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전통’ 인식과 시조담론

        우은진(Woo, Eun-Jin)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3 No.-

        근대 문학담론 속에서 시조는 ‘국문’으로 창작된 ‘전통’적인 ‘민족’ 문학이라는 가치로서 재발견되었다. 이때 ‘전통’이란 근대 이후에 창출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변용되어온 개념이다. 1930년대 이후 시조는 그러한 ‘전통’의 표상으로서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위해 그 변화된 의미들을 덧입어왔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근대 사상과 동서양 인식의 전환, 제국주의 파시즘과 식민지사회 등 1930년대 사회의 여러 지점들 위에서 ‘전통’과 시조의 관계와 의미를 고찰하고 있다. 1920년대 중반 시조부흥론이 주창된 이후, 시조는 근대문학장 안에 시조론을 불러오는 동시에 ‘조선심’의 표상이라는 의미를 획득해갔다. 이어서 시조는 1930년대 ‘전통’ 기획과 맞물리며, 전통적 시형으로서 문단 전반에 인식될 수 있었다. 당시 일제는 강력한 사상 통제와 포섭을 통해 조선과 그 전통을 와해시키는 동시에 재편성해가고 있었는데, 시조는 그 위에서 혹은 그에 대응하며 ‘전통’으로 사유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1930대 후반, 전통지향성을 지닌 문예지 『문장』의 중심축이었던 시조시인 이병기는 실감실정의 표현을 통해 시조가 현대의식을 획득한 ‘전통’으로 계승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병기의 실감실정은 시조라는 고전 시형에 새로움을 입혀 조선의 ‘전통’을 창출하고자 하기 위한 방안이었다. 또한 모방에서 촉발되었으나 모방 속에서 저항의 힘을 만들어내고자 한 전유의 방식이기도 했다. 한편 시조의 ‘전통’은 조선심의 추상성과 일제의 영향을 은폐함으로써, 당위적인 ‘전통’의 온전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다는 모순을 안고 있었다. 더불어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시조에 부여되는 ‘전통’의 의미도 조금씩 변화하지만, 이 역시 원래 내재해 있었던 의미처럼 ‘자연화’됨으로써 시조와 ‘전통’은 그 자체가 지속성을 지닌 힘으로 인식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1930년대 ‘전통’과 함께 선택되고 추인된 당대의 시조를 살펴봄으로써, 그러한 현대시조의 의미화 과정이 지닌 한 부면을 탐색하고 있는 것이다. Sijo (時調, Korean short lyric songs) amid discourse on modern literature had been rediscovered as ‘Traditional People’s Literature’ which was composed in ‘Korean Writing.’ ‘Tradition’ was created since modern era, and, at the same time, this is a concept that has been transformed keeping pace with the changes in society. After 1930s, those altered meanings have been added upon Sijo to make it exist continuously as a symbol of such ‘Tradition.’ Along this line,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 between ‘Tradition’ and Sijo, and meaning thereof on various viewpoints of the society in 1930s including modernism, the changes in the Eastern and Western perception, imperialistic fascism, and colonial society, etc. Since the middle of 1920s when the theory of Sijo revival was advocated, Sijo has brought about the theory of Sijo in modern literature genres, and, at the same time, it has acquired the significance as the representation of ‘Joseon Spirit.’ Subsequently, Sijo was able to be recognized across the literary world as the traditional form of poetry being geared with the plans in relation to ‘Tradition’ in 1930s. In those days,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had dissolved Joseon and its traditions, and simultaneously reorganized the nation through strict thought control and cooptation. Meanwhile, however, Sijo was started being considered ‘Tradition’ beyond such control, or by responding thereto. In the latter part of 1930s, Lee Byeong-gi, the Sijo poet, who was the pivotal figure in the literary magazine 『Munjang, the Literature』 that aimed for tradition, thought that Sijo could be transmitted as by ‘Tradition’ which had acquired modern consciousness through the expressions of actual feeling and state. The expression in terms of actual feeling and state by Lee Byeong-gi was a measure to create ‘Tradition’ of Joseon by laying newness over classical form of poetry, so called Sijo. Also, it was his method in order to pull out the power of resistance amid imitation, although this was touched off from the imitation. On the other hand, ‘Tradition’ of Sijo had carried a contradiction which could establish whole and perfect image of normative ‘Tradition’ by concealing the abstractness of Joseon Spirit and influenc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Although the meaning of ‘Tradition’ bestowed upon Sijo was changing little by little amid rapidly changing situation, Sijo and ‘Tradition’ itself were able to be recognized as the power of continuation by being naturalized as it is the meaning originally inherent in it.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contemporary Sijo which had been selected and confirmed together with ‘Tradition’ in 1930s. In doing so, the researcher explored an aspect of signifying process of such modern Sijo.

