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등 도덕과 새 교과용 도서 개발의 기본 방향과 교육 내용

        유병열 ( Byung Yul Y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0 초등도덕교육 Vol.0 No.32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2007년 도덕과 교육과정이 새로이 개정 고시됨에 따라 이에 의거한 초등 3-6학년 교과용 도서는 현재 한창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이 연구는 이렇게 새로 개발되고 있는 교과용 도서에 대한 탐구와 안내 중 그 제1부에 해당되는 개발 방향과 중점,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및 단원 개발의 실제 등을 다루는 데 주안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먼저 새 초등 도덕과 교과용 도서 개발의 기본 관점으로서 도덕과 교육과정의 기본 정신 추구, 도덕교육학 분야의 이론적 동향 반영, 기존 교과용 도서의 문제 극복 등에 대해 소개한 후, 이어 개발의 중점 방향으로서 인격·덕의 구성요소에 대한 바른 설정과 지·정·행 측면의 통합적 접근 추구, 탐구학습과 구성주의 원리의 추구 및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 생활 경험과 지적·도덕적 발달 수준의 고려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교과용 도서에 담기는 교육내용 측면과 관련하여 도덕과 교육과정의 바른 해석, 상세화와 적절한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의 원리, 그리고 단원 개발의 실제와 현황 등에 대해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5·6학년 교과용 도서 개발의 방향과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We are now developing new textbook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because the new curriculum of moral eduction was proclaimed in 2007 and had to be carried out from 2010. As we know very well, in Korea, the textbooks play really critical roles in school education and such phenomenon is not exception in moral education. So, It is more and more important task for us to develop good and perfect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In this paper, based on the upper recognition, I strived to inquire what the really true moral textbooks are and how we can develop such textbooks.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I suggested three basic points of view and six main directions that are necessary for developing elementary moral textbooks. Actually if we really want good textbooks, we need to struggle to realize the basic spirit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to apply the theories of modern moral education in actual practices, and to overcome the problems and limits of the previous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Another things that we have to try are to ensure the good and proper contents for elementary moral education. For this task, it is really important to explicate and elaborate the content elements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to appropriately select the learning contents, and reasonably organize them into the textbooks. Finally, it is necessary to draw the elements of inquiry learning and constructivism into the textbooks and to consider children`s interest and good learning activities. In addition, it is indispensable to pay attention to the moral psychological base, so we strived to consider the level and abilities of children`s cognitive and moral development in making the textbook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학교 인권교육 강화 및 교사의 인권교육 역량 증진에 관한 연구

        유병열 ( Byung Yul Yu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2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매우 절박하고도 시급하게 대처해야 할 문제 중의 하나가 바로 학교폭력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학교폭력을 극복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서 인권 및 인권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을 새로이 할 것을 강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학교폭력에 대처하고 그러한 문제를 미리 예방하기 위해서는 인권공동체로서의 학교 운영이 필요함을 지적하면서 이를 위해 학교에서의 인권교육 강화와 교사들의 인권교육적 전문성 및 지도역량 증진에 힘쓸 것을 제안하였다. 이 때 학교에서의 인권교육 강화를 위해서는 학생들에 대한 제대로 된 인권교육의 실행, 인권교육적 자질과 역량을 갖춘 교사의 확보, 학교에 영향을 주고 있는 사회 그 자체의 인권친화적 변화, 그리고 교육의 본질에 충실한 학교의 운영 등이 통합적으로 추구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인권교육적 전문성과 역량을 지닌 교사 확보와 관련해서는 대학 교육과정에서의 예비교사들에 대한 인권교육 지도능력 배양, 교사 양성대학에서의 인권친화적 학교문화 운영, 그리고 현직교사들에 대한 인권교육적 역량과 자질 증진 등이 추구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Nowadays in Korea, we have the urgent and serious problem - school violence. So, in this essay, I tried to inquire and suggest some ways to deal with and overcome the problem with considering the notion of human rights. The main ideas of the essay are as follows. Firstly, we need to know that if we forget or neglect human rights, the barbarous behaviors like school violence can always occur and appear in our society. So, we should newly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value of human rights, human rights education and running the community of school based on human rights. Secondly, for managing and operating the school as the human rights community, we need to mobilize and apply the integrated mode of four approaches: to strengthen the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s, to increase the teachers` abilities of human rights education, to make and develop the human rights-friendly society in Korea, and to realize the inherent nature of education in schools. Lastly, it`s very important to secure teachers who have the appropriate abilities of human rights education. Therefore, we should teach the teachers college students about human rights, the necessary theories, and the practical capacities that are related to human rights education. In addition, we need to develop the human rights-friendly culture of teachers colleges and give the in-service teachers the sufficient opportunities to have good experiences and appropriate abilities related human rights education.

