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온배양에 따른 Lactobacillus acidophilus CT 01의 저장 및 건조에 대한 저항성

        유근형,권일경,김거유,Yu Keun-Hyung,Kwon Il-Kyoung,Kim Gur-Yoo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이유 전 자돈의 분변으로부터 분리·동정한 젖산균의 저온 배양에 따른 기초지식을 확보하고 이를 생균제 생산에 적용함으로써 제품내 젖산균의 생존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유 전 자돈의 분변으로부터 분리·동정한 젖산균은 Lactobacillus acidophilus 1로 판명되었으며, 이를 L. acidophilus CT 01이라 명명하였다. 48시간 동안 저온 배양한 L. acidophilus CT 01은 배양온도가 22℃일 때 생장속도가 가장 느리게 나타났으나 배양 12시간 이후부터 생균수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배양 36시간에 1.3×10/sup 9/ CFU/mL로 최대 생균수를 나타냈다. L. acidophilus CT 01을 저온 배양하여 12일간 4℃와 20℃에 저장한 결과 4℃에 저장한 경우 저온 배양한 처리구의 생존률이 90.30와 90.67%로 대조구(85.81%) 보다 높은 생존률을 나타냈으며(p<0.01), 20℃ 저장시 28℃에서 24시간 저온 배양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생존률(82.67%)을 나타냈다(p<0.01). L. acidophilus CT 01의 냉동 내성은 저온 배양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생존률이 95.73와 97.34%로 높게 나타났다(p<0.01). L. acidophilus CT 01을 60℃에서 15분과 30분 동안 열처리하여 열저항성을 시험한 결과 22℃에서 저온 배양한 처리구의 생존률이 0.203와 0.108%로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1). L. acidophilus CT 01을 저온 배양하여 부형제에 30% 접종하고 50℃에서 12시간 건조하여 생존률을 조사한 결과 저온 배양한 처리구가 가장 높은 생존률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torage, cryotolerance, heat and drying resistance, when Lactobacillus acidophilus CT 01 isolated from preweaned piglet feces growing at suboptimal temperature. L. acidophilus CT 01 suboptimal temperature incubated for 48 hours had the slowest growth rate at 22℃ but the highest viable cell number after 36 hours at 22℃, with 1.3×10/sup 9/ CFU/mL. In case of 4 and 20℃ storage, the suboptimal temperature incubated groups had a viability higher than the control (p<0.01). The cryotolerance of suboptimal temperature incubated L. acidophilus CT 01 was a higher than the control (p<0.01). When L. acidophilus CT 01 was heat treated at 60℃ for 15 minutes and 30 minutes, the suboptimal temperature incubated L. acidophilus CT 01 at 22℃ had a viability higher more than the control (p<0.01). L. acidophilus CT 01 incubated suboptimal temperature was inoculated by 30% to the carrier, and dried at 50℃ for 12 hours had the highest viability in the suboptimal temperature incubated L. acidophilus CT 01 at 28℃.

      • KCI등재
      • KCI등재

        L. acidophilus CT 01의 배양 온도의 변화가 저장, 냉장, 열 및 건조에 미치는 영향

        유근형,권일경,김거유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연구소(구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공동연구소) 2004 동물자원연구 Vol.15 N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torage, cryotolerance, heat and drying resistance when the L. acidophilus growing at optimal temperature was changed growth temperature and to apply it to probiotics production so as to help intensify the vi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in the products. L. acidophilus CT 01 was changed temperature at 22℃ and 28℃ after incubated at 37℃ for 18hours. The viable cell number increased to 4.9×108 and 5.0×108 cfu/mL, respectively in the changed temperature groups, but decreased in the control, rapidly down to 7.4×105 cfu/mL in 36 hours. L. acidophilus CT 01 was stored at 4℃ for 12 days after changed temperature at 22℃ and 28℃ for 48hours, changed temperature groups had a survival rate of 112% and 94.43%,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0.05). W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survival rate in the control was 10.88%, very low, but changed temperature groups had very high survival rate, 74.43% and 85.62% (p<0.05). The cryotolerance of L. acidophilus CT 01 appeared higher than changed temperature groups was observed at 37℃ for 66hours. L. acidophilus CT 01 was heat treated at 60℃ for 15 minutes and 30 minutes to examine heat resistance after changed temperature, the heat resistance of L. acidophilus CT 01 appeared higher than control was observed changed temperature groups. L. acidophilus CT 01 was inoculated by 30% to the carrier after changed temperature, and dried at 50℃ for 12 hours. The highest survival rate of L. acidophilus CT 01 was observed changed temperature groups.