      • KCI등재

        조운과 탁상수 비교 연구

        우은진(Woo Eun Jin)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3 No.-

        이 논문은 1920년대에 각각 전남 영광 지역과 경남 통영 지역에서 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동시에 현대시조시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지위를 확립해갔던 조운과 탁상수의 사회활동과 시조 창작을 비교 고찰하고 있는 연구이다. 1920년대의 시조는 흔히 계급문학에 대립되는 우파민족주의의 문학으로 규정되곤 한다. 그러나 조운과 탁상수는 당대 사회주의 성향의 지역 청년단체에서 주요인물로서 활동하는 동시에 시조를 창작함으로써, 1920년대 좌파 민족주의 시조의 가능성을 검토하게 하는 시인들이다. 곧 그러한 측면에서 그들의 시조는 1920년대 시조 문학에 대한 기존의 규정을 재고할 수 있게 하는 지점을 마련해주고 있다. 한편 그들은 사회의식을 시조에 담아내는 차원에서는 차이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조운이 민중의 일상에 대한 관심을 시조 전반에 드러냈다면, 탁상수는 일부의 시조에서 사회현실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 직접적으로 표출했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그들의 사회활동과 시조 창작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1920년대 시조 담론의 지형을 재인식해보고자 하고 있다.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and comparing Jo Un’s and Tak Sang-su’s social activities and Sijo writing, who participated in social movements respectively in Yeongkwang, Jeolanamdo, and Tongyeong, Gyeongsangnamdo, and simultaneously, established their identity and status as modern Sijo poets in 1920s. Sijo in 1920s is usually defined as right-wing, nationalistic literature in confrontation with proletarian literature. However, Jo Un and Tak Sang-su worked as main figures in local youth organizations with socialist inclination and, at the same time, wrote Sijo poems, and therefore make us reconsider the stereotype. On the other hand, they displayed differences in how to express their social consciousness through their Sijo poems. While Jo Un expressed his interest in the daily life of the people in his Sijo poems in general, Tak Sang-su directly made his critical voice heard regarding the reality of the society in some of his Sijo poems. In this paper, those social activities and Sijo writing of thei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Sijo discourse in 1920s.

      • KCI등재

        1930년대 부산·경남 시 동인지와 로컬리티 - 『소제부 제일시집』 과 『생리』를 중심으로 -

        우은진(Woo, Eun-jin),문재원(Mun, Jae-Won)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硏究 Vol.- No.98

        Literary coterie magazines, such as 『Chamsae』, 『Toseong(土聲)』, 『Sojebu (掃除夫)』 and 『Saengli(生理)』, were published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from 1920s to 1930s. Their members were young lovers of literature who resided in the area of Busan or Gyeongnam and tried to create literary discourse and a local field for literature in those places. They were sharing humanistic locality of those days. In other words, they were sharing the temporality and placeness of Busan and Gyeongnam in 1920s and 193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ir experiences, understanding and discourse. Among them, 『Sojebu(掃除夫)』 and 『Saengli(生理)』 were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s published mainly by Yu Chi-hwan in 1930s. Its members were interacting through a Tongyeong youth club, 『Toseong(土聲)』, Busan student anti-Japanese movement and so on. The indirect resistance expressed through the early poems of Yu Chi-hwan and Jang Eung-du was not irrelevant to their exchange. In this thesis, the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in the literary works and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members of 『Sojebu(掃除夫)』 and 『Saengli(生理)』 were analyzed together, and the locality and the meanings of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s in Busan and Gyeongnam in 1930s were examined.

