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기술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의 차이

        유리향,김세훈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2 초등상담연구 Vol.21 No.4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social skill of preschool-aged children, and to test their longitudinal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We used the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7th and 8th year). The sample consisted of 1,605 preschool-aged children at 7th year data.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Wald Chi-square analysis and BCH analysis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by latent profile type. Latent profiles analyses on social skill of preschool-aged children identified five groups: Average groups, Excellent groups, Best groups, High self-control/Low accountability groups and High accountability/Low self-control groups. Latent profiles were differen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adjustment to fir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high in the order of Best, High accountability/Low self-control, Excellent, High self-control/Low accountability, and Average groups. In particular,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excessive self-control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accountability had a very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ized preventive intervention to improve social skill is important to help first-year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이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기술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와 8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1,60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따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고, 잠재프로파일 유형별 학교적응 차이를 확인하고자 각각 Wald Chi-square 분석과 BCH 분석을 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은 총 5개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으며 그 특성에 따라 보통 집단, 우수 집단, 최우수 집단, 고자기통제/저책임성 집단, 고책임성/저자기통제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따라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 수준에 차이가 있었으며, 최우수, 고책임성/저자기통제, 우수, 고자기통제/저책임성, 보통 집단 순으로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기술 하위요인 중 과도한 자기통제는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책임성은 학교적응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개별화된 체계적 예방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핵심역량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관심과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유리향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9 초등상담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lerian Crucial Cs Program on social interest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10 sessions: 1st session was for introducing the basic concepts of this program; 2nd~4th sessions were for psychological understanding with family tree, birth order and a feeling of inferiority; 5th~9th sessions were for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and reorientation through Crucial Cs; 10th session was for closing of the program. Subjects were 36 students who were 6th graders at I elementary school in G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18) and a control group (N=18).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ocial Interest scale(Kim, 2018)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scale(Yeom, 2004). The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mployed statistical analysis was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s of group and measurement tim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ncreasing levels of social interest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Moreover, this program made an influe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 interest in a follow-up test 4 weeks later. In conclusio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rocessed the program based on Crucial Cs of Adlerian Psychology,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ocial interest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심리학에 기반하여 Crucial Cs 핵심역량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회적 관심과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구성하였다. 1회기는 프로그램 도입 및 관계 형성, 2-4회기는 가족 나무, 출생순위, 열등감을 통한 심리적 탐색, 5-9회기는 핵심역량인 Crucial Cs의 관계, 능력, 중요, 용기를 통한 심리적 해석 및 재정향, 10회기는 종결하기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소재 I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36명이며, 한 학급 18명은 실험집단에, 또 다른 학급 18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회적 관심 척도(김영아, 2018), 대인관계 지향성 척도(염동수, 2004)를 사전, 사후, 추후 검사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관심과 대인관계 지향성 모두 집단(실험, 통제) 간 유의한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또한, 사회적 관심 향상에는 프로그램의 효과가 추후까지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핵심역량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사회적 관심과 대인관계 지향성을 함양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어머니 양육행동과 초등학생 괴롭힘 가해의 관계: 정서조절력과 공감의 중다매개효과

        유리향,신현숙,염시창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and empathy i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bully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698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through the maternal parenting scale, the emotion regulation scale, the empathy scale, and the bullying scale. Correlational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relational model with emotion regulation and empathy as mediators, maternal parenting as a predictor and bullying as an outcome variable, maternal paren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mpathy and emotion regulation, respectively. Emotion regul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mpathy but empathy had a negative effect on bullying. The mediated effect of empathy was found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bullying. However, the mediated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bullying.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and empathy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bullying. These findings provide not only more concrete and empirical explanations on the mechanism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bullying but also a solid knowledge base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bullies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mothers. 이 연구는 어머니 양육행동과 초등학생 괴롭힘 가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력과 공감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질문지를 통해 수집한 초등학생 5, 6학년 698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양육행동은 정서조절력과 공감에 각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조절력은 공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공감은 괴롭힘 가해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예측과 다르게 어머니 양육행동에서 괴롭힘 가해에 이르는 경로는 간명한 모형을 채택하는 과정에서 제외되었고, 정서조절력에서 괴롭힘 가해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 양육행동과 괴롭힘 가해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정서조절력과 공감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어머니 양육행동이 공감을 매개로 괴롭힘 가해에 영향을 미치고, 정서조절력만을 매개로 하여 괴롭힘 가해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정서조절력과 공감을 중다매개로 괴롭힘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는 어머니 양육행동과 괴롭힘 가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력과 공감의 중다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초등학생의 괴롭힘 가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양육에 관한 조언 및 훈련의 제공과 더불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조절력과 공감의 증진을 위한 예방 및 개입의 실시가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끝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 성격우선순위 척도개발

