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 균형 모형을 이용한 제조업 지원 정책의 효과 분석

        우진희 ( Jinhee Woo ) 서강대학교 지암남덕우경제연구원 2019 시장경제연구 Vol.48 No.2

        한국 제조업에서 관찰되는 업력에 따른 생산성의 증가율, 고용 규모의 분포, 수출 사업체들이 차지하는 비중 등을 고려했을 때 제조업 사업체들에 대한 지원 방안이 제조업 전체의 생산성 및 산출량에 미치는 크기를 분석하기 위해서 Atkeson and Burstein (2010) 형식의 균형 산업 (Industrial Equilibrium)모형을 한국 제조업에 적용해보았다. 그 결과 신규 사업체의 진입비용 혹은 기존 사업체들의 수출에 필요한 고정 비용을 지원하는 정책이 기존 사업체들의 고정 영업비용 지원을 통해서 생존률을 제고시키는 정책에 비해서 제조업전체의 집계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various subsidy policies o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s aggregated output and productivity. I tackle this issue through a quantitative analysis using Atkeson and Burstein’s (2010) industrial equilibrium model.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SME support policies, I find that providing subsidies for the entry cost and the fixed cost of exports is superior than providing subsidies for the fixed cost of operations in terms of aggregated productivity.

      • KCI등재

        트레드밀 트레이닝이 비만 쥐의 neurotrophins와 초기발현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

        Jinhee Woo(우진희),Ki Ok Shin(신기옥),Nam Heoh Yeo(여남회),So Young Park(박소영),Sunghwun Kang(강성훈)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7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로 인한 비만으로 불균형된 지질구성과 산화적 손상이 신경세포형성과 초기발현단백질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을 알아보고, 규칙적인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4주령 SD rat 수컷 30마리를 1주간의 적응기간을 둔 뒤, 15주간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으로 유도하였으며, high fat diet sedentary (HDS, n=15)와 high fat diet and training (HDT, n=15)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운동강도는 1~4주는 저강도, 5~8주는 중강도로 주5회 실시하였다. 8주 트레이닝 후 혈청지질, 8-OHdG, MDA, neurotrophic factor, 그리고 IEG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TC와 TG에서 HDS와 HDT 사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8-OHdG에서 HDT는 트레드밀 트레이닝 후에 HDS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해마에서 c-jun, BDNF 그리고 간에서 MDA의 단백질 발현은 HDT가 트레드밀 트레이닝 후 HDS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8주간 트레드밀 훈련은 고지방식이 비만 유도 쥐의 혈청지질 성분의 불균형을 개선시키고, 조직과 혈청의 산화적 손상과 DNA 손상을 완화시켜 주어,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NT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손상된 뇌기능과 신경세포의 생성 기전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나타냄으로써 공간적 학습기능의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effect of obesity-induced oxidative damage on neurogenesis and early protein expression. Obesity was induced I thirty 4-week old male Sprague-Dawley rats through a high fat diet for 15 weeks. After one week of environmental adaptation, the ra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high fat diet sedentary group (HDS, n=15) and high fat diet training group (HDT, n=15). Exercise training was performed 5 times a week for 8 weeks, with mild-intensity treadmill running for weeks 1-4 and moderate-intensity treadmill running for weeks 5-8. After the 8 week training period, we analyzed lipid profiles, serum 8-hydroxyguanosine (8-OHdG), liver tissue malondialdehyde (MDA) related to oxidative damage factors, nerve growth factor (NGF), 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c-fos, c-jun, and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Erk) in the hippocamp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HDS and HDT in triglyceride (TG) and total cholesterol (TC) (p<0.05). In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 the HDT was higher than HDS after treadmill training (p<0.05). In 8-OHdG, the HDT was lower than HDS after treadmill training (p<0.05). Genetic expressions of c-jun, BDNF and MDA in the HDT were higher than in the HDS after treadmill training in hippocampus (p<0.05). Therefore, we conclude that 8 weeks of treadmill training can improve imbalanced lipid profiles, reduce oxidative damage, and activate neurogenesis in obese rats.