      • KCI등재

        한국인의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한 법의인류학적 연구의 현황과 과제

        우은진(Eun Jin Woo),정양승(Yangseung Jeong) 대한체질인류학회 202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4 No.3

        컴퓨터단층촬영술 (CT)로 축적된 자료는 법의인류학적 방법론 개발에 이용가능한 집단 차원의 생물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개인식별 지표를 개발할 수 있게 하며, 집단 간 비교 연구를 보다 폭넓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자료는 오늘날 가상인류학의 핵심 연구 자료가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 CT 자료를 이용해 구축된 자료와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검토함으로써 한국인의 컴퓨터단층촬영술을 이용한 법의인류학적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국내외 주요 법의인류학 데이터베이스와 학술지를 검토한 바에 의하면 한국인의 CT 자료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가 체계적으로 축적된 예는 몇몇 사례에 그쳤다. 이와 관련해 2013년부터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축적하고 있는 부검 시신의 CT 자료가 현재까지는 가장 규모가 컸다. 한국인 CT 자료를 이용한 연구 성과물은 2010년을 전후로 출판되기 시작하였고 생물학적 속성 복원을 위한 성별 추정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CT를 비롯한 법의인류학적 이미지 분석기술은 측정 환경과 분석 변수만 명확히 제시되면 인구집단 간 다양한 비교와 메타 분석을 보다 폭넓게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향후 한국인 CT 자료를 이용해 연구를 진행할 때에도 표준화된 방법의 구현과 뼈 모델의 신뢰도 문제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이렇게 이루어진 자료들은 한국인에 적합한 법의인류학적 기준을 정립하고 다양한 인구집단 간 변이를 연구하는 데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omputed tomography (CT) allows to inspect and identify the internal features of human tissues in a non-destructive way and to reconstruct their three-dimensional (3D) morphology. Nowadays, CT data have become one of the key research materials in the field of virtual anthropology. Particularly in forensic anthropology, CT data are often used not only to document biological properties of a population and generate population-specific standards for an identification purpose but also to perform comparative studies between populations.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state of CT databases established in South Korea and research outcomes from the databases to understand the trend of forensic anthropological studies using Korean CT data, which will contribute to an expansion of the scope of Korean forensic anthropology. There are only a few Korean CT databases available for forensic anthropological studies. The largest Korean CT database is the Forensic CT Database managed by the National Forensic Service (NFS) since 2013. The NFS database is still growing by adding new CT data from the forensic cases and has a great potential as a research resource. Research articles using Korean CT data have been published in multiple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rensic journals since the late 2000s. The two most dominant topics were to generate Koreanspecific sex estimation techniques based on the metric assessment of different body parts and to examine the thickness and shape of soft tissues on the face in terms of the facial reconstruction. There are only a limited number of studies dealing with other topics such as age estimation. Recent advancement of the forensic imaging techniques including the CT method creates a new environment for researchers. In this situation,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ment methods and clearly defined variables are critical to conduct various inter-population comparisons and meta-analyses. Thus, when CT-related research is performed, the issue of standardization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methods should be considerately examined. The Korean CT databases established in a systemic and standardized way will contribute to a generation of the Korean-specific forensic standards as well as to an understanding of the human variations among populations.

