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8년 범불교도대회를 통해서 본 한국사회의 종교 간 갈등

        유승무(Lew, Seung-Mu) 동양사회사상학회 2009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

        2008년 8월 27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는 2008년 종교사회의 가장 주목할 만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바로 한국불교가 종단이나 종파를 초월하여 시청 앞에 모여 반정부구호를 외친 ‘범불교도대회’였다. 언뜻 보기에 이 대회는 대정부투쟁 혹은 국가와 불교의 갈등적 관계로 이해되기 십상이다. 그러나 그 심층에는 한국개신교와 한국불교의 갈등이라는 ‘총성 없는 전쟁’이 발발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왜 이러한 종교간 갈등이 발생하는가? 이 글에서는 그 원인을 관념적 근본주의와 물질적 이해관계에서 찾았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이론적 관점 속에서 2008년 범불교도대회를 통해 드러난 한국사회의 종교 간 갈등의 특수성을 해명하고, 나아가 한국사회의 경험을 토대로 종교 간 갈등이 사회갈등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논의해 봄으로써 종교 간 갈등의 종교사회학적 함의를 암시적으로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명박 정부의 출범과 함께 종교편향 사례가 급증하였는데, 이는 ‘관념적 근본주의’와 ‘현세지향적인 세속적 태도’가 양립하는 한국개신교 고유의 특성과 무관하지 않다. 실제로 한국기독교 근본주의야말로 기독교 배타주의(혹은 최근 종교편향 사례)의 뿌리였고, 한국 개신교의 실질적인 힘 즉 경제 권력이라 할 수 있는 자본 축적뿐만 아니라 정치권력이 그 줄기였다. 그것이 2008년 한국사회의 종교 간 갈등의 근간이었다. 그리고 이명박 정부 등장 이후 지속적으로 반복된 종교편향 사례는 범불교도대회의 직접적인 도화선, 즉 촉발요인이었다. 문제는 이제 한국사회의 종교 간 갈등은 휴전선도 없는 ‘총성 없는 전쟁’이 되었다는 점이다. 이렇듯 종교 간 갈등은 그 자체로 사회갈등의 중요한 한 측면이다. 그러나 종교사회학적 관점에서 볼 때, 종교 간 갈등이 의미를 가지는 또 다른 이유는 그것이 여타 사회갈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종교 간 갈등은 국가-종교 관계, 정치적 갈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역 갈등이나 계급 갈등 등 기존의 사회갈등과 상승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다. 게다가 오늘날 한국인들은 가족 사이, 친구 사이, 직장동료 사이와 같은 사적인 삶의 영역에서 일상적으로 종교 간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한국 불교와 한국개신교의 갈등은 동양문화와 서양문화 혹은 한국 전통문화와 서구 근대문화 사이의 갈등으로 쉽게 치환된다. 이렇게 볼 때, 다종교사회의 종교사회학적 연구에서 종교 간 갈등은 종교와 사회갈등의 관계를 필요불가결한 변수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The year 2008, August 27th, A buddhist anti-government demonstration which is called as 'Bum-Bul-Gyo-Do-Dae-Hoe' have out-broken at plaza front Seoul city-hall. Most of korean buddhists all over the country including many monks attended at the demonstration. At a glance, the demonstration is seemed like a conflict between Lee Myeong Bak government and Korean buddhism. But, at a gulf of the demonstration, long as 'war without gun shot' have made a steady progress. So, we can not but inquire the causes and conditions of the confli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well known, the roots of this conflict is idealist fundamentalism of Korean Protestantism. Second, the substantial energy of it is secular political power and economic wealth which Korean Protestant have accumulated until now. But these two factors is indirect conditions of the demonstration, The direct factor or cause of the demonstration is not only many unfair events done by public officials who are known as protestant but also many offensive and assault sermons by several famous clergyman of which contents are constituted of blasphemy against buddha and negation of buddhist doctrine and buddhism itself. Actually, many accidents overrode the wishes and expectations of Korean buddhists have occurred since the advent of Lee Myeong Bak government. Meanwhile, we also have paid attention to the way that this religious conflicts is related to many social conflicts in Korea including Buddhism-state conflict, political conflict of regions, class conflict and religious conflicts at several private sectors such as home, work site, peer group. Because this way is peculiar phenomena in Korea well known as multiple religious society.