      • KCI등재

        유산소 훈련 강도 차이가 비만 어린이의 산화적 조직 손상에 의한 심혈관질환 병태생리적 경로에 미치는 영향

        Jinhee Woo(우진희),Ki Ok Shin(신기옥),Keun Soo Kim(김근수),Young Il Kim(김영일),Sunghwun Kang(강성훈)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9

        본 연구는 12주 유산소 운동이 비만 어린이의 혈청지질성분, 항산화효소 활성 및 자율신경계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피험자들은 16명의 비만어린이와 19명의 정상어린이를 대상으로 12주간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였다. 측정 항목은 VO₂peak, 신체조성, 혈청지질, ox-LDL, 8-OHdG, SOD, GPx 활성, total mRNA, 그리고 자율신경계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체중은 OW그룹에서 시기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2주 운동 후 OR과 CO그룹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WHR은 OR과 CO그룹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2주 운동 후 OW그룹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비만 그룹에서 baseline TG는 대조군 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5), 자율신경계 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항산화효소 유전자 발현은 모든 그룹에서 시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만어린이에서 산화적 손상과 항산화효소 활성은 정상어린이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정상어린이에 비해 비만어린이의 TG는 더 높게 나타났고 자율신경계 활성은 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비만어린이에서 TG의 증가와 자율신경계 활성의 감소는 비만환자의 출발점이 어린시기에 시작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규칙적인 유산소성 운동은 어린시기에서 항산화효소 발현을 수정하여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12 wk of aerobic exercise on lipid profiles,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oxidative products, and autonomic nervous activity (ANA) in children with obesity. We studied 16 children with obesity and 19 age-matched normal weight controls over a period of 12 wk, during which time moderate intense running exercise was performed. Measurements included peak oxygen uptake,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profiles, ox-LDL, 8-OHdG, SOD, GPx activities, total mRNA, and ANA.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ody weight between periods in the OW group, but body weight increased after 12 wk in OR and CO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WHR between periods in the OR and CO groups, but the WHR values decreased after 12 weeks in the OW group. In the obese group, the baseline TG was higher than in the controls (p<0.05), while the ANA level was lower. There were differences in antioxidant enzyme gene expressions between periods in all groups. In conclusion, oxidative damage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obese children were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of normal weight children. However, TG was higher and ANA was lower in obese children than in normal weight childre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ncreased TG and decreased ANA levels begins in childhood in obese patients. Also, regular aerobic exercise may modify the antioxidant enzyme gene expression in early life.

      • KCI등재

        The Effects of Exercise on Neurotrophins,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and Oxidative Stress in Obese Children

        Jinhee Woo(우진희)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5

        본 연구는 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어린이의 산화적 스트레스, 신경성장 및 간 세포성장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2주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한 후 트레이닝 전과 후의 농도 수준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NGF와 BDNF는 트레이닝 전과 후 모두 OT군이 NT군 보다 낮았으며, NGF는 트레이닝에 따라 두 그룹 모두 증가되었다. HGF는 트레이닝 전 OT군이 NT군 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트레이닝 후 차이는 없었다. MDA, ox-LDL, 8-OHdG 모두 OT군이 NT군 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트레이닝에 따른 차이는 ox-LDL에서만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 비만은 성장기 어린이에게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신경과 간 성장인자의 분비 이상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12주 유산소 운동은 이들 인자들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인지기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on oxidative stress, nerve growth, and hepatocyte growth factors in obese children. After 12 week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the aforementioned parameter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nerve growth factor (NGF) and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were shown to be lower in the OT than in the NT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respectively (p<0.05). The NGF was shown to have increased in both groups after the training (p<0.05). The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was shown to be higher in the OT than in the NT before the training (p<0.05), with no difference found afterwards. The malondialdehyde (MDA), ox-LDL, and 8-OHdG (Oxo-2"-deoxyguanosine) were shown to be higher in the OT than in the NT (p<0.05). For ox-LDL, a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obesity induced oxidative stress and caused the abnormalities of nerve and HGF secretion in obese children, and that the 12 weeks of aerobic exercise increased NGF levels, thereb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neurogenesis in children.

