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72~475년 백제 · 고구려의 對북위 외교전과 한성 함락

        위가야(Wee, Kaya) 고구려발해학회 2020 고구려발해연구 Vol.66 No.-

        이 글은 475년 고구려가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시킨 사건의 배경을 정리한 것이다. 이를 위해 472년에서 475년 사이에 백제와 고구려가 북위를 상대로 진행한 외교전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472년 8월 백제는 북위를 상대로 청병 외교를 진행하였다. 이 외교전에 대해서 기존의 견해에서는 대체로 對고구려전에서 수세에 몰린 백제가 북위에 구원을 요청한 것으로 파악해 왔지만, 백제와 북위 사이에서 오고 간 표문과 조성의 내용을 분석하면 실제로 이 시기 백제가 북위를 공격하려는 계획의 일환으로 청병 외교를 진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백제는 북위에 보내는 표문에서 고구려가 북위를 적대하고 있음을 부각시키는 동시에 지금이 고구려를 공격할 적기임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알렸다. 또한 故事를 활용해 북위를 자극하면서 백제 자신은 고구려와는 달리 적극적으로 신종할 의사를 전달 했는데, 이는 북위의 고구려 공격을 유도하기 위한 백제의 외교적 전술로 파악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북위가 백제의 요청을 거절한 것으로만 파악했다. 하지만 북위가 백제에 보낸 조서 내용을 분석하면 백제의 청병 이후 북위와 고구려 사이에 모종의 갈등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북위는 고구려에 사신을 파견하여 백제가 표문을 통해 고발한 사신 파견 방해 사건에 대한 진상 조사를 시도했다. 북위는 고구려가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하자 그 해명을 받아들여 백제의 청병 요청을 거절하였지만, 조서를 통해 조건부로 고구려 공격에 나설 수 있음을 언명하기도 하였다. 이때 북위는 백제로 귀환하는 사신을 고구려를 경유하게 하였다. 고구려의 북위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기 위한 조치였다. 고구려는 사신의 통과를 가로막았고 북위와 백제의 사신은 다시 북위로 귀환하였다. 이로써 북위가 백제에 내린 조서에서 언명한 고구려 공격에 나설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된 셈이었지만, 이후 북위의 사신이 백제에 파견되지 못하여 양국의 연계를 통한 합공이 실행에 옮겨지지는 못했다. 백제는 북위의 반응을 확인하지 못한 상황에서 북위를 설득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 물길과의 연계를 시도하였고, 이는 물길의 사신을 통해 북위에 알려질 수 있었다. 그러나 물길의 사신이 도착한 것은 고구려가 한성 공격에 나선 한 달 뒤의 일이었기 때문에 백제의 시도는 결과적으로 실패하였다. 고구려는 백제의 對북위 교섭 시도를 확인한 후 우선 양자의 연계를 저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북위 사신의 백제 파견과 백제 사신의 귀환을 가로막은 것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이와 동시에 북위와의 관계를 원활히 하기 위해 노력하였는데, 그것은 과거 핑계를 대며 거절했던 북위와의 통혼 재개 제안이었다. 다만 고구려는 통혼 제안을 통해 북위에 적대할 의사가 없음을 전달하려 했을 뿐이고 실제로 통혼을 성사시킬 의도는 없었다. 그러나 북위는 실제로 통혼을 진행하려 했고, 이를 위한 사신의 파견 과정에서 고구려와 북위 사이에 다시 갈등이 발생하였다. 이에 고구려는 북위와 백제의 연계로 인한 위협을 제거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려 했고, 그것은 수도 강습을 통한 백제의 완전한 제압이었다. 475년에 고구려가 백제의 수도 한성을 기습하여 함락시킨 것은 이러한 국제정세를 배경으로 해야 실상에 부합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the aspects of diplomatic war of Baekje and Goguryeo from 472 to 475 against the Northern Wei, and the background of the fall of Baekje’s capital Hanseong(漢城) by Goguryeo. A summary of analysis is as follows. In 472, Baekje conducted diplomacy requesting reinforcements to the Northern Wei. This article confirmed that this diplomacy was carried out as part of a plan to attack Goguryeo unlike existing understanding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diplomatic documents and the activities of Baekje at the time. The Northern Wei first refused the request, but notified Baekje that they could conditionally go on a conquest of Goguryeo. However, the contents of the report of the Northern Wei were not delivered to Baekje the envoy’s return to Baekje was blocked by Goguryeo. Baekje attempted to connect with Mulgil(勿吉) as another means to persuade the Northern Wei. The envoy of Mulgil arrived in the Northern Wei and announced the connection with Baekje, but this too failed. The reason was that Goguryeo raided Hanseong and captured it at that point. After confirming that Baekje was negotiating with the Northern Wei, Goguryeo tried to blo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Goguryeo also proposed resuming a royal marriage to improve relations with the Northern Wei. This proposal was only to convey that Goguryeo had no intention of being hostile to the Northern Wei, and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re was a willingness to practice the royalmarriage. Northern Wei, on the other hand, tried to proceed it in practice. Goguryeo refused it by making excuses, and prepareda way to resolve the situation more fundamentally. The way was to completely suppress Baekje. This was the reason why Goguryeo raided Hanseong, the capital of Baekje in 475.

