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제교육개발협력에서의 민관협력(‘PPP’) 현황 및 쟁점 분석

        유성상(Sung Sang Yoo),이기석(Ki Seok Lee) 국제개발협력학회 2016 국제개발협력연구 Vol.8 No.3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협력 프레임워크가 점차 주목을 받고 있다. 이것은 민관협력, 혹은 PPP(Public-Private Partnership)라고 불리어 지며 전통적인 개발재원인 ODA의 한계성에 대한 주요 대안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2015년 이후의 국제개발협력의제를 통칭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실현하기 위한 논의의 핵심은, 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재원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라는 문제였고, 단지 공적개발재원인 ODA에 의존하기 어렵다는 점을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기업을 포함한 민간 재원을 포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과연 개발협력, 특히 교육개발협력에 있어 PPP의 확대를 통한 재원 확보가 기대하고 있는 ‘효과적 개발’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민관협력의 점증하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착안하여 국제개발협력 및 교육분야 개발협력에서 나타나는 민관협력의 주요 특징 및 최근 동향들을 검토하고, 이어 교육개발협력에서의 PPP가 갖는 도전이슈들을 면밀히 제시하였다. 또한 민관협력의 주요 전략적 시사점과 제언 사항들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민관협력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A collaborative partnership between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called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has gained its importance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Particularly, PPP is recognized as a financial alternative for the traditional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since it is believe that ODA alone cannot fully meet the needs in development. In this sense, one of the main focus in Post-2015 years lies in the ‘finance for development (also referred to as development financing)’ and this includes PPP to make development financially sustainable by mobilizing sufficient amount of development resources. Looking back on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PPP has been one of the most prevalent particularly in the area of infrastructure-driven development projects/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booming of PPP in infrastructure development, various forms of education PPP have been also implemented in education-related projects/programs over the past decades even though the scale of finance in education PPP has been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nfrastructure one (Patrinos et all. 2008). At global level, there have been remarkable achievements in education but they also entailed a number of challenging issues such as extreme poverty, gender inequality, and youth unemployment unlike the original expectations. This was proven by many of the following assessment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goals such a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Education for All (EFA). Similarly, there are also different approaches and assessments on education PPP from the academic stances and this leaves large rooms for further research and discussions. In this sense, roles of PPP have become more important and emphasized in the years of SDGs, and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e features of education PPP as well as its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 KCI등재

        The Rights-Based Approach (RBA) to Korea's Education ODA

        Yoo, Sung-Sang(유성상),Yoo, Eun-Ji(유은지) 韓國比較敎育學會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2

        근래에 인권이 개발 담론에 들어오게 되면서,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인권을 주류화하려는 노력들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미 많은 국제개발관련 기관들이 인권에 기반한 접근 (Rights-based Approach)을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흐름과 날로 더해지는 인권에 기반한 접근의 중요성에 비추어, 한국의 교육 ODA는 얼마나 인권에 기반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인권에 기반한 접근’이라는 관점으로 한국의 교육 ODA를 봄으로써, 현재 인권에 기반한 한국 교육 ODA의 현 위치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알게 될 것이다. 연구 결과, 아직 한국 교육 ODA는 인권에 기반한 프로그래밍 요소 중 소수 몇 개만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와 책무성과 같은 인권적 원칙과 가치가 교육 ODA 사업에 녹아들기 위해서는, 현지 사람들과 개발협력기관을 바라보는 관점 자체와 교육 ODA에 대한 철학과 방향이 재정립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Recently, the rights-based approach to development has received a wide attention from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Many development agencies have been adopting the frameworks of the rights-based approach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ir own projects and programs. In this context, the article tries to examine how much human rights principles and values are embedded in Korea’s education ODA by analyzing one of the education ODA projects implemented by KOICA, an agency responsible for Korea’s grant aid. Through this analysis, the current state of Korea’s education ODA in relation to the rights-based approach and, further, what is needed for mainstreaming human rights in Korea’s education ODA can be identified.

      • KCI등재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한 혁신학교 언론보도 비교연구

        유성상(Yoo, Sung-Sang),권순정(Kwon, Soonj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47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ocial values, norms and ideologies reflected in the discourses of innovative schools in South Korea and to find out how innovative schools are symbolized in South Korean education. Apply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hosun Ilbo and Hankyoreh were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media. The focus of this article was on how these two representative media treat texts on innovative schools in terms of structures, genre and nuance. This was to find out what is represented in the text. Throughout the analysis, it appeared that the Chonsun Ilbo stresses the negative sides of innovative schools and the discourses constituted educational propaganda of so-called superintendents from progressive parti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pecial groups such as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al Workers Union(KTU) especially during the election period. On the other hand, Hankyoreh highlighted the critical meaning of public education reform in the discourses of innovative schools. Therefore, the texts were formed based on the premise that it should be expanded gradually in South Korea. Thus, the discourses were represented in given examples of positive changes in education through innovative schools. From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were able to show how social discourse on innovative schools is formed. Consequently, we suggest that the political as well as policy-level interests and conflicts should be resolved and agreed by priority to support innovative schools as part of a critical public education reform plan.

