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식민지시기 문학시장의 교환기구로서 신문의 역할 『시대일보』, 『중외일보』, 『중앙일보』, 『조선중앙일보』의 사례
유석환 (재)한국연구원 2019 한국연구 Vol.0 No.1
이 글은 식민지시기의 문학시장의 거시적인 변동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된 결과물이다. 이 글에서는 문학시장의 교환기구로서 『시대일보』와 『중외일보』, 『중앙일보』, 『조선중앙일보』가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를 검토했다. 검토의 초점은 해당 신문들에 의한 문학텍스트들의 유통 내역이었다. 이를 통해 문학시장의 거시적인 변화상을 파악하기에 앞서 문학시장에서 해당 신문들의 역할에 대한 정보와 지식, 이해의 수준을 제고한 것이 이 글의 유의미한 점이다.
유석환 근대서지학회 2024 근대서지 Vol.29 No.29
이 글은 식민지의 출판기구가 식민지 책시장이 발휘한 제도적ㆍ구조적 압력 속에서 출판의 자유를 얼마만큼이나 가질 수 있었는지를 사유해 보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한성도서주식회사(漢城圖書株式會社)에 주목했다. 한성도서주식회사는 기업형 조직으로 창립된 최초의 출판기구로서 식민지 지식문화를 일신하는 데 기여했다. 그런데 조선총독부의 검열, 예약출판의 불허, 지식문화의 제국주의, 물자 부족 사태, 조선어말살정책 등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책시장의 구조적 압력은 점점 커졌다. 1930년대 후반기에 절정에 달한 조선어책의 문학중심주의는 그 결과였고, 한성도서주식회사 또한 그 압력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그러나 한성도서주식회사는 대내외적 난관 속에서도 나름의 일관된 출판정책을 고수하려고 노력했다. 요컨대, 한성도서주식회사 출판활동의 독자성, 나아가 식민지 출판기구가 추구한 출판의 자유는 조선어책의 문학중심주의 시기에 문학을 완전히 전면화하지 않은 그 지점에서 먼저 찾아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nsider how much freedom of publishing the colonial publishing organization was able to have under the structural pressure exerted by the colonial book market.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focused on Hanseongdoseo Co., Ltd. Hansungdoseo Co., Ltd. was the first publishing organization founded as a corporate organization. However, the structural pressure on the book market gradually increased due to various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ensorship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disallowance of reservation publishing, imperialism of knowledge culture, material shortages, and the policy of eradicating the Korean language. The literary centralism of Chosun language books, which reached its peak in the late 1930s, was the result. Hansungdoseo Co., Ltd. was also not free from that pressure. However, Hansungdoseo Co., Ltd. tried to adhere to its own consistent publishing policy. In short, the uniqueness of Hanseongdoseo Co., Ltd.’s publishing activities, and furthermore, the freedom of publishing pursued by the colonial publishing organization, must first be found in the fact that literature was not completely brought to the fore during the period of literary centralism of Chosun language books.
An H∞ Output Feedback Control for Uncertain Singularly Perturbed T-S Fuzzy Systems
유석환,Wu Xuedo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9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9 No.6
This paper deals with an H∞ output feedback controller design for uncertain singularly perturbed T-S fuzzy systems. Integral quadratic constraints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kinds of uncertainties of the plant. It is shown that the H∞ norm of the uncertain singularly perturbed fuzzy system is less than γ for a sufficiently small ε>0 if the H∞ norms of both the slow and fast subsystem are less than γ. Using this fact, we develop a linear matrix inequality based design method which is independent of the singular perturbation parameter ε. A numerical example is provided to demonstrate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design method.
유석환 상허학회 2023 상허학보 Vol.69 No.-
이 글은 상허학회의 요청을 받아 지난 20여 년 동안 한국 현대문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독서문화사 연구 경향을 검토한 글이다. 주지하다시피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2000년대 후반 정도까지 10여 년의 시기는 한국문학 연구의 전환기였다. 특히 근대성 패러다임의 전환과 더불어 포스트 내셔널리즘을 비롯한 각종의 포스트 담론들의 유행 속에서 연구자들은 민족문학 중심의 연구 경향을 비판하며 새로운 연구 방법을 적극적으로 동원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독서문화사 연구도 ‘아래로부터의 역사’를 추구하며 활발히 진행되었다. 하지만 그동안의 독서문화사 연구에 문제도 없지 않았다. 무엇보다 실제적 독자 개념을 지식문화의 최종 수용자로 한정함으로써 독서문화 연구의 시야를 제한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독서문화사 연구가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그렇게 한정된 인위적인 독자상을 해체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면 독자의 관점에서 한국문학사를 서술할 가능성도 한층 더 커질 수 있다고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a review of trends of the studies of the history of reading culture in the field of modern Korean literature over the past 20 years at the request of the Sanghur Society. As is well known, the ten years from the mid-1990s to the late 2000s were a turning point in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In particular, with the shift in the modernity paradigm and the popularity of various post-discourses, including post-nationalism, researchers criticized the study centered on national literature and actively mobilized new research methods. In this atmosphere, the study of the history of reading culture was also actively conducted in pursuit of ‘history from below.’ However, study of the history of reading culture has not been without problems. Above all, this is because it limited the perspective of reading culture by limiting the concept of real readers to the final recipients of knowledge culture. Therefore, in order for the study of the history of reading culture to take a leap forward, the work of dismantling such limited and artificial images of readers must be preceded. Then, it is expected that the possibility of describ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rom the reader’s perspective can be further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