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즐 형상 및 방제 드론 작동조건에 따른 약액 부착율 평가

        유상현,Reza,유승화(Seounghwa Yu),최용(Young Choi),강영호(Youngho Kang),이지근(Jeekeun Lee)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In this paper, the coverage ratio of pesticide spray injected from two types of nozzles (XR and AI) set in a agricultural UAV was evaluated. The test was carried out in the indoor facility at which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arameters can be minimized. The coverage ratio was evaluated using water sensitive papers with the change of operating conditions, including nozzle type, drone speed, flying height and blade rpm. As the drone flight speed and height increased, the coverage ratio decreased. In addition, the coverage ratio of the AI nozzl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XR nozzle.

      • 수집형 마늘수확기 합천 지역 적응성 연구

        최승렬 ( Seungryul Choi ),강나래 ( Narae Kang ),김영화 ( Younghwa Kim ),우제근 ( Jeakeun Woo ),유승화 ( Seounghwa Yu ),전현종 ( Hyeonjong Jun ),최덕규 ( Dukkyu Choi ),최용 ( Yong Choi ),최일수 ( Ilsu 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마늘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미채소로 연평균 33만 2,837톤(’20년 36만 3,432톤)이 생산되는 주요 작물인데 반해, 마늘 재배 기계화율은 59.2%로 전체 평균 61.9%보다도 낮은 실정이다. 그중 특히 마늘 수확작업의 기계화율은 39.2%로 특히 미흡하며 마늘수확기의 개발 및 현장보급이 시급하다. 농업현장의 마늘 수확기는 주로 굴취기가 보급되어 있으며, 수확후 저장 전까지 필요한 흙털림, 수집 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절감하고자 마늘 굴취, 흙털림과 톤백 수집 작업을 일관처리 할수 있는 수집형 마늘수집기(’20)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기개발 수집형 마늘수확기의 합천지역의 적응성을 제고하기 위해 포장시험을 통해 적정 작동 조건을 구명하고 개선 보완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합천지역의 토양은 표토가 미사질양토이며, 자갈이 없고 배수는 약간 양호한 특성을 지닌다.(흙토람 토양정보) 미사질양토는 50% 이상의 미사와 12~27%의 점토를 포함하거나, 50~80%의 미사와 12% 미만의 점토를 포함하는 토양으로, 구조가 약하고 반습시 푸슬푸슬하며, 점착성과 가소성이 있다. 본 지역적응성 시험은 경남 합천군 청덕면 가현리 농가포장에서 시험하였으며, 해당 포장은 벼와 함께 2목작으로 마늘을 재배하는 논포장이었다. 공시재료의 품종은 난지형 대서마늘이었다. 요인별 10m를 시험구간으로 조성하였으며, 수확 시험 전 마늘 줄기를 지면으로부터 약 3cm내외로 절단하였다. 80kW급 트랙터를 이용하여 작업속도 3수준(0.065m/s, 0.089, 0.113), PTO 회전수 3수준(540 rpm, 750, 1,000)을 요인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수집형 마늘 수확기의 수확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시험구간내 마늘의 수집률, 수확 마늘의 손상률, 이물질 혼입률을 분석하였다. 수확 마늘의 손상은 기계수확에 의해 외관이 손상된 마늘을 기준으로 조사하였고, 이물질 혼입률은 수집부에 수확된 마늘과 흙을 분리하여 무게를 조사, 비교하였다. 포장시험 결과 합천지역에서는 작업속도 0.089m/s, PTO rpm 540에서 굴취율 100.0%, 손상률 2.2%, 이물질 혼입률 4.4%로 수확성능이 가장 양호하였다.