      • KCI등재

        Seeking the meaning of quality education: Paradigm changes from the 1960s to the 2010s

        Sung-Sang Yoo(유성상),Da Jung Jung(정다정),Heesu Yang(양희수),Esoul Moon(문은솔),Yoonjung Hwang(황윤정) 한국교육개발원 2019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16 No.2

        While quality education has regained global attention since the World Education Forum 2015, there is rare agreement on the term “quality education” with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well as in academia. This study aims to review articles on quality education published in selected academic journals between the 1960s and the 2010s to find a pattern of change in how quality education is defined. Inspired by Tikly and Barrett (2011) and Tikly (2011), this study applies four main discourses — postcolonial, input-output, human rights and social justice — to explore trends in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on quality education. From the 1960s to the 2010s, th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on quality education has increased each decade. While the predominance of the input-output approach has continued, our analysis shows that the conceptualization of quality education has diversified since 1960. The human rights approach in quality education studies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2000, although rarely do studies address the postcolonial approach. Moreover, research embracing the social justice approach noticeably increased in the 2010s. While further rigorous studies are required to analyze why the way we address quality education has changed, we conclude that it has been influenced by diversified multilateralism in the education sector and the varying roles education plays in the changing paradigm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2015년 세계교육포럼 이후 교육의 질이 전 지구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뿐 아니라 학술의 장에서도 “교육의 질” 개념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어떻게 교육의 질이 개념화되어왔는지 그 변화의 패턴을 탐색하기 위해 1960년대부터 2010년까지 발행된 교육의 질 관련 학술지 논문을 검토하였다. Tikly와 Barrett (2011) 및 Tikly (2011)의 논의에 기반하여, 이 연구는 교육의 질에 관한 국제 학술지 논문에 네 개의 담론 – 포스트식민주의, 투입산출, 인권, 사회정의 – 을 적용하였다. 1960년대와 2010년대 사이에, 교육의 질에 관한 학술지 논문의 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투입산출 접근이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게 유지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질에 대한 개념은 다양화되어 왔다. 포스트식민주의 관점을 취한 연구가 거의 발견되지 않은 한편, 인권 접근을 취하는 연구는 200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왔다. 사회정의 접근을 보여주는 연구는 2010년대 이후 의미 있게 증가하고 있다. 교육의 질 개념의 이러한 다변화는 교육 분야 행위자의 다자화와 및 국제개발 담론의 다양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발전을 위한 토대역량으로서 교육

        유성상(Sung-Sang Yoo),천유진(You-Jin Chu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4

        인도의 남서단에 위치하고 있는 케랄라는 낮은 경제수준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회발전현상을 보이는 흥미로운 지역으로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이러한 독특한 발전현상은 케랄라발전모델이라 불려왔으며 이를 설명하기 위해 지역의 역사 및 문화적 배경, 사회주의정당의 사회복지정책 등 다방면의 접근법이 이뤄져왔다. 그중에서도 교육이 케랄라의 사회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데 대다수의 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케랄라의 교육이 어떻게 이뤄 져 왔으며, 지역주민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발전이 어떻게 교육으로부터 시작되어 왔는가에 대해 논의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케랄라의 교육은 기존의 교육의 외재적 가치, 즉 인간자본창출중심의 경제적 성장을 우선시 하는 개발패러다임의 관점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케랄라의 지역사회발전에 미친 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Amartya Sen의 토대역량접근(Capability Approach)에 근거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케랄라의 교육정책의 특징을 특히 케랄라의 교육개발사례에서 자주 소개되고 있는 소외계층을 위한 교육기회의 확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들의 성장과 사회발전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Kerala, a southern-west state of India, has been vigorously studied due to its unique development status. Indeed, Kerala shows such a high level of social development as Human Development Index indicates, yet it is suffering from the low level of economic. As a result, scholars have examined a broad range of rationales to understand the ‘Kerala Development Model’ as discussing historical contexts, social welfare policies, land reforms by Communist Party of India, and so on. Among them, scholars agree that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that led to social development of Kerala. Despite the consensus, there has been lack of research that deeply look into how education has been delivered, what impacts it has on people, and why it contributes to social development in Kerala. This research, thus, would discuss the meanings, values and impacts of education with the capability approach that is originally termed by Amartya Sen. The approach criticize the dominant paradigm of ‘development’ that is materialistic oriented, instead it emphasizes expanding a range of capabilities of people to reach ‘development’ that people can act upon what they value and cherish. Based on Sen’s perspective, we believe that dimensions of education can be re-defined and expanded in a relation to development.

