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Isoflavonoid 입체이성질체의 합성, 특성 분석 및 절대구조 규명
Isoflavonoid는 flavonoid계통의 물질로서 주로 콩과 (Leguminosae )식물에서 발견된다. Isoflavonoid는 에스트로젠과 구조가 유사하여 인체에서 에스트로젠, 항산화, 항암 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equol은 유방암 억제에 큰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흥미롭게도 인체 내에서 equol은 S-form 으로만 선택적으로 형성 되고 S-equol 만이 생물학적 특성을 지닌다. 그래서 isoflavonoid의 입체화학은 매우 중요하다. 거울상 이성질체 (enantiomer)는 같은 물리적 특성을 가진다. 그래서 차이점을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하지만 거울상 이성질체는 서로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CD (circular dichroism) 는 시계, 반 시계 방향의 회전하는 빛을 가지고 있어 거울상 이성질체의 차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이미 구조를 알고 있는 chiral derivative를 거울상 이성질체에 합성하면 부분 이성질체가 형성되어 물리적 특성이 서로 다르게 된다. Isoflavone을 환원조건에서 반응 시키면 isoflavanone 생성되며 추가로 반응 되면 cis, trans-isoflavanol이 동시에 생성된다. 반응물은 silica-gel 컬럼으로 분리되고 각각의 거울상 이성질체는 chiral 컬럼으로 분리 하였다. CD spectroscopy를 통해 각각의 구조를 규명한다. 또한 acetylmandelic acid와 2-Naphthylmethoxyacetic acid (2NMA)는 chiral derivative 로 mosher method 를 이용하여 각각의 구조를 규명한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부분 이성질체를 결정화 하여 X-ray 구조분석을 통해 정확한 구조를 분석한다. Isoflavonoids form a distinctive subclass of the flavonoids and are mainly found in Leguminosae species. Isoflavonoids exhibit estrogenic, antiangiogenic,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to human, probably due to the structural similarity of the metabolites to human estrogens. For example, equol was reported as the most effective compound for preventing breast cancer. Interestingly, biological equol production was found stereoselective with formation of S-equol which only has biological activities. So we were interested in stereochemistry of isoflavanoids. Enantiomers have same physical properties, so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But there have different optical properties. Circular dichroism (CD) has clockwise and anticlockwise circularly polarized light. Therefore we can analyze enantiomers in some specific conditions. And we can also use another method by chiral derivatization. Cis and trans-isoflavanol were synthesized from the reduction of isoflavone. Enantiomers of cis, and trans-isoflavanol were further isolated by sumi-chiral column chromatography. 2-Naphthylmethoxyacetic acid (2NMA) was used as a chiral derivative to determine the absolute configuration of isoflavanol steroisomers. An enantiomer of cis-isoflavanol and trans-isoflavanol were derivatized with R-2NMA and S-2NMA, respectively, and their absolute configurations were determined by Mosher method. The empirical chiral recognition by the anisotropic shielding group was further confirmed by X-ray crystallography.