      • KCI등재

        상즉상입의 불교사회학

        유승무(Lew Seung-Mu) 동양사회사상학회 2004 사회사상과 문화 Vol.10 No.-

        이 글은 불교사회학을 새롭게 정립하기 위한 이론적 모색을 독창적으로 시도한 결과이다. 화엄경의 상즉상입의 원리를 도입한 것도 그 이유이다. 특히 우리는 ‘상즉상입의 불교사회학’이 기존의 종교사회학에서 경시되어온 불교 사회학적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을 규명하는 데 얼마나 적합한가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무엇보다도 불교가 하나의 사회적 현상이자 사건이며 그렇기때문에 불교와 사회는 무상하게 상즉상입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즉상입의 원리를 도입하는 것은 정당하였다. 또한 이러한 현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는 그에 적합한 인식론적 전제와 방법들이 요구된다. 그런데 ‘상즉상입의 원리’는 모든 존재를 변화, 생성,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소들의 총체성을 의미하는 사사무애법계事事無碍法界를 전제하고 있다. 특히 상즉상입의 원리는 보다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방법의 결합이 요구됨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불교사회학적 연구대상을 탐구하는 데 적합한 연구방법론임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상즉상입의 원리’는 사회학적 시각에서 볼 때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상즉상입의 원리가 엘리트주의와 현실 낙관주의로 귀결될 위험성 때문이다. 특히 그러한 경향성은 체제 및 현실 유지의 보수적 이데올로기로 작용할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즉상입의 원리를 학문적으로 활용함에 있어서는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따라서 우리는 이를 이념형으로만 받아들일 것을 주문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a new theoretical model which could contribute to reconstruction of the sociology of buddhism. The Hua-yen principle of mutual identification and inter-penetration is introduced for that purpose and focused to show its efficiency in investigating the research object and method of the sociology of buddhism which is neglected by the sociology of religion. The introduction of the idea of mutual identification and inter-penetration into the sociology of sociology can be justified through the fact that buddhism is one of the sociological phenomena and therefore buddhism and society mutually inter-penetrate without obstruction. To grasp this phenomenon it is needed to set up proper epistemological premises and methods. Thereby the principle of mutual identification and inter-penetration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all existences are in the process of changing and arising as a whole of complex elements. Through the implication of the necessity of diverse approach, the principle of mutual identification and inter-penetration is proved to be a proper methodology in researching the object of the sociology of buddhism. From the viewpoint of sociology, the principle of mutual identification and inter-penetration could bring un-intented unfavourable results. As a matter of fact, it could result in elitism and groundless optimism beyond the realities. If we consider that such tendency could be misused as a conservative ideology for the supporters of the status quo, a cautious use of the principle of mutual identification and inter-penetration is demanded. if it is introduced into the practical field of the sociology of relig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methodology should be regarded as a theoretical attempt.

      • KCI등재

        민심의 동원과 마음의 정치:

        유승무(Lew Seung Mu),신종화(Shin Jong Wha),박수호(Park Su Ho) 동양사회사상학회 2017 사회사상과 문화 Vol.20 No.1

        사회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인간에게 정치는 생존의 필수불가결한 조건이자 불가피한 결과이다. 특히 폭력을 독점하는 국가의 등장 이후, 공공질서를 가능케 하는 국가의 정치행위는 인간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제도로서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는 국가의 정치행위를 주권자들인 국민들이 여하히 조종할 것인가라는 과제가 가장 중요한 정치적 과제일 수밖에 없다. 한편 현대 한국사회는 식민지 지배와 전쟁, 군부독재를 거치면서 오랫동안 정치적 후진성을 떨치지 못하고 있었지만,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민주화에 성공하였다. 그렇다면 현대 한국사회는 어떻게 정치적 후진성을 극복하고, 압축적 민주화를 달성할 수 있었을까? 이 논문에서는 마음과 정치질서의 관계 방식을 규명함으로써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먼저 동양종교와 민주주의의 관계를 논의하고 있는 베버, 헌팅턴, 후쿠야마, 김상준 등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동양정치사상에 나타난 민본주의적 특성에 내재해 있는 민심 우선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민심 우선성이 오늘날 불교 문화권 및 유교 문화권의 정치 현실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논의함으로써 불교 및 유교의 마음 문화와 현실 정치의 이론적 연관성을 밝혔다. 이어서 2016년 촛불집회와 탄핵정국의 사례분석을 통해 마음 문화와 정치의 연관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마음과 정치질서의 관계 방식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경험적 검토를 통해서 합심을 향한 마음의 동원이 자원과 가치의 동원이라는 차원에 머물러 있는 기존 사회운동론의 지평을 확장하고, 불의에 저항하는 마음을 동원하는 도덕정치의 유형을 새롭게 도출할 수 있었다. Politics is the essential condition of survival and inescapable result for human beings who live together in the society. Since the emergence of the state which dominates collective violence,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state enlarging public orders take the supreme position of social institution which makes the biggest impact on human lives. With the regard to this importance of the political role of the state, the question of how the people, the sovereign power, does control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state becomes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task in the modern society. Korean society has been succeeded in the democratization since the late twentieth century after colonial experience, the Korean war, and military dictatorship, although it comes in a non-linear development process.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Korean society achieves compressed democratization with overcoming political underdevelopment, by way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al mode between heart and political order. First, authors look at the priority of public opinion, in other words, collective heart, rooted in the Eastern political thought of democracy, with brief reviewing Weber, Huntington, Fukuyama, and KIM Sang-Joon who talk the relationship between Eastern religions and democracy. Second, we highlight the theore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Maem(heart) cultur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real politics of contemporary Korean society with unveiling the priority of public opinion in the civilizational background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The impeachment situation and the so-called candlelight rally are introduced as an example of Korean politics where Maem(heart) culture and political activities are correlated. Finally, this paper suggests new type of moral politics which mobilizes collective Maem for resisting to injustice in an explanation of relational mode between Maem and politcial order, to the conventional approach of social movement which remains that the mobilization of Maem is simply to mobilize certain resources and values.

