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 후기 선원보첩류의 편찬체제와 그 성격

        원창애(Won Chang-ae)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장서각 Vol.0 No.17

        조선시대 작성된 왕실보첩류는 매우 다양하다. 조선 전기에 작성된 왕실보첩류는 『선원록』 · 『돈녕보첩』 · 『어첩』 · 『팔고조도』 등이다. 특히 『선원록』 · 『돈녕보첩』 등은 왕실의 친족을 파악하여 이들에게 합당한 예후를 하기 위해서 매 식년마다 종부시와 돈녕부에서 단자를 받아 수정하였다. 조선 초기 왕실보첩류는 후기에 들어서면서 편찬체제가 달라지고, 기존의 보첩류와는 성격을 달리한 보첩류들이 간행되었다. 조선 후기에 새로 간행된 왕실보첩류는 『선원계보기략』 · 『왕비세보』 · 『선원속보』 등이다. 조선 후기 왕실보첩류의 편찬체제 변화나 새로운 보첩류가 등장하는 것은 조선 후기의 사회상을 반영한 것이다. 16세기 말 이후 예학의 심화와 종법적인 가족제도의 정착으로 양반가의 족보 간행이 활발해지고, 보학자들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가 왕실보첩류에도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면, 조선 전기 이래 계속 수정 간행된 『선원록』은 1681년(숙종 7)에 와서는 외형적인 편찬체제와 수록 대상 범위가 변화되었다. 즉 從으로 기재되던 『선원록』은 양반가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橫으로 선을 그어 횡간에 기재되게 되었다. 『선원록』의 수록 대상이 本孫 · 外孫 모두 왕의 6대손까지 기재되었던 것이 본손은 왕의 9대손, 외손은 왕의 6대손까지 기재되었다. 이와 같은 본손 · 외손의 차별을 두게 된 것은 '詳內略外'라는 조선 후기 성리학적 유교 윤리가 심화되면서 변화된 가족 의식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왕실보첩류는 기본적으로 왕실의 친족을 파악하여 예후하기 위한 공문서로서의 성격을 띠므로 조선 왕실을 구성하는 핵심 지배층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여러 종류의 왕실보첩류가 기본적으로 어떠한 편찬체제를 가졌는지, 편찬체제가 왜 변화하는지, 새로운 왕실 보첩류들이 왜 등장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또한 여러 명칭의 왕실보첩류가 그 보첩만이 가지는 성격은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가 없었다. 본고는 왕실보첩류에 대한 기초연구로, 왕실보첩류 가운데 왕의 친족을 수록한 선원보첩류(『선원록』 · 『어첩』 · 『팔고조도』 · 『선원계보기략』 · 『선원속보』)의 편찬 체제와 편찬 과정을 통해서 각 선원보첩의 성격과 선원보첩류에 반영된 조선후기 사회상을 알아보았다. There were various types of royal genealogical records documented in the whole period of Joseon dynasty. Early in the dynasty, such royal family records were found as 'Description for Royal Origins'(Sunwon-rok), 'Genealogy Tables of Royal Relatives'(Donnyung-pochup), 'Records for Royal Trees'(Eochup), 'Eight Nodes of Royal Ascendants'(Pal-kojo-do) and others. Every three years, 'Royal Clan Office'(Jongpu-si) and 'Office for Royal Relatives'(Donnyung-pu) gathered a candidate list from alleged royal family relatives in order to delineate the scope of royal families and treat them with privileges. In late time of the dynasty, there appeared a different style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s. They were 'Representative Genealogy Document of Royal Families'(Sunwon-kyepo-kiryak), 'Genealogical Records of Queens' (Wangbi-sepo), 'Continued Records of Royal Families'(Sunwon-sokpo) and others. It seemed to reflect the social realities at that time that there appeared some changes in editing system of the royal genealogy and there occurred a new type of family documents. After 16th century in Joseon, especial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Rite Studies(Ye-hak) and the establishment of family system through the first son's lineage, documentation of family genealogies had been prevailed among noble class of people(Yangban) with assistance from many experts on genealogy. This trend had an impact on the royal family. We can observe some changes both in the stylistic layouts and in the scope of inclusion for relatives, for instance, in 'Description of Royal Origins'(Sunwon-rok) which was done in 1681 or in the 7th year of King Sukjong reign; following the normal style of noble class records, the original vertical tables in column shifted into row tables with horizontal lines: the original scope to include 6th node offsprings equally in the paternal and maternal lines, on one hand, had been expanded up to 9th node offsprings in the patrilineage, while the matrilineage, on the other, had been preserved the same original 6th node with no change. This phenomenon was explained by the late neo-confucian ideology(Sungri-hak) represented as 'Expansion of Inside Nodes but Reduction of Outside Nodes'(Sangnay-Ryakoy) in which they began to sharply discriminate mother nodes in favor of father nodes. Royal family records a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re dominating class constituting the royal family in Joseon dynasty, because the records were regarded a public document officially approved for honorable treatment. We do not have any kind of rudimentary understanding yet on which system various kinds of royal genealogies were adopted in documenting relatives, why the system changed, and why a new style of records came to be prevailed. In addition, among various names of royal family documents, wha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e records had is not known. This paper has revealed what characteristics each royal family record had, especially focusing on the systems and process how it was documented, with reference to the social realities at that time.

