. Congenital aneurysm (diverticulum) of the right atrium. Circulation 1968;38:124-8.7.Marin-Garcia J, Allen RG. Idiopathic dilatation of the right atrium: postoperative follow-up in a child. J Pediatr Surg 1983;18:196-8.8.De Marco S, Bollero E. Isolated right atriomegaly. Boll Soc Ital Cardiol 1967;12:16-22. =Surgical Repair of the Congenital Aneurysm of the Right Atrium

      • KCI등재

        Hybrid Procedure for a Traumatic Aortic Rupture Consisting of Endovascular Repair and Minimally Invasive Arch Vessel Transposition without Sternotomy

        유양기,주석중,임주용,윤현기,정철현 대한의학회 2010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5 No.1

        Emergency surgical repair for acute traumatic aortic ruptures has been associated with a high peri-procedural mortality rate. Endovascular stent-grafting, as a less invasive procedure, has shown encouraging results. This report describes a patient with a short landing zone, who was treated by transposing the supra-aortic branch without sternotomy, followed by covered stent-grafting with an extended proximal bare portion to enhance fixation.

      • KCI등재

        고주파에너지를 이용한 미로술식의 성적향상을 위한 새로운 기구의 개발

        박남희,유양기,이재원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6

        Background: The sinus conversion rate after the maze procedure in chronic atrial fibrillation using radiofrequency energy is lower than with either conventional 'cut and saw' technique or cryothermia. The creation of incomplete transmural lesions due to poor tissue-catheter contact is thought to be the main cause. To address this problem, the current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specially constructed compression device designed to enhance tissue catheter contact during unipolar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Material and Method: Circumferential right auricular epicardial lesions were created with a linear radiofrequency catheter in 10 anesthetized pigs. A device specially designed to increase contact by compression of the catheter to the atrial wall was used in 5 pigs (study group). This device was not used in the control group (5 pigs). Conduction block across the right auricular lesion was assessed by pacing, and the transmurality of the lesions were confirmed by microscopic examination. Result: Conduction block was observed in a total of 8 pigs; 5 in study group and 3 in control group. Transmural injury was confirmed microscopically by the accumulation of acute inflammatory cells and loss of elastic fibers in the endocardium. In two pigs with failed conduction block,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endocardium appeared normal. Conclusion: Failed radiofrequency ablation is strongly related to non-transmural energy delivery. The specially constructed compression device in the current study was successful in creating firm tissue-catheter contact and thereby generating transmural lesions during unipolar radiofrequency ablation. 배경: 심방세동의 수술적 치료 방법인 미로술식에 있어 고주파에너지를 이용한 절제술은 전통적인 절개 및 봉합술(cut and saw) 또는 냉동절제술(cyroablation)에 비해 술 후 동율동의로의 전환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절제술 시 심방벽(atrial wall)과 도자 간의 접촉이 원활하지 않아 심방의 전 층에 걸쳐 고주파 에너지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고주파 절제시 심방과 도자간의 접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기구를 개발하였으며 동물실험을 통하여 그 임상적인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60 kg 내외의 돼지 10마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우심방이 첨부로부터 3∼4 cm 하방의 심방외벽에 고주파에너지를 가하여 우심방이가 우심방에서 완전히 분리되도록 원형의 병변(circumferential lesions)을 만들었다. 이때 실험군(n=5)에서는 새로 고안한 기구를 이용하여 도자를 심방벽에 완전히 밀착시킨 후 고주파 에너지를 가하였으며, 대조군(n=5)에서는 이러한 기구의 사용 없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에너지를 가하였다. 고주파절제술이 끝난 후 우심방이 첨부에 인공심장박동 전극을 설치하고 심박동을 유발하여 고주파 절제부위 이하로 심박동이 전달되는지를 관찰하여 절제술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였다. 또한 심방조직에 대해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심외막, 심근, 그리고 심내막층에 고주파에너지에 의한 열손상의 생성 유무를 관찰하였다. 결과: 실험군에서 5예, 대조군에서 3예 등 총 8예에서 심박동의 전달 차단(conduction block)이 관찰되었으며 조직학적 검사 소견상 심내막(endocardium)에서 탄성섬유(elastic fiber)의 소실과 급성 염증세포의 축적 등 급성 열손상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한편 심박동의 전달 차단이 관찰되지 않았던 대조군의 2예에서는 심내막이 정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관 및 식도에 대한 조직학적 검사에서 열손상에 의한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고주파에너지에 의한 절제술 시 심방의 전층에 병변을 만들기 위해서는 심장과 도자 간의 접촉이 가장 중요한 인자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새로 개발한 기구는 고주파에너지를 이용한 도자절제술 시 심장과 도자 간의 확고한 접촉을 유도하여 심방 전층에 병변을 만드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이러한 기구의 사용은 향후 고주파에너지를 이용한 미로술식의 성적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Therapy for Aspiration Pneumonia in a Patient following Left Pneumonectomy for Lung Cancer