      • 고추 지주대 설치·제거 시작기 설계·제작 및 포장성능시험

        강나래 ( Narae Kang ),김영화 ( Younghwa Kim ),이예슬 ( Yeseul Kim ),유승화 ( Seounghwa Yu ),우제근 ( Jeakeun Woo ),최일수 ( Ilsu Choi ),최용 ( Yong Choi ),김영근 ( Youngkeu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고추는 특유의 매운맛으로 고추장, 고춧가루 등 식재료로 사용되며, 우리나라 음식문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양념채소이다. 그러나 노동집약적 작물로 노동투입시간은 2020년 기준 141 h/10a로 다른 양념채소인 마늘 113.6 h/10a, 양파 98.8 h/10a에 비해 높아 노동력 소모가 크며, 고추 재배의 노동력 및 생산비 절감이 필요하다. 고추 재배 기계화율은 47%로 다른 주요 작물(마늘 59.2%, 양파 63.6%)에 비해 미흡한 실정으로 고추 재배 작업 생력화를 통한 농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정식, 지주대 설치·제거 등 재배 작업의 기계화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추 지주대 설치·제거 시작기를 설계·제작하고, 포장성능시험 수행 및 지주대 설치·제거 작업성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추 지주대 설치·제거 시작기는 보행형으로 전동실린더를 이용하여 고추 지주대를 관입 및 인발 하도록 설계·제작하였으며, 전동실린더, 배터리, 지주대 가이드, 속도 제어부로 구성하였다. 포장성능시험은 국립농업 과학원 농업공학부 구내포장에서 진행하였으며, 고추 재배 농가를 조사하여 두둑높이 20.2±0.5 m, 두둑폭 60.7±0.5 m, 지주대 관입깊이 0.3 m로 설정하였다. 또한, 고추 지주대 3종류(1자형, U자형, 송곳형) 및 관입방식(시작기, 망치)을 요인으로 관입저항력 및 인발력 등 고추 지주대 설치·제거 시작기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관입저항력 및 인발력을 측정하기 위해 지주대 및 시작기 인발장치에 로드셀을 부착하였다. 포장성능시험 결과 시작기 이용 지주대 관입의 경우 최대 관입력은 1자형 529.9 N, U자형 462.4 N, 송곳형 559.1 N이며, 관행(망치)작업의 경우 최대 관입력은 1자형 562.1 N, U자형 572.5 N, 송곳형 483.9 N으로 분석되었다. 지주대 제거를 위한 최대 인발력을 시작기 이용 시 1자형 77.1 N, U자형 87.0 N, 송곳형 74.5 N, 관행(지주대 제거기) 이용 시 1자형 111.6 N, U자형 130.7 N, 송곳형 195.9 N로 분석되었다. 관행 및 시작기 지주대 관입시험 시 관입력은 유사하였으나, 시작기 이용 지주대 관입시간이 감소하였다. 또한, 인발시험의 경우 관행 대비 시작기 사용 시 최대 인발력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45kW급 전자 제어형 승용 자주식 마늘수집기 포장성능시험 (Ⅱ)

