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매체를 활용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

        유구종(Yoo, Gu-Jong),이건우(Lee, Keon-W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유치원 탐구활동 실천 방안을 위한 스마트 환경의 구성과 요소를 분석하고 스마트매체를 활용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데 주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처치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만 5세 유아 23명씩 총 46명을 대상으로 2주의 예비연구를 거쳐 12주간 실시되었으며, 과학 활동 이후 자유선택활동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유아의 과학적 태도를 분석하였으며, 과학 활동의 처치 회기에 따른 반복측정을 통해 유아의 몰입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매체를 활용한 과학 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스마트매체를 활용한 과학 활동은 유아의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하위요소 분석결과 집단 간 주의집중, 상호작용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실험집단의 경우 몰입의 각 회기 간 구체적인 차이 검증결과 회기에 따라 몰입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매체 이론과 협동학습 이론에 기반한 스마트매체의 활용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osition and elements of smart environment for the practice of science activities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scientific activities utilizing smart media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 and Immersion. For the pursuit of this purpose, 46 five-year-old children were selected divided into 23 children in experimental and 23 children in comparative groups and the preliminary study, lasted for 2 weeks followed by 12 weeks of performance. After the science activities, free choice activities were carried out. By examining pre and post-test of two groups, infant"s scientific attitude was analyzed and the possible difference in the immersion patterns of infants was also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according to the treatment sessions of scientific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ientific activities utilizing smart media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 Second, the scientific activities using smart media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infant"s immersion, and the results of analysis on sub-elem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n atten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wo group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mersion according to comprehensiv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in each sess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the method of smart media use centering on media theory and cooperative learning theory.

      • KCI등재

        하브루타 교육방법에 기초한 유치원 코딩 로봇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 행동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구종(Yoo, Gu-Jong),오세경(Oh, Se-Kyoung),김은아(Kim, Eun-Ah)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하브루타 교육방법에 기초한 유치원 코딩로봇 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 행동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G시에 위치한 M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50(실험집단 25, 비교집단 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 1회 총 12회의 코딩로봇 활동을 실시한 후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변화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4회기에 걸쳐 반복측정을 실시한 후 일원 반복측정 분석(One-Way repeated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회기별 구체적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후검증으로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구안한 코딩로봇 활동은 유아의 문제해결 행동과 공간능력에 긍정적인 명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회기별로 모두 유아의 문제해결 행동과 공간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브루타 교육방법에 기초한 코딩로봇 활동의 교육적 의의에 대하여 논의 하였으며, 코딩로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점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oding robot activities based on Havruta education method for working ability and spatial capability of young children. For this, 50(experiment group 25, compare group 25)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M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12 coding robot activitie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the experiment group followed by the and independent t-test. In addition, repeated measurement analysis was performed 4 times to observe changes of the experiment group and performed One-way repeated ANOVA. Also, in order to verify differences for measurement each session, Scheffé verification was performed afterward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coding robot activities based on Havruta education method showed positive effect on working ability and spatial capability of young children. In addition,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patial capability at each sess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oding robot activities based on Havruta education method.

      • KCI등재

        영유아교육기관의 가정연계 디지털 운영관리 인터페이스 모형개발

        유구종(Yoo, Gu Jong),김세헌(Kim, Se H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과 가정 간 연계를 위한 운영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학부모의 영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에 대한 인식과 매체 사용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효율적인 연계를 위한 디지털 운영관리 인터페이스 모형을 개발하여 영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요소분석을 하였으며, 빅데이터를 통한 키워드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하여 영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영유아교육기관의 학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학부모 설문분석과 교사 심층 인터뷰를 실시·분석하였고, 영유아교육기관과 가정 간 연계에 대한 현황과 모형적용의 개선점을 사용자중심 관점과 관계중심수용모형 관점으로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영유아교육기관과 가정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운영관리 인터페이스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개발된 영유아교육기관 디지털 운영관리 인터페이스 모형은 현장의 디지털 운영관리를 위한 기초자료와 방안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rents"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their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the actual usage of media and identify problems to seek operation and management plans to promote partnership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families. The study also aims to develop a digital operations management interface model for efficient partnership, and provide basic data o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organizations. For this, the investigator conducted element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figured out social perceptions and current stat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their operation and management through keyword and network analysis based on Big Data. In addition, parents and teacher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al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hich were instantaneously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partnership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familie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application of a model were understood from both user-centric and relation-centric acceptance model perspectives. Based on the results, an operations management interface model was developed for 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families. The final version of the digital operations management interface mode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organizations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and usable plans for digital operations management in the field.