(Abstract) A rapid change in social environment including the development in mass media brought about a change in lifestyle of modern women. Accordingly, a desire for decorating themselves and highlighting their beauty in modern women is getting higher than ever. Amidst the rapidly-changing information society, the women in modern times can swiftly come into information on trends at home and abroad. Diverse techniques available for realizing this were developed and supplied. Thus, a desire for decorating and expressing oneself came to be represented more positively. As hair is a part of the body and is an important part, which forms the whole facial image, it functions as the decoration of completing the image. Hair design, which has this hair as medium, is one of beauty art, thereby demanding a balanced beauty and a harmonic beauty with the body. Also, hair design possesses the considerable importance in women's desire for pursuing beauty. It is being constantly required a research of new design, which can satisfy modern women's individual desire and longing. From old times, nature has become an object of attention in artists and writers as the origin of providing a creative motif. Even out of nature, a flower is especially a material for which artists enjoy looking as the representative nature of symbolizing beauty. A human being comes to feel a desire for creation with being inspired by any image from nature and comes to make a creative work of art by expressing it based on own unique imagery. Among innumerable motifs of nature that are given to us, a flower functions as a good material available for a change in many forms and is also a vehicle available for creating another natural world. This study devised a work by having a motif as a rose for which women prefer the most among flowers, and developed up style by modeling a direct and indirect form of a rose based on the components, principle and expression technique of up style, thereby having aimed to satisfy the aesthetic desire of customers, who want to be outstanding on a special day, and to be helpful for developing the creative and individual hair design. A rose is becoming a material of art such as painting and sculpture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and is becoming a major theme in perfume, textile and design such as fashion design. It is said that ‘Bacchus Festival,’ which is the official carnival of the Romans who liked a rose the most in the history, was full of people who adorned themselves with a rose, that even soldiers needed to decorate themselves with a rose, and that there was also a holiday of commemorating the rose. A rose symbolizes love and beauty and has been used frequently as a material of a literary work, painting or art. It can be easily found even in bouquet(bunch of flowers), corsage, or boutonniere ornament. A rose has been a motif in fashion, perfume and accessory even until now, thereby being able to be considered to be closest to a human being among flowers. Examining a dictionary definition of rose(薔薇), it is a bush flowering tree(花木) as a generic term of plants, which belong to a dicotyledonous plant rose and a bíddy-bìddy throat rose. The basic structure of rose is a pinnately compound leaf whose leaf is estranged and that is composed of 3∼7 small leaves. A small leaf includes oval, long oval, and long egg shape. A leaf tip is sharp. The base is stumpy. The hidden side is tinged with white. However, a young leaf is purple red. There is sawtooth on the edge. A stipule is thin and long. A leafstalk is attached to the lower section. The upper part is like a needle. A stem is mainly tinged with green and has thorn. A rose variety is divided into hybrid tea(H.T) floribunda(Flo), LandscapeRoses(LA), Climbing(CL), and miniature(Min) system by genealogical classification. This study had totally 6 sorts as motifs with 2 sorts in climbing system, and by 1 sort, respectively, in the remaining systems. In a plan for design, the characteristic rose variety was selected by considering ecology and sorts after conceiving of the design in the colorful and beautiful hair up style of rose. Components, color, texture, design principle, and expression technique were established in line with a theme after creating a design theme. In the development in design, it was expressed in making a work by developing an idea based on the formativeness along with the observation on motif, by mixing creative and originative ideas, by