      • KCI등재

        540년대 ‘사비국제회의’와 한반도 남부 정세

        위가야(Wee Kaya)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6

        This article named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twice in Sabi the “Sabi International Conference” and reviewed the details surrounding the holding of this conference. The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spring of 541, Silla attacked on and annexed Taksunguk(卓淳國). This means the breaking of stability over the years, which was the result of “Alla International Conference”. Baekje thereupon accepted the request of Gaya Confederacy, including Alla, and held the first “Sabi International Conference”; however, Silla did not attend. Baekje pointed out that internal division of Taksun(卓淳), instead of the invasion of Silla, was a cause of fall of Taksun. It was nothing more than a lukewarm attitude toward the issue to avoid a conflict with Silla. Alla discontented against Baekje’s lukewarm attitude in the conference, and proceeded the negotiation with Silla by inciting “Imna Ilbonbu(任那日本府, Japanese Government Office in Imna)” as they kept vigilant about the intention of invading inherent in the arrangement of Gullyeong(County Commander) and Seongju(城主, Castellan) of Baekje. Consequently, Baekje persuaded each of the Hangi(旱岐) because they did not want Gaya Confederacy, including Alla, to become pro-Silla, and required Wa to repatriate Imna Ilbonbu which was negotiating with Silla. In February 554,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was held again in Alla, and the second Sabi International Conference was held in November of the same year in Sabi. However, the security issue of Gaya Confederacy resulted from the fall of Taksun remained unsolved because there was a huge difference in what Baekje and Gaya kingdom were trying to achieve. Therefore, Alla and Imna Ilbonbu tried to reverse the situation by consolidating with Goguryeo; Goguryeo’s attack on Doksanseong(獨山城) was the result of it. However, Baekje succeeded in defense through the military cooperation with Silla, but this rather made the intention of Alla and Imna Ilbonbu to be caught by Baekje. Alla’s position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t that time was greatly weakened because Wa showed cooperative attitude to Baekje. As a result, Baekje s influence on the Gaya Confederacy was strengthened, and the international conferences that symbolized the Gaya Confederacy’s balanced diplomacy since 6th century lost its power. 이 글은 541년과 544년 두 차례에 걸쳐 사비에서 개최된 국제회의를 ‘사비국제회의’라 명명하고 그 회의의 개최를 둘러싼 한반도 남부 정세의 전말을 검토한 것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정리할 수 있다. 541년 봄, 신라가 탁순국을 공격하여 병합하였다. 이는 ‘안라국제회의’의 결과였던 수년 동안의 안정이 깨진 것을 의미했다. 그러자 백제는 안라를 비롯한 가야제국의 요구를 받아들여 1차‘사비국제회의’를 개최하였다. 다만 이 회의에 신라는 참여하지 않았다. 백제는 개최된 회의에서 탁순의 멸망이 신라의 외침보다는 내부 분열에 그 원인이 있음을들었다. 이는 신라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문제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인 것에 다름 아니었다. 안라는 백제의 회의에서의 미온적 대처에 불만을 품는 동시에 백제의 군령 성주 배치에 내재된침략 의도를 경계하여 ‘임나일본부’를 사주하여 신라와의 교섭을 진행하였다. 이에 백제는 안라를 비롯한 가야 제국의 親신라화를 경계하여 각국의 旱岐들을 설득하는 한편 왜에는 신라와의 교섭에 나선 ‘임나일본부’의 本處송환을 요구하였다. 544년 2월에 안라에서 다시 국제회의가 개최되었고, 같은 해 11월에는 다시 사비에서 2차 ‘사비국제회의’가 개최되었으나 탁순의 멸망에서 비롯된 가야제국의 안전보장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백제와 가야제국이각기 회의를 통해 얻으려 하는 바가 큰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에 안라와 ‘임나일본부’는고구려와 통모하여 상황을 반전시키려 하였다. 548년 고구려의 독산성 공격은 그 결과였다. 그러나 백제는 신라와의 군사협력을 통해 방어에 성공하였고, 오히려 안라와 ‘임나일본부’의 의도가 백제에 드러나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왜가 백제에 동조하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당시한반도 남부 정세에서 안라의 입지는 크게 약화되었다. 그 결과 백제의 가야제국에 대한 영향력이 강화되었으며, 6세기 이래 가야제국의 균형외교를 상징하던 국제회의는 운영의 동력을 상실했다.