      • 조선 왕실보첩에 나타난 친족 의식

        원창애 ( Won Chang-ae ) 한국계보연구회 2013 한국계보연구 Vol.4 No.-

        고려 후기 수용된 성리학은 조선 전기를 거치면서 학문적으로 성숙되고 심화하여 17세기 이후 일상적인 삶에까지 깊이 적용되고 실천되기에 이르렀다. 조선 전기에는 후한 풍속이라 중히 여겼던 전통 의식이나 제도가 성리학적 이념에 비추어 적용하고 변화되는 것이 바른 방향이라고 여기게 되었다. 조선 시대의 친족 제도와 친족 의식 역시 그러한 영향을 받았다. 조선 전기까지도 부계와 모계를 모두 중시하는 친족 의식이 17세기 이후로는 부계 위주의 친족 의식으로 변화되었다. 조선 시대 친족 의식의 변화를 잘 보여 준 것이 바로 왕실이다. 왕실의 친족 의식은 가장 오랫동안 전통적인 모습을 간직하였다. 전통적인 친족 의식을 담아서 편찬된 왕실보첩인 『종친톡』ㆍ『유부록』은 17세기 중반 이후 숙종 대부터 변화를 겪게 되었다. 『종친록』ㆍ『유부록』을 재편한 『선원록』의 편찬, 성리학적 의식이 그대로 반영된 『선원계보기략』을 위시하여 다양한 왕실보첩이 편찬되었다. 태종 대부터 편찬되기 시작한 『종친록』에는 男系만, 『유부록』에는 女系만 수록하여서 왕녀의 자손과 왕자 가계의 여계가 수록되어 있다. 『종친록』ㆍ『유부록』에는 역대 국왕의 6대손까지 수록되어 있다. 세종 대에 오복 제가 연구되고, 이에 의거하여 친족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服親은 4대인 緦麻親까지이며, 5대 단문친은 同姓親이며, 6대에는 친속 관계가 끊어진다는『예기』의 설에 근거하여 친족 관계를 정의하였다. 친족 만이 수록되는 왕실보첩에 친족 관계가 끊어지는 6대손까지 실린 것은 법 제와 전통이 서로 상충되는 부분이다. 특히 여계를 수록한 『유부록』은 전통적인 친족 의식이 잘 드러나 있다. 중국적 관점에서 보면 복제와 관련이 없는 외증손ㆍ외현손은 친족이라 하기 어렵다. 그런데 『유부록』에는 국왕의 외6대손까지 등재되어 있다. 조선 전기 중국의 친족 제도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법제화하여 부계의 비중이 켜져 가고 있지만, 여전히 모계 친족도 중히 여기는 양측적인 친족 의식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성리학적 친족 의식과 전통적인 친족 의식이 양립하는 『종친록』ㆍ『유부록』은 17세기에 변화를 거치게 되었다. 그 단초는 『종친록』ㆍ『유부록』에 등재되어 있는 왕실 친족의 예우 문제와 『종친록』ㆍ『유부록』의 수정 문제 가 논의된 것이다. 효종 대에 『종친록』ㆍ『유부록』에 올라 있는 천인을 속 신하는 문제를 놓고 친손과 외손이 똑같이 적용될 수는 없다는 논의가 있었으나, 이미 보첩에 등재된 인물을 차별할 수는 없다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게다가 전란으로 소실되어 史庫에 보관된 것을 등사한 『종친록』ㆍ 『유부록』 수정 문제가 인조 대부터 지속적으로 거론되었으나 실행되지는 못하였다. 숙종 즉위 후에 마침내 『종친록』ㆍ『유부록』수정 작업이 시작되었다. 『종친록』ㆍ『유부록』으로 나뉜 왕실보첩을 재편하여 『선원록』이라는 이름으로 고쳤다. 또한 『선원록』 편찬에 최종적으로 참여한 서 인의 예학 경향이 왕실보첩에 반영되었다. 예학이 심화되어 갈수록 『가례』와 조선의 전통적인 관습과의 괴리를 어떻게 좁혀 갈 것인가 하는 것이 과제였다. 당시의 예학자들은 주자의 『가례』, 중국의 古禮, 그리고 조선의 전통적인 관습 등을 시의성에 맞게 합리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17세기 서인과 남인의 예에 대한 논쟁을 통해서 서로의 의견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긴 했으나, 시의성과 합리성을 추구하는 기본적인 시각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서인들은 전통적인 왕실보첩의 체제가 합리적인 양반가 보첩 체제로 수정될 수 있다는 보편성을 바탕으로 한 禮意識을 가지고 있었다. 중국의 고례나 『가례』에는 어긋나지만 전통적인 친족 의식에 따라 6대 내외손까지 실린 기존의 왕실보첩 체제를 인정하되, 왕실 남계 손의 수록 대수를 늘려서 여계 손과의 차별성을 드러내려고 하였다. 그 결과 이전의 『종친록』에 6대손까지 수록되었던 왕실 남계 가계를 9대손으로 늘여서 기록하고, 『유부록』에 기록된 여계 자손은 예전처럼 6대손까지로 한정하였다. 또한 보첩 내에 기록된 여성도 체제를 바꾸어서 이미 기록된 여성 이름은 사위의 이름을 기재하고, 그 아래에 細註로 처리를 하였다. 그리고 아녀자의 이름을 알아내어 보첩에 기재하기는 어렵다는 이유를 내세워서 기록되지 않은 여자의 이름을 기재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웠다. 이렇게 함으로써 ‘先男後女’, ‘詳內略外’의 원칙을 왕실보첩에도 적용하였다. It was presumed, by a rule of thumb, that the scopes of relatives or relative consciousness was not so much different from that of Chinese, because the neo - Confucianism had early been rooted as the ruling ideology of Chosun(朝鮮) dynasty. The following research, however, gradually has disproved this naive hypothesis that bilateral relatives of the previous dynasty, Koryeo(高麗), had changed into kinsman system. It was only around the 17th