      • KCI우수등재

        한국불교와 현대적 사회제도의 만남

        유승무(Lew Seung-Mu) 불교학연구회 2007 불교학연구 Vol.18 No.-

          This study begins with the presupposition that so called "indigenous modernity" in three world societies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European modernity, and tries to understand "indigenous modernity" since 1945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dependently originated one".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ly we reviewed critically Weber"s thesis that Buddhism impeded the modernization of Asian societies and Bellah"s argument in which Japanese society has the advantage condition of industrial development to rationalize the polity and subordinate other values to it. modernization. Secondly, we scrutinized the interaction between Korean Buddhism and modern social institutions and investigated configurations of Korean religions. Here we conceptualized the result of this interactions and configurations as "indigenous modernity". Finally, we argued that new perspectives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digenous modernity" and suggested alternatively the perspective of inter-dependently originated one.

      • KCI등재

        종교와 노인의 여가

        유승무(Lew Seung-Mu) 불교학연구회 2008 불교학연구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seniors who make meaningful use of their spare time for religious activities feel happier than those who do not. For that purpose, I attempted, firstly, to make definitions of concepts such as leisure, religious, and happiness (or satisfaction of life).<BR>  Secondly, theoretical discussions are made on the causal relation between leisure and religious life and between religious life and satisfaction of life.<BR>  Thirdly, I attempted to proved the hypothesis mentioned above by using the supporting evidences from the secondary data collected through the critical review of the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the causal relation between religious and satisfaction of life.<BR>  Based on this findings, I proposed a welfare policy that can support religious activities of the users of the welfare facilities founded by religious groups such as Joge Order, a Buddhist order.

      • KCI등재

        위기의 사회와 불교

        유승무(Lew Seung Mu)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1

        이 글의 목적은 오늘날과 같은 위기의 사회에 응전할 수 있는 대안적 사회모델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불교가 어떠한 모종의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인지를 논의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사회문제를 보는 시각’을 중심으로 기존의 사회과학적 시각과 불교적 시각을 비교한 다음, 사회문제에 접근하는 불교적 시각의 발전 가능성을 논의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발견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회과학적 시각은 인간의 외적 조건을 해명하는데 장점을 지니고 있는 반면 불교적 시각은 인간 자신의 마음을 통해 사회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바로 그러한 점에서 사회문제를 보는 불교적 시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수반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1) 불교는 탐욕, 증오, 이기심 등을 사회문제의 근본적 원인으로 간주하고 있다. (2) 불교는 범죄, 중독, 폭력과 테러, 그리고 빈곤을 주요 사회문제로 간주하고 있다. (3) 사회문제의 해결방법과 관련하여 불교는, 외적·강제적 통제보다는, 연기법에 대한 체득과 그 결과로 나타나는 인간 자신의 윤리적 성숙을 통해 자발적 통제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불교적 시각은 이론적 차원에서 개인화 테제에 기초한 위험사회론을 뒷받침하거나 보완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근거로서의 유용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며, 실천적 차원에서는 행위자 자신의 자발적 동기에 의해 사회문제 자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ossibilities of Buddhist perspective as a alternative to social problems in modern society.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compared Buddhist perspective with typical sociological perspectives and tried to find the superiority to solve social proble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bove all, the study found that, meanwhile typical sociological perspectives have the superiority to solve social conditions of human life, Buddhist perspective has the predominance to solve the heart(or mind) of actors. Also this study found some features of Buddhist perspective attritive to its predominance. (1) Buddhist perspective regard the greed, hatred, and selfishness as causes of social problems. (2) Buddhist perspective look at crime, poisoning, violence and terror, extreme poverty as prime social problems. (3) In solving social problems, Buddhist perspective look forward to a certain voluntary and ethical control of a person oneself which is originated to effect of mind control. Thes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erspective are anticipated to supplement the theory of risk society based individualism at the theoretical side, and at the practical side those are expected to have effects to prevent against social problem itself.