        강나래 ( Narae Kang ),김영화 ( Younghwa Kim ),이예슬 ( Yeseul Kim ),유승화 ( Seounghwa Yu ),남영조 ( Youngjo Nam ),권승귀 ( Seunggwi Kwon ),하유신 ( Yushin Ha ),박형규 ( Hyunggyu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마늘재배 기계화율은 평균 59.2%로 마늘재배 전과정 중 파종·정식과 수확작업의 기계화율은 각각 16.1%, 수확 39.2%로 미흡한 실정이다. 수확작업의 경우 수확 15∼20일 전 줄기절단작업을 진행하고, 트랙터 부착형 땅속 작물 수확기로 마늘을 굴취한다. 굴취한 마늘은 노지에서 건조과정 거친 후 수집작업을 하고 있으며, 수집작업은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많은 노동력이 소모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승용 자주식 마늘수집기 시작기를 이용하여 주행속도 및 이송속도에 따른 포장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포장성능시험에서 사용한 마늘수집기 시작기는 크롤러 타입으로 주행부와 수집부, 이송부, 선별부, 수납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집부를 통해 수확된 마늘의 뿌리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이송부에서 분리하고, 아직 남아 있는 이물질은 선별부에서 보조작업자가 선별하여 수납될 수 있도록 설계·제작하였다. 포장성능시험은 남도마늘을 대상으로 경상북도 성주군 소재 농가포장에서 진행하였으며, 주행속도 3수준(0.2, 0.3, 0.4 m/s)과 이송속도 3수준(60, 70, 80 rpm)을 요인으로 수행하였다. 요인별 시험구간을 3 m로 설정하고, 3반복 진행하였으며, 성능분석은 마늘수집기 시작기로 수집되지 않고, 포장에 남아 있는 마늘을 조사한 손실률, 수집된 마늘의 찍힘, 쪼개짐, 멍 등을 조사한 손상률, 수집부에 담긴 마늘과 이물질 비율을 조사한 이물질 혼입률을 분석하였다. 손상률은 요인별 수집부에 담긴 마늘에서 임의로 30개를 선정하여 껍질을 제거하여 멍을 조사하였다. 성능시험 결과 주행속도 0.2m/s, 이송속도 70 rpm에서 손실률 1.54%로 가장 양호하였다.

      • 농업용 트랙터 간척지 로타리 작업 견인성능 분석 시험

        강나래 ( Narae Kang ),최일수 ( Ilsu Choi ),이예슬 ( Yeseul Lee ),김영근 ( Youngkeun Kim ),김영화 ( Younghwa Kim ),우제근 ( Jeakeun Woo ),유승화 ( Seounghwa Yu ),전현종 ( Hyeonjong Jun ),최용 ( Yong 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트랙터는 다목적용 농업기계로 다양한 토양 환경에서 작업이 가능하나, 간척지 및 습지와 같은 연약 지반에서는 구동륜 침하와 슬립이 발생해 트랙터를 이용한 농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국외의 경우 간척지 등의 연약지반에 적합한 높은 지상고 및 크롤러 형태의 다양한 트랙터가 개발되어 보급 중이나, 국내는 지상고가 낮고, 차륜형태의 트랙터가 보급되고 있어 간척지 적응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간척지에서 농작업에 적합한 중형급 트랙터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본 연구는 간척지 겸용 트랙터 개발 기초 연구로 80 PS급 일반 트랙터를 이용한 간척지 로타리작업 시 소요되는 견인력 및 슬립율을 분석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트랙터는 80 PS급 트랙터(LUXEN800, KM, Korea)이며, 농작업은 연간 포장작업비율이 가장 높은 로타리작업을 선정하였다. 작업기는 로타베이터(그린맥스, NG195, Korea)을 사용하였으며, 로타리작업 시 견인력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하여 로드셀을 이용한 육분력계 계측시스템을 제작하였다. 각 차축에 기어와 근접센서를 부착하고, 단위시간당 기어의 톱니수를 측정하여 차축의 회전속도를 측정하였으며, 30 m 구간을 직선 주행하기 위한 바퀴회전수와 비교하여 슬립율은 분석하였다. 포장시험은 김제시 새만금지구 국립식량과학원 소재의 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작업속도는 주행속도 L2단(2 km/h)에서 PTO단수 2단(750rpm)으로 설정하였다. 경심깊이 15 cm 조건에서 로타리작업을 직선 주행하여 30 m씩 10반복 수행하였으며, 포장시험지의 토양환경은 포장 내 임의의 12구간을 선정하여 토양 수분함량과 원추관입지수(Cone Index, CI)를 측정하였다. 토양환경 분석결과 토성은 Loamy sand(양질사토), 수분함량은 27.2~35.8%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원추관입지수는 깊이 1 cm에서 20 cm까지 5 cm단위로 측정하였을 때 약 291.4~3112.6 kPa로 측정되었다. 트랙터 견인력은 약 70~200 N 범위로 로타리작업 시작 후 작업기 견인을 위하여 견인력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전·후륜 좌·우측의 슬립율은 11.78~17.06% 범위로 나타났다.

