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전이성 편평 상피성 담낭암

        임규성(Kyu Sung Rim),김우중(Woo Joong Kim),이서우(Su Woo Lee),전성국(sung Guk Jun),유성태(Sung Tae Yoo),이재현(Jae Hyeon Lee),이명석(Myung Seok Lee),안혜경(Hae Kyung Ahn) 대한소화기학회 199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2 No.4

        Squmous cell carcinoma of gall bladder is a rare disease which is characterized by a well-localized growth and a rarity or lack of metastasis.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liver and duodenum which is thought to be originated from gall bladder. Gastroscopy, abdommal sonography,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and peritoneoscopic, liver biopsy finding were ronsistent with a metastatic squmous cell carcinoma of gall blader.

      • KCI등재

        천성산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의 식생구조와 생육환경

        이명훈(Myung Hoon Yi),유성태(Sung Tae Yoo),장정걸(Jeong Gul Jang)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4 No.4

        주걱댕강나무는 세계적으로 중국 남부・일본 혼슈 이남에 분포하며,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경상남도 양산시 천성산에만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2003년도에 국내 야생 존재가 보고된 이래지금까지 식생구조나 생육특성 등 일체 선행연구는 찾아볼 수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걱댕강나무 집단의 분포범위, 생육환경과 개체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주걱댕강나무의 적절한 현지 내・외 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한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의 범위는 지리적으로 북위 35°24 58 에서 35°26 35 , 동경 129°05 43 에서 129°07 04 사이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해발고도는 98 ~ 592 m, 반경 1.8 ㎞ 범위 내 능선과 사면, 계곡부 등 사방에걸쳐 햇빛이 어느 정도 확보되는 곳에서 소규모 군락형태로 관찰되었다.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의 식생구조는 소나무군집, 신갈나무-주걱댕강나무군집, 졸참나무-주걱댕강나무군집, 개서어나무아군집으로 분류되었고, 교목층을 우점하는 특정 분류군(소나무, 참나무류, 개서어나무)의 편중으로 종간 균등성은 낮았으며, 우점도 또한 특정 종 우점에 근접하는 식생형을 보였다. 주걱댕강나무 개체군 20개 조사구에서 측정한 전 분류군의 평균 수고는 교목층 8 ~ 13 m, 아교목층 3.4 ~ 6 m, 관목층1.2 ~ 1.7 m, 초본층 0.2 ~ 0.7 m 범위의 다층구조로 형성되어있었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비교적 높은 특징을 보였으나 모든조사구에서 토양산도(pH) 4.2 ~ 4.9의 강산성을 띠고 있어 식물생육에 요구되는 유효인산, 마그네슘 등 필수 원소는 불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지 내 주걱댕강나무의 엽록소 함량은36.74 ± 2.8로 식물구계학적으로 남부아구에 속하고, 주로 하층식생으로 분포하는 정금나무 집단의 35 ± 5.9와 유사하였으며, 수관열림도가 높아질수록 비례하여 엽록소 함량도 증가하는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은 입지특성과 층위에 따라 신갈나무, 철쭉, 털진달래, 쇠물푸레나무, 생강나무와 높은 양의 식생상관을 보였으며, 다층구조 수관층위에서 최고수고 3.4 m까지 형성되어 있었으나 평균 수고가 1.1 m로 주로 관목층과 초본층에 우점종으로 분포하였다. 주걱댕강나무의 개화 개체 수고는 최소 0.3 m에서 최고 3.4 m 범위였으며, 개화가 집중되는 수고는 1.0 ~ 1.8 m (평균수고 1.39 m) 사이였고, 평균개화율은 27.37%였다. 현지 내 보전에 있어서 임지 내수목의 생장은 기후, 미세지형, 토양조건 등에 의한 입지환경의영향을 크게 받는데, 이러한 입지환경 중 수목의 생육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는 광도와 온・습도 등 기후적인 인자이다. 조사 대상지에서 주걱댕강나무 치수가 많은 곳은 교목층이 없거나 아교목층이 없어 상대적으로 수광이 용이한 곳이었으며, 양지환경을 선호하는 주걱댕강나무 특성을 감안할 때 교목층을우점하고 있는 참나무류와 소나무,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사람주나무, 쇠물푸레나무, 털진달래, 철쭉 그리고 초본층의 조릿대 등과 생육 경쟁관계 형성 또는 이들로 부터 피음을 받을 것으로 보여 주걱댕강나무 집단의 개체수 감소를 방지하고 주걱댕강나무가 선호하는 광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층위별로 밀도조절 등 관리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주변식물 종들의 적절한 제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range of D. spathulata identified in this survey was between N 35° 24 58 ~ N 35° 26 35 , E 129° 05 43 ~ E 129° 07 04 . It is located at an altitude of 98~592 m. The soil pH was strongly acidic in the range of 4.2~4.9, with a canopy openness of 18.56% and a chlorophyll index of 36.74 ± 2.80. As a result of the TWINSPAN analysis, 20 plots of 100 ㎡ each were divided in 4 communities: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monglica-Diabelia spathulata community, Quercus serrata-Diabelia spathulata community and Carpinus tschonoskii subassociation. The result of species diversity was 0.7615, and evenness and dominance were found to be 0.6077 and 0.3923, respectively. The height of D. spathulata is up to 3.4 m, and the average height is 1.1 m, with most of the species distributed as shrubbery and herbaceous. The average population density of the 20 plots was 1.635 individuals/㎡, the height range of flowering was 1.0 ~ 1.8 (aver. 1.39 m) and the rate of flowering was 27.37%. It’s propagation pattern was mainly formed by extending the rhizome to the side, creating a colony of ground stems.

      • KCI등재후보

        von Girke 병 1 예

        이태호,장연복,이서우,안혜경,전성국,유성태,선덕재 대한내과학회 1991 대한내과학회지 Vol.40 No.5

        We experienced a patient with glycogen storage disease who was clinically suspected of von Gierke's disease. Clinical features were characterized by delayed puberty and abdominal distension due to marked hepatomegaly, accompanying hypoglycemia, hypertriglyceridemia, an elevated level of serum aminotransferase, hyperuricemia, anemia, and glucagon-resistant gugar level. Liver needle biopsy disclosed morphologic details of glycogen storage disease. A brief review of von Gierke's disease is also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