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에멀젼 반전법으로 제조된 쿼세틴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

        원보령 ( Bo Ryoung Won ),강명규 ( Myung Kyu Kang ),안유진 ( You Jin Ahn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0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의 쿼세틴을 함유하는 안정한 나노에멀젼의 조성을 찾고 POE (30) hydrogenated castor oil (HCO-30)/오일/쿼세틴/에탄올/물로 이루어진 나노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나노에멀젼은 저에너지법인 emulsion inversion point (EIP) 법과 고에너지법인 균질기(homogenizer)를 병합하여 제조하였다. 나노에멀젼에 대한 에탄올과 다른 성분들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입자 크기, 에멀젼의 형태, 그리고 입자 분포와 같은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나노에멀젼에 대한 쿼세틴의 최적 농도는 0.2 %였다. 계면활성제인 POE (30) hydogenated castor oil (HCO-30) 농도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를 보면, 2.00 %부터는 에멀젼의 입자 크기는 300 nm 이하였으며 HCO-30을 4.75 %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이 가장 안정하고 입자 크기도 172.40 nm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에탄올 4.00%를 함유한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는 128.15 nm이고 입도 분포 또한 좁게 나타났다. 나노에멀젼의 불안정화 과정은 Ostwald ripening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나노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소량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약물의 봉입률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안정한 나노에멀젼을 만듦으로써 스킨 로션, 에센스 및 향수와 같은 화장품과 제약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table formulation of nano-emulsion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querceti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ethanol on the nano-emulsion prepared by POE (30) hydrogenated castor oil (HCO-30)/oil/quercetin/ethanol/water system. Nano-emulsion was prepared using emulsion inversion point (EIP) method as low-energy method plus homogenizer as high-energy method. To evaluate effect of ethanol and other components on the nano-emulsion, physical properties such as droplet size, morphology, and size distribution were determined. The optimal quercetin concentration was 0.2 % on the nano-emulsion. The droplet diameter was below 300 nm at the HCO-30 concentration below 2.00 %. Nano-emmulsion containing 4.75 % HCO-30 was the most stable and its mean droplet size was 172.40 nm. Finally, the size of nano-emulsion containing 4.00 % ethanol was 128.15 nm and size distribution was also narro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reakdown process of this nano-emulsion could be attributed to Ostwald ripening. This study about effect of ethanol on the nano-emulsion showed that loading capacity of drug could be increased by using a small amount of ethanol. As prepared stable nano-emul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se results could be applied to pharmaceutics, cosmetic including skin-care products, perfume and etc.

      • KCI등재후보

        고에너지유화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나노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

        원보령 ( Bo Ryoung Won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0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에서는 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s (HCOs)/오일/에탄올/물로 이루어진 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에멀젼은 고에너지법인 균질기(homogenizer)를 병합하여 제조하였다. 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입자 크기와 입자 분포 등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다른 성분의 조성은 같도록 하였다. HCO-20의 경우 에멀젼의 크기가 마이크로미터 크기에서 에탄올이 증가할수록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HCO-30의 경우 계면활성제 농도 4.00 %에서 입자 크기가 나노미터 크기로 나타났으며, 에탄올의 농도가 4.25 % 일 때 조성 1에서 입자 크기가 128.15 ± 1.06 nm이고 조성 2에서는 136.10 ± 0.99 nm로 가장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생성되었다. 마찬가지로 HCO-40은 계면활성제 농도 4.00 %에서 입자가 나노미터 크기로 나타났으며, 에탄올이 4.50%일 때 조성 1에서 입자 크기가 115.85 ± 0.78 nm이고 조성 2는 121.15 ± 0.35 nm로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생성되었다. HCO-60의 경우에서는 계면활성제 농도 4.00 %, 에탄올 농도 2.25 %에서 에멀젼의 크기가 262.35 ± 0.64 nm인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생성되었다. 마이크로 크기의 에멀젼에서는 에탄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나노에멀젼에서는 에탄올의 특정 농도에서 최저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나노에멀젼의 불안정화 과정은 Ostwald ripening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른 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안정한 에멀젼을 만들기 위한 에탄올의 함량을 계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thanol on the emulsion prepared by 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s (HCOs)/oil/ethanol/water system. Emulsions were prepared using homogenizer as high-energy method. To evaluate effect of ethanol on the emulsion, physical properties such as droplet size and size distribution were determined and other components were almost fixed to analyze the effect of ethanol on the surfactant. In case of HCO-20, the droplet diameter was in micrometers and the droplet size was gradually deceased as the ethanol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droplet diameter of nano-emulsion containing 4.00 % of HCO-30 was shown in nanometers and its mean droplet size was 128.15 ± 1.06 nm and the most stable at the 4.25 % of ethanol contents by the Form. 1 and 136.10 ± 0.99 nm at the 3.50 % of ethanol contents by the Form. 2. Similarly, the droplet diameter of nano-emulsion containing 4.00 % of HCO-40 and 4.50 % ethanol by the Form. 1 was 115.85 ± 0.78 nm and 121.15 ± 0.35 nm at the 3.25 % of ethanol by the Form. 2 and both size distributions were also narrow. Finally, the droplet size of nano-emulsion containing 4.00 % of HCO-60 and 2.25 % ethanol was 262.35 ± 0.64 nm and the most stable. The higher ethanol concentrations became the smaller size of emulsion became in the microscale emulsion but we determined nano-emulsion had a minimum size at a certain ethanol concent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reakdown process of this nano-emulsion could be attributed to Ostwald ripening. This study about effect of ethanol on the emulsion showed that ethanol contents to prepare a stable emulsion could be determined as studying the effect of ethanol on the emulsion with the type of surfactants.