      • KCI등재

        주제 중심 자연친화 교육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효과

        유구종(Gu Jong Yoo),김은아(Eun Ah Kim),유희진(Hee Jin Y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주제 중심 자연친화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고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연친화 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후 유아들에게 친숙한 주제를 중심으로 접근한 자연친화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주제중심 자연친화 교육활동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교육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유아들이 교실과 교실이외의 공간에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숲, 호수, 들, 텃밭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유치원 만 5세 학급 40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둘째 주부터 10월 넷째 주까지 총 22주 동안 주제중심 자연친화 교육활동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구성한 주제중심 자연친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는데, 특히, 다중지능 하위 요소 중 음악, 신체, 논리수학, 자연지능에 향상에 특히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content-based, naturalistic activity program on multiple intelligences of young children. The study analyzed the hand-book of ‘Nuri-curriculra’ a naturalistic activity program condition that takes place in a kindergarten.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we constituted a naturalistic activity program. Participants consisted of 40 five-year-olds. and the study took 2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contents-based naturalistic activity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music intelligence. Second, the content-based naturalistic activity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Third, the content-based naturalistic activity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Fourth, the content-based naturalistic activity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spatial intelligence. Fifth, the content-based naturalistic activity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linguistic intelligence. Sixth, the content-based naturalistic activity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interpersonal intelligence. Seventh, the content-based naturalistic activity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intrapersonal intelligence. Eighth, the content-based naturalistic activity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nature intelligence, and especially a positive impact on musical, bodily-kinesthetic, logical-mathematical, and nature intelligence.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반 감성분석을 통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방향 모색: 놀이를 중심으로

        유구종(Yoo, Gu-Jong),이건우(Lee, Gun-Woo)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반 감성분석을 통해 놀이와 부모교육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인식을 파악하고, 부모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모+놀이’, ‘부모교육+놀이’, ‘유아+놀이’를 키워드로 최근 3년간 SNS의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2차례의 정제과정을 거쳤으며, 키워드 빈도를 바탕으로 주요 키워드 50개를 선정하여 의미연결망분석과 감성분석, 최종적으로 Concor분석을 실시하였다. 감성분석을 토대로 한 Concor분석 결과 긍정감성 키워드에 형성된 6개의 군집 중 가장 키워드가 밀집하는 군집을 교육·보육기관 신뢰로 명명하였으며, 중립감성 키워드의 경우 형성된 4개의 키워드 중 분석이 유의미하다고 판단되는 3개의 군집을 각각 컨텐츠 정보 수집, 양육 정보 수집, 교육 정보 수집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변화하는 사회에 따라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있어 부모가 원하는 정보의 양상을 분석·제시하였으며, 과거 수동적으로 진행되던 부모교육 프로그램 형태의 변화에 대한 요구가 주된 양상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overall social perception of play and parental education through text mining-based sentiment analysi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factors that affect parental education. To this end, text data from SNS for the past three yea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keywords such as "parents+play", "parents education+play", and "infant+play". Th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two refining processes, and 50 main key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keywords, followed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sentiment analysis, and finally Conc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based on the sentiment analysis, the group with the most concentrated keywords among the six clusters formed in positive emotion keywords was named as trust in education and childcare institutions. The three groups to be judged were named content information collection, parent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edu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respectively. These results present the patterns of information that parents want in a parent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changing societ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mand for changes in the form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that had passively progressed in the past appeared as the main aspect.

