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설시조의 형태구조 연구

        원용문(Won Yong-Moon) 한국시조학회 2005 시조학논총 Vol.23 No.-

        사설시조의 형태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조의 형태를 종류별로 알아보고,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를 형태적으로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평시조는 3장 6구 12절 이상이라 하였고, 엇시조는 3장 7구 14절 이상이라 하였고, 사설시조는 3장 8구 16절 이상이라 하였다. 이 연구는 1) 시조와 비시조, 2) 엇시조와 사설시조의 구분, 3) 서설시조의 구조 순으로 논의하였다. 1)에서는 2음보에 44조로 된 작품, 시조와 마찬가지로 3장의 형식은 갖추었지만 시조의 틀과 율조에 거리가 먼 작품, 쓰여진 말이나 어구가 우리말이 아니고 한시나 한문 문장으로 되어 있는 작품들은 비시조로 보아서 시조의 범주에서 제외시켰다. 2)에서는 엇시조는 형식을 장별로 보아 1구 2절 이상 늘어난 것만 엇시조로 간주하였고, 사설시조의 경우는 장별로 따졌을 때 어느 한 장에서 2구 4절 이상 늘어나면 사설시조로 간주하였다. 엇시조는 3장 중 어느 한 장에 구 한 개가 늘어난 경우, 사설시조는 3장 중 어느 한 장에 장 한 개가 늘어난 경우라 보면 된다. 3)에서 사설시조의 구조는 시조 1편이 3장 8구 16절 이상 된 것이라 하였다. 시조의 3장중에서 어느 한 장이 2구 4절 이상 늘어났으면 사설시조의 요건을 갖추었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구절 첨가 현상은 ① 초장에서 절(음보) 첨가 현상이 일어난 경우 ② 중장에서 절 첨가 현상이 일어난 경우 ③ 종장에서 절 첨가 현상이 일어난 경우 ④ 초장과 중장에서 동시에 절 첨가 현상이 일어난 경우 ⑤ 중장과 종장에서 동시에 절 첨가 현상이 일어난 경우 ⑥ 초ㆍ중ㆍ종 3장 모두에서 동시에 절 첨가 현상이 일어난 경우 등 다양하기 이를 데 없었다. 그리고 사설시조의 구절 수는 3장중 어느 한 장에서 최소 8절부터 최다 87절까지 늘어난 경우가 있어서 그 격차가 너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morphological types of Sip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morphological structure of Sasul-sijo, and it's also attempted to present standard about how to discriminate Pyong-sijo, Eos-sijo and Sasul-sijo from one another from a morphological standpoint. It's suggested that Sijo with three Jangs, six verses and 12 stanzas or more, with three Jangs, seven verses and 14 stanzas or more, and with three Jangs, eight verses and 16 stanzas or more should respectively be called Pyong-sijo, Eos-sijo and Sasul-sijo. After what Sijo was and what's not were discussed, how to distinguish Eos-sijo from Sasul-sijo was described, and finally, the structure of Sasul-sijo was presented. As for Sijo and non-Sijo, the types of works that consisted of three Jangs, like Sijo, yet didn't suit its framework and Yuljo and we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ere regarded as non-Sijo. Concerning discrimination between Eos-sijo and Sasul-sijo, the type of Sijo that included one more or higher number of verse(s) and two more or higher number of stanzas in one of three Jangs was defined as Eos-sijo, and the type of Sijo that involved two more or higher number of verses and four more or higher number of stanzas in one of three Jangs was called Sasul-sijo. In other words, Eos-sijo contained one more verse in one of three Jangs, and Sasul-sijo included one more Jang in one of three Jangs, The sort of Sijo that contained one more Jang in one of three Jangs could be viewed as Sasul-sijo. Regarding the structure of Sasul-sijo, there should be three Jangs, eight verses and 16 stanzas in one piece of Sasul-sijo. Any type of Sijo that contained two more or higher number of verses and four more or higher number of stanzas could be called Sasul-sijo. Such an addition of verse and stanza could be done in various ways. The examples were ① adding stanzas to the first Jang, ② adding stanzas to the second Jang, ③ adding stanzas to the final Jang, ④ adding stanzas to both the first and second Jangs, ⑤ adding stanzas to both the second and final Jangs, and ⑥ adding stanzas to all the first. second and third Jangs at the same time. Besides, there was an extremely broad gap between the numbers of verse and stanza in Sasul-sijo, which ranged from a low of eight stanzas to a high of 87 ones in one of three Jangs.