implementing a concept on creating design, and by applying up-style components and basic technique. Work Ⅰ is up-style design that embodied Barkarole rose, which is a motif. Up style with the splendor and the passionate & strong image was created by emphasizing a big flower shape in the top point. The mystique of rose with being layered by overlapping the hair strands was expressed. Work Ⅱ gave shape to a rose by having Goldschatz as a motif. Back point was stressed. A sense of stability was given that is available for maintaining a rhythmical sense and a balance by regularly applying the iterative principle with the same unit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nape corner. Work Ⅲ is design that embodied a characteristic of cocktail rose in a series of a climbing rose. A rambling rose stem of being entangled on both sides was produced by primarily using the three-strand braiding method. As for a flower shape, a cute form in a climbing rose by putting texture with braiding was shown with 5 flower shapes. Work Ⅳ is up style that had Leonardo da Vinci as a motif. Rhythm and directionality of a compound petal were expressed by applying the iterative principle from the forelock part to the top point. Flexibility and splendor were emphasized by allowing the wave of a curve to be continued. Work Ⅴ is up-style design that gave shape to Lavender Meillandina rose, which is a motif. A rectangular form, which is lengthily continued by giving wave, was represented by embodying a stem. The mixed texture was harmoniously expressed by creating the smooth texture on the left side and the embossed texture on the right side. The expression of a flower was formed in order to feel a petal in a small form of the miniature system by using an artificial hair piece. Work Ⅵ embodied pink Meidilland rose. An oval form, which seems to be lengthy, was presented by giving shape to a rose leaf in the nape point. The nape point was stressed by expressing a simple leaf of rose using an artificial hair piece. This study completed a creative work by developing hair-up style design by having a rose as a motif. In the whole process of planning and completing design, a rose especially out of nature could be known to be selected as a material of diverse art fields due to containing the unique formativeness and harmonic beauty, and to constantly offer a creative motif owing to the infinite artistic value. Also, the hair beauty field could be known to be expanding a sphere into one genre of art, which has a material as hair that is a part of the body, beyond the existing technical hair care. An attempt for developing design and creative work of having hair as a material is being developed even into the hair art field from the service business of managing hair, thereby making the art field richer by expanding the sphere of creation. The development in more creative and originative hair design is expected to be ceaselessly continued that can satisfy modern people's desire for beauty based on the creation of hair up style as a new art genre in this way. (초 록) 매스미디어의 발달을 비롯한 급격한 사회 환경의 변화는 현대 여성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변화를 가져 왔으며 이에 따라 현대 여성들에게는 자신을 꾸미고 자신의 아름다움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욕망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급격히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 속에서, 현대의 여성들은 국내외 트렌드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접할 수 있으며 이를 실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 보급되어 자신을 꾸미고 표현하고자하는 욕구를 보다 적극적으로 표현하게 되었다. 헤어는 신체의 일부이자 얼굴 전체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이미지를 완성해 주는 장식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헤어를 매개체로 하는 헤어디자인은 미용예술의 하나로 신체와의 균형미와 조화미를 요구한다. 또한 헤어디자인은 여성들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욕망에 있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현대 여성들의 개성 있는 욕구와 갈망을 채워줄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의 연구가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다. 예로부터 자연은 창의적인 모티브를 제공하는 근원으로서 예술가들과 작가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자연 중에서도 특히 꽃은 미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자연으로 예술가들이 즐겨 찾는 소재이다.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어떤 이미지에 영감을 받아 창작에 대한 욕구를 느끼게 되고, 그것을 자기만의 독특한 심상에 의해 표출하여 창조적인 예술 작품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우리에게 주어지는 무수한 자연의 모티브들 중 꽃은 여러 가지 형의 변환이 가능한 좋은 소재로 활용되며 또 다른 자연 세계를 창출할 수 있는 매개체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꽃 중에서 여성들이 가장 선호하는 장미꽃을 모티브로 하여 헤어업스타일 작품을 구상하였다. 