      • KCI등재

        인성교육진흥법의 시행과 학교 도덕ㆍ인성교육의 실천 과제

        유병열 ( Yu Byung-yul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4

        이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진흥법의 의의를 간단히 짚어보고, 그 기본 방향, 인성교육의 개념 및 요소, 인성교육 주요 주체들에 부여된 실천 책무 및 그 내용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인성교육진흥법의 정신과 취지를 제대로 구현해 가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어떤 실천 과제들을 추구해 가기 위해 학교를 거점축으로 하는 인성교육의 실천, 인성·인성교육의 의미 및 특성에 대한 공통의 이해 기반 구축과 덕교육적 접근의 충실한 실천, 도덕ㆍ윤리과 및 관련 교과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충실한 실행, 학교를 중심으로 하여 그 안과 밖을 연계한 통합적 인성교육의 실질적인 추진, 의무와 명령보다는 지원과 격려 속에 자율과 사명감에 기초한 인성교육의 추구 등을 실천 과제로 논의하였다. CEPA(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has its own value and legitimacy and call us for studying and striving to practice character education. So in this study, I tried to examine the main contents of CEPA and to enquire the tasks of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s. To put it more concretely, I firstly enquired the significant meaning and direction of CEPA and analysed the concept and elements of character edcation in CEPA. Secondly, I examined the duties of important agents, for example, the minister of education, the superintendent of schools, and principals and teachers of every schools. Lastly, I argued and suggested several tasks of our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se and basic intends of CEPA.

      • KCI등재후보

        초등 도덕과에서의 다문화교육 -현황과 문제 및 개선 발전의 과제와 방향-

        유병열 ( Byung Yul Yu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3

        오늘날 우리 한국은 급격하게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어 가고 있는 바, 이 연구는 이러한 점을고려하여 초등 도덕과에서의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점검하고 그 개선과 발전의 방향과 과제를 탐구해 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도덕교육 분야에서의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 및 교육의 실제들을 분석하여 초등 도덕과에서 어떤 다문화교육이 추구되어야 마땅한지에 관한 이론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준거틀을 바탕으로 초등 도덕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상의 다문화교육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여 그 장단점을 파악해 내고 여러 가지 개선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다문화교육 관련 내용의 증대, 다문화ㆍ다민족ㆍ글로벌사회에서의 국가정체성 형성 및 문화 창조자로서의 도덕적 한국시민의 육성, 다양성과 통일성의조화, 다문화 사회에서의 바람직한 삶에 필요한 도덕적 덕성들의 함양, 진정한 다문화교육에 필요한 내용 통합과 평등 교수 및 교육과정의 보다 온전한 구성 등의 추구, 우리 사회 내부의 다양한 하위문화 사이에서의 존중과 배려 및 조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은 물론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내실 있는 양질의 다문화교육 실행 등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In Korea, th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an urgent task. Then, have we been performing good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primary moral education inde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swer the question above. To know about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 analyzed the contents, methods, materials, etc in primary textbooks of moral education. As a result, I could know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has many good strengths. For example, the teaching methods are based on inquiry, active moral thinking, rational values judgement, narrative approach, and cooperative activities in groups. In addition, teaching-learning materials are also good and helpful. But there are problems also. First of all, the most unsatisfactory thing is that the amount of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learning is not enough. The uni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only three through 3rd - 6th grade in primary moral education. So, it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the amount of the contents and learning time of multicultural-moral education. Next, we need to consider the virtues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imary moral education because the sound character that can live in multicultural society very well is constructed by acquiring some necessary intellectual and moral virtues, such as respect, empathy, tolerance, justice, caring, and practical wisdom, etc in our children. Third, another problem is that our multicultural-moral education still remains on the stage of the contributive-additive approach. So, from now on, we need to pursue the transformative approach. Fourth, according Christine I. Bennett, there can be three objectives in multicultural education:cognition, skills and competences, and values and attitudes. However, the objective of skills and competences are weak in our multicultural-moral education. So, we should strive to intensify critical thinking, heuristic-creative learning, problem solving activities, and constructivist approach in the multicultural-moral education. Fifth, as the more fundamental thing, What we should concentrate our attention is to uprear the culturally creative Korean citizens. These citizens have the sound national identity as Korean who live in global society harmoniously and can cotribute to the peace and development of the whole world. Sixth, in practicing multicultural education, we have to secure the balance between diversity and unity. Seventh, if we see the inside of our society, we become to know that there are many sub-cultures according to sex, region, ideology, religion, social class, and so on. So,multicultural-moral education must supply our children some meaningful opportunities to learn very valuable things that are necessary for living in such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도덕,인성교육적 오류와 초등 도덕과의 존재 의의