      • KCI등재

        기문반파고-이마니시 류(今西龍), 「기문반파고(己汶伴跛考)」 『사림(史林)』 제(第)7권(卷) 제(第)4호(號), 1922-

        위가야(역) ( Wee Kaya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인문학연구 Vol.0 No.32

        이 글은 이마니시 류[今西龍]의 「己汶伴跛考」를 번역한 것이다. 1922년 『史林』 제7권 제4호에 게재되었고, 이마니시의 사후 편찬된 『朝鮮古史の硏究』(京城, 近澤書店, 1937)에 수록되어 있다. 단행본에 수록된 것을 저본으로 삼아 번역하였다. 이마니시 류는 1903년 대학원에 진학하면서 처음 조선사 연구에 발을 들여놓았다. 당시 지도교수였던 쓰보이 구메조[平井九馬三]의 권유에 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1) 1907년 김해패총을 발굴하고 1913년에는 낙랑군 치소를 확정지을 수 있는 <점제현신사비>를 발견하는 등, 이마니시의 초기 연구는 고고자료 조사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후 주된 관심이 문헌 중시로 옮겨간 이후에도 현지조사에 대한 중요성을 경시하지 않았던 것으로 여겨진다.2) 이는 1920년에 발표한 「加羅疆域考」(『史林』 제5권 제1호)의 내용에 그가 1917년 9월부터 1918년 1월까지 선산 · 달성 · 고령 · 성주 · 김천 · 함안 · 창녕 등 이른바 가야지역의 고분과 산성을 조사한 결과가 충실하게 반영되어 있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가라강역고」를 통해 가야 각국의 역사지리를 면밀하게 고찰한 이마니시 류는 이후 연구의 진전과 나이토 도라지로[內藤虎次郞]에게 빌려 본 『翰苑』 등의 새로운 자료를 통해 기문과 반파에 대한 그의 기존 위치 비정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하게 되었고, 「기문반파고」를 통해 이를 정정하였다. 「기문반파고」에서 이마니시 류가 중점적으로 규명하고자 한 것은 『일본서기』의 己汶과 『신찬성씨록』의 己汶(巴汶)이 같은 이름의 다른 지역이었다는 사실이다. 「가라강역고」에서는 이 두 기록의 기문이 모두 같은 지역이며 『삼국사기』의 甘文을 가리킨다고 보아 그 위치를 개령(경상북도 김천의 옛 이름)에 비정하였다. 하지만 『한원』에 인용된 「括地志」의 基汶河가 섬진강이라는 사실을 통해 『일본서기』의 기문을 섬진강 유역의 남원에 비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 위치비정이 기문(파문)에 대한 『신찬성씨록』의 기록과 지리적으로 부합하지 않는 문제점은 두 기록의 기문을 다른 지역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 해결하였다. 이때 『신찬성씨록』의 기문은 「가라강역고」와 같이 개령에 비정하였다. 기문에 대한 위치비정은 현재까지도 결론이 내려지지 않는 문제이다. 문제의 핵심은 『일본서기』와 『신찬성씨록』이 전하는 지리정보가 서로 부합되지 않는 모순에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마니시 류의 견해는 타당성에 대한 논의는 차치하고라도 이 모순에 대해 타협점을 찾았던 선구적인 성과로 볼 수 있다.3) 하지만 당시 실증사학을 추구했던 동료 일본인 역사가들과 마찬가지로 이마니시 류의 연구 역시 일제의 조선강점에 역사적 정당성을 부여하고자 했던 식민사학의 혐의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이는 「가라강역고」에 임나일본부의 유적 · 유물이라는 말이 전혀 나타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임나지배 및 한반도 남부에서의 주도권 장악을 전제로 삼고 논의를 전개하는 점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이 같은 전제는 「기문반파고」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4) 본문에 인용된 사료는 모두 번역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다만 번역자와 저자의 이해가 다를 수 있음을 감안하여 사료 원문을 본문에 인용된 구두점 그대로 [역자주]에 수록했다. 각주는 원문에서는 미주로 처리되어 있었지만, 독자의 편의를 위해 [원주]로 표기하고 각주 처리했다. 본문 중에 볼드체로 표시한 부분은 저자가 글자 위에 위첨자(°)를 표기하여 강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This article is a translation of 「Study of kimun and banpa」 written by Imanisi Ryu in 1922. In this article, Imanisi Ryu corrected the error of 「Study of kara`s territory」, a article which he wrote in 1920. According to him, Kimun from 『Nihonsyoki』 and 『Sinsensyouziroku』 refer to different geographic area but share an identical name. The 『Nihonsyoki』 indicates kimun located in Namwon, Jeollabuk-do and 『Sinsensyouziroku』 finds Kimun located in Gimcheon, Gyeongsangbuk-do. No decision has yet been made where Kimun is located now because there is a contradiction on the historical records. 「Study of kimun and banpa」 is considered a pioneering result of solving this contradiction.

