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oyalty to the King and Love for Country: Confucian Traditions, Western-Style Learning, and the Evolution of Early Modern Korean Education, 1895–1910

        유바다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19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19 No.2

        The encounter between Confucianism and western learning is often portrayed as a confrontation between Confucianism, associated with passivity and hierarchy, and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connected with independence and rationality. This bifurcating tendency is pronounced in the historiography of nineteenth-century Korean history, when Koreans established westernstyle schools and published modern textbooks. This article is neither a defense of Confucianism nor an endorsement of the western model, but a proposal to reexamine this dichotomization that is predominant in current scholarship and the assumption that the two were irreconcilable. A comparison of Korean readers demonstrates that the process of the incorporation of western ideas was less one of linear progress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Confucianism than an amalgamation of different ideas and values. Thus, from a more broadly defined Confucian framework emerged a new sense of civil duties that allowed intellectuals and government bureaucrats to discuss nationalism, citizenship, and the public sphere.

      • KCI등재

        휘튼의 『만국공법』과 오펜하임의 『국제법』에 나타난 국가, 주권, 그리고 반주권국가

        유바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3 亞細亞硏究 Vol.66 No.3

        오늘날 국가는 국제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주권을 행사하는 국제법적 주체다. 국가 및 주권, 그리고 이 둘이 결합된 주권국가는 국제법상 가장 핵심적인 개념이다. 이 글에서는 휘튼의 『만국공법』과 오펜하임의 『국제법』을 통하여 이 개념들을 살펴보았다. 국제법의 고유한 주체는 국가이다. 그리고 국가는 결합된 힘에 의하여 상호 안전과 이익을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결성된 정치적 공동체로 정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권은 국가를 통치하는 최고 권력이다. 마지막으로 주권국가는 외세로부터 독립적으로 스스로를 통치하는 존재다. 다만 주권을 제약받는 국가들은 국제법에서 반주권국가로 불린다. 바로 그러한 점을 통해 볼 때 근대 한국의 주권국가로서의 지위는 매우 유동적이었다. 조선의 대외적 주권은 일부 제약을 받았다. 그럼에도 조선은 주요 국가들과 조약을 체결하여 대외적 주권을 행사하였다. 그러나 1905년 일본과 을사조약을 체결하여 일본의 보호국이 된 다음 1910년에는 일본에 병합되고 말았다. Today, the state is an international legal entity that exercises sovereignty as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tate and sovereignty, and a sovereign state in which the two are combined, are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international law. In this article, these concepts were examined through Wheaton's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and Oppenheim's International Law. The peculiar subjects of international law are Nations or States. And the state can be defined a body politic, or society of men, united together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ir mutual safety and advantage by their combined strength. Next, Sovereignty is the supreme power by which any State is governed. Finally, A sovereign State is generally defined to be any nation or people which governs itself independently of foreign powers. However, countries that are restricted from sovereignty are called semi sovereign states in international law. From that point of view, Korea's status as a sovereign state in modern times was very fluid. Joseon's external sovereignty was partially restricted. Nevertheless, Joseon exercised external sovereignty by signing treaties with major countries. However, Korea signed a Japan-Korea Treaty of 1905 and became a protectorate of Japan, and was annexed into Japan in 1910.

      • KCI등재

        1883년 김옥균 차관교섭의 의미와 한계

        유바다 한국근현대사학회 201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54 No.-

        1876年開港当時、朝鮮は、すでに内部的に積もっていた問題を抱え、外部的に帝国主義列強の侵奪まで防がなければならない問題に直面していた。このような問題を解決するために、金玉均を含めた開化党勢力は、借款を通した財政改革を選択した。この交渉を通じて、金玉均は借款を利用して鉱山․軍備等に投資しながら、これを基盤として本位制を成そうと思った成そうとした点が捕捉された。これは世界資本主義体制に編入された朝鮮が必ず成就しなければならない課題だった。しかし、金玉均の借款導入は失敗した。既存研究は大部分『甲申日録』をそのまま受け入れ、日本公使竹添の妨害を借款交渉の失敗原因として挙論したが、妨害の実体を明らかにしなかった。また、借款交渉過程で現われた金玉均の限界を明らかにできない限界があった。竹添の妨害はおおよそ次のような要約になる。金玉均の勢力は漸次強盛しているがまだ立場が不安という事実、金玉均の政敵穆麟徳は清国寄りでない公平な人物である、外交談判の全権は戚族閔泳穆が握っている、という事実を本国に報告した点だ。これは、清側と朝鮮に対して、「共同保護」を論議している竹添の態度とも関連のあるものであった。結局、日本外務卿井上は、この報告を土台として、金玉均の借款交渉を徹底的に拒絶した。金玉均は、まさにこのような不利な状況に置かれていたにもかかわらず、井上に全権所の有無を明らかにできず、担保現況さえまともに把握することができないなど、不手際が露呈した。そして、井上との交渉が失敗した後、米国を相手にした交渉でも、「国債委任状」に自身の官職を詐称したり、外衙門督辧の印章を冒称するに至るのである。これを通じて、当時、金玉均がは、本位制に土台を置いた財政金融部門の近代的変革を企図していたが、すぐ清․日等周辺列強との接触及び自身の過誤による歪曲を同時に経験していたことを理解することができる