      • KCI등재

        한국사회 과잉과시의 구조적·역사적 이해

        유승무(Lew Seung-Mu),박수호(Park So-Ho),최봉영(Choi Bong-You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7 No.-

        일반적으로 사회적 과시는 행위론적 관점에 근거하여 주로 과시소비의 차원에서 논의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최봉영 등은 사회적 과시의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오늘날 한국인은 물질과시를 통해 자신의 인격을 과시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행위는 그 사회의 구조적, 역사적 맥락과 무관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수용하면서 물질과시와 인격과시가 결합됨으로써 나타나는 한국사회의 과잉과시 현상에 대한 구조적이고 역사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인격적 요소를 내포한 물질과시라는 사회적 과시의 한국적 특수성이 ‘왜, 그리고 어떤 궤적을 따라’ 형성되었는지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인정자본 개념을 사회적 과시의 한국적 특수성이 형성되는 원인과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로 활용하였다. 기본적으로 사회적 인정을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자본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사회구조와 아비투스로부터 동시에 영향 받게 됨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 틀에 근거하여 한국사회에서 인격 아비투스가 형성되는 맥락을 상술하고, 신분사회에서 자본주의사회로의 구조변동을 경험한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인정자본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추적함으로써 현대 한국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과잉과시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과시의 장기적 변화 양상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1) 유교사회에서 자본주의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사회적 인정자본이 신분(귀속 자본)에서 물질(성취 자본)로 변화하였고, 그 결과 지배적인 과시 형태도 신분과시에서 물질과시로 바뀌었다. 그럼에도 ‘인격’ 아비투스는 지속적으로 남아 있으며, 따라서 물질과시를 통한 인격과시가 사회적 과시의 한국적 특수성이 되었다. (2) 사회적 과시의 수단이 다양화되고, 물질이 과시의 결정적인 수단으로 등장함에 따라 그것을 표현할 수 있는 온갖 물건이 모두 과시의 수단이 되었다. 한편 과시의 주체도 변화하였다. 전통사회에서는 신분과시의 주체가 양반계층에 한정되어 있었다면, 오늘날에는 과시의 물질적 수단을 소유한 그 누구라도 사회적 과시의 주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요인의 복합적 상호작용의 결과, 오늘날 한국사회에서는 과잉과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Typically, it was on the viewpoint of ostentatious consumption the discussion on social ostentation. Today, many researchers conclude that the Korean show off his personality through material ostentation. However, the social activities associated with structural and historical context of that society.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structural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of over-ostentation in Korean society. More specifically, we checked up Korean peculiarity of social ostentation, material ostentation include elements of personality empirically and such peculiarity is "why, and what drove along" the formation to make clarifications. Meanwhile, we used the concept of social recognition capital as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he causes and course of Korean peculiarity of social ostentation. We clarified various social capitals to acquire for social recognition exists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affected by social structures and habitus from theoretical study. Through this theoretical framework, we described the context and formation process of personality-habitus, and admitted tracking whether changes in how social recognition capital in the structural changes of Korean society. Through the above process, we tried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over-ostentation in a modern Korean society. As a result, we cleaned up the long-term changes of social ostentation in Korean society as follows: (1) in the change from Confucian society to Capitalist society, social recognition capitals changed from identity to materials. As a result, the dominant form of ostentation changed to material ostentation from identity ostentation. Nevertheless, the personality-habitus remains, it was Korean peculiarity of social ostentation, and material ostentation included elements of personality. (2) Tool of social ostentation became various; material is emerging as a dominant means of showing off. Therefore, all kinds of things become the means of showing off. The subject of showing off was changed. In traditional society, the subject of showing off was limited, however, today that owns the material means that anyone can be the subject of a social ostentation. All of these factors interact with the results of the blended, over-ostentation phenomenon appears in today"s Korean society.