        유리향,오익수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2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s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personality priorities by modifying Oh's “the scales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life-styles(Oh, 2013)” to be utilized easier and more applicatively i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24 items were drawn from Oh's “the scales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life-styles” and “Allen’s Assessing the Adlerian Personality Priorities(Allen, 2005)”, what is more, Schoenaker’s theoretical descriptions of Adlerian personality priorities(Schoenaker, 2011). 5 elementary teachers, who were specialized in counseling psychology, discussed and agreed whether each item was in accord with the Adlerian concepts of personality priorities and 30 elementary students were asked whether these items were be appropriate for elementary students to understand through the individual interview. The subjects were 418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Finally 16 items were selected through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were classified by 4 factors: comfort, pleasing, self-control, and outdoing. The structure of the factors in the scales was deemed appropriate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GFI=.915, TLI=.875, CFI=.905, RMSEA=.062). The scale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examin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s well as concurrent validity with Oh(2013)'s “Life-Style Scales” and Kim & kim(2003)’s “K-PPS”.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each concurrent validity of the aforementioned scales was acceptable and valid(Oh(2013)'s concurrent validity=.45~.75, K-PPS(2003)'s concurrent validity=.35~.57). Also, studies were found to be reliable(Cronbach α=.70~.71, test-retest reliability=.70~.77). Therefore, this study's scales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personality priorities were valid and reliable. 본 연구는 오익수(2013)의 생활양식평가 척도를 보완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보다 간편하게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초등학생 성격우선순위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오익수(2013)의 생활양식평가 척도뿐만 아니라 Allen(2005)의 성격우선순위 검사와 Schoenaker(2011)의 이론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24개의 문항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상담심리를 전공한 초등학교 교사 5명이 각 문항들이 성격우선순위 개념과 초등학생 수준에 적합한 지에 대해 합의하였고, 초등학생 30명에게 문항을 이해했는지 개별 면담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418명이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16개의 문항이 선정되었으며 이들은 편안함, 기쁘게하기, 자기통제, 뛰어나기의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성한 척도의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GFI=.915, TLI=.875, CFI=.905, RMSEA=.062).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오익수(2013)의 생활양식평가 척도 및 김난예ㆍ김춘경(2003)의 성격우선순위 검사와의 공인타당도를 각각 산출하였으며,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문항내적일관성,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오익수(2013)의 생활양식평가 척도와의 공인타당도 계수는 .45~.75, 김난예ㆍ김춘경(2003)의 성격우선순위 검사와의 공인타당도 계수는 .35~.57이었고, 문항내적일관성지수(α)는 .70~ .71,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0~.77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 성격우선순위 척도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아들러 심리학 기반 핵심역량 교육과정 재구성이 초등학생의 Crucial Cs와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

        유리향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심리학 기반 핵심역량 교육과정 재구성이 초등학생의 Crucial Cs와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아들러 심리학의 핵심역량인 Crucial Cs(관계, 능력, 중요, 용기)로 3~6학년 교육과정(교과 및 창의적 체험 활동)을 재구성하였다. 사회적 관심의 특성인 자기 수용, 타인 존중, 상호 협력 및 공헌 세 영역으로 구분하고, 학년별 교육과정 분석 및 관련 내용 추출을 통해 프로젝트 교육활동을 구안하였다. 영역별로 10~12차시, 총 137차시(3학년 34차시, 4학년 33차시, 5학년 34차시, 6학년 36차시)로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S시 소재 S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 한 학급씩 총 네 학급 104명(3학년 24명, 4학년 26명, 5학년 27명, 6학년 27명)이며, 실험집단만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의 양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Crucial Cs 척도(Cice, 2018), 사회적 관심 척도(김영아, 2018)로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사후 종속(대응) 표본 t 검정을 하였다. 또한, 질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초기 기억 검사(Clark, 2002), 동적 가족화 검사(Burns & Kaufman, 1970) 및 소감문을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아들러 심리학 기반 핵심역량 교육과정 재구성은 초등학생의 Crucial Cs와 사회적 관심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몇몇 학생들의 초기 기억, 동적 가족화 및 소감문에서 유의미한 질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아들러 심리학 기반 Crucial Cs 핵심역량을 교육과정에 적용함으로써 학생의 인성교육 및 건강한 성장 발달에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lerian Core Competency Curriculum Reconstruction on the Crucial Cs and Social Interes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urriculum (subjects and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for grades 3-6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Crucial Cs (Connect, Capable, Count, Courage), the Core Competencies of Adlerian Psychology. The project'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designed by analyzing the curriculum for each grade and extracting relevant content, which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self-acceptance, respect for others, and mutual cooperation and contribution,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social interest. For each area, the program consisted of 10-12 lessons, for a total of 137 lessons (34 for 3rd grade, 33 for 4th grade, 34 for 5th grade, and 36 for 6th grade). Subjects were 104 students (24 students in 3rd grade, 26 students in 4th grade, 27 students in 5th grade, and 27 students in 6th grade) in four classes, one class for each grade from 3rd to 6th grade at S Elementary School in S City, and on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signed.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Crucial Cs scale (Cice, 2018), Social Interest scale (Kim, 2018).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 pre-post dependent (paired) samples t-test. In addition, the Early Recollections (Clark, 2002), KFD (Burns & Kaufman, 1970), and reflective writing were used to analyze qualitative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dlerian Core Competency Curriculum Reconstruc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rucial Cs and Social Interes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qualitative changes in some students' Early Recollections, KFD, and reflective writing.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application of Adlerian Crucial Cs Core Competency in the curriculum is effective for character education and healthy growth development of students.