      • KCI등재

        6세기 前半 安羅國 주도의 加耶諸國 관계 이해를 위한 기초적 검토

        위가야(Wee, Ka-Ya)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4

        이 글은 안라국이 6세기 전반 가야제국 관계를 주도할 수 있게 된 요인을 안라국 대외관계사의 주요 쟁점인 ‘포상팔국 전쟁’, ‘안라인수병’, ‘안라국제회의’에 대한 검토를 통해 확인하려 한 것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포상팔국 전쟁’을 전하는 『삼국사기』 본기와 열전, 『삼국유사』의 기록을 비교·검토하면 전쟁의 대상이 안라국임을 확인할 수 있다. 포상팔국이 안라국을 공격한 이유는 함안 지역의 농경지를 확보하기 위한 것인 동시에 안라국의 세력 확장에 대한 반격에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안라국은 신라의 지원을 받아 포상팔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함으로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광개토대왕비문』의 ‘안라인수병’은 안라국을 직접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400년 고구려 남정 당시 고구려군이 빼앗은 지역을 신라인 수비병을 배치하여 지키게 한 사실을 가리키는 문구로 이해할 수 있다. ‘안라인수병’의 이해를 통해 안라국이 고구려-신라군과 임나가라-왜군이 충돌한 전쟁의 戰火를 피해 국력을 온존할수 있는 기회를 얻었고, 이것이 이후 안라국이 가야제국 가운데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요인이 되었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었다. 또한 이는 신라와의 우호관계에 따른 결과로 그 계기는 포상팔국 전쟁 당시 신라의 구원군 파견이었다. 따라서 포상팔국 전쟁의 시기는 고구려 남정이 이루어졌던 400년 이전으로 그 하한을 좁혀볼 수 있다. ‘안라국제회의’는 기존 연구에서 이해되었던 것처럼 ‘남가라·탁기탄’이 신라에 병합된 것을 계기로 개최된 것이 아니라 백제군과 신라군에 의한 탁순국 점령을 저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개최된 것이었다. 안라국은 왜를 끌어들여 우군을 확보하는 동시에 백제와 신라 사이를 저울질 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 양국 모두를 안라가 마련한 국제회의의 무대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하였다. ‘안라국제회의’는 탁순국의 점령 저지라는 개최 당시의 의도를 달성했으며, 이것이 가야제국 내에서의 안라국의 위상을 고양시켰다. 이렇듯 고양된 위상이 6세기 전반 가야제국의 관계를 안라국이 주도하게 한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that allowed Allaguk to lead the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of Gaya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by examining the three major issues in the history of foreign affairs of the country. The three issues are ‘War of Posangpalguk’, ‘Allainsubyong’, and ‘international conference in Alla’. The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can be confirmed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records of the ‘War of Posangpalguk’ that the target of the war was Allaguk. There were two reasons why Posangpalguk attacked Allaguk. The first is to secure farmland in Haman area, and the second is to counterattack against the expansion of Allaguk’s power. Allaguk had opportunity to grow by winning the war against Posangpalguk by virtue of the support of Silla. ‘Allainsubyong’ in The Great Gwanggaeto Stele does not refer to Alla. It is a phrase indicated the fact that Koguryo army tried to defend the territory which was taken from Silla by arranging guards of Silla during Koguryo’s conquest toward the south in 400. Allaguk was able to protect the country’s power by avoiding the war between Koguryo-Silla and Imnagara-Wa. This was the reason why later Allaguk stood out in the countries of Gaya. It was also the result of amicable relation with Silla, which established because of the reinforcements from Silla during the War of Posangpalguk. Therefore, the year when the War of Posangpalguk broke out was before 400 when the Koguryo’s conquest toward the south was made at the lates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in Alla’ was held not because Namgara and takgitan were absorbed into Silla as was understood in the previous research, but because Alla tried to prevent Baekje and Silla from taking Taksunguk. By winning Wa over to their side and gained ally and balancing between Baekje and Silla, Al laguk succeeded in bringing both countries to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by Alla. The Conference achieved its intention of preventing the occupation of Taksunguk, and this elevated the status of Alla in the countries of Gaya. This eventually made Allaguk lead the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of Gaya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 KCI등재