century which saw the transition from bilateral to unilateral, after many different features were accumulated in the research. Although the neo - Confucianism was imported around the late period of Koryeo dynasty, it took quite a long time to be full-fledged and practical in their daily lives, that is, from the 17th century around. In early days of Chosun, the traditional values were rather kept with the generous evaluation, ‘familiar custom’. But as the newly adopted ideology attained righteous position, they began to ratify all of the old values accordingly. The records of royal relatives also seem to reflect this sort of shift perspicuously. The records for king’s families show the transition in which early versions had conservatively preserved the old tradition for quite a long time. There are such materials remained until now for the royal families; ‘Relatives Records’(宗親錄), ‘Included Clans’(類附錄), ‘Essential Documents for Precious Blood’(廟原系譜/紀略), ‘Precious Blood Documents’ (增源錄) and ‘Records for Queens’(王妃世譜). Among them, ‘Relative Records’ and ‘Included Clans’ were drastically changed from the king Sookjong(肅宗) era, around the 17th century. That is, the ramified version of 'Precious Blood Document’, neo-confucian versions of ‘Essential Documents for Precious Blood’ and ‘Records for Queens’ had newly been edited. Their continuous enlarged versions allow us to detect which features were changed in this trend. ‘Relative Records’ list the lineage of sons (princes) and ‘Included Clans' contain daughters (princess) and additional grand daughters from each princes. Both materials delineate the 6th generations. The 4th king of Sejong(世宗) adopted ‘Five Land Divisions’(五服制) and regulated the royal relatives accordingly in the same way. Chinese ‘Canonical Script of Rites’(禮言己) says that the mourning close-relatives who should wear the most harsh garment(總麻親) expand up to the 4th descendents and the 5th nodes are allowed, only if for the same family name, to wear fine textile(袒免親). But the 6th generations onwards have no ties at all without any obligation. It is not clear yet why this peculiarity of royal genealogy reached up to the 6th nodes which was declared, by the neo -confucian ideology, not clans’ any more. 'included Clans’(類附錄) show the traditional meaning of relatives, because it still kept daughters lineages. The neo-confucian principle does not include maternal great children and great-great children who are exempt from wearing any special cloth because they are regarded not relatives any more. This does not explain why the royal genealogies kept the relative up to the 6th generations of maternal lineage. Moreover, ‘Included Clans’ fairly treat the offsprings the same way, regardless of paternal side and maternal side. Although some weight can gradually be observed more on paternal line, it can be stated that the old custom was more or less respected. It further kept some identity which sharply distinguished from