      • KCI등재

        남원 지역 동학농민혁명의 민족운동으로의 계승

        유바다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60

        Since Namwon region is where Donghak Peasant Military leader, Kim Gae‐nam(金開南) lived, from early on, it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the stud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refore, most of the research that can be conducted has been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Namwon region. In addition, the activities of Donghak followers from Namwon after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the “SunGyoYakRyeok(殉敎畧歷)” published in 1924 by Namwon County Jongriwon(南原郡宗理院). However, one thing regrettable is the lack of pursuit of post‐revolutionary activities based on Donghak Peasant Revolution participants officially recognized by the Honor Restoration Deliberation Committee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Participants under the Prime Minister.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focusing on officially recognized Donghak Peasant Revolution participants by contrast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Patriots of National Merit who were also officially selected by the Bureau of Veterans Affairs, how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Namwon region developed into a national movement. A total of 126 people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Namwon region in 1894. Among them, 66 people are found in "SunGyoYakRyeok(殉敎畧歷)" and 27 in “Cheondogyo Yimshil Gyosa(天道敎任實敎史)”. In addition, there are 15 participants under Kim Gae‐nam, and 12 participants related to the Namwon fortress battle. The number of articipant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ho participated in the 3·1 Movement in 1919 was officially one person, Ryu Tae‐hong(柳泰洪). However, considering his symbolism, who were active since the beginn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fact that he led the Namwon Region 3·1 Movement means tha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soon turned into a national movement. In addition, it is worth noting that Mun Gyeong‐rok(文璟錄) and Lim Ryang‐sun(林良淳) appearing in “SunGyoYakRyeok(殉敎畧歷)” were also registered as Independence Movement Patriots of National Merit by participation in the 3·1 Move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investigate Lee Gi‐dong(李起東) and Kim Jong‐ung(金鍾雄), who are sure to have participated in the 3·1 Movement as participants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register as Independence Movement Patriots of National Merit. From the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hich took place in Namwon region in 1894, was handed down to the 3·1 Movement in 1919. It is said that the succession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to the national movement was confirmed. 남원 지역은 동학농민군 지도자 金開南이 웅거했던 곳이기 때문에 일찍부터 동학농민혁명 연구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따라서 남원 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전개에 대해서는 이루어질 수 있는 대부분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게다가 동학농민혁명 이후 남원 출신 동학교도의 활동 또한 南原郡宗理院에서 1924년에 펴낸 殉敎畧歷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것은 국무총리 소속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를 기준으로 한 혁명 이후의 활동에 대한 추적이 미진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공식적으로 인정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를 중심으로 국가보훈처에서 또한 공식적으로 선정한 독립유공자를 대조하여 남원 지역 동학농민혁명이 이후 민족운동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894년 남원 지역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는 모두 126명이다. 이 중 殉敎畧歷 등에서 66명이, 天道敎任實敎史에서 27명이 발견된다. 그밖에 김개남 휘하의 참여자가 15명, 남원성 전투와 관련한 참여자가 12명 등이다. 1919년 3·1운동에 참여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는 공식적으로 柳泰洪 1명이다. 다만 동학농민혁명 초기부터 활동하였던 그의 상징성을 생각해 볼 때 그가 남원 지역 3·1운동을 주도한 점은 동학농민혁명이 곧 민족운동으로 전화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殉敎畧歷에 나오는 文璟錄과 林良淳도 3·1운동 참여로 독립유공자로 등록된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로서 3·1운동에 참여한 것이 확실한 李起東, 金鍾雄을 추가적으로 조사하여 독립유공자로 등록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이 본다면 1894년 남원 지역에서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은 1919년 3·1운동으로 면면히 이어져 내려왔음을 알 수 있다. 동학농민혁명의 민족운동으로의 계승이 확인되는 것이다.