      • KCI등재

        일제말기 만주 지역 시조 연구

        우은진(Woo, Eun-jin) 한국문학회 2015 韓國文學論叢 Vol.71 No.-

        만주국은 1932년 3월 일본 제국의 점령에 의해 수립된 괴뢰 국가이다. 『만선일보』는 만주국의 기관지이자 일제말기 만주 지역 조선인 문학의 유일한 발표지면이었다. 『만선일보』는 한글문학을 허용했으나, 그 안에는 식민당국의 내용 검열이 존재했다. 그 검열은 작품의 질에 우선하는 요건이 되어 작품 발표 또는 당선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만주에서 활동을 하고자 하는 문인이나 문인지망생 모두 그 검열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 본 연구는 일제 말기 만주 지역에서 창작된 시조들을 그러한 매체 담론에 대응하여 나타난 작품 담론이라고 보고 그 관계를 고찰하고 있는 논문이다. 일제말기 만주에서 창작된 시조 가운데 현재 확인 가능한 작품은 1939년 12월부터 1941년 12월까지 2년 동안 『만선일보』에 게재된 28편의 시조와 심연수의 미발표 작품들이다. 『만선일보』 발표 작품 중에서는 특히 이포영의 시조를 통해 매체의 이데올로기에 대응하며 문학장에 진입해가고자 하는 신인 시인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심연수의 경우에는 문학장 진입을 희망하는 문학도로서 매체의 이데올로기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그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그 시조들을 텍스트 로 삼아 『만선일보』를 둘러싼 이데올로기와 문학적 욕망과 관련하여 일제말기 만주 지역 시조의 작품 담론을 분석하고 있다. 오족협화 이데올로기를 선전하는 매체인 『만선일보』와 그 안에서 시조를 발표했던 또는 발표하고자 했던 이들이 가지고 있었던 의식의 관계를, 작품 담론 차원에서 허용과 검열에 대한 수용과 대응의 관계로 분석하고 있는 것이다. Since the foundation of Manchukuo by the occupation of the Japanese Empire in March, 1932, Korean literary circles in the area of Manchuria began to be formed in a full scale. Among the sijos created in Manchuria at that time, 28 pieces of sijos published in『Manseon Daily』 from the latter part of 1930s to 1940s and Sim Yeon-su's unpublished works can be identified at present. In this research, the discourse on sijos in the area of Manchuria at the end of the Japanese Empire was analyzed with those two as the text. The understanding of the genre of sijo, desires as writers of the colony, and recognition of the place of Joseon and Manchuria of the Korean poets who created sijos in Manchuria at the last stage of the Japanese Empire were investigated.『Manseon Daily』rmitted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as the filed to publish Korean literature in Manchuria at the end of the Japanese Empire, however their contents were censored by the colonial authorities. The censorship came to take priority over the quality of a work, and affected publication of the works or winning a prize. No established or would-be authors who intended to work in Manchuria were completely free from the censorship. This study argued that the sijos created in Manchuria at the end of the Japanese Empire had emerged in response to the media discourse, and examined the context and depth.

      • KCI등재

        장응두 시,시조의 재조명 -1930~40년대 발표 작품을 중심으로-

        우은진 ( Eun Jin Wo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6 No.-

        하보 장응두는 1930년대 중반에 등단하여 1960년대까지 활동한 시인이다. 그는 통영과 부산 지역의 대표적인 문학인으로 언급되고 있으나, 실제 그의 텍스트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다. 특히 1930~40년대에 발표한 작품들의경우, 자료의 수집·정리·보존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당시에 발표된 하보의 시·시조 작품들은 식민지 시기 지역 문학인의 긍정적인 존재방식을 보여주는 텍스트로서 의미를 지니고 있으므로 심층적인 분석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1930~40년대 하보의 시·시조는 일제강점기의 사회와 삶, 근대문학제도와매체 등이 빚어내는 관계망의 한 지점 위에서 존재할 수 있었던 특정한 작품 담론이다. 하보는 사회적 억압과 이향의 체험을 바탕으로 일제강점기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창작을 통해 그 현실에 대응하는 자세를 드러내고자했다. 그리고 매체에 작품을 발표함으로써 자신의 언어를 사회 내에서 담론화하고자 했으며, 그것을 위해 여러 매체에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하였다. 이 논문은그렇게 발표된 하보의 당대 시·시조 작품들을 작품 담론의 차원에서 고찰함으로써 그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그에 따라 장소와 사회, 매체 등하보 시·시조의 지층을 살펴본 다음, 그 위에서 형성된 실제 작품의 담론을 분석하는 순서로 하보의 작품 담론을 고찰하고 있다. Habo Jang Eung-du is the poet who started his literary career in the middle of 1930s and wrote poems until 1960s in Tongyeong and Busan. He`s been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writer in Tongyeong and Busan, but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his texts. So far, most of the discussion on him has been limited to the appreciation of his sijo, 「Hanyabo」, fragmentary anecdotes revealing his life and personality, and the mention that he was a member of 『Saengli(生理)』 and 『Maek(맥)』,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s of 1930s, and formed the literary circles in Busan after Korean War. Particularly, in case of the works published during the early stage of his literary activities during 1930s and 1940s, even collection, arrangement and preservation are not being properly conducted. However, Habo`s works at that time need to be reevaluated in that they show the positive way for a local writer to lead his or her life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Habo had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the reality in those days through his life as the colonized, and his experience of leaving his home, and tried to discuss them by creating and publishing poems and sijos. In this research, such discussion in Habo`s works was analyzed in the relationship network where the era and the society, and the system and media are involved, and the meanings of his poems and sijos were evaluated again.