      • KCI등재

        생계급여제도 확대의 거시경제효과

        우진희(Jinhee Woo) 한국법경제학회 2020 법경제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2019년 하반기 이후 보건복지부 장관 고시를 통해서 정부가 재량적으로 확대한 생계급여 관련 지출 확대의 거시경제적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가계의 소득 · 자산 분포의 이질성, 노동시장 리스크, 고용 · 실업급여 수급 · 생계급여 수급 상태에 대한 명시적인 구분, 가격경직성 등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일반균형모형 경제를 이용해서 가계 이전지출의 증가가 경제의 균형산출량에 미칠 수 있는 정량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생계급여 증가 충격의 GDP에 대한 승수효과가 충격이 최초로 발생한 해당 분기는 0.177이고 1년 누적, 3년 누적 승수는 각각 0.107, 0.089로 나타났다. 가계의 소득 수준 및 노동시장 상태에 따라서 이전 지출 증가 충격에 대한 소비의 반응은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quantitatively analyzes macroeconomic effects of discretionary expansion of the Livelihood Benefits. I construct a general equilibrium model that incorporating both household heterogeneity in terms of income, asset, and labor market status and nominal rigidity in order to investigate multiplier effect of discretionary government transfer.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exercise, multiplier effect of transfer on GDP turn out to be 0.177 on impact and 0.107 up to one year accumulation. In addition, response of consumption varies depending on income and labor market status of household.

      • KCI등재

        남자 대학생들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신체이미지, 식사태도 및 신체활동량

        우진희(Jinhee Woo),윤병곤(ByungKon Yoon)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젊은 남자 대학생들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신체이미지, 식사태도 및 신체활동량과의 관계와 차이를 규명하는 데 있다. 남자 대학생 91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체질량지수에 따라 저체중(Underweight;UW)집단 24명(2.6%), 정상체중(Normal weight;NW)집단 547명(60%), 과체중(Overweight;OW)집단 216명(23.7%), 그리고 비만(Obesity;OB)집단 125명(14.7%)으로 구분하였다. 대상자들은 신체이미지(Body shape questionnaire), 식사태도(Eating attitudes test-26), 및 신체활동(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BSQ검사결과 총 대상자 중 불만족의 비율은 28.2%로 나타났으며, 모든 집단간의 차이가 있었다. BMI 수치가 높을수록 신체이미지에 대한 불만족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EAT-26검사에서는 NW집단 6%, OW집단 12.5%, 그리고 OB집단 17.6%가 비정상적 식사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NW집단과 UW집단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OW와 OB집단과의 차이가 있었다. IPAQ검사결과 통계적으로 집단 간의 차이는 없었다. BMI, 신체이미지, 그리고 식사태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신체활동량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BMI가 높을수록 신체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잘못된 식습관을 가질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자 대학생들도 적절한 체중유지와 조절에 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body shape perception, eating attitude, and physical activity level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BMI) among the Korean male university students. 912 mal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four groups(24 under weight;UW, 547 normal weight;NW, 216 overweight;OW, 125 obesity;OB) based on the their BMI. They filled out the BSQ, EAT-26, and IPAQ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BSQ were indicated that 28.2% of participants was dissatisfied, and the score of group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higher BMI had, the more rate of dissatisfaction on the body shape was in the participants. 6% of NW, 12.5% of OW, and 17.6% of OB group had abnormal eating attitude. There was no different in the eating attidude between NW and UW groups, but NW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score than OW and OB groups in EAT-26. In the IPAQ,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groups.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existed among BMI, body image, and eating attitude. In conclusion, the higher BMI may negatively affect in body image and increase the rate of bad eating attitude. Therefore, the proper weight management will be educated in male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제조업 사업체의 업력에 따른 생산성 증가율 분석

        우진희(Woo, Jinhee) 한국산업경제학회 2020 산업경제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한국 경제에서 관찰되고 있는 성장률의 저하가 개별 사업체들의 업력에 따른 생산성 성장률의 추이와 어떤 식으로 관계 맺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통계청의 『광업·제조업 조사』의 패널 구조를 활용해서 시기별로 우리나라 제조업 사업체들의 업력에 따른 생산성 증가 정도가 2000년대 후반 이후 유의하게 하락했는지를 고정효과 패널모형 추정을 통해서 살펴보는 작업을 한다. 2001~2007년, 2008~20014년 표본에 대해 사업체 및 연도 고정효과를 통제하고 업력에 따른 생산성 증가정도를 시점 간 비교 해본 결과 업력 5년까지의 생산성 증가율을 기준으로 봤을 때 2008년 이전 샘플에서는 시장 진입 후 생산성이 19.5% 증가한 반면 2008년 이후 샘플에서는 9.25% 증가에 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추가적으로 사업체 단위의 생산성 증가율 저하가 생산성과 연계된 생산요소 투입의 왜곡에서 기인했을 가능성을 산업별 분석을 통해서 제시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growth rate slowdown features i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since 2000. This observed slowdown pattern is investigated with individual establishments’ growth pattern by age. We tackle this issue using plant level fixed effect panel estimation. Conditioning on the age, the performance of post-2008 establishments were worse off than that of pre-2008 establishments: the up-to 5 year old productivity growth rate decreases around 10%p. Additionally, We provide industry level evidence that productivity correlated distortions might cause the growth rate slowdown features.