      • KCI등재

        동학농민혁명의 3·1운동으로의 계승

        유바다 전북사학회 2019 전북사학 Vol.0 No.56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established on July 17, 1948, reveals that the Republic of Korea was founded in 1919 as 3.1 Movement in Year of Gimi. One more thing to note here is that among the 33 "National Representatives" who led 3.1 Movement, 15 were Chondogyo(天道敎) people following Donghak(東學). It shows that Chondogyo was the main driver of 3.1 Movement that promoted the establishment of Republic of Korea, and that going back to its origins, there had been Donghak, and 3.1 Movement was also related to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which the religious society of Donghak participated in. In fact, among the "33 national representatives," there are 15 people identified as Chondogyo. Among them, there are nine people including Sohn Byeong‐hee(孫秉熙), who are supposed to have participated in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If nine out of 33 people are participants in DongHak Peasant Revolution, it can be said that the human resource succession to 3.1 Movement is guaranteed to some extent. From the results of surveying all of 3,644 people participating in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4,948 independence patriots pertaining to 3.1 movement were surveyed, 21 people including Kim Ku(金九), and Park In‐ho(朴寅浩) concurrently participated in both movements. Lastly, from the results of comparatively analyzing the Reformation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3.1 Movement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Constitution of Republic of Korea, we could confirm that the demands of Natural rights, National Sovereignty, Property right that were raised at the time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affected the constitutional Constitution of Republic of Korea. Through this, it is found that the legitimate line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3.1 Movement‐Provisional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Republic of Korea’ in the modern Korean history which lead to Republic of Korea began with DongHak Peasant Revolution. 1948년 7월 17일 제정된 대한민국 헌법은 대한민국이 1919년 기미 삼일운동으로 건립된 사실을 밝히고 있다. 여기서 한 가지 더 주목할 것은 3·1운동을 주도하던 “민족대표 33인” 중 15명이 東學의 뒤를 이은 天道敎人이었다는 것이다. 이는 대한민국 건립을 추동한 3·1운동의 주요 동인에는 천도교가 자리 잡고 있었고,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동학이 있었으며, 동학 교단 세력 또한 참가하였던 1894년 동학농민혁명과도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제로 “민족대표 33인” 중 천도교에 속한 인물로 파악되는 15인 중 1894년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되는 인물은 孫秉熙 등 9명이다. 33인 중 9명이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라면 3·1운동으로의 인적 계승은 어느 정도 담보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3,644명과 3·1운동 관련 독립유공자 4,948명을 전수조사 한 결과 金九, 朴寅浩 등 21명이 두 운동에 동시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동학농민혁명 주체 세력의 폐정개혁안과 3·1운동 독립선언서, 그리고 대한민국 제헌 헌법을 비교·분석한 결과 동학농민혁명 당시 제기되었던 人權, 國權, 經濟權 요구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까지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동학농민혁명-3·1운동-대한민국 임시정부-대한민국으로 이어지는 한국근현대사 흐름의 정통성이 동학농민혁명에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交隣에서 外交로 : 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外交의 국제법적 권능과 한계