      • KCI등재

        에탄올 투여 랫드에서 곰취 열수 추출 발효물이 간 독성에 미치는 영향

        유근형(Keun-Hyung Yu),이선엽(Sun-Yeop Lee),양현모(Hyun-Mo Yang),함영안(Young-Ahn Ham),이수응(Soo-Ung Lee),채승완(Seoung-Wan Chae),이용진(Yong-J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0

        본 연구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곰취의 활용 가치를 높이고 향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에탄올 동물모델에서의 간 기능 개선 효과를 연구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 및 간 무게의 경우 처리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혈청 중 GGT(γ-glutamyl transferase),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LDH(lactate dehydrogenase) 측정 결과 대조군에서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곰취 열수 추출물(100, 200, 400 mg/kg BW) 및 발효물(400 mg/kg BW)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GGT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곰취 열수 추출물(200, 400 mg/kg BW) 및 발효물(100, 200, 400 mg/kg BW)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AST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 모든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ALT 및 LDH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측정 결과 정상식이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발효물 투여군(200, 400 mg/kg BW)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HDL(high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 측정 결과 정상식이군과 대조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발효물 투여군(200, 400 mg/kg BW)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LDL(low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중성지방의 경우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대조군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곰취 열수 추출물(400 mg/kg BW) 및 발효물(200, 400 mg/kg BW)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 비율 및 동맥경화지수를 조사한 결과 모든 처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 조직 내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발효물 투여군(400 mg/kg BW)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간 조직 내 과산화지질의 분해산물인 malondialdehyde(MDA) 측정 결과 에탄올을 단독 투여한 대조군에서 MDA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물을 투여한 모든 농도에서 MDA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간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 결과 모든 처리군에서 간문맥에 염증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 처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지방증 등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곰취 열수추출 발효물의 투여가 혈청 GGT, AST, ALT 및 LDH 활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간 조직 내 SOD 활성을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 반응을 억제시킴으로써 알코올로 인한 간 손상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rmented water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LAF) on reduction of hepatotoxicity induced by ethanol in rats. Ethanol-treated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eight groups: ethanol-treated group (control), ethanol and ursodeoxycholic acid-treated group (positive control), ethanol and non-fermented water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LA)-treated groups [100, 200, and 400 mg/kg BW (body weight)], ethanol and LAF-treated groups (100, 200, and 400 mg/kg BW). γ-Glutamyl transferase activities of the ethanol+LA-treated (100, 200, and 400 mg/kg BW) groups and ethanol+LAF-treated (400 mg/kg BW)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05). Aspartate aminotransferase activities of the ethanol+LAF-treated (100, 200, and 400 mg/kg BW) groups and ethanol+LA-treated (200 and 400 mg/kg BW)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05).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ies of all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05). The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of all groups tended to decrease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of liver tissues was enhanced in the ethanol+LAF-treated (400 mg/kg BW) group (P<0.05). The contents of malondialdehyde in liver tissues decreased in the ethanol+LAF-treated groups (P<0.05). All treated groups showed well preserved lobular architectures with no evidence of steatosis or liver damag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LAF may improve the plasma lipid profile and alleviate hepatic damage by ethanol.

      • KCI등재

        D-Galactosamine 투여 랫트에서 곰취 열수 추출 발효물이 간 독성 저하에 미치는 영향

        유근형(Keun-Hyung Yu),이선엽(Sun-Yeop Lee),양현모(Hyun-Mo Yang),함영안(Young-Ahn Ham),이수응(Soo-Ung Lee),채승완(Seoung-Wan Chae),이용진(Yong-J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0