      • KCI등재

        소셜미디어와 학술DB에 나타난 놀이의 교육적 의미 탐색: 의미연결망분석 및 감성분석을 중심으로

        유구종(Yoo, Gu-Jong),유지성(Yoo, Ji-Sung),김은아(Kim, Eun-Ah)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및 학술DB에 나타난 놀이의 교육적 의미 및 사회적 인식을 살펴보고 놀이 중심의 누리과정을 수행하는데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누리과정의 놀이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텍스톰을 통해 자료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 총 8384개의 자료를 수집하여 2회의 클리닝 과정을 거쳤으며, 유아교육전문가 3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총 7448개의 데이터와 학술DB에 있는 484개 논문 초록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데이터는 R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Ucinet6을 활용하여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 누리과정, 유치원, 놀이중심, 교육과정, 놀이, 책, 교육 등의 키워드가 상위빈도를 차지하였고 놀이에 대한 3개의 군집은 키워드를 고려하여 ‘놀이 중심 교육’, 놀이지원방식’, ‘누리과정 적용’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구글 BERT를 활용하여 실시한 감성분석 결과 놀이는 긍정적인 감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누리과정 운영에 있어 놀이중심의 지향성과 이를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실행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and social perception of play in social media and academic DB and to suggest direction in performing play-oriented Nuri curricula. For this the prior research on the play of the Nuri process were examined and the data were searched through textom. As a result, a total of 8,384 data were collected, on which two cleaning processes were performed, followed by feasibility verification by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a total of 7448 data and abstracts from 484 papers in the academic DB were extracted. The text mining and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R version 3.5.2 on extracted data, and conc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Ucinet6.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The key words such as young children, Nuri curricula, kindergarten, play center, curriculum, play, book, and education ranked the top in frequency. As a result of network and Concor analysis, three major clusters were formed and the clusters were named "play-centered education", "play support method", and "application of Nuri curricula" in consideration of the key wor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discusses the direction of play-oriented and successful implementation the Nuri curricula.

      • KCI등재

        스마트교육 환경 데이터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기관 스마트교육 환경 개념 모형 구축

        유구종(Yoo, Gu-Jong),유지성(Yoo, Ji-S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및 연구논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스마트교육 환경 요소를 분석하여 현장에 적용 가능한 유아교육기관 스마트교육 환경 개념 모형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교육 환경’을 검색어로 최근 3년간 국내 소셜미디어 및 연구논문 데이터를 수집하여 키워드분석, 연관분석, 감성분석, 의미연결망 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소셜미디어의 연관분석 결과, {스마트, 활용}, {교육, 활용}, {학교}, {지원}, {교육, 연구}, {구축} 등의 키워드가 빈도, support(지지도), confidence(신뢰도), lift(향상도) 등 모든 수치에서 상위 순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소셜미디어와 연구논문의 의미연결망, 군집분석 결과, 주요한 3개의 군집(생태계적 측면에서의 지원, 물적 측면에서의 환경 구성, 인적 측면에서의 활용)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스마트교육 환경 개념 모형을 물적 측면의 기술 및 인프라 등과 관련된 요인과 인적 측면의 아동, 교사 등과 관련된 요인, 생태계적 측면의 인터페이스, 관계 체계 등과 관련된 개념 모형 요인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mart education environment concept mode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by analyzing the elements of smart education environment through social media and research paper data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ext mining, association analysis, sentiment analysis,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by collecting domestic social media and research paper data for the past three years with the keyword “smart education environment”. As the result of association analysis of social media, such as {smart, utilization}, {education, utilization}, {school}, {support}, {education, research}, and {building}, were at the top of all figures like frequency, support, confidence, lift, etc. As a result of semantic network, and cluster analysis, three main clusters (support in the ecosystem aspect, environmental composition in the material aspect, and utilization in the human aspect) were formed.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a conceptual model of the smart education environment is proposed in terms of material (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etc.), human (children, teachers, etc.), and ecosystem (interface, relationship system, etc.)