      • KCI등재후보

        루이보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성분 분석 및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과

        양희정 ( Hee Jung Yang ),원보령 ( Bo Ryoung Won ),임영진 ( Young Jin Lim ),윤선경 ( Sun Kyeong Yoon ),지동환 ( Dong Hwan Ji ),최지연 ( Jee Yeon Choi ),한승주 ( Seung Joo Han ),이충우 ( Chung Woo Lee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07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루이보스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분석 및 elast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sub>50</sub>)은 50 % ethanol 추출물(11.50 ㎍/mL) <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8.47) < ethylacetate 분획(4.76)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루이보스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ethylacetate 분획 (OSC<sub>50</sub>, 4.58 ㎍/mL) < aglycone 분획(2.20) < 50% ethanol 추출물(1.09)순으로, 50 % 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루이보스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루이보스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 ~ 100 ㎍/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50 % ethanol 추출물은 50 ㎍/mL 농도에서 τ<sub>50</sub>이 273.00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루이보스 추출물 중 ethyl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에서 3개의 띠로 분리되었으며, HPLC 실험(360 nm)에서 3개의 피이크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3가지 성분은 luteolin, quercetin 및 kaempferol이었으며, 그들의 성분비는 각각 18.24 %, 58.79 %, 22.97 %로 quercetin의 함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루이보스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의 TLC 크로마토그램은 7개의 띠로 분리되었고, HPLE 크로마토그램은 9개의 피이크를 보여주었다. TLC와 HPLC의 띠와 피이크를 확인한 결과, HPLC의 9개의 피이크는 용리순서로 peak 1 (조성비 14.71 %)은 isoorientin, peak 2 (28.84 %)는 orientin peak 3 (5.63 %)은 vitexin, peak 4 (12.73 %)는 rutin과 isovitexin, peak 5 (9.24 %)는 hyperoside, peak 6 (5.40%)은 isoquercitrin, peak 7 (1.48 %)은 luteolin, peak 8 (17.61 %)은 quercetin 및 peak 9 (4.59 %)는 kaempferol로 확인되었다. Aglycone 분획은 elastase 저해활성(IC<sub>50</sub>)이 9.08 ㎍/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루이보스 추출물이 <sup>1</sup>O<sub>2</sub>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루이보스 성분에 대한 분석과 ethylacetate 분획의 당 제거 실험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의 큰 elastase 저해활성으로부터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inhibitory effects on elastase, and components of Aspalathus linearis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ies (FSC<sub>50</sub>) of extract/fractions of Aspalathus linearis were in the order: 50 % ethanol extract (11.50 ㎍/mL) < deglycosylated flavonoid aglycone fraction (8.47 ㎍/mL) < ethylacetate fraction (4.76 ㎍/m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ies (OSC<sub>50</sub>) of some Aspalathus linearis extracts on ROS generated in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system were investigated using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assay. The order of ROS scavenging activities were ethylacetate fraction (OSC<sub>50</sub>, 4.58 ㎍/mL) < deglycosylated flavonoid aglycone fraction (2.20 ㎍/mL) < 50 % ethanol extract (1.09 ㎍/mL). 50 % Ethanol extract showed the most prominent scavenging activity. The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fractions of Aspalathus linearis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vestigated. The Aspalathus linearis extracts suppressed photohemolysi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particularly 50 % ethanol extract exhibited the most prominent celluar protective effect (τ<sub>50</sub>, 272.00 min at 50 ㎍/mL). Aglycone fractions obtained from the deglycosylation reaction of ethylacetate fraction among the Aspalathus linearis extracts, showed 3 bands in TLC and 3 peaks in HPLC experiments (360 nm). Three components were identified as luteolin (composition ratio, 18.24 %), quercetin (58.79), and kaempferol (22.97). TLC chromatogram of ethylacetate fraction of Aspalathus linearis extract revealed 7 bands and HPLC chromatogram showed 9 peaks, which were identified as isoorientin (composition ratio, 14.71 %), orientin (28.84 %), vitexin (5.63 %), rutin and isovitexin (12.73 %), hyperoside (9.24 %), isoquercitrin (5.40 %), luteolin (1.48 %), quercetin (17.61 %) and kaempferol (4.59 %) in the order of elution time. The inhibitory effect of aglycone fraction on elastase (IC<sub>50</sub>, 9.08 ㎍/mL) was very hig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tract/fractions of Aspalathus linearis can function as antioxidants in biological systems, particularly skin exposed to UV radiation by scavenging <sup>1</sup>O<sub>2</sub> and other ROS, and protect cellular membranes against ROS. And component analysis of Aspalathus linearis extract and inhibitory activity on elastase of the aglycone fraction could be applicable to new functional cosmetics for smoothing wrinkles.