        유병열 ( Byung Yul Y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5

        2009 개정 교육과정은 학교에서의 도덕·인성교육을 강조하면서도 그 핵심이 되는 초등 도덕과를 사회/도덕이라는 교과군 속에 편제함으로써 그 위상과 존속을 매우 위태롭게 하고 있다. 여기에는 기본적으로 학교 도덕·인성교육은 도덕과가 아닌 다른 무엇으로 할 수 있다거나 해야 한다는 관점이 자리하고 있다. 이 연구는 바로 이러한 입장의 오류를 비판하고 초등 도덕과의 존재 의의와 역할을 밝히는 한편 학교 도덕·인성교육의 진정한 강화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초등 국어과와 사회과를 대표로 분석하면서 여러 교과를 통한 도덕·인성교육이 어떤 한계를 지니는지 그리고 비교과 활동 및 생활지도를 통한 도덕·인성교육이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논하였다. 나아가 초등 도덕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및 그 수업의 실제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면서, 이 교과가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고 왜 존재해야 하는지를 밝히고, 마지막으로 진정으로 학교에서의 도덕·인성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Nowadays it has been our really urgent task to bring up our children as good and desirable citizens. According to this contemporary social demand,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also has emphasized rearing of good characters and sound personalities in our new generations. Nevertheless, the curriculum has treated moral education subject of elementary schools as if it is not an important subject. Speaking more concretely, the curriculum has continuously tried to integrate moral education subject with social studies, and it looks like, if possible, to want to abolish the moral education subject in elementary schools. Why does the curriculum severly neglect the moral education subject? I believe that is because the curriculum has a really wrong viewpoint about rearing good character and sound personality. It insists that we can bring up good children without moral education subject in schools. In other words, it says we can teach morality through other subjects in schools and it can be enough for us. In addition, it insists that we need to concentrate on such approaches as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educational guidance-counseling, and so on. Is that right? Can we really practice character-building education without moral education subject? I absolutely can`t agree to such opinion. To prove this position, I argued and demonstrated several things. First, I analyzed Korean Language subject and Social Studies to identify what about and how much they practice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I could find that those subjects don`t practice moral education fully. Second, I could make it clear that teaching morality by non-subject activities and life guidance is a false ideology. Because it is impossible to practice good moral education sufficiently through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educational guidance-counseling. Finally, based on the analyses and demonstrations above, I argued that the moral education subject is indispensible for us to rear good virtues and desirable character in our children. And I suggested that the right direction of the good-personality education is to strengthen the moral education subject i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등 안전교육의 이론적 기초에 관한 연구