헤어업스타일의 구성요소와 원리, 표현기법을 바탕으로 장미꽃의 직간접 형태를 조형화하여 업스타일을 개발함으로써 특별한 날 돋보이고 싶어 하는 고객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창의적이면서도 개성적인 헤어 디자인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장미꽃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회화, 조각 등 예술의 소재가 되고 있으며 향수와 텍스타일, 패션디자인 등 디자인의 주요 테마가 되고 있다. 장미꽃은 사랑과 아름다움을 상징하며 문학 작품이나 회화와 예술의 소재로 빈번히 사용되어 왔으며 부케(꽃다발)나 코사지, 부토니아 장식 등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현재까지도 장미는 패션, 향수, 장신구 등의 모티브가 되고 있어 꽃 중에서 가장 인간에게 가장 밀접하다고 볼 수 있다. 장미(rose, 薔薇)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쌍떡잎식물 장미 목 장미과 장미 속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으로 관목성의 화목(花木)이다. 장미의 기복적인 구조는 잎은 어긋나고 3∼7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타원형, 긴 타원형, 긴 달걀 모양이며 잎 끝은 뾰족하고 기부는 뭉툭하다. 뒷면은 흰빛이 돌지만 어린잎은 홍자색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턱잎은 가늘고 길며, 하단부가 잎자루에 붙어 있으며, 윗부분은 바늘 같고, 줄기는 녹색을 주로 띠며 가시가 있다. 장미꽃의 품종에서 계통의 분류별로는 하이브리드 티(hybrid tea), 플로리분다(floribunda), 랜드스케이프계(LandscapeRoses), 클라이밍(Climbing), 미니어쳐(miniature) 계통으로 나누어진다. 본 논문은 하이브리드 티 1종, 플로분다 1종, 랜드스케이프 1종, 클라이밍 2종, 미니어쳐 1종으로 총 6종의 장미꽃을 헤어업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위한 모티브로 선정하였다. 디자인 계획에서는 장미꽃의 생태와 종류를 고찰하여 특징적인 장미꽃 품종을 선정하였으며 구성요소, 컬러, 질감, 디자인 원리, 표현기법 등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미꽃의 화려하고 아름다운 형태를 재현한 헤어업스타일 디자인을 구상하였다. 장미꽃을 모티브로 한 헤어업스타일 디자인을 전개하기 위하여 모티브의 형태와 생태, 조형성 등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디자인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창조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을 기획하였으며 업스타일 구성요소와 표현기법 등을 활용하여 작품을 창작하였다. 작품Ⅰ은 모티브인 바카롤 장미꽃을 형상화 한 업스타일 디자인이다. 탑 포인트에 큰 꽃모양을 강조하여 화려함과 열정적이고 강렬한 이미지의 업스타일을 연출하였으며 모발가닥을 겹치기 하여 겹겹이 쌓여진 장미꽃의 신비로움을 표현하였다. 작품Ⅱ는 골드샤츠를 모티브로 하여 장미꽃 모양을 형상화하였다. 백 포인트를 강조하였고 왼쪽 사이드에서 오른쪽 네이프 코너까지 동일한 단위로 규칙적으로 반복 원리를 적용하여 율동감과 균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정감을 주었다. 작품Ⅲ은 덩굴장미 계통, 칵테일 장미꽃의 특징을 형상화한 디자인이다. 세 가닥 땋기 기법을 주로 사용하여 양사이드에 얽혀진 덩굴장미줄기 모양을 연출하였고 꽃모양은 땋기 하여 질감을 넣어 덩굴장미의 아기자기한 형태를 5개의 꽃 모양으로 나타내었다. 작품Ⅳ는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모티브로 한 업스타일이다. 앞머리 부분에서 탑 포인트까지는 반복의 원리를 적용시켜 겹꽃잎의 율동성과 방향성을 표현하였고 곡선의 웨이브가 연속되도록 하여 유연함과 화려함을 강조하였다. 작품Ⅴ는 모티브인 라벤더 메이안디나 장미꽃을 형상화 한 업스타일 디자인이다. 줄기를 형상화하여 웨이브를 주어 길게 이어지는 장방형 형태를 표현하였고 왼쪽 사이드의 매끈한 질감과 오른쪽 사이드의 도드라진 질감을 연출하여 혼합된 질감을 조화롭게 표현하였다. 꽃의 표현은 인모피스를 사용하여 미니어쳐계의 작은형태의 꽃잎느낌이 나도록 구성하였다. 작품Ⅵ은 핑크 메이딜란드 장미꽃을 형상화 하였다. 네이프 포인트에 장미의 잎사귀를 형상화하여 길어져 보이는 타원형의 형태를 주었고 인모 피스를 사용하여 장미꽃의 홑꽃잎을 표현하여 네이프 포인트를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장미꽃을 모티브로 한 헤어업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여 창작 작품을 완성하였다. 디자인을 기획하고 완성하는 전 과정에서 자연 중에서 특히 장미꽃은 독보적인 조형성과 조화미를 내포하고 있어 다양한 예술 분야의 소재로 선택되고 있으며 무한한 예술적 가치로 인하여 끊임없는 창작 모티브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헤어미용분야가 기존의 기술적인 모발 관리를 넘어, 인체의 일부인 헤어를 소재로 하는 예술의 한 장르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헤어를 소재로 한 디자인과 창작 작품 개발을 위한 시도는 모발을 관리하는 서비스업에서 헤어아트 분야까지 발전하고 있어, 창작의 영역을 확장하여 예술 분야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예술 장르로서의 헤어업스타일 창작을 기반으로 현대인의 미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더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헤어 디자인 개발이 끊임없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스마트 인버터의 Volt-VAR 및 Volt-Watt 결합 제어를 통한 연계점 전압의 안정화
This thesis proposes a method to improve the stabilization effect for a point of common coupling (PCC) voltage by combining Volt-VAR and Volt-Watt control in smart inverters. The number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DER) such as solar and wind power systems has been increasing according to the renewable energy 3020 policy of government. When the PCC voltage fluctuates as the DER increases, reverse power flow occurs and power quality decreases. To suppress the PCC voltage and frequency fluctuation, the smart inverter provides grid support functions. The Volt-VAR control of smart inverter adjusts capacitive/inductive reactive power based on the PCC voltage. The Volt-Watt control of smart inverter stabilizes the PCC voltage by decreasing active power. This thesis combines Volt-VAR control and Volt-Watt control to improve the stabilization effect of PCC voltage. The proposed control method reduces the active power while it controls the inductive reactive power to the maximum.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the simulation results and experiment results.