        연동하는 전쟁, 6세기 삼국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위가야(Wee, kaya) 한국고대사학회 2023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12

        이 글은 ‘연동하는 전쟁’이라는 관점에서 고구려에 대한 대응과 함께 가야지역 진출을 둘러싸고 백제와 신라의 군사협력에 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한 6세기 초부터 신라가 가야제국을 모두 병합하는 6세기 중반까지의 전쟁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당시 전쟁의 양상과 각국의 행동을 좀 더 정합적으로 이해하려 했다. 509년 이후 대외진출 정책을 가야지역 진출로 전환한 백제는 512년과 513년에 걸쳐 ‘임나 4현’과 ‘기문·대사’ 방면으로 세력을 확정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백제의 군사 활동은 제한될 수밖에 없었는데, 이는 512년 9월의 고구려 남침이 백제의 전략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었다. 512년 6월 신라의 우산국 정복 또한 백제의 가야지역 진출이라는 정황과 연동하여 진행되었고, 고구려의 남침이 시도될 수 있었던 조건으로 기능하였다. 529년 일본 열도에서 벌어진 ‘磐井의 亂’ 또한 같은 시기 백제와 신라가 시도한 가야지역 진출과 연동하고 있었다. 신라가 가야지역 진출의 경쟁 상대인 백제의 활동을 제한하려는 목적에서 ‘磐井의 亂’에 개입하였다. 실제로 백제는 상대적으로 가야지역에 대한 군사 행동을 자제하고 있었는데, 이는 앞서 말한 신라의 활동과 동시에 고구려의 남침이라는 외부 요인이 백제의 군사 활동을 제한했기 때문이었다. 즉 512년과 529년을 전후한 시점에 벌어진 백제·신라·고구려의 전쟁은 각각의 전쟁이 연동되어 진행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삼국과 가야 왜를 포함한 동아시아 국제정세라는 관점에서 각각의 전쟁을 단순한 양자의 대립을 넘어 서로 유기적인 상관성을 가진 연동하는 전쟁으로 이해할 때, 전쟁의 양상을 새롭게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onnected wars, this article analyzes the patterns of warfare between Baekje and Silla from the early 6th century, when cracks began to appear in their military cooperation, to the mid-6th century, when Silla annexed all of the Gaya. Through this analysis, I attempted to understand the patterns of warfare and the actions of each country more coherently. Baekje, which switched its foreign expansion policy to the Gaya region after 509, tried to establish its power in the direction of ‘the four prefectures of Imna’ and Gimun-Daesa between 512 and 513. However, in this process, Baekje’s military activities were limited because the southern invasion of Goguryeo in September 512 was a factor that limited Baekje’s strategy. Silla’s conquest of the ‘Usanguk’ in June 512 was also linked to Baekje’s advancement into the Gaya region and served as a condition for Goguryeo’s southern invasion to be attempted. In 529, the ‘Rebellion of Iwai’ in the Japanese archipelago was also linked to the advancement of Baekje and Silla into the Gaya region at the same time. Silla intervened in the disturbance to limit the activities of Baekje, its rival in the Gaya region. In fact, Baekje was relatively restrained in its military actions in the Gaya region because the external factor of Goguryeo’s southern invasion at the same time as the aforementioned activities of Silla limited Baekje’s military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wars between Baekje, Silla, and Goguryeo that took place around the years 512 and 529 can be understood as interconnected wars. In this way, when we understand each w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East Asia, including the Three Kingdoms, Gaya, and Wa, we will be able to organize the aspects of the war in a new way, beyond the simple opposition of two sides, but as interconnected wars with organic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나제동맹’의 攻守 전략 검토