aristocratic classes because female names were recorded independently. The normal way at that time was that the husband names were substituted to represent daughters throughout the whole period. The typical way to describe was the exact name of daughter which was followed by “this girl married to whom." It is not sure whether this template goes back to the previous dynasty or not. One of the earliest versions for high class genealogies, ‘Matrix of Haeju Oh Clans’(海州吳氏族圖), listed only son-in - law names which was assumed written in 1401. The bilateral model of clans began to change in the 17th century, when the cordial reception was at issue and the modification was dis cussed on ‘Relative Records’ and ‘Included Clans’ as well. The debate went on how slaves could become a commoner by paying for themselves, from king Hyojong(孝宗) era, but some persistently argued discrimination between direct discendants and maternal offsprings. But they agreed with no discrimination, only if already listed in the records, so as to pay respect to the customs. Only after the debate, in king Injo(仁祖) era, on issuing a copy production of royal records, due to destruction from several Chinese invasions(淸), there began at last to modify two records, as the king Sookjong(肅宗) was enthroned. The main points were imitation of literati styles, in which five or six rows were divided in each page of records and paternal maxims were authorized such as ‘First Males and then. Females’(先男後女) and ‘Precise for Males but Coarse for Females’(詳內外略). The coalitional edition was also published with the name of ‘Documents for Precious Blood’(增源錄). This order reflected the arguments from Western Party(西人) who took part in the edition at that time. Their urgent tasks were regulation between two different features from our tradition and from the new ideology. Although some disagreements were observed between Western Party(西人) and Southern Party(南人), they could successfully reach at consensus in which some ‘timely,and reasonable' measure counted in the negotiation of differences among ‘Family Ritual Norms’(家禮) written by Zhu Xi(朱熹, 1139~1200), Chinese old rites, and our traditional ones. The Western Party members kept some idea to merge two different systems. Although imported ideologies did not allow, the newly edition preserved the previous royal genealogy which included up to the 6th node of offsprings, while the discrimination was so attested that only male descendants expanded further up to the 9th node in ‘Relative Records’. The son-in-law names occupied the daughter nodes instead, while female names, for the time being, were inserted as a footnote. But they were ultimately removed, solely because they could not identify female names with ease. This is a way that the royal records also fit to the norms prevailed at that time; ‘First Males and then Females’ and ‘Precise for Males but Coarse for Femal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고대일록』을 통해본 함양 사족층의 동향