      • KCI등재

        아들러 심리학에 기초한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유리향(Li-Hyang Yu)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심리학을 바탕으로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I초등학교 5학년 38명이며,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학교생활 만족도 척도와 우울 척도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하였다. 프로그램은 관계 형성, 자기 수용, 타인 존중, 상호 협력과 공헌을 중심으로 총 9회기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그 결과,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은 전체 학교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하위요인 중 수업, 교사와의 관계,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는 유의하였으나 학교생활, 교우관계, 학교행사 및 창의적 체험활동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또한, 전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하위요인 중 부정적 기분/신체․ 생리적 증상에는 유의하였으나 부정적 자기상/비효율성, 대인관계 문제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아들러 심리학에 기초한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은 전체적인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과 우울의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lerian Community Feeling Program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s were 38 students who were the fifth grader students and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scale and depression scale.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9 sessions, focusing on building the relationship, self-acceptance, respect for others, cooperation and contribution. The employed statistical analysis was ANC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Feeling Program had an influence on significant improvement i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ts sub-factor, general classe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 school. Second, the Community Feeling Program had an influence on significant effect in depression and its sub-factor, negative mood/physical symptom. Thus, the Community Feeling Program based on Adlerian Psychology has been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overall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reducing depression.

      • KCI등재

        아들러 심리학에 기반한 격려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만족도,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유리향(Li-Hyang Yu)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9

        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심리학에 기반한 격려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만족도,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이며, 1회기는 프로그램 소개 및 긍정 별칭 만들기, 2~5회기는 열등감과 낙담시키는 생각 버리기, 성공 경험 포스터 전시회, 장점 나무 만들기, 6~7회기는 자기 격려와 타인 격려, 8회기는 종결하기이다. 연구대상은 G시 소재 I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40명이며, 한 학급 21명은 실험집단에, 또 다른 학급 19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인관계 만족도 척도(김진옥, 2010), 자기효능감 척도(한혜진, 2002), 자아존중감 척도(최보가, 전귀연, 1993)로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연구 결과, 격려 프로그램은 대인관계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나, 자기효능감 향상에는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는 아들러 심리학의 격려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아들러 심리학의 핵심 기법인 격려가 건강한 발달 및 민주적인 학급경영을 위한 중요한 교육 철학이자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lerian Encouragement Program on the interpersonal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8 sessions: 1<SUP>st</SUP> session was for introducing programs and making positive nicknames, 2<SUP>nd</SUP>~5<SUP>th</SUP> sessions were for abandoning inferiority and discouraged thoughts, displaying posters of success experiences, creating merit trees, 6<SUP>th</SUP>~7<SUP>th</SUP> sessions were for self-encouragement and other people encouragement, 8<SUP>th</SUP> session was for closing the program. Subjects were 40 students who were the fifth grader students at I elementary school in G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N=21) and a control group(N=19).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Interpersonal Satisfaction scale(Kim, 2010), Self-efficacy scale(Han, 2003) and Self-esteem scale(Choi & Jeon, 1993).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take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NC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dlerian Encouragement Progra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but didn’t show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fficacy.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Adlerian Encouragement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ggesting the encouragement, a key technique in Adlerian psychology, is an important educational philosophy and method for healthy development and democratic class management.

      • KCI등재후보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강지영,유리향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2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lerian Crucial Cs Program o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Class-cohes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10 sessions: 1st~3rd sessions were for introducing programs and ‘Connect’ of the Crucial Cs, 4th~6th sessions were for ‘Capable’ of the Crucial Cs, 7th~8th sessions were for ‘Count’ of the Crucial Cs, 9th~10th sessions were for ‘Courage’ of the Crucial Cs and closing the program. For each session, picture books that fit the purpose of the activity were selected and used. Subjects were 41 students who were the third grader students at D elementary school in G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N=21) and a control group(N=20).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Self-esteem scale(Choi & Jeon, 1993), Self-efficacy scale(Han, 2002) and the Class-cohesion scale(Kang, 2000).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take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NC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dlerian Crucial Cs Progra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steem and Class-cohesion but didn’t show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fficacy. The study confirmed that Adlerian Crucial Cs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and Class-cohe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ggesting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Crucial Cs in the educational field for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총 10회기이며, 1~3회기는 프로그램 소개 및 Crucial Cs의 관계, 4~6회기는 Crucial Cs의 능력, 7~8회기는 Crucial Cs의 중요, 9~10회기는 Crucial Cs의 용기 및 종결하기이다. 회기마다 활동 목적에 부합한 그림책을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G시 소재 D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 41명이며, 한 학급 21명은 실험집단에, 또 다른 학급 20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아존중감 척도(최보가, 전귀연, 1993), 자아효능감 척도(한혜진, 2002), 학급 응집력 척도(강신석, 2000)로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증진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과 학급 응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자아효능감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이 연구는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급 응집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밝힘으로써, 학생의 건강한 성장 발달을 위해 교육 현장에서 Crucial Cs를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