        위가야(Wee, Ka-Ya)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0 한국고대사탐구 Vol.34 No.-

        이 글은 ‘나제동맹’의 군사 운용전략을 ‘攻守동맹’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백제와 신라의 군사협력이 고구려를 방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운용된 것으로 보았으며, 따라서 ‘동맹’의 성격도 ‘共守동맹’ 또는 ‘방어동맹’으로 파악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때문에 백제와 신라의 군사협력을 통해 이루어진 對고구려 공세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분석이 미흡하였다. 이 글에서는 사료에 기록된 백제와 신라의 공동 군사작전 내용을 분석하여 양국 군사협력의 攻守 전략의 실상을 밝혀보려 하였다. 백제와 신라의 공동 방어전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양국의 군사 협력에 임하는 태도에 차이가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백제는 신라의 구원 요청이 없어도 원군을 파견하는 반면, 신라의 구원은 대부분 백제의 구원 요청이 있은 뒤에 이루어졌다. 이는 군사협력이 좀 더 절실했던 것이 백제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오래된 강적인 고구려의 남진을 저지하는 동시에 잃어버린 영토의 탈환을 위해서 백제에게 신라는 중요한 군사협력의 대상이었다. 반면 신라의 경우 백제와의 군사협력은 이를 통해 고구려의 간섭에서 벗어나는 것과 동시에 고구려의 침공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지 않았다. 공동 방어전에 임하는 양국의 태도 차이는 이러한 현실적 필요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된다. 구체적으로 명시한 사료는 찾기 어렵지만 470년부터 474년까지 신라가 백제의 외곽 지역으로 생각되는 충북 남부지역에 축성한 사실에서 ‘동맹’의 공격 전략이 운용된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470년 신라의 삼년산성 축조는 고구려의 군사적 압력에 대한 백제와 신라의 공동 대응이면서 충주에 위치한 고구려의 군사 거점을 견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백제는 고구려에 대한 공세를 준비하면서, 배후의 위협을 줄이는 동시에 고구려의 전력을 분산시킬 것을 목적으로 신라에게 전략적 요충지인 보은 지역에 성곽을 축성하여 충주의 고구려 군사 거점을 견제해 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는 백제의 제안을 받아들여 삼년산성과 그 인근의 산성을 축조해 충주의 고구려 군사 거점 견제를 담당하였다. 이것이 ‘동맹’의 공격 전략 운용 방식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백제가 對고구려 공세를 취하면 신라가 그것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운용된 것이다. 470년과 486년 신라의 삼년산성 초축과 개축이 모두 백제가 고구려 공격을 시도한 것과 시점이 맞물리는 것은 실제로 이러한 공격 전략이 운용되었음을 입증하는 사례로 보았다. ‘나제동맹’의 공격 전략이 이렇게 운용된 것은 백제와 신라가 고구려 공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실리가 달랐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동맹’의 공격 전략은 상대적으로 백제의 고토 회복이라는 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런데 이처럼 일방의 利害를 위주로 구성된 ‘나제동맹’의 공격 전략은 신라가 좀 더 적극적으로 자국의 이익을 도모하게 되면 원활한 운용이 불가능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실제로 그 전략의 파탄은 신라가 국가의 내실을 충실히 한 후 외부로 시선을 돌리는 것과 함께 찾아왔다. This article reviews the military management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ffensive and defensive(攻守) alliance”. This article aims at trying to reveal the truth of Silla and Baekje military cooperation by analyzing the details of joint military operation of the two countries in the historical record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joint defensive battle of Silla and Baekje was successful operation.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ir positions. Baekje send reinforcements even without the Silla’s request for aid; Silla mostly send it when Baekje requests for it. The reason Baekje was so active in military cooperation was because it had to stop Goguryeo"s southward advance and recapture the lost territory. Silla’s military cooperation was essential for this reason. Silla cooperate with Baekje to avoid interference by Goguryeo. The difference in position led the different aspect of the joint defensive battle. The fact that Silla built a castle in the south of Chungcheongbuk-do from 470 to 474 confirms the way the offensive strategy of “alliance” was operated. In 470, Silla"s Samnyeonsanseong(三年山城) construction was a joint response of Baekje and Silla to the military pressure of Goguryeo. It was also intended to check the military base of Goguryeo located in Chungju. While preparing for the offensive against Goguryeo, Baekje needed to reduce the threat at the rear and disperse Goguryeo"s power. For this reason, Baekje suggested Silla for castle construction in the strategic point, Boeun area. Baekje made Silla check the military base of Goguryeo in Chungju. Silla accepted the suggestion and built Samnyeonsanseong and other fortresses nearby. This was how the “alliance” offensive strategy operated. When Baekje took the offensive against Goguryeo, Silla supported it. The offensive strategy of the “Silla-Baekje Alliance” was operated in this way, because Baekje and Silla were able to obtain different benefits through the Goguryeo attack.