        원창애 ( Chang Ae Won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3 No.-

        임진왜란이 발발해서부터 광해군 초기까지 함양 사족의 일상을 기록한 『고대일록』을 통해서 당시 조선 사회의 모습을 재구성해 보았다. 함양은 일찍부터 사림파 군수인 김종직을 통하여 성리학을 접하게 되었고, 그 학풍을 계승한 곳이다. 성리학풍을 바탕으로 함양으로 이주한 성관에서 문과 급제를 통한 관원이나 생원진사시 입격자들이 배출되면서 함양의 재지사족으로 성장하였다. 사림파의 성리학풍을 계승한 함양 사족은 남명학파와도 맥이 닿았다. 의리지학을 배우고 그것을 실천하는 것을 최고의 목적으로 하는 남명학파 인물들이 함양 사족으로 활동할 당시 임진왜란이 발발하였다. 함양 사족들은 그들의 배운 바를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의병활동에 참여하였다. 그들은 의병을 모집하고, 무기를 제작하였으며, 군자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이 임진왜란 초기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 정유재란 당시 함양 역시 왜적의 피해를 입었으나, 의병 지원 활동이 계속되었다. 이것은 함양 사족이 엘리트로서 향촌 사회에 대하여 가졌던 책임의식을 여실히 보여준 것이다. 전란 속에서도 사족들은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시켜 주는 경제 기반인 토지와 노비에 대한 강한 애착을 드러냈으며, 위기 상황에서 명분보다는 실리를 위해서 상행위까지 마다하지 않는 당시 선비의 유연성까지도 가지고 있었다. 사족의 사회적 지위는 경제 기반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었다. 중종대 규정된 사족은 경제적 부로 측정된 것이 아니라, 문·무과 출신의 자제, 생원·진사, 내외 사조 내의 顯官이 있는 자로 규정되어 있다. 즉 생원진사시 혹은 문·무과의 급제 여부, 과거를 통한 관료 진출 여부가 핵심이었다. 그러므로 전란 속에서도 사족들이 과거에 매달릴 수밖에 없었다. 또한 선조 대에는 지방 유생의 상소가 공론으로 인정되는 사회였다. 중요한 사안이 있을 때 유생들은 상소를 통해 의견을 개진하였다. 일부 함양 사족은 정인홍이 주도하는 대북 계통의 유생이었기 때문에 사회 폐단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상소 이외에도 서인과의 공론 대결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정경운은 정인홍의 제자로 정치색이 뚜렷한 인물이기 때문에 일기 곳곳에서 서인에 대한 평가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모습 속에서 당시 지방 사족들이 정쟁에 가담하는 모습이 생생하게 드러내고 있다. 전란 이후 향촌 사회의 복구에 앞장선 사족들은 향촌을 교화하고, 원악향리의 처벌을 강화하고, 사족들에 대해서도 儒罰을 내림으로써 그들 중심의 향촌 질서를 유지하였다. 이 시기 함양 내에 유력 사족 간의 갈등이 서원의 위차 문제로 표출되었다. 유력 사족의 이러한 갈등은 17세기 이후 서로 다른 정치 노선을 갖게 하는 단초가 되었다. Ko­dae Diaries,`` written by Kyeong­wun Jeong, began in 1592 when Japanese army invaded Choseon and ended in the early Kwang­hae reign. This contains detailed daily activities around the author himself as well as the pertinent persons and events. It allows us to reconstruct what the situations at the war time were like. Ham­yang region where he lived had been influenced earlier than any other places by the neo­confucianism through their county magistrate, Jong­jik Kim, who was a leader of the outside government or Sa­rim faction. The local literatus class in that region grew up from migrated families after their offsprings had begun to pass civil and military service examinations and accordingly assumed official positions in the government. They also communicated closely with the scholars of Nam­myong School. Neo­confucianism emphasized actual practices rather than mere theoretical debates. This ideology enabled them actively to take part in the Anti-Japanese Righteous Volunteer Fighters, when Japanese army invaded firstly in from 1592 to 1598 and secondly in from 1597 to 1598. Their reaction clearly reflected what they felt their responsibilities about their land as the local elite class. The diary also shows that the local literatus class concerned deeply about their economic basis such as cultivation land and slavery. Moreover, they were even involved in commercial activities, too, which belonged at that time mostly to merchant class. In the reign of King Jung­jong, literati were defined not by their economic wealth but by family members who were at least a public officer, a passer of local examinations, or a high officer within great­great grand father nodes including matrilineal line. This regulation explained the reason why they were strongly engaged in taking civil and military service examinations to maintain their status. In the reign of King Seon­jo, local confucian scholars were allowed to send their written opinions to king as a public opinion. Almost of all the literatus class in this area belonged to the Splinter Group of the Easterner (or Dae­Book) Faction, they tended to oppose to Westerners Faction (or Seo­in). The author, who was a disciple of In­hong Jeong, was so political that he often blamed the opposite people so many times in his diary. We can observe a positive function of local literati, on one hand, to recover their society and enlighten local people. They, however, began to confront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with such issues as setting up a tablet order in the shrine of local confucian schools which facilitated, at last, to divide into a different political faction after 17th century.