        조장완,유양기 대한중환자의학회 2016 Acute and Critical Care Vol.31 No.2

        A patient had undergone left pneumonectomy for lung cancer and had an increased risk of fatal complications such as pneumonia, including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The treatment effects of veno-venous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VV-ECMO) for ARDS of postpneumonectomy patient are uncertain. A 74-year-old man with one lung experienced aspiration pneumonia while swallowing pills after the operation, and his condition progressed to ARDS within a day. He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VV-ECMO support and intensive care unit care.

      • SCOPUSKCI등재

        개심술후 시행한 양심실보조장치의 성공치험 수술례

        이재원,유양기,정성호,김건일,송명근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5

        본 증례는 66세(51.8kg)된 남자에서 수술전 심한 좌심실 기능 부전과 승모판 및 삼첨판 폐쇄부전이 있어 개심술 시행후 심한 저심박출증 발생으로 인공심폐기 이탈에서 실패하고 양심실 보조장치(Centrifugal Biopump)를 사용한 후 이로부터 성공적인 이탈과 퇴원이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개심술을 통한 심박동기 와이어의 제거: 관상동맥 치환술을 받은 환자에서 심박동기 삽입 후 발생한 국소 감염의 치료 −1예 보고−

        김윤석,송현,유양기,정성호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2

        17년 전에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술 받은 63세 환자가 인공 심박동기 삽입 후 발생한 국소 감염으로 입원하였다. 피부 절개 후 심박동기를 견인하여 제거하려 하였으나 와이어가 뽑히지 않았고, 와이어는 절단하여 체내에 남겨둔 채로 치료를 종료하였다. 그러나 반복적으로 국소 감염이 재발하였고, 이에 우측 개흉술로 접근하여 인공 심폐 순환 후, 순환 정지 하에 우심방을 열고 와이어를 제거하였다. A 63-year-old man who had a permanent pacemaker placed 17 years ago presented to us with local inflammatory signs on his chest. The skin was opened to remove the permanent pacemaker. However, the pacing wire was not easily removed. So, the permanent pacemaker was removed from the chest with leaving the remnant wire inside. However, the local infection recurred because of the remnant wire. Right thoracotomy was performed and cardiopulmonary bypass was started. After total circulatory arrest, the right atrium was opened and the wire was completely removed.

      • KCI등재

        임신 24주 Marfan 증후군 환자에서의 급성 제II형 대동맥 박리 -1예 보고-

        황의동,정철현,유양기,임주영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7

        일반적으로 대동맥 박리의 원인을 살펴보면 고혈압, Marfan 증후군과 같은 결체 조직성 질환, 이엽성 대동맥 판막과 같은 선천성 판막 질환, 침습적 시술, 임신, 마약 등 여러 가지이다. 이러한 대동맥 박리의 원인들 중 임신은 40세 이하 여성에서 나타나는 대동맥 박리 원인의 약 50%를 차지한다. 임신 중의 대동맥 박리는 대부분 임신 제 3분기 또는 출산 중에 발생하고 이 중 약 반수에서 Marfan 증후군과 같은 결체 조직성 질환이 동반된다. 저자들은 임신 24주에 급성 제II형 대동맥 박리가 발생한 Marfan 증후군 환자에서 대동맥 판막을 포함한 상행 대동맥 치환술을 시행하고 추후 임신 38주에 제왕절개를 통해 건강한 태아를 출산한 치험 1예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KCI등재