      • 한국의 기초교육분야 개발협력 현황과 정책개선을 위한 과제탐색

        유성상(Yoo Sung Sang)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0 韓國敎育論壇 Vol.9 No.1

        이 연구는 한국의 기초교육분야 개발협력 현황과 도전과제를 제시하였다. 기초교육분야 개발협력의 분석틀로는 아마티아 센의 개발협력 원칙에 관한 논의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기초교육분야 개발협력의 추진 현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초교육분야의 개발협력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제개발협력 의제 중 교육분야의 주요 목표에 부합하도록 해야 할 것이며, 둘째, 성취 가능한 교육목표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상하여 추진해야 하며, 셋째, 양성평등, 환경 등의 이슈를 최대한 연계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기초교육을 통하여 한국의 교육발전경험이 어떻게 전달되고, 현지 수원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속에서 재생산, 혹은 재편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담는 사업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plaining the current conditions of development cooperation in basic education and providing measures to the global challenges. Sen's theory on the importance of basic education for social development supports the given principle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through basic education, upon which the existing work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in basic education are reviewed. For discussion, three points are argued for better policy making. First, works for development and cooperation should meet the goal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gendas. Second, national development agencies should take into account of achievable goals of projects and programs in education. Third, gender equ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considered at the same importance in the relations to educ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In conclusion, Korea needs to play a pivotal role in delivering development experiences in basic education as thinking sincerely of indigenous culture and social contexts in which educational aid programs have been produced, reproduced, or transformed into different ways.

      • KCI등재

        한국과 러시아 고등교육학위 상호인정협정논의에 있어서의 쟁점 분석

        유성상(Yoo Sung Sang),공병규(Gong Byoung Gyu) 한국비교교육학회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3

        이 연구에서는 2012년과 2013년도 사이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추진되었던 고등교육학위 상호인정협정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제기된 쟁점을 탐색하고, 국가 간 고등교육 상호학위인정협정을 체결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할 사항에는 일반적으로 어떠한 내용이 있는지 알아보고자한다. 국제적으로 고등교육분야 학생 이동성이 증가하면서 국가 간에 양자 혹은 다자 협정을 통해서 학위의 호환성을 증진시키거나, 해외 부실 학위 유입을 막기 위해 학위 문건의 검증 체계를 표준화하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 간 교육과 자격 체계가 상이하여 서로 합의점을 찾고 협정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이러한 학위인정협정은 각 국가의 고등교육국제화 전략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어 체결 여부를 두고 국내ㆍ외로 첨예한 논쟁을 일으키기도 한다. 유럽에서는 현재의 볼로냐 프로세스가 출현하기까지 내ㆍ외부적인 논쟁을 통해 실효성 있는 협정을 위한 신뢰 기반을 다져왔으며, 국제적으로는 아포스티유 제도를 통해서 부실 학위에 대응하기 위한 학위 문건 검증 체계를 유지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국제적인 움직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러 상호학위인정협정은 한국에게 국제 학생 이동성, 국가 간 학제 호환성, 대학의 국제적인 인증, 국가 고등교육 관리 체계 그리고 비교교육 정보 시스템의 구축이라는 이슈에 대해 깊이 고민해보는 기회를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가 수준에서 어떠한 정책적 방향을 가지고 고등교육국제화 전략에 접근해야하는지에 대해서도 일정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general issues of mutual academic recognition, by examining a case of Korea-Russia Mutual Academic Degree Recognition Agreement. As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increases, there are growing interests in increasing compatibility among different national degree systems. Also, there is an international movement to standardize an authentication process of foreign degrees in an attempt to protect domestic degree systems from foreign diploma mills. However, these attempts to establish internationally harmonized mutual academic recognition system face a number of challenges as there are significant disparities in different education systems. In addition, this movement is closely connected to the national strategy on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us accompanied with many controversial issues. In an effort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European countries established a firm bases of trust in mutual academic recognition through continuous policy dialogues and discussions for the last half a century, and international community developed Apostille system to standardize a foreign degree authentication process. Despite such an international trend, admittedly, Korea has been isolated from these movements to promote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by solving problems in academic recognition and degree authentication processes. In this respect, a case of Korea-Russia Mutual Academic Degree Recognition Agreement provides some implications to Korea on the issues of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compatibility with foreign education systems, international accreditation of universities, national higher education management system and establishment of comparative education information database. Also, the case indicates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have more systemized approach toward its strategy of internationalizing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유럽연합의 볼로냐 프로세스에 따른 한국 고등교육의 도전과제 탐색