        유바다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7

        Prior to its opening, Joseon maintained Sadae‐Gyorin(事大交隣). After the opening, it was faced with the problem of “diplomacy(外交)” as it entered the Western international law order. Joseon, a subordinate state of Qing, originally did not have any "diplomacy". However, at the time it was subject to diplomacy under the order of international law. Joseon was Qing's Dependent state(屬國) or Beonsok(藩屬), so there was no ministry in charge of diplomacy. Yejo(禮曹) functioned only under the Sadae‐Gyorin order. Joseon eventually set up temporary organization to handle diplomacy, just as Qing did. That is the Tongli-Amun(統理機務衙門). Later, passing through the Military rebellion of 1882, it was expanded and reorganized into the Foreign Office(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called Weamun(外衙門). The Foreign Office was capable of exercising the Right of Legation and the Right of Negotiation and Treaties according to its own regulations. This meant that it had the diplomatic rights of the sovereign state as defined by the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which was then used in the East Asian world. Even if Joseon exercised international legal diplomacy, its power was constrained by the suzerain state. At this time, Qing regarded Joseon as Qing's Dependent State or Semi‐Sovereign State and wanted to exercise general control over the Right of Legation and Right of Negotiation and Treaties. These restrictions were also laid down in the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so Joseon's full exercise of diplomatic rights had to be suspended for the time being. 개항 이전 조선은 事大交隣을 유지하고 있었다. 개항 이후 서구 국제법 질서에 편입되면서 “外交”라는 문제에 직면하였다. 淸의 屬國 조선에게 원래 “외교”라는 것은 없었다. 그런데 이제는 국제법 질서 하에서 외교를 해야 하는 주체가 되었다. 조선은 淸의 屬國이었으므로 외교를 관장할 부처가 없었다. 禮曹는 事大交隣 질서 하에서만 기능하는 것이었다. 결국 조선도 淸이 그랬던 것처럼 權設衙門을 설치하여 외교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統理機務衙門이 바로 그것이다. 이윽고 임오군란을 거치면서 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으로 확대・개편되었고 外衙門으로 불리게 되었다.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은 자체 규정에 따라 通使權과 立約權을 행사할 수 있었다. 이는 당시 동아시아 세계에서 통용되었던 『萬國公法』에서 규정한 주권국가의 외교권을 보유하고 있었음을 뜻한다. 다만 조선이 비록 국제법적 외교권을 행사하고 있다 하더라도 그 권능은 종주국에 의하여 제약을 받았다. 이때 淸은 조선을 淸의 屬國 내지 半主權國으로 간주하고 通使權과 立約權을 통할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제약도 『萬國公法』에 규정되어 있었으므로 조선의 온전한 외교권 행사는 당분간 유보될 수밖에 없었다.

      • KCI등재

        최근 북한의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연구 현황

        유바다 역사학연구소 2019 역사연구 Vol.- No.36

        For the past 10 years since 2007,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DongHak Peasants War in North Korea has not changed much compared to the past. For example, the North Korean historians recently continue to use the existing term, “Gabo Peasants War” instead of DongHak Peasants War. Perception also did not deviate much from the viewpoint of the “anti‐feudal anti‐aggression struggle”. And in the specific narrative, there is no description of the Peasants War in the Hwanghae ‐do region including the present North Korea region, showing the perception that is limited to the existing Samnam area. Nevertheless, DongHak Peasants Movement in 1893 and Gabo Peasants War in 1894 were distinguished from the redress movement of false accusation of founder in 1893 and the DongHak Peasants War in 1894 respectively, broadening the extension of DongHak Peasants War. The width of use of materials such as the “Foreign Ministry Records”, which is included in the diplomacy historical record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has expanded. There is room left to argue with South Korean historians in that the cause of DongHak Peasants War was not the imbalance of land ownership, but the tax abduction. In addition, they paid attention to the Czech Peasant War, and also explored the significance of DongHak Peasants War in the view of the world history. This clearly goes beyond the existing trend of thought that emphasized only the German Peasants war. 2007년 이후 지난 10여 년 간 북한의 동학농민전쟁 인식과 이해가 그 이전과 비교 해 볼 때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다. 이를테면 최근 북한 역사학계는 동학농민전쟁을 두고 “갑오농민전쟁”이라는 기존의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인식 또한 “반봉건 반침략투쟁”이라는 관점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다. 그리고 구체적인 서술에서도 지금의 북한 지역을 포함하는 황해도 지역의 농민전쟁에 대한 서술이 없어 기존 삼남 지역에만 국한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93년의 교조신원운동과 1894년 동학농민전쟁을 각각 1893년 동학농민운동, 1894년 갑오농민전쟁으로 구분하여 동학농민전쟁의 외연을 넓혔다. 일본 외무성 외교사료관에 수록되어 있는 『외무성기록』을 활용하는 등 자료의 활용 폭도 넓어졌다. 동학농민전쟁의 원인을 토지소유의 불균형이 아니라 조세수탈로 본 점에서 남한 역사학계와 논쟁할 여지도 남겼다. 그밖에 체코농민전쟁에 관심을 기울여 동학농민전쟁의 세계사적 의미를 고찰하기도 하다. 이는 기존 독일농민전쟁만을 강조하던 사조를 분명히 뛰어넘는 것이다.