      • 수집형 마늘 수확기 무안지역 적응성 향상 연구

        최일수 ( Ilsu Choi ),우제근 ( Jaekeun Woo ),문석표 ( Seokpyo Moon ),최경식 ( Kyeongsik Choi ),이춘구 ( Chungu Lee ),김영화 ( Younghwa Kim ),유승화 ( Seounghwa Yu ),최용 ( Yong 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마늘은 겨울철 휴경기를 이용하여 재배하는 대표적인 농가 주요 소득작물로 ’23년 재배면적 24.7천ha, 생산량 318.2천 ton으로 보고되고 있으나(2023, 통계청), 기계화율은 ’22년 61.8%로 벼재배의 99.8%와 비교 시 미흡한 수준이다. 특히, 수확작업 기계화율은 43.8%로 트랙터 또는 경운기용 굴취 수확기를 이용하여 굴취 후 인력으로 뿌리에 붙은 흙을 털어내며 수확하고 있어 인력 의존도가 높아 기계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최 등(2020)은 마늘 굴취 및 수집작업 기계화를 위해 경상도 등 미사질양토 토성 지역의 난지형 마늘을 대상으로 굴취와 뿌리흙 제거, 수집을 일관적으로 수행하는 수집형 마늘 수확기를 개발하였으며, 관행의 굴취 수확기 이용 및 인력 수집 대비 89.3%의 노력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경상도 등 미사질양토 토성 지역은 개발된 수집형 수확기의 보급으로 마늘 수확작업의 기계화가 진전될 것으로 전망되나, 전남 등 양토 및 미사질식양토 토성 지역은 수확시기 토양 경화로 굴취 수확기 및 수집형 수확기의 적응성이 미흡한(뿌리흙털림 미흡, 이물질혼입률 증가 등) 실정으로 개발 농기계의 적응성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남 지역의 마늘 수확작업 기계화 제고를 위해 굴취 수확기 이용 굴취 후 굴취된 마늘을 수집형 수확기를 이용하여 수집함으로써 개발된 수집형 수확기의 이용도를 제고하고, 해당 지역에 적합한 수확 기계화 작업체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수집형 수확기의 전남지역 적응성 시험은 전라남도 무안군 소재 농가포장에서 난지형 대서마늘(Allium sativum L.)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보급중인 트랙터부착형 굴취 수확기(핑거롤러 type, MH1300D)와 수집형 수확기(DR-1300GHT)를 적용하였다. 수확 시험 전 마늘 줄기를 지면으로부터 약 3 cm 내외로 절단하고, 55kW급 트랙터를 이용하여 0.13m/s의 작업속도로 굴취 후 굴취된 마늘을 수집형 수확기를 이용 수집하였다. 수집형 수확기 이용 기계수집 작업체계의 수확성능 분석을 위해 미굴취율, 손상률을 조사하였으며, 흙털림 성능 비교를 위해 굴취 수확기는 뿌리흙 부착률을 수집형 수확기는 이물질 혼입률을 비교·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굴취 후 수집형 수확기로 수집하는 작업체계의 경우 손상률은 0.4%, 이물질 혼입률은 3.06%로 양호하게 분석되었다.

