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정신분렬병의 혈소판 Monoamine Oxidase 활성도에 관한 연구

        우종인,박찬웅,Woo, Jong-Inn,Park, Chan-Woong 대한약리학회 1982 대한약리학잡지 Vol.18 No.2

        만성 정신분렬병 환자에서 성(性)에 따른 혈소판 MAO 활성도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관련하여 혈장 Testosterone 및 Estradiol농도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135명의 정상대조군과 78명의 만성 정신분렬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혈소판 MAO활성도와 혈장 Testosterone 및 Estradiol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만성 정신분렬병 환자에서 혈소판 MAO활성도는 남녀 모두 그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사람이 더 많았다. 2) 혈소판 MAO활성도의 남녀간의 차이는 정상대조군에서는 없었지만 만성 정신분렬병 환자가 여자 환자에 비해 혈소판 MAO활성도가 낮은 사람이 더 많았다. 3) 남자 정신분렬병 환자에서는 혈장 Estradiol농도만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저하되어 있었고, 여자 정신분렬병 환자에서는 혈장 Testosterone농도만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저하되어 있었다.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latelet monoamine oxidase activity and serum levels of testosterone and estradiol in schizophrenic patient, 78 chronic patients were compared with 135 normal controls. 1) The monoamine oxidase activity of chronic schizophrenic group was lower than normal group. 2) In normal group, there was no sex difference in monoamine oxidase activity. But in chronic schizophrenic group, the monoamine oxidase activity in male was lower than female. 3) In male schizophrenic group, the serum estradiol level was lower than normal group. 4) In female schizophrenic group, the serum testosterone level was lower than normal group. The significances of relationship between platelet monoamine oxidase activity and sex hormones are discussed.

      • KCI등재

        알쯔하이머 치매 환자의 뇌자기공명영상(腦磁氣共鳴影像)에 나타난 뇌위축(腦萎縮)과 뇌백질병변(腦白質病變)에 대한 연구

        우종인,김주한,Woo, Jong Inn,Kim, Ju Ha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6 생물정신의학 Vol.3 No.2

        알쯔즈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뇌자기공명영상(腦磁氣共鳴影像)에 나타난 뇌위축(腦萎縮) 및 백질병변(白質病變)과 치매 발병연령(發病年齡)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밝히기 위해, NINCDS-ADRDA 진단기준(診斷基準)에 의한 조발성(早發性)(n=9) 및 만발성(慢發性)(n=18) 알쯔하이머형 치매군과 각각의 정상대조군(n=10 : n=11)에서 뇌위축(腦萎縮)은 대뇌피질위축(大腦皮質萎縮)과 뇌실확장(腦室擴張)의 체적(體積)을 계측(計測)하고 백질병변(白質病變)은 뇌실주변, 심부백질, 기저핵 및 천막하영역의 백질(白質) 신호(信號) 고강도(高剛度)의 반정량적(半定量的) 평가척도(評價尺度)로 측정하였다. 조발성(早發性) 환자군의 뇌위축(腦萎縮)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컸고(p<0.05) 백질병변(白質病變)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만발성(慢發性) 환자군은 뇌위축(腦萎縮) 정도에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백질병변(白質病變)은 심부백질 및 시상에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고 나머지 모든 영역에서도 대조군보다 심한 경향을 보였다. 알쯔하이머형 치매가 (1) 뇌위축(腦萎縮)을 주로 보이고 백질병변(白質病變)은 심하지 않은 조기발병군(早期發病郡)과, (2) 백질병변(白質病變)이 두드러지고 뇌위축(腦萎縮)은 심하지 않은 만기발병군(晩期發病郡)으로 나누어질 가능성과 양군의 병태생리(病態生理)가 상이(相異)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Objects :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of onset with the atrophy and the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observed in the brain MRI of Alzheimer patients. Methods : The authors measured volumetrically cortical and ventricular brain atrophy and rated semiquantitatively white matter signal hyperintensities in nine presenile and 18 senile Alzheimer patients, who were matched for dementia severity, according to NINCDS-ADRDA criteria and in age-matched 10 presenile and 11 senile control subjects. Results : Presenile Alzheimer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cortical and ventricular atrophy indices(p<0.05) but no difference in white matter hyperintensity scores compared to the age-matched control group. On the contrary, senile Alzheimer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white matter hyperintensity scores(p<0.05) but no difference in cortical and ventricular atrophy indices compared to the age-matched control group. Conclusion : An earlier onset was related to marked brain atrophy with less white matter lesions and a later onset is related to marked white matter lesions with less brain atrophy in Alzheimer's disease. Our results suggested the passible difference in the pathophysiology between the presenile and the senile-onset Alzheimer's disease.