      • KCI등재후보

        흑연전극을 사용한 전압전류법을 이용하여 스킨로션 중 루틴성분의 정량분석

        강명규 ( Myung Kyu Kang ),원보령 ( Bo Ryoung Won ),이동국 ( Dong-kuk Lee ),이수영 ( Suw Young Ly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0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5 No.4

        스킨로션에 함유된 루틴을 정량하기 위하여 사각파형 전압전류법에서 흑연을 작업 전극으로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루틴을 정량하기 위한 최적 분석 조건을 찾았고 이 조건에서 1.00 ~ 8.00 μg/mL의 농도에 대한 루틴의 검량선을 나타내었다. 0.10 μg/mL의 루틴 농도에서 15번 반복 측정한 상대 표준편차는 0.08이였으며, 최소 분석 검출 한계는 0.01 μg/mL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화장품에 함유되어 있는 활성성분을 정량하는데 사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studied square-wave stripping voltammetry (SWV) to analyze quantitatively rutin contained in transparent skin-lotion using graphite electrode. The optimum analytical condition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rutin were determined and the linear range was obtained of 1 ~ 8 μg/mL.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fifteen times repetition measurement for 0.1 μg/mL of rutin was 0.080 and the detection limit was 0.01 μg/mL, respectively. We considered that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active components contained in cosmetics.

      • KCI등재후보

        라벤더 발효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성분 분석

        안유진 ( You Jin Ahn ),원보령 ( Bo Ryoung Won ),강명규 ( Myung Kyu Kang ),김재현 ( Jai Hyun Kim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0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에서는 라벤더 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분석 및 tyrosin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sub>50</sub>)은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5.95 μ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라벤더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1.45 μ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라벤더 추출물과 발효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고, 농도 의존적(1 ~ 50 μg/mL)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sub>50</sub>)는 라벤더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과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이 각각 144.80 μg/mL, 122.40 μg/mL으로 나타났다. 라벤더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과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은 TLC에서 공통으로 3개의 띠로 분리되었으며, HPLC (340 nm)에서도 ethyl acetate 분획과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이 각각 3, 2개로 나타났다. 각각의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ethyl acetate 분획과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에서 공통적으로 rosmarinic acid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라벤더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들이 <sup>1</sup>O<sub>2</sub>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하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또한 라벤더 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의 성분 및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발효 후에 차이점을 확인, 이를 통한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nd component of non-fermented and fermented Lavandula angustifolia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fermented extract (5.95 μg/mL) showed the most prominent th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FSC<sub>50</sub>).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ies (OSC<sub>50</sub>) of L. angustifolia extracts on ROS generated in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system were investigated using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assay.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fermented extract (1.45 μg/mL) showed the most prominent ROS scavenging activity. The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fractions of L. angustifolia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vestigated. The L. angustifolia extracts suppressed photohemolysi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1 ∼ 50 μg/mL). The inhibitory effect of L. angustifolia extracts on tyrosinase was investigated to assess their whitening efficacy. Inhibitory effects (IC<sub>50</sub>) on tyrosinase were determined with ethyl acetate fraction of L. angustifolia extract (144.80 μg/mL) and ethyl acetate fraction of fermented extract (122.40 μg/mL). Fractions of ethyl acetate and fermented extracts showed both 3 band in TLC and 3 peaks, 2 peaks in HPLC (340 nm), respectively. In each chromatography, fractions of ethyl acetate both from non-fermented and fermented L. angusfifolia have rosmarinic acid in comm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onent and content of non-fermented and fermented extracts of L. angustifolia are different. Both of the extract of L. angustifolia can be used as an antioxidant.