      • KCI등재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변인 탐색

        유구종(Yoo, Gu-Jong),김현주(Kim, Hyeon-Ju)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가정환경, 또래 수용도, 정서지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국공립, 사립 유치원 9곳에 재원 중인 만5세 유아 25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검사도구는 유아의 기질, 가정환경, 또래 수용도, 정서지능, 자아존중감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의 기질과 가정환경은 또래수용 및 정서지능에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유아의 기질, 가정환경, 또래수용, 정서지능의 자아존중감간에 직․간접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질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가정환경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아의 기질, 또래수용, 정서지능, 가정환경은 상호 유기적인 연계가 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ulti-laterally explore variable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self-esteem of children.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2 children, who were 5 years old and attended nin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disposition of children, family background, age capacity, emotion intelligence, and self-esteem were used as test tool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both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SPSS 18.0 and AMOS 18.0.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disposition and family background of children had a direct effect on age capacity and emotion intelligence, and analysis results on disposition of children, family background, age capacity, and emotion intelligence on self-esteem demonstrate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dium effects of age capacity and emotion intelligence between disposition and self-esteem of children, it was confirmed that they mediated and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osition and self-esteem of children. Thirdly, based on the results of medium effect of age capacity and emotion intelligence between family background and self-esteem, it was confirmed that they mediated and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background and self-esteem of children. Such results imply that self-esteem, disposition, age capacity, emotion intelligence, and family background of children are in organically mutual relationship and offer fundamental data to understand and guide children.

      • KCI등재

        인공지능 스피커 활용 활동이 유아의 상호작용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유구종(Yoo, Gu-Jong),김소리(Kim, So-R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5

        본 연구는 인공지능 스피커 활용 활동이 유아의 상호작용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주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처치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만 5세 30명을 대상으로 15주간 실시되었고, 유아의 상호작용 분석을 위해 인공지능 스피커 활용 활동의 처치 회기와 집단에 따라 이원반복측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분석을 위해서는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일원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공지능 스피커 활용 활동이 유아-유아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범주 모두 회기가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둘째, 인공지능 스피커 활용 활동이 유아-매체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범주인 ‘참여적 상호작용’은 회기가 지남에 따라 증가한 반면, ‘비참여 상호작용’, ‘공격적 사용’은 회기가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다. 셋째, 인공지능 스피커 활용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 지원에 따른 유아 주도적 인공지능 스피커 활용 활동이 유아의 상호작용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main purpose of revealing how the activiti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affect children’s interaction and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ccordingly, the treatment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15 weeks on 30 children aged 5 year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analyze the interaction of children, two-way repeated measurement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session and group of the AI speaker-using activity. To analyze children’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 one-way analysis of covariance was performed using a pretest score as a covariat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y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child interaction. The subcategories ‘positive interaction’, ‘regular interaction’, and ‘participatory interaction’ were found to increase as the session progress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media interaction. The subcategory ‘participatory interaction’ was found to increase as the session progressed, and ‘nonparticipatory interaction’ and ‘aggressive use’ were found to decrease over the sess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e effects of child-led activiti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supported by teachers on children’s interaction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실천지능 개념 및 구조분석

        유구종 ( Yoo Gu-jong ),김은아 ( Kim Eun-ah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실천지능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개념 및 구조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소재 2개 대학의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66명 중 36명을 무선 배정 하여 아이디어를 산출하고 분류체계분석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실천지능 개념을 분석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예비유아교사의 실천지능의 개념적 구조와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응답지를 통해 수집된 실천지능 개념에 대한 문항을 구조화 하였으며, 예비교사들의 실천지능에 대한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개인별 유사성 행렬을 작성하였고, 이를 합산한 집단 유사성 행렬을 만들어 다차원척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위개념 중 가장 빈도가 높은 개념은 태도, 관계, 전공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차원척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4개의 범주로 구성되었다. 이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계층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군집분석의 결과 총 4개의 군집으로 군집화 되었다. 군집화 된 문항 중 군집1은 ‘유아와의 관계’로, 군집 2는 ‘문제해결력’으로 군집 3은 ‘교수- 수업관련 능력’으로, 군집 4는 ‘인성 및 태도’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에 따라 예비유아교사 실천지능을 재 개념화 하였고, 예비유아교사 실천지능을 위해 노력해야 할 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cepts and construction of Practical intelligence 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o this study was done in two steps. In the first step, a primary suvey was given to 36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nd in the second step, an on-line questionnaire was given to 120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 The primary survey was done with taxonomy analysis of practical intelligences 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dditionally, ALSCA analysis of construction and hierarchical cluster anaysis of ecological validity were done for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ncept map, the concepts of prctical intelligences 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ere the ability to use major knowledge, and general knowledge, understanding oneself, understanding others, personal relationships, ability to solve problems, passion for learning, conviction and good attitude on life and educ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construction, practical intelligences 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ere assigned to 4 groups as follews; a relation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humanity, ability to solve problem, ability to instruct and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