      • The Effects of d-Amphetamine on the Brain 5-HT, 5-HIAA, MAO and the Behavior of Rat

        서유헌,우종인,박찬웅,Suh, Yoo-Hun,Woo, Jong-In,Park, Chan-Woong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81 대한약리학잡지 Vol.17 No.2

        d-amphetamine이 사람에서 paranoid schizophrenia와 아주 유사한 model psychosis를 일으키며 또한 사람과 실험동물에서 실제 정신분열증에서 뚜렷이 관찰되는 behavioral perservation을 일으킬 수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에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양상의 행동변화가 정신분열증의 원인 추구에 중요한 의미를 주는 뇌변화를 반영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많은 연구를 거듭하여 왔다. 지금까지는 주로 catecholamine기전에 대하여 집중적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d-amphetamine의 약리기전의 일부는 5-HT기전이 차지하고 있으며, 여러 행동변화에는 catecholaimin 보다 5-HT 가 더 중요하게 관계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또한 d-amphetamine은 시험관내에서 MAO 특히 신경전달물질 분해요소인 A type를 가역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이 보고되어 많은 흥미를 끌어왔으나 생체내에서의 억제여부는 직접적으로 확인이 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최근에 Braestrup(1977)과 El Hait(1978)등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생체내에서도 억제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d-amphetamine에 의해 야기되는 행동변화와 그 밑바탕을 이루는 생화학적 기전에 5-HT가 차지하는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음의 실험을 시행하였다. 첫째, d-amphetamine의 급성, 만성 투여가 5-HT의 5-HIAA 로의 turnover와 MAO활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서 이 양자사이에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d-amphetamine을 투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라서 뇌내 5-HT, 5-HIAA, 5-HT turnover rate와 MAO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둘째, d-amphetamine, 5-HT 합성을 증가시키는 약물과 합성을 억제시키는 약물을 투여하고, 위의 생화학적 실험과 행동관찰을 병합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d-amphetamine (6 mg/kg)을 급성투여시, 뇌내 5-HT함량이 투여 1시간 후에 최고로(대조치의 123%, p<0.001) 증가되다가 이후 감소하며, 5-HIAA 함량은 처음 15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다가 30분에 최저로 떨어지며(대조치의 78%, p<0.005) 이후 증가하여 24시간째는 약간 대조치 이상으로 회복되었다. 미토콘드리아 MAO활성도는 1시간째에 최저로 떨어지다가(대조치의 89%, p<0.05)이후 회복하기 시작하여 24시간째에 약간 대조치 이상으로 회복되었다. 5-HT의 turnover rate는 MAO활성도 변화와 거의 같은 변화를 보였다. 2) 만성투여시 (하루 2번, 14일간 투여)는 5-HT 함량, 5-HIAA 함량, MAO 활성도 및 5-HT turnover rate 모두가 중등도로 감소되었다. (각각 대조치의 87%, 69%, 80%, 79%). 3) MAO 활성도와 5-HT turnover rate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r=0.866, p<0.001, N=94). 4) MAO 활성도의 역동학 실험에서는 대조치에 비해 투여군에서 Km 값은 의미가 있는 증가가 있었으나 $V_{max}$값은 큰 변동이 없었다. 5) d-amphetamine을 급성 투여할때는 sleeping과 lying components는 상당한 감소를 보인 반면, locomotor activity 는 1시간까지는 상당한 증가를 보였으며 용량이 적을수록 더 큰 증가가 있었다. 반면 stereotypy는 1시간까지 용량이 증가할수록 더 큰 증가가 나타나서 locomotor activity에서 stereotypy 의 증가로 이행을 나타내었다. 만성 투여시는 locomotor activity는 점차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stereotypy는 점차적인 증가가 나타나서 14일쯤에는 평형에 도달하였다. 6) PCPA 단독 투여군(400 mg/kg, 3번)에 있어서는 5-HT와 5-HIAA 함량의 상당한 감소가 나타났으나 MAO 활성도와 행동에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PCPA전 처치군에 있어서도 5-HT와 5-HIAA 함량은 마찬