      • KCI등재후보

        Vitamin E Acetate를 함유한 Nano-emulsion 제조와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Vitamin E Acetate의 경표피 흡수에 관한 In Vitro 연구

        김재현 ( Jai Hyun Kim ),양희정 ( Hee Jung Yang ),원보령 ( Bo Ryoung Won ),안유진 ( You Jin Ahn ),강명규 ( Myung Kyu Kang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0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과 의약품 분야에서 항산화 물질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용성 비타민인 vitamin E acetate(VEA, tocopheryl acetate)를 이용한 스킨토너 제형의 나노 입자 크기의 에멀젼을 제조하고, 이 에멀젼을 이용해 ICR outbred albino mice (12주령 약 50 g, 암컷) 피부로의 VEA 침투와 receptor phase 조성에 따른 VEA의 용해도 차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VEA를 0.07 wt% 함유한 nano-emulsion의 입자는 에탄올(ethanol, EtOH) 함량이 많을수록 그 크기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고 계면활성제 함량이 많은 경우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Receptor phase에서 적절한 EtOH 함량이 VEA의 용해도를 증가시켰다. EtOH 함량이 5.0, 40.0 wt%인 경우보다 10.0, 20.0 wt% 일 때 VEA의 용해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Receptor phase의 계면활성제 종류 역시 VEA 용해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학구조와 HLB값이 다른 세 가지 계면활성제를 비교한 결과 sorbitan sesquioleate (Arlacel 83; HLB 3.7) > POE (10) hydrogenated castor oil (HCO-10; HLB 6.5) > sorbitan monostearate (Arlacel 60; HLB 4.7)순으로 VEA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하였다. Receptor phase에 첨가된 산화 방지제 종류에 따라서도 VEA의 용해도는 차이를 보였다. Ascorbic acid를 함유한 시료는 EDTA-2Na가 첨가된 시료보다 VEA 용해도가 높았고 이 두 가지 산화방지제를 혼합한 시료와 초기에 비슷한 용해도를 보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양상이 달라져 최종 24 h 뒤에는 2배 정도의 높은 용해도를 보였다. 네 가지 다른 함량의 VEA 함유 nano-emulsion을 이용하여 쥐 피부 Franz diffusion cell 실험을 수행한 결과 EtOH 함량이 10.0 wt%인 경우에 128.8 μg/cm<sup>2</sup>으로 VEA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이것은 초기 VEA 투입량인 220.057 μg/cm<sup>2</sup>과 비교하여 58.53 %가 투과된 것으로 EtOH 함량이 1.0, 20.0 wt%인 에멀젼과 비교해 볼 때 각각 45 %, 15 %씩 높았다. 동일한 EtOH 농도로 제조한 에멀젼과 비교했을 때, 0.5 wt%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에멀젼의 입자 크기는 계면활성제 0.007 wt% 에멀젼 입자 크기의 1/20 정도인 26.0 nm로 매우 작았다. 하지만 쥐 피부를 투과하는 VEA의 양은 54.848 μg/cm<sup>2</sup> 로 128.8 μg/cm<sup>2</sup> 의 투과량을 보인 0.007 wt% 계면활성제 함유 에멀젼보다 적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VEA를 함유한 nano-emulsion의 피부 투과도와 receptor phase 조성에 따른 VEA의 용해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이용하여 VEA를 피부 내로 침투시키는 데 필요한 최적의 조건을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vitamin E acetate (VEA, tocopheryl acetate), a lipid-soluble vitamin which is widely used in the cosmetics and medical supply field as a antioxidant material. The stable nano particle emulsion of skin toner type containing VEA was prepared. To evaluate the skin permeation, experiments on VEA permeation to the skin of the ICR outbred albino mice (12 weeks, about 50 g, female) and on differences of solubility as a function of re-ceptor formulations was performed. The analysis of nano-emulsions containing VEA 0.07 % showed that the higher ethanol contents the larger emulsions were formed, while the higher surfactant contents the size became smaller. A certain contents of ethanol in receptor phase increased VEA solubility on the nano-emulsion. When the ethanol contents were 10.0 % and 20.0 %, the VEA solubility was higher than 5.0 % and 40.0 %, respectively. The type of surfactant in receptor solution influenced to VEA solubility. The comparison between three kind surfactants whose chemical structures and HLB values are different, showed that solubility of VEA was increased as order of sorbitan sesquioleate (Arlacel 83; HLB 3.7) > POE (10) hydrogenated castor oil (HCO-10; HLB 6.5) > sorbitan monostearate (Arlacel 60; HLB 4.7). VEA solubility was also shown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antioxidant. In early time, the solubility of the sample including ascorbic acid was similar to those of other samples including other types of antioxidants. However, the solubility of the sample including ascorbic acid was 2 times high-er than others after 24 h. Franz diffusion cell experiment using mouse skin was performed with four nano-emulsion samples which have different VEA contents. The emulsion of 10 wt% ethanol was shown to be the most permeable at the amount of 128.8 μg/cm<sup>2</sup>. When the result of 10 % ethanol content was compared with initial input of 220.057 μg/cm<sup>2</sup>, the permeated amount was 58.53 % and the permeated amount at 10 % ethanol was higher 45.0 % and 15.0 % than the other results which ethanol contents were 1.0 and 20.0 wt%, respectively. Emulsion particle size used 0.5 % surfactant (HCO-60) was 26.0 nm that is one twentieth time smaller than the size of 0.007 % surfactant (HCO-60) at the same ethanol content. Transepidermal permeation of VEA was 54.848 μg/cm<sup>2</sup> which is smaller than that of particlesize 590.7 nm. Skin permeation of nano-emulsion containing VEA and difference of VEA sol-ubility as a function of receptor phase formulation were determined from the results. Using these results, optimal conditions of transepidermal permeation with VEA were considered to be set up.