      • KCI등재

        특집 :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의 대방군(帶方郡) 위치 비정과 그 성격

        위가야 ( Ka Ya Wee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科學 Vol.0 No.54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는 근대 일본 동양사학의 실증적 연구를 대표하는 사학자 중 한 사람이다. 이 글은 그가 한군현 중 대방군의 위치를 비정하며 구사한 ‘실증’에 영향을 준 것이 단지 학술적 입장에서의 ‘합리주의’뿐이었는지를 규명하려 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케우치는 대방군의 영역이 군의 존치 기간 내내 한강 하류 유역을 포괄하고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구사된 ‘실증’은 그의 다른 연구와는 달리 허술했으며, ‘합리주의’와도 거리가 있었다. 그리고 그 배경에 한국사의 타율성을 핵심논리로 하는 만선사관이 자리잡고 있음을 이케우치의 다른 연구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방군 영역에 대한 이케우치의 인식은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 쯔다 소키치(津田左右吉)와 거의 같다. 그들 모두가 남만주철도회사 역사조사부에서 만주와 조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온 만선사학자였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케우치의 연구에서 구사되는 ‘실증’과 ‘합리주의’는 그가 상식으로 여겨온 한국사의 타율성과 조우했을 때 쉽게 무너져 내리고 있었다. 이는 이른바 ‘실증사학’이 역사가의 현실 및 시대와 완전히 무관한 것일 수 없음을 알려준다. Ikeuchi Hiroshi (池內宏) is one of the Japanese historians who devoted himself to positive-historical research of East Asian history in modern Japan. This study is aimed at figuring out whether or not his estimate of the location of Daebang-gun (帶方郡) -one of the four Han Commanderies (漢 郡縣) in ancient Korea -and its influence on “positive-historical” research are based on “rationalism” from the academic perspective. As a result, the study has examined the following facts. Ikeuchi maintained that Daebang-gun was located downstream from the Han River during the period of the Han Commanderies (漢郡縣). His positive-historical research made in the process was less precise than other studies of his and was far from the mode of rationalism. Besides, when compared with other studies of Ikeuchi, such an academic suggestion was based on a view that “the history and culture of old Korea had been subordinate to Manchuria (滿鮮史觀),” which was fully based on the heterogenous character of Korean history at its core. Ikeuchi’s understanding of the location of Daebang-gun was almost identical with that of Shiratori Kurakichi (白鳥庫吉) and Tsuda Soukichi (津 田左右吉). It must be noted that both scholars were the so-called “historians of Manchuria-Korea (滿鮮史學者)” who made research of the relations between Manchuria and Joseon as they were working at the Historic-geographical Research Center of South Manchuria Railway Companies (南滿州鐵道會社). Although Ikeuchi had long proclaimed the importance of “positive-historical research” and “rationalism” in his academic study, he only betrayed his own philosophy when the two ideas encountered with what he had regarded as common knowledge: the heteronomy of Korean history. This clearly shows that even positive-historical research is not totally irrelevant to the reality and the period of a historian.