      • KCI등재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유전자 발현 연구

        김종석,우종인,서유헌,김주한,이부영,Kim, Jong-Suk,Woo, Jong-Inn,Suh, Yoo-Hun,Kim, Ju-Han,Rhi, Bou-Yong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6 생물정신의학 Vol.3 No.2

        Lowered immune function in the senile dementia patients may be related to the abnormal metabolism of amyloid precursor protein(APP). To investigate the passibility of an abnormal metabolism of APP in lymphocytes and the possible role of APP in the activation of lymphocytes in senile dementia patients,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rat spleen and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analysis(FACS) of human lymphocytes with the specific antigen far each lymphocyte and double fluorescent marker with antibody to APP were performed. After stimulating lymphocyte with phytohemagglutinin(PHA), APP mRNA and protein were extracted and quantitfied and the influence of ${\beta}$-amyloid protein($A{\beta}$) specific antibody on lymphocyte division was investigated. In spleen, the majority of cells showing $A{\beta}$ immunoreactivity was found in the T-sell dependent zone. FACS indicated that around 90% $CD_4(+)$ T-cells and 60% of $CD_8(+)$ T-sell were immunoreactive to $A{\beta}$ specific antibody(mAb 4G8). Northern blot analysis shows that lymphocyte APP mRNA was gradually increased to reach a maximum at 3 days after activation with lectin mitogen PHA. However, the $A{\beta}$ immunoreactivity an cell surface remained constant during stimulation with PHA, indicating that the release of APP(secreted farm of APP) might be increased. A very large increase in soluble APP secretion was observed in T-lymphocyte upon activation, but only law levels in the resting stale. Immunoblot was carried out an the protein obtained from cell lysate after stimulating lymphocyte by applying PHA to the cultured lymphocyte, and the result was that $A{\beta}$ band of immature farm under 116 KDa marker decreased as the duration of culture was increased after PHA stimulation. The monoclonal $A{\beta}$ specific(4G8) and polyclonal APP antibodies did not inhibit the [$^3H$]-thymidine uptake of mitogen-treated lymphocytes significantly, suggesting that mitogenesis can not be inhibited by specific $A{\beta}$ and polyclonal APP antibod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 is expressed in T-cell and might b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function of T-cells.

      • A Study on Serum Dopamine-${\beta}$-Hydroxylase Activity and Thermostability in a Randomly Selected Population of Adults

        송동근,서유헌,우종인,신상구,박찬웅,Song Dong-Keun,Suh Yoo-Hun,Woo Jong-Inn,Shin Sang-Goo,Park Chan-Woong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86 대한약리학잡지 Vol.22 No.1

