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팬데믹 시대, 문학교육 앞의 질문들에 대하여

        우신영 ( Woo Shin-you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1 문학교육학 Vol.- No.71

        문학교육은 그동안 ‘학습독자’를 교육 대상의 기본값으로, ‘문학교육과정’을 교육 목표-내용-방법-평가의 절대 준거로, ‘학교 안 교실과 배당된 수업 시간’을 문학교육의 시공간으로 설정해왔다. 하지만 코로나라는 외생 변수가 문학교육이라는 제도에, 문학교사라는 주체에, 문학교실이라는 공간에 거대한 질문들을 던져오고 있다. 이 연구는 팬데믹 이후 문학교육에 다음의 세 가지 질문, 즉 ‘왜 배워야 하는가’, ‘누구에게 배워야 하는가’, ‘언제/어디서 배워야 하는가’에 대한 응답책임이 요구될 것이라 보았다. 이에 대한 답변을 모색하기 위해 팬데믹 이후 교육현장에 대한 자료, 연구 담론, 학교밖 문학교육 관련 자료 등에 대한 문헌연구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산개(patulous)된 문학교육과정을 통한 문학 경험의 자발적 구조화, 학습자가 아닌 문학 하미(do-er)를 만드는 교사의 역량과 실재감(presence), 공식적 문학교육의 시공간과 학교밖 문학행위의 시공간을 오가는 다중적(plural) 교차공간의 설계 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각자의 시공간에서 공동의 감각과 문학 경험을 창출할 수 있다면 팬데믹은 처리해야 할 '사고'가 아닌, 더 나은(better normal) 문학교육을 위한 '사건'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Literature education has set the learning reader as the default for education, the literary curriculum as the absolute criterion for educational goal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and the classroom and allotted class hours as a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 as the time and space of literary education. However, the exogenous variable of Corona is raising huge questions to the system of literary education, to the subject of literary education, and to the space of the literary classroom.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that literary education after the pandemic would require accountability to respond to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Why should I learn', 'Who should I learn from', and 'When/where should I learn?' In order to find a hypothetical answer to this, a literature study was attempted on materials related to education after the pandemic, research discourse, and materials related to literature education outside of school. In conclusion, voluntary structuring of literary experience through a partulous literary curriculum, the ability and presence of teachers to create a do-er, not a learner, and the establishment of a plural intersection space were proposed. If this change can create a common sense and literary experience in each other's space and time, the pandemic can be interpreted as an "event" for better literature education, not an "accident" to deal with.

      • KCI등재

        동화 독서와 젠더 이데올로기: 아동 권장도서목록 속 전래동화 여성인물 표상을 중심으로

        우신영 ( Shin Young Woo ) 한국독서학회 2016 독서연구 Vol.0 No.3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children.s acceptance aspect of woman representation through korean fairy tal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it was necessary to analyze < 어린이도서연구회 >.s Recommended Books for Children in the past four years. Because that list of books have great influence wi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rough analysis, this study find out 3 types of woman representation in korean fairy tales and raise a question of whether its appropriacy. Woman character in first type, they judge thyself as an incentive for ability of men. Or they were left behind after sexual contact and excluded main narrative. They accept life as woman their fate. Woman character in second type, saintess use their life for intensify the ruling order, abject use their sex for disturb the ruling order. Abject.s appearance and ability were illustrated as superfluous being or defective being. Woman character in third type, they.re ousted from home and they appear to be the protagonist in women.s sufferings. Resultingly they regain their identity as daughter or daughter.in.law. Such sexual inclination in list of fairy tales for children has continued to fulfill its violent function for many years. In conclusion, this study assert the need for change list of fairy tales for children to affirm children.s desire and nature. Furthermore, We have to explore new way of reading fairy tales, new way of gender politics.

      • KCI등재

        청소년창작소설에 나타난 부모-자녀 서사 연구

        우신영 ( Woo Shin Young ) 한민족어문학회 2016 韓民族語文學 Vol.0 No.73

        최근 인성교육에 대한 각성과 관심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이 직면해 있는 가치 불안의 수위는 심각하다. 문학은 그러한 불안의 강도를 짐작케 하는 일종의 진도계(earthquake intensity) 기능을 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청소년작가들이 생산한 청소년문학이야말로 ``지금 여기``를 살아가는 그들의 절박한 목소리가 허구의 힘을 빌려 분출된 장소라 할 수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청소년들이 직접 창작한 소설을 주된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청소년이 창작 주체가 된 청소년소설을 ‘청소년창작소설’이라 이름하고 이러한 작품군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부모-자녀 관계, 그리고 이러한 형상화를 추동하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청소년창작소설에서 가족 서사 특히 부모-자녀 관계가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 이러한 청소년창작소설의 가족서사가 탄생한 원인과 맥락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등의 연구 질문을 정립하였다. 이후 대산청소년문학상 수상작품집 팝콘전쟁(2014)에서 부모-자녀 관계가 주도적으로(dominant) 형상화된 작품 12편을 선정하여 질적 내용분석의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창작소설 속 가족서사의 핵심 범주로 ‘숫자의 세계 대 감각의 세계’, ‘말더듬이 아빠, 실어증 엄마’, ‘상속의 논리’ 등이 도출되었다. ‘숫자의 세계 대 감각의 세계``에서는 성인들의 세계와 청소년들 자신의 세계를 이항대립적으로 구조화하는 ‘배치의 기술’(technic of assemblage)이 잘 드러나는데 성인들의 세계가 철저히 세속화된 숫자의 세계로 표상된다면 청소년들의 세계는 개성과 삶의 주권이 존중받는 다채로운색의 세계로 표상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말더듬이 아빠, 실어증 엄마``에서는 소통이 불가능해진 부모-자녀 관계를 말더듬이, 실어증, 히키코모리 상태 등의 질병으로 은유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혔다. ‘상속의 논리’에서는 부모 세대가 주문처럼 되뇌었던 현실의 규칙이 모유 이데올로기(mother-milk ideology)로 학습되어 청소년들의 현실인식을 틀짓고 있으며, 치열한 적자생존의 법칙이 이 시대 청소년들에게 일종의 "도덕적 정언명법"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In spite of attention about character education, Korean teenager experience serious value-anxiety. Korean literature is a kind of earthquake that we could expect such value-anxiety through literature. Especially, Juvenile-writing Novels are fictional spaces that their authentic voice are spreading. This study aims to read pedagogical meaning of parent-child epic in Juvenile-writing Novels.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an exploration of parent-child relationship in Juvenile-writing Novel. So, this study analyze Daesan Juvenile Novel Award winners, 11 novels that are represented parent-child relationship by method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rough these analysis, this study find out 3 categories of representation about parent-child relationship. These categories consist of ``World of number vs World of sense``, ``stuttering father and mother with aphasia`` and ``logic of inheritance``.