      • 운동과 산화질소의 기능

        우진희(Jinhee Woo) 한국복합리조트포럼 2022 관광체육연구 Vol.1 No.2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nitric oxide (NO) is an important hemodynamic and metabolic regulator during the performance of physical activity. Futhermore, there are adaptations in this system as a result of exercise training that likely contribute to increased functional capacity and the cardioprotective effects associated with higher fitness levels. Exercise has particular efficacy in restoring dysfunction of the vascular endotherial NO system, which is becoming established as a precursor to the atherosclerotic process. The production of NO from L-arginine is catalysed by the nitric oxide synthase (NOS), which involves NOS Ⅰ, NOS Ⅱ, and NOS Ⅲ. NO has been implicated in such diverse processes as vasodilation,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immune function, cell growth, neurotransmission, metabolic regulation and excitation-contraction coupling. The vast animal literature, together with more recent human studies, indicates that endurance exercise training for a period ranging from days to several weeks enhances basal release of NO from aorta, active and inactive muscle and coronary arteries. This adaptation may contribute to the reduction in resting blood pressure and increase in blood flow to skeletal muscle. Also, NO system is modified by training in the setting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humans and that these effects may contribute to increased functional capacity. Recent animal study data also suggest that this benefit may extend to skeletal muscle NO, which appears, among other functions, to mediate glucose uptake during exercise. However, the role of NO in the coronary circulation and skeletal muscle, particularly with regard to glucose uptake, is yet to be elucidated.

      • KCI등재

        고지방 식이 섭취로 유발된 비만 쥐의 시상하부 BDNF발현과 렙틴 mRNA 발현, 혈청 렙틴과 항비만과의 관계에 대한 운동트레이닝의 효과

        우상헌(Sang Heon Woo),강성훈(Sunghwun Kang),우진희(Jinhee Woo),신기옥(Ki Ok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고지방식으로 유도된 비만이 에너지 항상성 조절인자인 신경영양인자와 섭식조절 호르몬인 렙틴 mRNA 발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과 비만 쥐의 시상하부 BDNF 발현과 렙틴 리셉터 mRNA 발현, 혈청 렙틴과 항비만과의 관계에 대한 운동트레이닝과 정상식이로의 전환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8주 후 비만 대조군(HF)에 비해 운동군(HFT), 정상식이군(HFND), 운동 및 정상식이 트레이닝군(HFNDT)에서 각각 유의한 체중 및 혈중 TC 감소를 보였다(P<0.05). 혈중 TG에서는 HF군에 비해 HFNDT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혈중 렙틴은 HF군에 비해 HFT군에서 유의한 감소를(P<0.05), HFT군에 비해 HFND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05), HFND군에 비해 HFNDT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P<0.05). 시상하부 BDNF 단백질 발현은 HF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시상하부 렙틴 리셉터 mRNA는 HF군에 비해 HFT와 HFND군에서 약간의 감소를, HFNDT군에서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쥐에 대한 운동트레이닝은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 또는 정상식이의 병행은 식욕과 체중조절에 최적의 비만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relate with hypothalamus protein BDNF and mRNA leptin expression, and test the effect of exercise training upon anti-obesity in high-fat induced obese rats. Weight and plasma TC of the high-fat diet group (HF) significantly reduced in comparison to those in the high-fat diet and training group (HF-T), high-fat diet and normal diet group (HF-ND), and high-fat diet, training, and normal diet group (HF-ND+T) (P<0.05). Plasm TG of the HF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mparison to the HF-ND+T group (P<0.05). The plasma leptin level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HF-T group in comparison to the HF group, in the HF-ND group compared to the HF-T group, and the HF-ND+T group in comparison to the HF-ND group (P<0.05, respectively). All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hypothalamus BDNF protein expression in comparison to the HF group. In hypothalamus leptin mRNA expression, the HF-T and HF-ND groups reduced, but the HF-NF+T group increased in comparison to the HF group.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shows the effect of exercise training upon anti-obesity in high-fat diet induced obese rats and the combined exercise and/or normal diet may affect the optimal obesity improvement and prevention in appetite and weight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