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학습자 중심 수업과 피드백 경험, 정의적 성취 및 수학교과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유신복(Shinbok Yu),김난옥(Nanok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nd feedback experience and affective and cognitive achievement, focusing on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at emphasize student grow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third year of the middle school panel of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nd overall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ffective achievement, but individual feedback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efficacy. Second, the higher the academic efficacy or the higher the happiness in school learning, the higher the mathematical competencies. Third, the direct effect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nd overall feedback on mathematical competencies was not significant, but the direct effect of individual feedback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looking at the indirect effects, the indirect effects of academic efficacy were all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overall feedback, and individual feedback and mathematical competencies. However, the indirect effect of happiness in school learning was significan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nd overall feedback and mathematical competencie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최근 교실 수준에서 학생의 성장과 교수-학습 개선에 도움이 되는 수업과 평가가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성장을 강조하는 수업 및 평가에 초점을 두어, 학습자 중심 수업 및 피드백과 학생의 정의적 및 인지적 성취와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의적 성취에는 학업적 효능감과 학교 학습에서의 행복감에 초점을 두었으며 인지적 성취는 수학교과역량을 포함하였다. 대구교육종단연구의 중학교 패널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 수업과 전체 피드백은 학생의 정의적 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개별 피드백은 학업적 효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학업적 효능감이 높거나 학교 학습에서의 행복감이 높을수록 수학교과역량이 높았다. 셋째, 수학교과역량에 대한 학습자 중심수업과 전체 피드백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개별 피드백의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학습자 중심 수업, 전체 피드백, 개별 피드백과 수학교과역량의 관계에서 학업적 효능감의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하였지만, 학교 학습에서의 행복감이 갖는 간접효과는 학습자 중심 수업, 전체 피드백과 수학교과역량의 관계에서만 유의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교실 환경에서 학생의 성장을 위한 수업과 평가 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요인 분석 및 Rasch 모형의 적용

        손원숙 ( Sohn Wonsook ),유신복 ( Yu Shinbok ),신이나 ( Shin Yina ),노현종 ( Noh Hyunjong ),박상현 ( Park Sanghyun ),김동욱 ( Kim Donguk ),박민애 ( Park Minae ),김난옥 ( Kim Nanok ),이빛나 ( Lee Bitna ),신은진 ( Shin Eunjin ),박정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A교육대학교의 교육이념과 인재상에 기반 하여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 및 전문가 검토를 거쳐 해당 대학의 인재상과 핵심역량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평가틀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비검사 문항(총 240개)을 개발하였다. 예비검사를 통하여 본 검사는 총 7개 하위척도, 142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검사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교육대학교 재학생 692명(32.9% 남학생)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Rasch 측정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본 검사 문항의 질을 점검하였다. 먼저 핵심역량별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igher-order CFA)을 실시하였고, 문항 수준에서의 분석을 위해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IRT)에 근거한 1-모수 Rasch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양호한 수준이었고, 핵심역량 CFA 모형의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Rasch 모형 적합도, 문항의 난이도 및 응답 범주의 수 역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진단도구가 초등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갖는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y scale for primary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concept of talent and key competencies constructed by 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lso to describe its psychometric evalu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692 students attending to A university of education. Two complementary analytical approaches, i.e., factor analysis and Rasch analysis,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factor models designed by their conceptual factor structure. A Rasch analysis provided further evidence of the psychometric quality of the scale in terms of item properties, the rating scale effectiveness, and item fit statistics. The final version of the scale contains 142 items in seven sub-scales assessing primary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ies. Finally,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is scale can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primary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ies and, therefore, inform educators and researchers about how to enhance per-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y.

      • KCI등재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변화 및 영향 요인 분석 : 성별 차이에 대한 다집단 분석의 적용

        박찬호 ( Park Chanho ),김선미 ( Kim Seonmi ),유신복 ( Yu Shinb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본 연구에서는 다집단 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변화 양상과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구교육종단연구 중학생 패널의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4개년 자료(2017년~2020년)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성숙도의 초깃값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변화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별 차이가 없었다. 남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여학생보다 모든 시점에서 더 높기는 하였으나 여학생 진로성숙도의 고등학교 진학 시점 상승률이 남학생보다 높아 여학생의 발전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진로성숙도의 초깃값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릿, 가정학습환경으로 확인되었고, 교사지지는 여학생 집단의 초깃값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의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아존중감과 그릿으로 분석되었으며 해당 요인은 진로성숙도의 출발과 변화에 동시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집단별 변화의 패턴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different career maturity growth trajectories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predictors using a multiple-group growth model applied to data from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collected from 2017 to 2020. The results showed that in both boys and girls, career maturity decreased the most in their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and then rose in their first year of high school. The initial value of career maturity for the boys was higher than for the girls, while the rate of change was higher for the girls than the boys. Among girls,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was higher than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confirming the greater growth potential of girls. The initial values, rate of change, and influential variables of the initial value and slope were gender-specific.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itial values of career maturity were identified as self-respect, efficacy, grit, and home learning environments, while teacher support only affected the initial career maturity of girls. Self-respect and grit were found to affect the rate of change in career maturity and were identified as major factors that simultaneously affect the start and change of career maturit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