        Distributions of serum dopamine-${\beta}$-hydroxylase(DBH) activity and thermostability in a randomly selected population of Korean adults were studied to investigate the genetic factor which could exert an influence on the serum DBH activity and thermostability. The results were followings: 1. The mean serum DBH activity in a randomly selected population of adults was $18.3{\pm}4.5$ umol/min/l($mean{\pm}SD;n=327$) which showed no age or sex variation. 2. The frequency distribution showed no isolated subgroup with very low serum DBH activity. 3. When the ratio of enzyme activity after heating $55^{\circ}C$ for 20 minutes to that before heating (heated-to-control or H/C ratio). was used as a measure of thermostability, the mean serum DBH H/C ratio in a randomly selecfld population, of adults was $0.90{\pm}0.17(mean{\pm}SD; n=327)$ which showed no age or sex variation. 4. Serum DBH H/C ratio showed unimodal, homogeneous distribution. 5.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DBH activity and H/C ratio(r=-0.39. p<0.01). 6. Subjects with H/C ratio less than 0.1 had significantly higher basal enzyme activity $(22.2{\pm}4.5)$ $(mean{\pm}SD;n=33)$ umo1/min/1 than those with H/C ratio more than 1.09 $(15.5{\pm}3.3)$ $(mean{\pm}SD;n=32)$ umo1/min/1. This study shows that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erum DBH activity and thermostability of Korean population a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ose of Caucasian and it might be a line of evidence for the different inheritance pattern of plasma DBH enzyme between these racial groups. 한국인에 있어서 혈청 dopamine-${\beta}$-hydroxylase(DBH)에 대한 유전적 양상을 알아 보기 위해 정상성인 327명에서 혈청 DBH활성도 및 thermostability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성인 327명의 평균혈청 DBH 활성도는 $18.3{\pm}4.5(SD)umol/min/l$였으며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 혈청 DBH활성도의 분포는 unimodol한 분포를 보였으며 매우 낮은 효소 활성도는 관찰할 수 없었다. 3. 정상성인 327명의 평균 thermostability index(H/C : heated-to-control)는 $0.90{\pm}0.17(SD)$ 이었으며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4. H/C 비의 분포는 unimodal한 homogenous분포를 보였다. 5. 혈청 DBH 활성도와 thermosta bility 사이에는 유의한 역상관 관계가 있었다. (r=-0.39, p<0.01). 6. H/C 0.7 미만인 군의 평균 혈청 DBH 활성도는 $22.2{\pm}4.5(SD)umol/min/l$ 였으며 H/C 1.09이상인 군의 평균 혈청 DBH 활성도는 $15.5{\pm}33(SD)umol/min/l$로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이상의 결과에서 정상 한국인에 있어서 혈청 DBH 활성도 및 thermostability의 분포 양상이 Caucasian과는 상당히 다른 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혈장(血漿) MHPG와 HVA 농도(濃度)의 24시간(時間) 주기성(週期性) 변화(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김기웅,이정희,우종인,Kim, Ki-Woong,Lee, Jung Hie,Woo, Jong In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5 생물정신의학 Vol.2 No.2

        We invesigated whether the circadian rhythms of plasma MHPG and HVA concentrations exist in 11 healthy young adults, and analyzed the patterns of their circadian rhyth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hange in the mean plasma MHPG concentrations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v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circadian rhythms of plasma MHPG concentrations of each individual, and 4 of those had the acrophases between 17PM and 24PM. 2) The change in the mean plasma HVA concentrations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x subjects showed significant circadian rhythms of plasma HVA concentrations of each individual, and 4 of those had the acrophases between 21PM and 6AM. In conclusion, the circadian rhythm pattern of plasma HVA concentrations in our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plasma MHPG and HVA concentrations should be measured more frequently, and the physical activities of subjects be controlled more strictly for the following study.

      • 장애인의 여행경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봉구(Lee Bong Koo),우종한(Woo Jong Han) 청운대학교 관광산업연구소 2014 관광산업연구 Vol.8 No.1

        Tourism is known for a social force leading to individual's changes. As such it should be encouraged for people to accumulate travel care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isabled tourists' travel career.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and collected from a sample of the disabled who were approached conveniently at several plac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23, 2013 to April 20, 2013. SPSS 21.0 was used to analyze data. Major results were: first, the respondents' level of travel career was not high; second, income level and severity of disabilit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disabled's travel career, but age and time of being disabled had not.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d-Amphetamine이 백서뇌의 5-HT, 5-HIAA, MAO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유헌(Yoo Hun Suh),우종인(Jong In Woo)박찬웅(Chan Woong Park) 대한약리학회 1981 대한약리학잡지 Vol.17 No.2