원편파 방전에 의한 무전극 분자형 발광체 광원 특성 연구
본 논문에서는 원편파 방전에 의한 신 광원인 무전극 분자형 발광체 광원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초고주파 방전에 의한 광원 기술은 전극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조명 램프로서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그에 관한 연구개발이 오랫동안 추진되어 왔다. InBr방전등은 연색성지수(color rendring index, CRI)가 98까지 나오는 인조 광원중에 가장 고연색성 광원이기 때문에 projeaction displays 광원에 가장 적합한 광원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InBr방전등은 광변환 효율의 변화가 적으며, 고연색성이면서 수명 기간이 길고, 상관색온도가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재래적인 분자형 발광체 광원은 선편파에 의한 국부적 가열로 인한 램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램프를 회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램프의 국부적 가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램프 자체의 회전이 아닌 전장(E-field)를 회전시키는 원편파를 이용하여 램프 파손을 방지하였다. 그리고 원편파 방전 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여 반사파가 최소인 위치에 램프를 설치하여 방전 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원편파 방전에 의한 InBr와 황의 광학적 특성(스펙트럼, 휘도, 상관색온도, 연색성지수)을 측정하고, 플라즈마의 전도율을 측정하였다. 이것은 초고주파 방전 램프의 최적화 조건을 도출하는데 중요한 도움을 줄 것이다. A study was conducted on molecular radiator plasmas as a new light source using circularly polarized microwave discharges. There are many advantages in a lighting lamp in that it is not necessary to use electrodes in the lamp technique by an ultrahigh frequency microwave discharges. Therefore, it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The InBr lamp is known to show the color rendering index higher than 95 and is considered one of the ideal light sources for applications in information displays. In particular, the electrodeless InBr lamp will have a number of advantages for its applications, including its high lumen efficacy, excellent color rendering index, long lifetime, and good color temperature control, among other things. For high power applications, the conventional electrodeless lamp has to be rotated to keep it from being punctured by hot spots formed in linearly polarized microwave fields. In this thesis, we describe the system that uses circularly polarized microwaves so that the microwave fields can generate rotating plasma discharges in a stationary lamp bulb. We presents the results of a study on the general properties of the indium monobromide plasma light source, the characteristics of emission spectrum, the conductivity of the plasma, and other physical properties of the sulfur lamp. there properties will provide us with optimization conditions for microwave discharges lamps.
동학농민혁명 기념물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 호남지역을 중심으
원동호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동학농민혁명은 시대, 집단, 지역에 따라 역사적 평가와 이해가 달라져왔다. 대표적으로 ‘전라도’라는 지역적 사건과 ‘동학’이라는 종교적 사건으로 축소되거나, 특정 정권의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이용되면서 역사적 사실이 왜곡된 것이다. 이와 같은 역사적 왜곡은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에 영향을 끼치면서 자의적 판단에 따라 일관성 없는 기념물 건립사업이 전개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동학농민혁명 기념물은 사건이 발발한 직후부터 지금까지 그 의미와 정신을 기리고 표현하기 위한 기념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면서 다양한 이해관계를 지닌 기념물이 건립되었다. 그로 인해 지난 한 세기 동안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은 역사적 평가와 해석이 엇갈리면서 극심한 부침을 겪으면서 전개되었다. 그 가운데 호남지역은 전국 187개의 동학농민혁명 기념물 가운데 약 59%인 111개가 분포한 지역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관련 기념물이 다수 분포하고 있다. 하지만 호남지역의 일부 기념물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한 상태로 건립되어 있어 동학농민혁명의 의미가 반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호남지역과 관련된 기존 연구는 시·군별로 다루어진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호남지역의 동학농민혁명 기념물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동학농민혁명 직후부터 2015년까지 호남지역에 건립되어 있는 동학농민혁명 기념물을 바탕으로 현황을 정리하고 실태 분석을 통해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논문 연구 진행은 첫째, 호남지역 동학농민혁명 기념물의 현황을 건립 주체별·건립 형태별로 정리하여 호남지역의 전반적인 기념물을 조사했다. 