        개에서 동맥과 정맥 동종 이식편의 냉장, 냉동 보존 방법에 따른 개존율 및 생육성에 관한 연구

        송현,강신광,유양기,김용진 대한흉부외과학회 200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1 No.2

        Background: With increasing coronary bypass and peripheral vascular surgeries, the demand for homologous vascular or synthetic conduits has continued to grow, but wide-spread application has been limited by dismal patency rates. Although cryopreserved allograft valves may provide a suitable alternative, current viability or patency of implanted allograft vascular conduits has been unsatisfactory. Material and Method: We serially analyzed the outcomes of canine femoral artery and saphenous vein allograft implants after storage in either 4oC or -170oC. Resul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raft flow rate (patency) (p=0.264), rate of thrombosis (p=0.264), presence of endothelium (p=0.587), o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thrombomodulin (p=0.657) were detected between grafts stored in 4oC and -170oC. Greater flow occurred in the arterial grafts versus the venous grafts (p=0.030), irrespective of the preservation method, with a significantly lower incidence of thrombosis (p=0.030) in arterial allografts. There was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654 between thrombosis and positiv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thrombomodulin (p=0.006) an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520 (p=0.0049) between the endothelial presence and positiv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thrombomodul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endothelium and thrombomodulin expression failed to show any correlation within the first 2 weeks (p=0.306). However, a strong correlation was seen after 1 month (p=0.0008). Conclusion: Tissue storage in either 4oC or -170oC in 10% DMSO/RPMI-1640 preservation solution preserved grafts equally well. In terms of thrombosis and graft patency, arterial grafts were superior to venous grafts. Considering the poor correlation between thrombomodulin expression and the presence of an endothelium in the implanted graft within the first two weeks, grafts in this period would not be thromboresistant.

      • SCOPUSKCI등재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의 관상동맥 우회수술

        김건일,송현,유양기,조민섭,마츠다 나루토,소로킨 비탈리,주석중,이재원,송명근,이준승,김순배,박수길,박정식,Kim, Kun-Il,Song, Hyun,Yu, Yang-Gi,Jo, Min-Seop,Matsuda, Naruto,Sorokin, Vitaly A.,Choo, Suk-Jung,Lee, Jae-Won,Song, Meung-Gun,Yi, Joon-Seung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4

        배경: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심장병, 특히 관상 동맥 질환의 이환이 늘어나면서 관상동맥 우회수술의 대상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들 환자군은 수술후 유병률과 사망률이 매우 높고 고위험군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3월부터 2000년 5우러까지 서울 중앙 병원 흉부외과에서 술전 말기 신부전증으로 진단 받은 후 관상 동맥 우회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중심의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술전 위험 인자 및 술전 신기능, 수술 결과, 술후 경과, 수술후 합병증, 사망률 및 생존률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술전 평균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12.7$\pm$5ml/mim였고 술전 평균 혈중 크레아티닌 치는 6.2$\pm$3mg/dl(1.7-14.4)였다. 술전 투석을 시행중인 환자는 11례(44%)였고 술전 투석을 시행하지 않았던 14례(56%)중 8례(8/14, 57.1%)는 수술전후로 새로이 투석이 필요하였다. 술전 혈액 투석 중이었던 9례중 2례에서 수술후 복막 투석으로 전환하였다. 수술 사망률은 2례(8%)로 흡인성 폐렴과 종격동염으로 1례, 그리고 수술후 출형과 종격도염으로 1례가 사망하였다. 수술후 합병증은 14명(56%)의 환자에서 발생하여 매우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만기사항은 2례(8%)에서 발생하였으며 사망원인은 카테터에 의한 복막염이었다. 생존 환자의 4년 생존률은 82$\pm$13% 였다. 결론: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의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비교적 만족스러운 범위의 수술 사망률(8%)을 보였으나 합병증 발생률이 매우 높고 합병증 발생 시 사망률이 매우 높아 수술주위 감염 예방과 세심한 환자 관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