      • KCI등재

        ‘한사군 한반도설’은 식민사학의 산물인가

        위가야(Wee, Kaya) 역사비평사 2016 역사비평 Vol.- No.114

        Recently civil society organizations of Korea along with a group of National Assembly members criticized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that their research o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followed the Japanese colonist perspective. Their argument is as follows: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agreed that the Four Commanderies established in BC 108 by the Han Empire against Koreans located in the Korean Peninsula, was interpreted by the Japanese colonists to limit Korea’s territory within the peninsula and to maintain that Korea had been a colony of a foreign power since that time. Studies on the Han Commanderies by Japanese historians matter-of-factly justified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and such perspective can be called a colonial view of history. However, the theory of the Han Commanderies in the Korean Peninsulawas not been initiated by Japanese historians; essays of Neo-Confucians 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tain descriptions of it. Consequently, to blame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and academic circles of history for their colonial perspective of Korea’s ancient history and lack of disciplinary analysis is not justified.

      • KCI등재

        백제 온조왕대 영역확장에 대한 재검토 : 비류집단 복속과 ‘마한’ 국읍 병합을 중심으로

        위가야(Wee, Ka-ya) 고려사학회 2013 한국사학보 Vol.- No.50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Samguksagi Baekjebongi’s account which was written about the early period, the Onjo clan, a part of which was founding group of Goguryeo came to the south with continuing political force. Because of that, the Onjo clan could build ancient kingdom rapidly on the basis of its previous experience on the Han river. The Onjo clan set up its first capital in Habukwiryeseong(Wiryeseong on the chronicle account). The Onjo clan transferred the capital to Hanamwiryeseong(Hanseong on the chronicle account) because its friendship with Nakrang was broken while the Onjo clan was coping with Malgal’s invasion. Baekje, which gained the Han river as a natural defense line, divided its national strength which was concentrated on the warfare against external force to internal stability. Baejke’s changed attitude like this became the major factor to develop to a nation. According to the folk tales about establishing kingdom and the situation of absorption, Michuhol which was the Biryu clan’s base is assumed to be the area of Paju and Yangju now. The Michuhol can be related with the Haessi group of Bukbu in the chronicle account. The point which the Baekje conquered Biryu clan is assumed to be around the 18th year of King Onjo’s rule, when the Baekje fought a counter-Malgal combat for defense. Then Baekje which had expanded its political power clashed with ‘Mahan’. ‘Mahan’ which was located in the area of Asan bay at that time was the early Mahan was different from a Mokjiguk that was ruled by Jinwang. Baekje succeeded in the absorption of the Gukeup in ‘Mahan’ by making sudden attack with deceptive tactics although it was subordinate to ‘Mahan’ when it moved its capital to Hanseong. Also the commotion within ‘Mahan’ caused the annexation by Baekje. However, the subjugation of ‘Mahan’ by Baekje meant that the Barkjewang could control the ‘Mahan’ society for Mahanwang, did not mean that Baekje dominated the whole territory of the Mahan. At that times, Mahan centering Mokjiguk still existed in the southern part of Baekje’s reign. As this political situation continued by the middle of the 3th century, the existence of Baekje and Mokjiguk could be recorded in the Samgukji Hanj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