      • KCI등재

        조선 종친부의 체제 및 기능과 그 변천

        원창애(Won, Chang-Ae) 한국사학회 2014 史學硏究 Vol.- No.114

        조선의 종친부는 고려의 제왕자부와는 달리 왕의 친왕자 이하 모든 종친이 소속된 관서이다. 종친부는 종반직에 제수되는 종친과 동반 관원으로 구성된 이중 체제로 운영되었다. 종친부 구성원인 종친은 정치에는 관여할 수 없었으나, 국가 의례에 참여할 의무를 가지고 있었다. 종친은 각종 국가 제사와 제향, 조회, 왕실 혼인, 흉례, 사신 접대, 대열이나 강무와 같은 군례 등에서 감당해야할 역할이 있었다. 특히 흉례에서는 종친이 주축이 되었다. 종친부는 종친의 봉작과 종반직의 初授?陞進?復職 등에 관여하고, 종친의 예우 문제나 구휼 등 종실의 품위 유지에 힘썼다. ?경국대전?에는 종친부 내의 종친 직임이 따로 규정되어 있지 않다. 충훈부와 마찬가지로 왕이 2품 이상 종친 가운데 3명을 유사당상으로 차임하여 종친을 관할하게 하였다. 왕의 자손이 번성한 시기에는 친왕자 그리고 왕과 촌수가 가까운 왕자군을 위시한 종친이 주로 유사당상에 차임되었다. 인조대 이후 왕자의 출생이 적어지자, 왕자군에게 유사당상을 맡기기가 쉽지 않았다. 종친의 감소로 선왕의 증손이나 현손이 유사당상에 차임되는 사례가 많았다. 그나마 순조대 이후로는 종반직 제수 대상이 거의 없어 종친부 유사당상의 성원도 갖추지 못하였다. 종친의 감소로 종친부가 제 기능을 다 할 수 없게 되자, 헌종대에 종친부 유사당상을 맡은 흥선군은 쇠잔한 왕실의 권위 회복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왕실의 울타리가 되어줄 종친이 거의 없는 현실 속에서 흥선군은 친진된 왕실 후손들에게 관심을 돌렸다. 흥선군은 왕실 후손의 결속을 위해서 왕실의 대동보인 ?선원속보?를 편찬하였고, 고종이 즉위한 후에는 종친부의 재정비에 나섰다. 우선 종친부와 종부시를 통합하여 종친부의 관제를 개정하였다. 개정된 종친부 관제는 종성의 관료가 종친부 관직에 제수될 수 있도록 하였고, 자벽제를 통해서 왕실 후손이 관직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넓혔다. 또한 왕실의 지손들을 보존한다는 명분하에 당하 종반직을 폐지하여 왕의 3, 4대손은 과거에 응시하거나 종친부의 동반직을 통해서 문무관료 관직으로 진출하였다가 2품으로 승진하면 封君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종친의 봉군 범위를 줄인 것이 아니라, 당하 종반직을 폐지하고 일반 관료 관직으로 일원화한 것이다. 조선 후기 종친들이 사림 정치의 여파로 역모에 연루되어 화를 입어 종친의 수가 더욱 감소되었다. 이러한 폐해를 방지하고 종친을 보존한다는 명분으로 오랜 세월 동안 금지했던 과거 응시와 일반 관료 관직 진출을 왕의 3,4대손에게 허락하였다. 종친의 부재 속에서 고종대 종친부 개편으로 종친부가 대원군의 봉사손과 종성 관료들에게 개방되었고, 종친부 당하관직은 자벽제를 도입하여 왕실 후손들의 음직 진출 통로가 되었다. 이러한 개편은 종친부의 권한 강화나 확대이기 보다는 진진된 왕실 후손을 포용하여 종친부를 존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재정비된 종친부는 왕실 후손과 왕실의 유대를 확인하기 위해서 대·소 종회를 개최하는 등 왕실 가문의 일에 관여하게 되었다. 고종대 종친부는 왕실 가문의 크고 작은 행사를 주관하고 왕실보첩을 편찬하는 왕실 가문 기구로 변질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