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이동체 기업의 원가효율성 분석: 자율주행차, 드론 기업을 중심으로

        우청원(Woo, Chung-Won),김진용(Kim, Jin-Yong),윤상필(Yoon, Sang-Pil)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5

        [연구목적] 정부는 기존 주력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혁신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해 13대 분야 혁신성장동력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13대 혁신성장동력 분야 중 스마트이동체 분야 기업의 원가효율성을 분석하고, 세부분야별(자율주행차, 드론) 원가효율성의 변화와 변화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Date Envelopment Analysis(DEA)를 통해 분야별 기업의 원가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DEA/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활용하여 2017-2020년 분야별 기업의 원가효율성 변화를 알아보고, 기업의 내부역량과 외부환경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이동체 분야의 원가효율성은 전반적으로 높지 않았다. 자율주행차 분야의 경우 2018년부터 기업의 내부역량이 꾸준히 증가하였고, 2018-2019년에는 외부환경이 원가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드론 분야는 2019년 이후부터 내부역량이 성장하기 시작하였고, 2019-2020년 외부환경이 원가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이동체 혁신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이동체 분야의 지속적인 R&D지원의 필요성과 혁신성장동력 세부분야별 특성에 맞는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government selected innovative growth engines in 13 major fields. This study analyze the cost efficiency of companies in the smart mobility sector among the 13 major innovative growth engines, and to analyze changes and factors in cost efficiency.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d the cost efficiency of companies by sector through DEA. In addition, the DEA/Malmquist productivity index was utilized to find out the changes in cost efficiency, and to analyze how the company’s internal capabilities and external environment changed. [Findings] The overall cost efficiency in the smart mobility sector was not high. In the case of autonomous vehicle, the internal capabilities of companies have steadily increased since 2018,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negatively affected cost efficiency in 2018-2019. In the drone field, internal capabilities began to grow after 2019,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negatively affected cost efficiency between 2019-2020.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reference for establishing smart mobility support policies. In addition, the need for continuous R&D support in the smart mobility sector and the need for support polici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ctor were presented.

      • 국가 출연연구소의 협업적 융합연구 성과 분석

        조용래(Yong-rae Cho),우청원(Chung-won Woo),최종화(Jong-hwa Choi)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기술융합’은 기존기술 간 결합 또는 전혀 새로운 기술개발을 통한 신산업 창출과 사회적 난제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의 최근 트렌드이다. 과학기술을 통한 한국 경제성장 전략의 첨병이었던 국가 출연(연)구소에 대해서도 융합연구 조직으로의 역할 변화를 둘러싼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출연(연) 융합연구의 성공 핵심요소를 ‘협력’으로 보고 다음의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술개발 목적과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서 융합연구 개념과 범위를 정의하고, 그 특성을 반영하는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둘째, 융합연구에서의 협력활동과 그 성과를 유형화하고 새로운 분석지표를 제안한다. 셋째, 융합연구에서의 협력활동 특성과 그 정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NST 융합연구사업을 통한 융합연구 과제 수행 경험이 있는 각 출연(연) 104명의 연구책임자들에게 협력의 방식 및 정성적 성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협력활동 특성과 성과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식 창출활동에서는 협력 파트너 다변화가 중요한 변수였다. 둘째, 유사분야 연구자들 간 집체형 협력활동은 특허·기술이전과 같이 목적이 명확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들에게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여하고, 지식·노하우 등 기술역량의 상호공유가 이루어질수록 창출지식의 다양성 및 관계의 지속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융합연구를 위한 협력과 성과 분석방법의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 신정부 과학기술정책 방향 모색

        홍성주(Sung Joo Hong),이다은(Da Eun Lee),홍창의(Chang Ui Hong),강민지(Min Ji Kang),우청원(Chung Won Woo),강홍렬,전찬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With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2017 as a momentum, many people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social organizations gave variou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proposals. Most of them were reflected in each party’s election pledges. The media also covered lots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ssues, which mainly included agendas reflecting the voices of the fields of R&D like research autonomy and people-oriented investment. This task aims to understand how the landscap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changed in an era of political change. To achieve this, we pursued to answer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are we going to look at the vita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ssues that occurred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its results? Second, what was it like in the past? Did the previous governments faithfully carry out their science and technology pledges in thei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Third, what is the blind spot of policies that failed to attract attention or became a dilemma despite the change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research team analyzed the way of establishing the window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2017, while also looked at the path taken for science and technology pledges to be implemented as policies during the past 15 years after the Rho Moo Hyun Governmen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we need to take largely four different approaches to science and technology issues. From the medium and long term perspective, it can be divided into issues that need access, issues that need enhancement, issues that need to gain political interests and issues that need to improve rationality. The research team’s results presented important perspective and methodology of looking at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by not only being applied as a standard and means, but also provided a framework for devising various methods and means by policy issue. Hopefully, our researches are helpful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by the new government, which will be inaugurated in May 201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