        본 연구는 산채류 중 널리 섭취되고 있는 곰취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고자 DGalN 동물모델을 통해 곰취 열수 추출 발효물의 간 기능 개선 효과를 연구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은 처리군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5), 간 무게는 곰취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혈청 중 GGT 분석 결과 곰취 열수 추출물과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특히 발효물 투여군의 경우 GGT, AST, ALT 및 LDH의 효소 활성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40% 이상 감소하였다(P<0.05).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모든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LDL-콜레스테롤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중성지방의 함량은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총 콜레스테롤 함량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의 비율은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동맥경화지수의 경우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발효물의 경우 SOD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간 조직 내과산화지질의 분해산물인 MDA 함량은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MDA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간 조직 병리학적 분석 결과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사멸사 지수, 문맥엽 염증 지수 등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곰취 열수 추출 발효물이 간 기능 효소의 활성 억제, 혈청지질 대사 개선, 간 조직 내 SOD 활성증가 및 과산화지질을 감소시켜 D-GalN으로 인한 간 손상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ermented water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LAF) on reduction of hepatotoxicity induced by D-galactosamine (D-GalN) in rats. In this experimen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which were divided into eight groups: normal group, D-GalN-treated group (control), D-GalN and non-fermented water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LA)-treated groups [100, 200, and 400 mg/kg BW (body weight)], and D-GalN and LAF-treated groups (100, 200, and 400 mg/kg BW). γ-Glutamyl 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ies in serum of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evels of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of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 atherogenic index values of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and their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by total cholesterol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se groups (P<0.05).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of liver tissues were enhanced significantly (P<0.05) in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whereas their malondialdehyde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se groups (P<0.05). The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revealed apoptotic cells and mild portal inflammation in liver tissues of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LAF may improve plasma lipid profile and alleviate hepatic damage.

      • KCI등재

        에탄올 투여 랫트에서 인진쑥 열수 추출물이 간 독성 저하에 미치는 영향

        유근형(Keun-Hyung Yu),이선엽(Sun-Yeop Lee),양현모(Hyun-Mo Yang),함영안(Young-Ahn Ham),이수응(Soo-Ung Lee),채승완(Seoung-Wan Chae),이용진(Yong-J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0

        본 연구는 에탄올을 투여한 랫트에서 인진쑥 열수 추출물이 간 기능 개선 및 혈청지질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향후 간 기능개선 건강기능식품 개발 원료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을 알코올로 간 독성유발한 실험쥐에게 경구투여한 후 정상식이군, 양성대조군, 에탄올 투여군, 인진쑥 열수 추출물 저농도(200 mg/kg BW) 및 고농도(400 mg/kg BW) 투여군으로 나눠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 및 간 무게 변화에는 통계적으로 처리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실험종료 후 혈청과 간 조직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간 기능의 주요 지표인 AST, ALT 및 GGT 효소 활성측정 결과 정상식이군에 비해 알코올 투여군에서 각 효소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DH의 경우 정상식이군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처리군 간 유의성은 없었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 저농도 투여군의 경우 ALT 및 GGT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농도 투여군에서는 AST 및 LDH 활성도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에탄올을 단독 투여한 처리군의 경우 정상식이군에 비하여 중성지방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중성지방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조직에서 항산화효소 활성 및 과산화지질 함량을 알아보고자 SOD 활성 측정 결과 에탄올을 단독 투여한 대조군에서는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SOD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인진쑥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SOD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간 조직 내 과산화지질의 분해산물인 malondialdehyde(MDA)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을 단독투여한 대조군에서 MDA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진쑥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MDA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조직 염색결과 알코올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미세공포와 풍선모양세포변성이 중심정맥 주변이 미약하게 관찰되었으며, 인진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거의 정상군와 유사한 정상 간 조직 형태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인진쑥 열수 추출물이 rat의 간 기능개선 및 혈청의 지질대사를 개선하고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 손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간 기능 개선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 from the leaves of Artemisia capillaris (AA) on the reduction of hepatotoxicity induced by ethanol in rats. In this experiment, Sprague Dawley rats were us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which were divided into 5 groups; normal group, ethanol+UDCA (ursodeoxycholic acid)-treated group (positive control), ethanol-treated group (control), ethanol+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treated group (200 mg/kg of BW) and ethanol+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treated group (400 mg/kg of BW).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GGT (gamma(γ)-glutamyl transferase) and LDH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ies of the ethanol+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treated group (400 mg/kg of BW)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ethanol-treated group (P<0.05). The triglyceride level of the ethanol-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P<0.05). On the other hand, the triglycerid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nd the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the ethanol+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treated groups.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was enhanced significantly (P<0.05) in the ethanol+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treated groups. Also, malondialdehyde contents were decreased in this group (P<0.05). Histologically,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mild degenerative change around central venule. The AA treated group showed well preserved lobular architectures with no evidence of steatosis or liver damage in aqueous extract from the leaves of Artemisia capillaris treated group (H&E, ×20).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 may ha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hepatic damage by ethan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