둘째, 조사된 현황을 중심으로 역사적 사실의 측면과 역사적 평가의 측면으로 나누어 실태를 분석하였다. 셋째, 실태 분석을 토대로 사실의 개선과 평가의 개선 두 측면으로 나누어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historical evaluation abou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as varied with different times, groups and regions. Notably, it has been reduced to a local incident limited to ‘Jeollado’ and a religious event of ‘Donghak’, which is attributable to the distortion of this historic event for the benefit of certain regimes' political ideologies. The distortion of this historic event has impacted on the projects intended to commemorat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resulting in arbitrary decisions on building inconsistent monuments. From the moment right after this historic event till the present, the commemorative projects have been continued to represent the meanings and spirits of the revolution with diverse interests reflected in relevant monuments. Consequently, over the past century, the commemorative projects have experienced the vicissitude of diverse historical evaluation and analyses. In particular, Honam region has 111 monuments, accounting for some 59% of 187 monuments commemorat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nationwide. Yet, some monuments in Honam region have been built based on the distorted historical facts, disgracing the meaning of the historic revolution. Furthermore, previous studies on Honam region mostly dealt with specific cities and provinces rather than the entire Honam region and the monuments built in the region. Hence,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tatus of the monuments that have been built from the time right after the revolution till 2015 in the entire Honam region so as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Specifically, first, the status of the monuments for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s described in view of the main agents in charge of building such monuments and their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Honam region. Second, based on the investigated status, historical facts and evaluation are analyzed. Third, based on the analysi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mentioned in terms of the rectification of relevant facts and evaluation.
초고층 건축물은 인간의 욕망과 경제적 효율성, 이 두 마리의 토끼를 만족시키기에 충분한 결과물인 듯싶다. 현재 우리나라는 과거의 경제성장과 산업화에 힘입어 건축물의 대형화, 복잡화, 초고층화가 가속되었고 자연스레 초고층 건축물의 급증과 함께 도시지역의 대형 건축물에서 발생하고 있는 인적․물적 재난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초고층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재실자들이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건축법에서는 (특별)피난계단 혹은 직통계단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소방관련 법규에서도 화재시 상층부에 있는 재실자들의 원활한 대피를 위하여 각종 피난기구나, 피난설비를 갖추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들 대부분은 단지 사양규정일 뿐 과학적이거나 공학적이지 못하며 초고층 건축물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초고층 건축물 화재사례 및 관련 피난법규를 분석하여 피난 활동시 문제점을 찾아 특별피난계단의 폭 확대 및 제연시스템 성능개선을 통해 피난 공간으로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이에 대한 특별피난계단의 적절한 피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초고층 건축물 주출입구 회전문 설치 및 기계실 바닥 통풍구 설치, 피난계단을 1층부터 일직선상으로 연결된 직통계단에서 중간 위치변동이 가능하도록 조정하고, 기밀한 층간구획을 통해 차압을 방지하는 등 연돌효과 저감설계를 하여야 한다. 2. 방재센터와의 연락이 가능하도록 특별피난계단에 통신시설을 설치하고, 또한 공기오염감지 센서 설치를 통하여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실내 공기오염도를 체크하고 외부로 알리는 등 소통의 장이 되어야 한다. 3. 대피공간으로서 특별피난계단의 참을 넓힐 수 있도록 우리나라도 법적 기준을 만들어 노약자, 어린이, 임산부, 장애자와 같은 사회적 약자들에 있어서 많은 시간동안 피난활동이 가능하도록 특별피난계단이 설치되어야 한다. 4. 특별피난계단참, 계단 폭 확대 및 특별피난계단 내에 다양한 소방시설을 설치함으로써 소방대원들이 화재진압활동을 하기 위한 1차 집결지로서 역할을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