        d-amphetamine이 사람에서 paranoid schizophrenia와 아주 유사한 model psychosis를 일으키며 또한 사람과 실험동물에서 실제 정신분열증에서 뚜렷이 관찰되는 behavioral perservation을 일으킬 수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에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양상의 행동변화가 정신분열증의 원인 추구에 중요한 의미를 주는 뇌변화를 반영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많은 연구를 거듭하여 왔다. 지금까지는 주로 catecholamine기전에 대하여 집중적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d-amphetamine의 약리기전의 일부는 5-HT기전이 차지하고 있으며, 여러 행동변화에는 catecholaimin 보다 5-HT 가 더 중요하게 관계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또한 d-amphetamine은 시험관내에서 MAO 특히 신경전달물질 분해요소인 A type를 가역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이 보고되어 많은 흥미를 끌어왔으나 생체내에서의 억제여부는 직접적으로 확인이 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최근에 Braestrup(1977)과 El Hait(1978)등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생체내에서도 억제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d-amphetamine에 의해 야기되는 행동변화와 그 밑바탕을 이루는 생화학적 기전에 5-HT가 차지하는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음의 실험을 시행하였다. 첫째, d-amphetamine의 급성, 만성 투여가 5-HT의 5-HIAA 로의 turnover와 MAO활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서 이 양자사이에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d-amphetamine을 투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라서 뇌내 5-HT, 5-HIAA, 5-HT turnover rate와 MAO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둘째, d-amphetamine, 5-HT 합성을 증가시키는 약물과 합성을 억제시키는 약물을 투여하고, 위의 생화학적 실험과 행동관찰을 병합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d-amphetamine (6 mg/kg)을 급성투여시, 뇌내 5-HT함량이 투여 1시간 후에 최고로(대조치의 123%, p<0.001) 증가되다가 이후 감소하며, 5-HIAA 함량은 처음 15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다가 30분에 최저로 떨어지며(대조치의 78%, p<0.005) 이후 증가하여 24시간째는 약간 대조치 이상으로 회복되었다. 미토콘드리아 MAO활성도는 1시간째에 최저로 떨어지다가(대조치의 89%, p<0.05)이후 회복하기 시작하여 24시간째에 약간 대조치 이상으로 회복되었다. 5-HT의 turnover rate는 MAO활성도 변화와 거의 같은 변화를 보였다. 2) 만성투여시 (하루 2번, 14일간 투여)는 5-HT 함량, 5-HIAA 함량, MAO 활성도 및 5-HT turnover rate 모두가 중등도로 감소되었다. (각각 대조치의 87%, 69%, 80%, 79%). 3) MAO 활성도와 5-HT turnover rate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r=0.866, p<0.001, N=94). 4) MAO 활성도의 역동학 실험에서는 대조치에 비해 투여군에서 Km 값은 의미가 있는 증가가 있었으나 V<sub>max</sub>값은 큰 변동이 없었다. 5) d-amphetamine을 급성 투여할때는 sleeping과 lying components는 상당한 감소를 보인 반면, locomotor activity 는 1시간까지는 상당한 증가를 보였으며 용량이 적을수록 더 큰 증가가 있었다. 반면 stereotypy는 1시간까지 용량이 증가할수록 더 큰 증가가 나타나서 locomotor activity에서 stereotypy 의 증가로 이행을 나타내었다. 만성 투여시는 locomotor activity는 점차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stereotypy는 점차적인 증가가 나타나서 14일쯤에는 평형에 도달하였다. 6) PCPA 단독 투여군(400 mg/kg, 3번)에 있어서는 5-HT와 5-HIAA 함량의 상당한 감소가 나타났으나 MAO 활성도와 행동에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PCPA전 처치군에 있어서도 5-HT와 5-HIAA 함량은 마찬가지로 상당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gnawing, sniffing과 locomotor activity는 더 증가를, stereotyped head weaving, forepaw treading과 hindlimb abduction은 상당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7) L-tryptophan(100 mg/kg)단독 투여시는 5-HT 함량은 약간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5-HIAA 함량은 상당한 증가를 보였다. MAO활성도나 행동은 큰 변화없었다. L-tryptophan 전처치군에 있어서는 5-HT 함량은 더 큰 증가를 보였으나, 5-HIaa 함량은 MAO 활성도는 별 변화없었으며 stereotypedlateral head waving, forepaw treading 과 hindlimb abduction은 증가를, locomotor activity, gnawing과 sniffing components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