      • KCI등재

        넙다리뼈 몸통 가로단면의 크기를 이용한 조선시대 은평유적 출토 인골집단의 생물역학적 특성 연구

        우은진(Eun Jin Woo),정양승(Yangseung Jeong),정현우(Hyunwoo Jung),박순영(Sunyoung Pa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7 No.1

        팔다리뼈 몸통의 생물역학적 속성(biomechanical properties)은 뼈에 부과되는 역학적 스트레스의 수준을 가장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생물인류학 분야의 연구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특히 다리뼈 몸통의 가로단면 속성(cross-sectional properties 또는 geometry)은 주로 이동성 또는 이동 패턴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제한된 범위의 행위 수준을 복원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사람뼈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에서 많이 이용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단일 유적으로는 최대 규모의 사람뼈 집단이라 할 수 있는 은평 집단의 넙다리뼈 몸통의 가로단면 형태를 분석함으로써 은평 유적에 묻힌 사람들의 생물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조선시대 중ㆍ후기 서울과 그 주변 지역에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신체 행위 수준을 복원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 결과, 은평 유적의 넙다리뼈 편평지수(platymeric index) 값은 84.9 이하로 납작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납작한 유형이며 편평지수 값의 평균에서도 남녀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분석된 편평지수 값의 평균을 보면, 은평집단의 여성 넙다리뼈는 다른 지역의 사람뼈 집단에 비해 비교적 더 편평하다. 뼈몸통중간(midshaft)의 뼈몸통지수(pilasteric index) 값에서도 남녀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 편평지수보다 뼈몸통지수 평균 값의 남녀 간 차이가 더 컸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가 당시 집단의 생태적 환경과 생계패턴의 성격을 반영하는 결과인지에 대해서는 향후 다른 종류의 생물역학적 스트레스 지표를 이용하거나 연구자료의 수를 더 늘려서 해석한 후에 평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Long bone diaphyseal cross-sectional shape as a primary measure of biomechanical loading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in physical anthropology. Especially, lower limb bones have been widely used to reconstruct the mobility pattern of the past population. In this research,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femoral shaft was investigated for the human skeletal remains excavated from the Eunpyeong site, dating the period spanning from the mid-15th to the early 20th centur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nd report the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st populations living during Joseon Dynasty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Eunpyeong population was grouped into the ‘platymeric category (i.e., platymeric index below 84.9). Females were more platymeric (i.e., more laterally flattened) than males and the sexual dimorphis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samples of Eunpyeong site showed a relatively lower pilasteric index (i.e., more round) compared to the populations reported in other stud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ide an insight to shed light on the ecological environments, subsistence strategies, and life styles of the past populations. Yet, for more detailed interpretation, it appear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other types of indicators for biomechanical stresses and accumulate more archaeological evidences.

      • KCI등재

        전염성 질병에 대한 고병리학적 접근

        우은진(Eun Jin Woo),김재현(Jae-Hyun Kim),전채린(Chae Lin Jeon),박순영(Sunyoung Pa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1 No.1

        전염성 질병은 일시에 많은 사람들을 사망에까지 이르게 하기 때문에 인류 사회 전반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미치는 질병 범주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전염병에 대한 연구는 의학적 차원뿐 아니라 인문학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전염성 질병에 대한 고병리학적 접근은 과거 집단이 병원체에 저항하고 적응했던 생물학적 흔적과 그 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게 한다. 오늘날 옛 사람 뼈를 이용한 전염성 질병에 대한 연구는 관련된 병변을 차별적으로 진단하는 것뿐 아니라 전염성 질병의 기원과 진화, 전파에 대한 연구로 점차 확장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뼈에 병변을 남기는 대표적인 전염성 질병인 매독과 결핵, 나병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옛 질병을 진단하고 해석하는 기법들이 최근까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주요 저널에 발표된 논문을 검토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병리 연구의 흐름과 최근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한반도 내 전염성 질환의 양상과 질병 상태에 대한 객관적 정보들이 어떤 절차로 확보되고 연구되어야 할지에 대한 기준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onstructing the impact of infectious disease on past populations is one of the main fields in paleopathological studies. The initial phase of paleopathology was descriptive, focusing on the identification and presence of disease in the past. However, currently paleopathological studies are moving toward probing questions about the larger picture of origin and transmission of disease agents. In this study, paleopathological studies of major infectious disease (i.e., tubuerculosis, treponemal disease and leprosy) were reviewed through osteoarcheological work published in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Osteoarchaeolog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Journal of Paleopathology from 1981 to 2017. A basic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many types of research in paleopathology and to characterize research trend in this field. As paleopathological studies becomes more abundant, the approaches to infectious disease have been increasingly specialized and interdisciplinary from 1980. Also, methodology used in paleopathology continues to evolve through the holistic approaches of molecular analysis, radiology and histopathology. Ultimately, this study reinforces the importance for retention of large-scale skeletal collections for paleopathological study in population perspective. In the near future, Korean paleopathology can contribute in the reconstructions of the history of disease and its effect on past human populations.