        유병열 ( Yu Byung Yul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4

        세월호 참사 이후 우리 사회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획기적으로 높아지면서 학교에서도 매우 강력한 안전교육이 추구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에서는 안전교육에 관한 특별한 시간까지 배당하여 실행해 가고 있는가 하면, 교과에 따라서는 안전교육 단원이 설정되거나 관련 내용이 증대되고, 여타 학교 교육활동에서도 연간 51시간 여의 안전교육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세월호 참사를 기점으로 해서 우리의 안전교육이 완전히 달라진 모습으로 추진되어 가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문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가장 기본이 되는 이론적 토대에 대해 체계적이고도 종합적으로 밝혀 제시하는 바가 부족한가 하면 공유된 인식 또한 상당히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터하여 초등학교 안전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구축해 보고자 하는 관점에서 시도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먼저 안전교육이 왜 필요하며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구하였다. 이어 초등 안전교육의 기본 방향과 목표가 무엇이고 초등학생들의 발달 특성에서 볼 때 어떤 원리에 의거하여 안전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논하였다. 아울러 학교 안전교육의 법적 의무가 어떻게 주어지고 있는 지와 어떤 교육정책적 노력이 전개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면서 이를 구현해 가기 위해 학교 안전교육이 어떤 실천 과제들을 추구해 가야 하는지를 논의하였다. 그리고 끝으로, 초등 안전교육은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과 학교 안전교육 실시 기준 등에 관한 고시의 두 가지를 근간으로 하여 학교별로 자율적이고도 체계적, 실효적으로 실시해 가야 하는 한편 초등1, 2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설치된 `안전한 생활` 교육에도 특별한 관심과 실천 노력이 경주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Since the sinking of Sewol in Korea, very strong safety education has been attempted in our education. Especially, in elementary school, even though it is in the phase of executing safety education while particular time allotment to the curriculum, it is very unsatisfactory that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explanation of the most basic theoretical basis and the shared perception. So, in the paper I tried to construct the rational grounds and theoritical system of elementary safety education. To put it concretely, first of all, I explored the meaning and explained why we urgently need the strong safety education in our schools and society. Second, I enquired the basic directions and goals of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and especially, I emphasized that we need to help our children to have the integrated competencies of safe life-cognitive capacities, behavioral skills, and values and attitude of life respect. Third, I explore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children and suggested the principles of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ourth, I explained legal liability of school safety education in our society and tried to elicited the practical tasks that are very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our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addition,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aking an effort for more systematic, intensive and effective safety education by discussing very important points to be considered in implementing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 KCI등재후보

        인성교육의 덕교육적 접근과 실천 원리에 관한 연구

        유병열 ( Byung Yul Yu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1

        오늘날 우리 교육에 있어 최대 과제 중의 하나가 바로 인성교육이다. 그러나 인성 및 인성교육이 무엇이며 어떻게 실행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는 혼란스러울 정도로 다양한 견해와 실천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덕ㆍ인격교육적 접근의 이론 토대 위에서 인성은 필요한 덕성들을 조화롭게 길러감으로써 형성, 발달된다는 관점에 기초하여 인성 및 인성교육의 의미를 파악하고 바른 인성에 필요한 덕성들을 제시하는 한편 이러한 덕성들과 인성 핵심역량들과의 관계를 체계화 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이와 같은 인성교육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교육적 실천들이 모색되어야 하는지를 또한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에서 다양하게 실행되어 온 초등 인성교육 우수 실천 사례들을 수합, 분석하여 그 현황과 실태를 파악, 시사점을 찾아본 후 이를 고려하는 가운데 앞으로 그 본질에 맞고 제대로 된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어떤 교육 방안 내지 실천 원리들에 의거해야 하는지를 탐구, 제시하고자 하였다. Nowadays, as we know very well, Character education is a very important task in our education. But very different views are mixed about meaning of character and the practices of character education. This means that we have not enough theoretical-practical foundation of character education which is accepted publically, and also means that we need more systematic and consistent approach to the character education. So, in this paper, I wanted to inquire and suggest some desirable theoretical bases and practical ways to improve and strengthen the character education in our schools. To achieve this, I have tried to inquire about several things as follows. First, I tried to explain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precisely based on the theory of virtue education approach. Second, for developing systematic character education model as a guide of character education, I discussed and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key competencies of character and virtues. Third, I analyzed the 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of character education that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s and deliberated their meanings and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And finally, based on those inquiries as above, I suggested some practical principles that are very important and essential to improve and develop our charact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