      • KCI등재

        청일전쟁기 朝-淸 항일 연합전선의 구축과 동학농민군

        유바다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1

        1894년 조선에서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이 동시에 일어났다. 1894년 6 월 일본군은 조선의 경복궁을 점령하여 조선 정부를 장악하고 동학농민군을타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동학농민군은 일본군과 대치하고 있던 淸軍과의제휴를 전략적으로 고려해야 했다. 동학농민군의 봉기와 청군의 조선 진주는그 목적은 서로 달랐지만 일본군이라는 공동의 적을 두고 이들 사이에 일종의연합전선이 구축되고 있었다. 먼저 조선 내부에서부터 국왕 고종은 淸에 밀사를 파견하는가 하면 대원군또한 밀서를 淸軍에 보내기도 하였다. 동학농민군 지도자 전봉준도 이에 호응하여 9월 초 대원군의 효유문을 받고 재봉기를 준비하였다. 동학농민군이대원군을 매개로 항일 봉기에 돌입하여 청군과 보조를 맞추게 된 것이다. 이때 평양에 있었던 민병석도 밀서를 전봉준에게 전달하여 동학농민군과 청군사이에 항일 연합전선을 구축할 것을 타진하였다. 물론 각 주체마다 그 동기나 목적은 달랐기 때문에 이 연합전선은 크게 성공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이라는 강력한 적 앞에서 미약하나마연합전선을 구축했었던 경험은 이후 한국과 중국 양국 인민이 줄기차게 전개해나갈 항일투쟁의 시초가 되었다. In 1894, Donghak Peasants War and Sino-Japanese War took place simultaneously in Joseon. In June 1894, Japanese army attempted to capture Joseon's Gyeongbok Palace to take control of the Joseon government and overthrow the Donghak Peasants Army. Therefore, the Donghak Peasants Army had to strategically consider its alliance with Qing's army, which was in conflict with Japanese army. The uprising of Donghak Peasants Army and the Joseon entry of Qing's army differed in purpose, but there was a kind of united front against the communal enemy of Japanese army. King Gojong first would dispatch a secret envoy to Qing from within Joseon, and Daewongun also would send a secret letter to Qing's army. Jeon Bongjun, leader of Donghak Peasants Army, responded accordingly, and was ready for second uprising in early September with Daewongun's letter. Donghak Peasants Army entered anti-Japan uprising through a medium of Daewongun to keep up with Qing's army. At that time, Min Byeong-seok at Pyeongyang also sent a secret letter to Jeon Bong-jun to engage in building an anti-Japan coalition between Donghak Peasants Army and Qing's army. Of course, the motive and purpose of each subject was different, so the united front was not very successful. Nevertheless, the slight experience of building a united front with a strong enemy of Japan became the beginning of the struggle of the two people of Korea and China deemed to spread it out since then.