      • KCI등재

        고전시가의 율격 문제

        원용문 청람어문교육학회 2003 청람어문교육 Vol.27 No.-

        우리 시가의 율격에 대하여는 그 동안 충분한 논의가 있었다고 본다. 애초에는 음수율론이 공인을 받은 상태였는데, 그 뒤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음수율론이 부정되고, 강약률론, 고저율론, 장단률론 등이 대두되었다. 그러다가 현재는 그 모두가 부정되고 음보율론이 학계와 교육계를 지배하고 있는 상태다. 물론 음보율론이 누구나 수긍할 수 있고, 맞는 것이라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겠지만, 그렇지 못한 상태에서 음보율론이 모든 이론을 누르고 지배하는 것은 잘못된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 모든 이론을 재론하고 음운 현상이나 율격 현상에 맞는 이론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음수율론을 부정하는 근거는 시조의 기존 음수율 즉 초장 3444, 중장 3444, 종장 3543의 글자 수에 완전 일치하는 작품이 전체의 4.0%밖에 안 되고, 많아야 21.1%를 넘지 않는다는 통계 수치에 의거한 것이다. 그래서 정병욱, 이능우에 의하여 강약률론이 제기되었고, 김석연, 황희영에 의하여 고저율론이 제기되었고, 정광, 김대행에 의하여 장단률론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 모든 이론이 맞지 않는다고 부정되면서 조동일에 의하여 음보율론이 다시 제기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음보율이란 명칭은 시행을 단위로 했을 때 붙여지는 이름이지 율격의 기본 단위인 음보를 형성하는 요소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 아니란 사실을 상기해야 된다. 또 음보율이란 어떤 체계의 율격에나 다 있다는 점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즉 강약률이 적용되는 영시, 고저율이 적용되는 중국의 한시, 장단률이 적용되는 희랍시, 음수율이 적용되는 일본시에도 음보율은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 한국시가의 율격이 음보율이란 말은 성립될 수 없다. 그래서 필자는 그 동안 부정되어온 음수율론을 다시 들고 나왔다. 음수율은 시조의 각 음보를 형성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고, 그 음보들은 의미단위와 기식단위에 의해서 등장성을 유지하고 규칙적으로 반복하고 있으니, 시조는 정형시라 할 수 있고, 율격은 음수율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음수율은 국어의 음운자질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언중의 청각에 변별적 기능을 하는데 이바지 한다는 점도 부언해 준다. There has been an enough argument about the meter of Korean poems. At first the number rhythm theory was approved, afterwards it was denied by several scholars and the strong-weak, high-law and long-short rhythm theories appeared. Then now all are denied and the foot rhythm theory is prevalent between the academic and education world. Of course if the foot rhythm theory is so reasonable and acceptable to everybody, there is nothing to desire, but the reality is not now, and it is not desirable that the foot rhythm theory is prevalent. So to find out the suitable theory of phenomenon of phonemes and the meter with ruling out the other theories i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he reason that can deny the number rhythm theory is because there are only 4.0% works that satisfy the standard of sijo, that is, the number of words, first line 3444, second line 3444 and last line 3543, out of whole works and at most there are not more than 21.1% works by the statistics. So the strong-weak rhythm theory by Jeong Byeong-wook and Lee Neung-woo, the high-law rhythm theory by Kim Seok-yeon and Hwang Hee-young and the long-short rhythm theory is proposed by Jeong Kwang and Kim Dae-heng. But now all these theories are denied and the foot rhythm theory is suggested by Jo Dong-il. By the way it should be reminded that the term, foot rhythm is given according to the lines not by the element of making foot but by the basic standard of the meter. Also, I can not help emphasizing the point that the meters are in all the other systems. That is to say, the foot rhythm can be applied to the English Poems of strong-weak rhythm, Chinese Poems of high-law rhythm, Greek poems of long-short rhythm and Japanese poems of number rhythm, so the assertion that the meter of Korean poem is foot rhythm can not be approved . Therefore I suggest the number rhythm theory which has been denied for a while. The number rhythm plays an important role of making each foot rhythm of sijo and appears and repeats itself regularly by the meaning and breathing units, so sijo can be called fixed form of verse and the meter can be called number rhythm. I add remarks that number rhythm is a primary factor of Korean Language phoneme features and it contributes to auditory senses of aud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