      • KCI등재후보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에 관한 연구(II)

        김진영 ( Jin Young Kim ),양희정 ( Hee Jung Yang ),이근하 ( Keun Ha Lee ),전소미 ( So Mi Jeon ),안유진 ( You Jin Ahn ),원보령 ( Bo Ryoung Won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07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3 No.3

        선구 연구로부터 저자들은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보호 효과에 대한 결과의 일부를 이미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나머지 37종의 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미백 그리고 주름생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으로 인한 luminol의 화학발광을 이용한 소거 활성, 사람 적혈구를 대상으로 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활성산소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free radical의 소거 활성(FSC<sub>50</sub>)은 소귀나무 수피(Myrica rubra, 5 g/mL),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 8 g/mL)에서 높게 나타났고, 활성산소 소거 활성(OSC<sub>50</sub>)은 상수리나무 잎(Quercus acutissima)과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에서 0.009 g/mL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포보호 효과( 50)는 50 g/mL에서 광대싸리 수피(Securinega suffruticosa, 895 min), 버드나무 줄기(Salix koreensis, 640 min)에서 크게 나타났다. 200 g/mL에서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sub>50</sub>)는 소귀나무 수피(Myrica rubra, 77.8 %),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sub>50</sub>)는 버드나무 줄기(Salix koreensis, 76.2 %)에서 큰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광대싸리 수피, 소귀나무 수피, 상수리나무 잎, 버드나무 줄기, 동백나무 잎/줄기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제조를 위한 원료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에 제품화를 위하여 좀 더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n the previous study, we reported the antioxidative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Jeju native plant extra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s of new 37 plant extracts collected from self-growing plants in Jeju isl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y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ssay in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system. The cytoprotective properties of 37 plant extracts were assessed i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The inhibitory effect of 37 plant extracts on tyrosinase were investigated to assess their whitening efficacy. Finally, their anti-elastase activities were measured to predict the anti-wrinkle efficacy in the human sk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tracts of Myrica rubra stem bark and Securinega suffruticosa hav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SC<sub>50</sub>: 5, 8 g/ mL, respectively), and the extracts of Quercus acutissima leaf and Securinega suffruticosa stem bark have the prominent ROS scavenging activity (OSC<sub>50</sub>: 0.009 g/mL). Photohemolysis of erythrocytes in the presence of rose-bengal as a sensitizer was inhibited by the extracts of Securinega suffruticosa stem bark and Salix koreensis stem (τ<sub>50</sub>, 895 min, 640 min at 50 g/mL, respectively. Myrica rubra stem bark extract (77.8 % at 200 g/mL) and Salix koreensis stem extract (76.2 % at 200 g/mL) also have the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nd elastase activitie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em park of Myrica rubra, Securinega suffruticosa, and Camellia japonica, the stem of Salix koreensis, and the leaf of Quercus aqutissima and Camellia japonica could have the benefitial effects when they are added as ingredients in cosm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