      • 전자동 감자 파종기 지역적응성 시험

        최일수 ( Ilsu Choi ),김영근 ( Youngkeun Kim ),최용 ( Yong Choi ),전현종 ( Hyeonjong Jun ),강태경 ( Taegyoung Kang ),이상희 ( Sanghee Lee ),김진구 ( Jingu Kim ),유승화 ( Seounghwa Yu ),박영은 ( Youngeun Park ),조지홍 ( Jihong J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감자는 세계적으로 옥수수, 쌀, 밀,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는 중요 식량자원으로 국내에서도 최근 식생활 서구화로 가공용 감자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농촌 노동력 부족, 재배면적 감소로 수입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감자 재배면적은 ’05년 32.7천ha에서 ’10년 24.9천ha, ’16년 22.0천ha로 감소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량도 ’12년 607.5천톤에서 ’14년 590.5천톤, ’16년 555.7천톤으로 감소해 자급률은 ’05년 93.1%에서 ’10년 88.5%, ’16년 76.0%까지 감소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 감자 재배의 경우 지역별 재배양식이 다양하고 씨감자를 크기에 따라 2∼6등분한 절편감자를 파종하고 있어 자동 파종기 개발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으로, 기계화율은 67.4%로 파종과 수확작업의 인력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감자 재배 생력화를 위해 기계화 적응 재배양식을 설정하였으며, 국내 실정에 맞게 통감자를 자동으로 절단하여 파종하는 전자동 감자 파종기를 개발하고 경운· 정지에서 수확까지 감자 생산 주요 작업공정에 농기계를 투입한 전과정기계화 기술을 확립하였다. 그러나, 새로 개발된 전자동 감자 파종기는 통감자를 자동으로 2등분 절단 후 소독제를 살포하여 동시에 파종하는 파종기로, 관행 농가의 재배방법(관행방법 : 씨감자 2~4등분 절단 및 큐어링 후 파종)과 차이가 있어 조기 실용화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전자동 감자 파종기의 지역적응성 향상을 위해 신개발 기종을 투입한 주산지 중심의 지역 적응성 시험을 수행하고 기계 파종에 따른 출현율과 생리장애 등 생육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자동 감자 파종기 지역적응성 시험은 봄감자를 대상으로 국내 감자 주산지인 경북 거창에서 수행하였으며, 재식거리(주간거리 25cm, 28cm, 30cm)를 요인으로 파종 후 결주율 등 파종성능과 출현율, 생리장애 등을 관행 인력파종 재배구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주간거리가 28cm일 때 결주율이 1.4%, 주간거리 29.4±4.77, 파종깊이 9.87±0.69로 파종성능과 작업정도가 양호하게 분석되었으며, 출현율은 기계파종구 96.3%, 인력 파종구 98.1%로 분석되었다.

      • 3륜형 승용관리기 횡전도각 분석 및 포장성능 시험

        최일수 ( Ilsu Choi ),김영근 ( Youngkeun Kim ),최용 ( Yong Choi ),전현종 ( Hyeonjong Jun ),강태경 ( Taegyoung Kang ),이상희 ( Sanghee Lee ),김진구 ( Jingu Kim ),유승화 ( Seounghwa Yu ),현창식 ( Changsik Hyu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밭작물 재배에서 트랙터는 지상고, 바퀴폭 및 차륜폭 등의 제한으로 주로 경운·정지 작업에 이용되며, 밭작물 파종·이식, 관리(중경제초, 방제 등) 작업에 제약이 있다. 또한 국내에서 생산 보급되고 있는 4륜승용관리기는 주로 방제기, 비료살포기, 비닐피복기의 본체로 이용되고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다양한 재배양식에 따른 차륜폭 조절 및 본체 후방에 부착된 작업기로 인한 작업 상태 확인 등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밭작물 재배 확대 및 농업 노동력 구조적 변화에 따른 고령자, 부녀자들도 안전하고 쉽게 사용 가능한 밭작물용 3륜형 승용관리기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3륜형 승용관리기를 설계·제작하고 시작기의 안정성 및 작업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횡전도각을 분석하고 포장성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작기는 3륜 구동방식으로 주변속은 HST 무단변속, 부변속은 2단 선택맞물림기어식 변속장치를 채용하였고, 운전자가 작업상태 확인과 작업기 조절이 용이하도록 mid-PTO 방식을 채용하여 작업기를 시작기의 전륜과 후륜사이 하부에 부착되도록 설계·제작하였다. 또한 다양한 밭작물 재배양식에 적용 가능하도록 후륜 차륜폭을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1320~1720 mm 범위로 조절 되도록 하였으며, 선회반경 감소를 위하여 전륜에 배속장치를 설계하여 급선회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3륜형 승용관리기의 포장 경사도를 고려한 전도 안정성 분석을 위하여 시작기의(후륜)차륜폭을 요인으로 횡전도각을 분석하였으며, 농업기계 검정기준에 준하여 운전석에 75 kg의 모래주머니를 거치하여 시작기의 좌·우 한계 전도각을 측정하였다. 최소 전도각은 차륜폭이 1320 mm 일 때 좌전도각은 32.8°, 우전도각 32.1°로 분석되었으며, 최대 전도각은 차륜폭이 1720 mm 일 때 좌전도각은 40.3°, 우전도각 39.1°로 분석되었다. 시작기의 포장성능 시험은 경남 거창군 가북면 소재 농가포장에서 파종작업기를 부착하여 콩 파종 작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작업성능은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기준의 농작업기계 포장성능 산출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작기의 콩 파종 작업성능은 평균작업속도 1.1 m/s, 유효작업폭 1.4 m, 평균 회행시간 147.9초 일 때 0.77시간/10 a로 분석되었다.