      • KCI등재

        동학농민전쟁과 갑오개혁에 대한 시민혁명적 관점의 분석

        유바다 동학학회 2021 동학학보 Vol.- No.58

        1894년 동학농민전쟁과 갑오개혁의 관계는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동학농민군의 변혁적 성격은 대체로 인정되나 근대적 성격 부여에는 고민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게다가 동학농민군과 갑오개혁 정권 사이의 대립적 성격은 전체적인 구도에서 부각될 수밖에 없었다. 반대로 갑오개혁의 근대지향성은 대체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문제는 일본의 근대란 것도 결국은 서구로부터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서구 세계의 근대국가 건설은 영국혁명, 미국혁명, 프랑스혁명 등 시민혁명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최초의 혁명이라고 하는 영국혁명도 그 출발은 왕권에 대한 귀족의 도전에서 시작된 것이다. 따라서 “아래로부터의 혁명”이란 점에서는 영국혁명이나 동학농민군의 활동이나 동질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1215년 영국혁명, 1776년 미국혁명, 1789년 영국혁명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은 조세법률주의와 죄형법정주의를 천명하고 이를 토대로 천부인권과 평등권을 보장하여 국민주권국가 건설의 밑바탕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동학농민군의 폐정개혁안은 대체로 여기에 부합한다. 조세문제의 이정을 요구하였고 사람이 세상에서 가장 귀하다고 하였으며 신분제 철폐를 기도하는가 하면 탐관오리 축출을 원했다. 갑오개혁 정권의 군국기무처 의안을 살펴보면 동학농민군의 폐정개혁안을 대체로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조세문제의 이정과 탐관오리 축출은 농민군의 요구와 거의 정확히 들어맞는다. 신분제도도 철폐하여 농민군의 기대에 부응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죄형법정주의를 정확히 천명하였다. 문제는 동학농민군과 갑오개혁 정권의 토대와 동력이 서로 달랐다는 것이다. 농민 대 양반으로 구별되는 신분상의 차이는 결국 정권의 주도권을 두고 다툴 수밖에 없는 토양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게다가 갑오개혁 정권은 일본군에 의하여 세워진 정권이었고 동학농민군은 이를 타도하고자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양자는 충돌하였고 막대한 희생이 뒤따랐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ngHak Peasants War and Gabo Reform in 1894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researchers. The transformative character of DongHak Peasants Military is generally recognized, but it is true that there were concerns about giving it a modern character. Moreover, the confrontational character between the DongHak Peasants Military and the Gabo Reform regime was inevitably highlighted in the overall composition. Conversely, Gabo Reform's modern orientation is generally recognized. The issue is that the modernity of Japan eventually originated from the Western world. The construction of a modern state in the Western world originated from civil revolutions such as the British, American, and French revolutions. The British Revolution, which is also called the first revolution, began with the nobility's challenge to the kingship. Therefore, in terms of “revolution from below”, it has a homogeneous character as the British Revolution or the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s Military. The British Revolution in 1215, the American Revolution in 1776, and the British Revolution in 1789 had the common thing that they declared the ‘tax legalism’ and the principle of ‘no crime, no punishment without law’, and based on this, natural human rights and equal rights were guaranteed, which was the basis for the construction of a national sovereign state. In that respect, the political corruption reformation of DongHak Peasants Military is largely in line with this. They called for a change in taxation issues and claimed that people are the most valuable in the world. And they prayed for the abolition of the status system and also wanted to oust the corrupt officials. Looking at the Gungukgimucheo bill of the Gabo Reform regime, it appears to have largely accepted the political corruption reformation of the DongHak Peasants Military. In particular, the change of taxation issues and the removal of corrupt officials almost exactly match the needs of DongHak Peasants Military. The status system was also abolished, meeting the expectations of DongHak Peasants Military. In addition to this, the principle of ‘no crime, no punishment without law’ was correctly declared. The issue is that the foundations and powers of the DongHak Peasants Military and Gabo Reform regime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difference in status, distinguished by peasants vs. Yangban (aristocratic class), was ultimately to provide a soil for which the regime had no choice but to fight for the initiative. In addition, the Gabo Reform regime was established by the Japanese military, and the DongHak Peasants Military tried to overthrow it. That is why the two collided and enormous sacrifices followed.

      • KCI등재

        임오군란 이후 조선의 국제법적 지위에 대한 일본의 인식

        유바다 일본사학회 2017 일본역사연구 Vol.46 No.-

        Qing(淸) arranged for the conclusion of the JoseonAmerica Treaty in 1882, and regulated the JoseonChina Regulation after suppressing the ImO Military Rebellion and defined Joseon as a SemiSovereign or Dependent State based on the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 SemiSovereign or Dependent State is a superior State under whose protection they are placed, that is, a state dependent upon Suzerainty which has a limited foreign sovereignty such as the rights of legation. The important thing is that Japan also accepted Qing's theory of SemiSovereign or Dependent State(半主・屬國) as to Joseon. After ImO Military Rebellion, Japan's officer Inoue Kowasi(井上毅) recognized Joseon’s position of SemiSovereign or Semi Dependent State, through Boissonade's legal counseling. For example, it is the view that Joseon gains the status of permanent neutrality, and five states including Qing and Japan become protectors. If so, Joseon would gain the international legal status of protectorate and his sovereignty should be limited. Ito Hirobumi(伊藤博文),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decisions over Joseon, also showed an attitude to acknowledge Joseon Dependent State theory through Theory of Joseon’s Sovereignty and Dependence(朝鮮主屬論文件). For example, he noted the case of Romania, which was the Vassal State and SemiSovereign or Dependent State of Ottoman Turks. He compared Joseon with Dependent States of Ottoman Turks such as Tunisia, Tripoli, Romania, Serbia and Egypt by examining Tokyo Daily Newspaper(東京日日新聞)’s Joseon independence theory(朝鮮獨立論). This contrasts with the previous research stream that Japan pursued Joseon’s indepen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