        유성상(Yoo, Sung-Sa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4

        본 연구는 유럽연합의 고등교육분야 개혁의제인 볼로냐 프로세스의 개념적 이해와 이에 따른 한국의 대 유럽 고등교육교류협력강화를 위한 도전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 질문으로는 ‘한국의 학위 시스템은 볼로냐 프로세스에 부합하는가’, ‘교육환경과 연구수준은 어느 정도인가’그리고 ‘한국의 고등교육은 볼로냐 프로세스가 요구하고 있는 기준에 부합한 학위인정체제를 갖고 있는가’를 묻고 있다. 본 연구는 결론으로, 첫째, “유럽 고등교육 자격체계 및 질 보장 관리 평가 기준”을 미래적 고등교육의 규준으로 인식해야 할 것; 둘째, 볼로냐 프로세스에서 학위/학점체제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ECTS의 학점이수 기준과 학년 당 이수시간수의 합치점을 찾아 개선할 것; 셋째, 국제사회의 교육과 연구의 질적 수준에 이를 수 있도록 재원의 확충 및 교수의 질적 확대를 꾀할 것; 넷째, 대학 교육과정의 모듈화와 함께, ECTS에서 중요하게 제기하고 있는 Diploma Supplement (DS), 즉 학위보조자료를 발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도록 할 것; 마지막으로 볼로냐 프로세스에 따른 개혁의 방향과 목표의 실행을 위해 개별 고등교육평가원을 설립하는 것 등의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Bologna Process is a large-scale European reform process involving in a series of specific action plans in attempt to realizing “Europe of Knowledge” and “Europe of Social Growth” through the creation of European Higher Education Area(EHEA). This study is aimed at having a right understanding of the recent trend of European higher education through the Bologna model and examining its current and future implications on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higher education. The utmost interest of the study lies in seeking for the renewed partnership between European and Korean highe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bove, this study responds to these particular questions: First, is the degree structure of Korean higher education compatible with the Bologna design?; second, has the education and research climate of Korean universities been ripen enough to follow the quality assurance standards of the Bologna Process?; and third, what is the biggest challenge for current Korean system in qualification recognition of European degree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draws these five policy suggestions: First, to recognize the potential of “Quality Assurance in the EHEA” as the emerging international standard of future higher education; second, to find the common ground between current Korean credit system and European Credits Transfer System (ECTS); third, to expand research fund and upgrade the teaching force to meet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tertiary education and research; fourth, to prepare for the adequate system for future introduction of credit-module and Diploma Supplement (DS); and fifth, enhance the quality managemen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permanent system for quality assurance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제 삼세계 문해교육의 사회 · 정치적 특성 분석

        유성상(Yoo, Sung-Sa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3

        문해교육은 국제사회의 교육개발협력의 핵심적 위치를 차지해 왔다. 기본권적 권리로서의 문해교육에서부터 기능문해, 그리고 담론문해로의 문해담론의 변화는 실천수준에서 그리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브라질과 탄자니아의 사례를 통하여 제 삼세계 국가 발전의 틀 속에서 문해교육이 차지했던 의미와 국가적 수준의 문해교육운동의 특성을 사회, 정치적 수준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브라질의 PNA, MOBRAL, MOVA, 그리고 탄자니아의 UNDP- UNESCO 문해교육프로그램 및 탄자니아 정부의 1971~81년 동안의 중장기 문해교육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1960~70년대 제 삼세계의 문해교육은 그 자체로 정치적 운동이었으며, 또한 문해교육의 본질적 목적인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운 인간’을 추구하는 탈정치적 목적이 동시에 추진되었다. 두 국가를 통한 제삼세계의 문해교육은 다양한 의미로서의 실천활동을 보장하도록 하여 문해교육에 참여하는 문해학습자의 다양한 사회, 정치, 문화, 경제적 관심사를 확대할 수 있도록 기획되고 구안되어야 한다. Literacy education has been put at the center of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As literacy traditionally means basic adult literacy as a primary human right, the literacy discourse has been argued in the form of ‘functional literacy,’ ‘cultur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and ‘discourse literacy.’ In this sense,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national literacy programs of Brazil and Tanzania at the socio-political dimension while two countries put adult literacy to a priority for national development. Mass literacy programs such as ‘the National Literacy Plan[‘PNA’],’ ‘MOBRAL,’ and ‘MOVA’ for Brazil and ‘UNDP-UNESCO literacy program’ and national literacy campaign between 1971~81 for Tanzania were reviewed in an analytic way. Minizing Brazilian educator's(Paulo Freire) and Tanzanian president's(Julius Nyerere) influences upon literacy movement in both countries, this study in conclusion reveals that literacy education in the Third World had been political in itself during 1960~70s and the politicalized actions of literacy campaign were pursued in order for de-politicized purpose, so called ‘humanization’ and ‘decolonization’ for freedom at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