      • 양파 줄기파쇄기 설계·제작 및 포장성능시험

        강나래 ( Narae Kang ),김영근 ( Youngkeun Kim ),최일수 ( Ilsu Choi ),우제근 ( Jeakeun Woo ),최용 ( Yong Choi ),전현종 ( Hyeonjong Jun ),김영화 ( Younghwa Kim ),유승화 ( Seounghwa Yu ),이예슬 ( Yeseul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양파는 암, 당뇨 등 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최근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나, 양파 재배를 위한 농작업 기계화율은 62.2%로, 경운·정지, 방제작업을 제외한 작업은 여전히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기계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 중 수확작업은 양파를 굴취, 수집하고 있어 줄기 절단 작업의 기계화가 필요하며, 수확시기에 도복된 양파 줄기를 일으켜 세워 절단할 수 있는 기계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줄기절단 작업 기계화를 위하여 트랙터 부착형 양파 줄기파쇄 시작기를 설계·제작하고 포장성능시험 수행 및 줄기파쇄성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양파 줄기파쇄기는 절단날의 회전을 이용하여 수확시기 쓰러진 양파줄기를 풍압으로 일으켜 세워 절단·파쇄하여 배출하는 송풍흡입식으로 설계·제작하였다. 양파 줄기파쇄기는 트랙터 부착형으로 트랙터 PTO에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조인트, 동력전달부, 2조 회전형 절단날, 양파 절단 높이를 조절하는 조정부와 절단된 줄기 및 공기가 빠져나가는 통풍구 등으로 구성하였다. 양파 줄기파쇄기의 포장성능시험은 양파 재배형식을 고려하여 논양파와 밭양파(품종 : 썬파워)로 구분하고, 논양파는 경상남도 합천군 소재 농가포장에서 밭양파는 전라남도 무안군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구내포장에서 포장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60kW급 트랙터를 이용하여 작업속도 및 회전속도 3수준을 요인으로 20m 구간을 수행하였으며, 요인별 단위면적당 잔존줄기와 파쇄율을 분석하였다. 양파 줄기파쇄기 포장성능 시험 결과 논양파의 경우 파쇄날 회전속도 929rpm, 작업속도 0.3m/s에서 파쇄율 90.2%, 잔존줄기 14.9±3.6cm로 가장 양호하였으며, 밭양파의 경우 파쇄날 회전속도 458rpm, 작업속도 0.5m/s에서 파쇄율이 97.6%, 잔존줄기 8.2±4.1cm로 줄기파쇄 성능이 가장 양호하게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