      • KCI등재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도박 심각도 간의 관계

        우은진(Eun-Jin WOO),박준호(Joon-Ho PARK)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6

        본 연구는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도박 심각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과 상대적 박탈감의 이중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전국 2, 30대 성인 2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5.0과 AMOS 21.0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모든 변인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도박 심각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도박 심각도의 관계에서 상대적박탈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도박 심각도의 관계에서지각된 통제감과 상대적 박탈감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controland relative depr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gambling severity. For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an online survey of 215 adults in their 20~30snationwide and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1.0.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gambling severity. Third, themediating effect of relative depriva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stress and gambling severity. Fourth,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andrelative depr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gambling severity wassignificant.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 KCI등재

        김원일의 환멸을 찾아서 연구 - 남성성과 전쟁의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

        우은진 ( Woo Eun-jin ) 배달말학회 2016 배달말 Vol.59 No.-

        이 논문은 김원일의 중편소설 「환멸을 찾아서」에 드러난 근대사회의 남성성과 전쟁의 이데올로기 문제에 대해 고찰하고 있는 연구이다. 이산가족 문제를 다루고 있는 이 소설에서는 6·25 한국전쟁과 남북분단에 의해 형성되거나 분열된 세 가구의 삶을 보여주고 있다. 이북에 가족을 두고 홀로 월남한 인물인 오영감, 이남에 가족을 두고 월북한 인물 박중렬, 전쟁 과부로서 재혼을 통해 이부남매를 낳은 문미 어머니 이 세 사람이 각각 새롭게 이룬 가족이 그것이다. 이 중 남성 인물들은 전쟁 이데올로기의 공포를 피하기 위해서, 또는 그것에 호명되어 고향과 가족을 등지게 된 사람들로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는 인물들의 상황과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전쟁과 분단에 대한 이 소설의 서사를 남성성을 전쟁에 동원한 사회적·정치적 이데올로기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이때 남성성 이데올로기는 근대에 재생산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와 맞물려 전쟁의 상처 또는 소외 의식을 아버지에서 아들로 이어지게 만드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다시 말해 「환멸을 찾아서」의 서사에서는 아들들이 허상의 권력구조로서의 가부장제와 전쟁 이데올로기를 인식하지 못하고, 그 안에서 소외의식을 느끼거나 가계의 계승과 무관하게 살아가고자 하는 양상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그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근대의 남성성이라는 허상이 만들어낸 폭력과 그 환멸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ideology of genders and wars of the modern society expressed in Kim Won-il`s medium-length novel,「Looking for Disillusionment」. This novel deals with the matter of separated families, and tells the stories of the three families formed or divided by Korean War and division, that is, a character who defects to South Korea alone with family left in North Korea, a character who defects to North Korea alone with family left in South Korea, a war widow and their family they have formed respectively. The male characters are depicted as those who turn their backs on their hometown and family in order to avoid the terror of war ideology or by being led by it. In this study, the narrative of this novel about Korean War and division was examined in terms of social and political ideology that mobilizes masculinity into the war. Here, masculinity along with the ideology of patriarchy makes the scars of the war or the sense of isolation be succeeded from fathers to sons. In the novel, the sons are not aware of the ideology of patriarchy and war as an illusionary power structure, and feel alienated in it or try to live unconnected to the succession of their family. Studying on this, this thesis investigates violence and disillusionment created by the illusion of modern masculi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