      • KCI등재

        연기, 마음, 그리고 '합심'사회의 사회학

        유승무(LEW, Seung-mu) 불교학연구회 2014 불교학연구 Vol.38 No.-

        이 글의 목적은, 연기적 세계관과 마음 개념 그리고 그 산물인 '합심'사회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그 관련성들을 체계적으로 논증 및 실증함으로써, 인간과 사회의 이분법적 이 론구조에서 벗어날 수 있는 새로운가능성을탐색하는데 있다.이러한목적을달성하기 위하여 이글에서는 우선 모든 존재를 원인과 조건의 결합으로 이해함으로써 개인이든 사회이든 구조이든 행위이든 그 어떤 실체화도 부정할 뿐만 아니라대립자사이의 이분법적 관계설정그자체를근원적으로지양하는 '의존적 발생(緣起)'의 원리를 자세히 논의하였다. 또한 연기의 원리가 인간사회의 사회적 관계에 적용될 때 그 관계를 매개하여 에너지와 정보를 조율하는 마음 개념을 자세하게 논의해 보고 마음과 마음의 어울림, 즉 합심이 사회구성의 결정적인 요소임을 밝혔다. 그런 다음 합심개념이 사회전체를 구성하는 각 사회단위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를 실증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음(미시)과 사회 (거시)를 의존적 발생의 원리에 따라 상즉상입의 관계로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정식은, 인간과 사회의 대립 혹은 구조와 행위의 대립을 지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overcome the theoretical limits of sociology with its dichotomy between man and society. It focuses on exploring the synthesis of a viewpoint of dependent arising and the concept of the mind to create a HAPSIM (unified mind) society, and systematically substantiating its relevance.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research design as follows . First, we discuss the rule of dependent arising. Second, we discussed mind and HAPSIM (Unified Mind) that regulate the energy and information mediating the relations of man and society. Third, we verified the possibility of HAPSIM society being used in social units as the family, school, company, community, nationstate, and world. We conclude that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mutual causality between mind and society has the possibility of overcome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dichotomy between man and society.

      • KCI등재

        북한사회의 합심(合心)주의 마음문화

        유승무(Lew, Seung-Mu),신종화(Shin, Jong-Hwa),박수호(Park, Su-ho)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5 亞細亞硏究 Vol.58 No.1

        North Korean society emphasizes on the heart united, namely conheart or one grand heart, which seems rather away from the scientific approach of Marxism or possibly Marxist rationality, although it experiences a socialist project of modern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rst, to identify the background of social thought on the culture of heart(Maeum) and its historical flow as the first step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 of heart(Maeum) rooted in the psychological depth of North Korean people and North Korean society, on the one had, and the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or the socialist system) as its corresponding object, on the other. Second, this paper proposes a typology of analyzing the culture of conheartism in North Korea by way of demonstrating the fact that the conceptual device of ‘conheartism’ links, as a medium, the two parts mentioned above. The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prove how the socialist proejct of modernity in North Korea and its culture of heart(maeum), in the type of conheart in the 1980s and its cultural terrain, are connected with an approach in the content analysis of Norht Korean novels, ?Friend? and ?Life?. These two deal with commoners’ sentiments of life and thinkings around ordinary lives with the issues of divorce and education. For this reason, these novels are said to plentifully involves the culture of conheartism in North Korean society an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socialist system in the middle of 1980s in that the importance of workers family are pointed out and collective principle of legality are emphaszied. With this paper the authors come to recognize the fact that the culture of conheartism is still very influential in North Korea today and to identify a series of type of conheartism, conheartism with the socialist system, conheartism with the state leader, the party and the nation, with family, with own conscience, and so forth. This research outcome could be positively evaluated in that the existing nominal argument on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South and the North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is supported by concrete cultural evidences. Additionally, the culture of conheartism is useful as a analy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North Korean society.

      • KCI등재

        ‘열린’ 가족 담론에 대한 불교적 검토

        유승무(Lew Seung-Mu),박수호(Park Su-Ho) 불교학연구회 2007 불교학연구 Vol.17 No.-

        Family deconstruction has become serious social problem in present-day society. Open family movement is one of the alternatives on Family deconstruction. To success of this movement, we have to change "habits of the heart" that equates normal family with traditional family and look on various forms of open family as abnormal family. Then, how Korean Buddhism contributes to the success of Open family movement?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we reviewed changes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family. And we criticized existing theoretical debates on "open family" from the Buddhist epistemological perspective. Next, we offered a Buddhist standpoint on family based on the Sutras, examined affinity of those and open family, especially focused on paternalism and descentism. And to conclude, we suggested practical program for success of open family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