      • KCI등재

        일반논문 : 소설텍스트 해석 교육 내용 연구

        우신영 ( Shin Young Woo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3 문학교육학 Vol.42 No.-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e contents of novel interpretation education for student`s interpretation competence. Because it is very critical to connect between the novel interpretation and reader`s real life. Meanwhile, methodology for novel interpretation was not receiving careful study because of Philosophical Hermeneutics`s effect. I assume that methodology for novel interpretation is play a vital role for interpretation education. Because we aim to raise the actual competence for readers in classroom. So I suggest that we have to design methodological strategies and maxims for novel interpretation education. By analyzing interpretation texts about <Wings> written by Lee Sang, I try to show that three factors, “interpreter`s value system”, “interpreter`s knowledge” and “interpreter`s context of reception” have a decisive effect on the novel interpretation. I attempt to systematize the contents of novel interpretation education with the two categories, “methodological strategy for interpretation” and “maxim for interpretation,” and try to provide more specialized sub-categories such as “imaginative reproduction of text`s worlds and construction of second reference`s network”, “construction of implied author as interpretive hypotheses”, “conversion of text`s worlds through the substitution of interpreter`s context”, “assumption of text`s topic and repetitive disproof”, “respect for text`s otherness and an attentive listening”, and “self-interpretation and reflection about the code of interpretation”.

      • KCI등재

        학습자의 문학교육 경험 연구

        우신영(Woo, Shin-you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65 No.-

        문학교육 연구가 더 나은 문학교육을 위해 양질의 연구를 누적해가는 동안에도 학습자는 계속해서 문학과 인지적, 정서적으로 유리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간극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공백으로 처리되어 왔던 학습자의 실체와 욕구, 요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나름의 문학교육 경험사(經驗史)를 보유한 학습자의 경험기술지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문학교육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진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문학교육을 경험한 예비 고등학교 3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문학교육 경험기술지 42편을 수합하고 이를 NVivo10으로 분석하여 향후 문학교육이 학습자와 맺어야 할 바람직한 관계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범주-문제의식, 원인 분석, 대안 제시와 10개의 트리노드가 추출되었다. 먼저 학습자들이 문학교육에 대해 느끼는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교육으로 인해 문학에 대해 갖고 있던 호감이나 재미가 소실되었다. 둘째, 문학교육이 표방하는 목표와 실제 문학 교실의 모습, 평가의 목적과 실태, 교사들 간의 해석 및 교수 능력 차이 등으로 인해 심각한 불공정성을 체감하고 있다. 셋째, 학교 문학과 '나'의 문학이라는 이분법적 문학관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으로는 크게 인적 변인과 구조적 변인이 지적되었다. 첫째, 문학교과만의 정체성과 특수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 기계적으로 수업하는 교사들의 태도, 둘째, 방대한 작품 수와 지식으로 인해 의미 없는 필기만 반복하는 수업 방식, 셋째, 시험이라는 하나의 귀결점을 향해 완벽하게 수단화된 문학 경험이 그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들로 크게 네 가지가 제안되고 있다. 첫째, 교과에 대한 교사의 애정과 열정, 둘째, 작품 자체가 아닌, 작품을 즐기고 이해하는 방법이 중핵이 된 수업, 셋째, 작품이 생산된 시대와 인간에 대한 이야기가 구술되는 수업, 넷째, 지식보다 문학 체험과 자유로운 반응이 선행되는 수업 등이 그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spects of learning-reader's experience about literary education and to design a practical framework for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Meanwhile many academic discussion about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have been accumulating. However that discussions cannot provide a proper opportunity for growth of real learner's compete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nalyze learning-reader's experience about literary education using actual 42 data. For concrete analysis, I adopt a method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use a NVivo10 as a software tool. In succession, aspects of learning-reader's experience about literary education are analyzed three category <critical mind>, <cause analysis>, <presentation of alternative> and 10 tree nodes. The following are learner's critical mind about literary education. Firstly, they lose half their interest in literature because of literary education. Secondly, they feel current literary education is very unfair. Thirdly, they devide literature into school-literature and private-literature. The following are learner's cause analysis about these problems. Firstly, literature teacher work like a robot without identity as literature teacher. Secondly, learner always take down a lecture without literary pleasure because of overfull texts and fast progress in class. Thirdly, they feel that literary experience are degraded to the tool for examination. The following are learner's presentation of alternatives. Teacher's love for literature, methodical knowledge-centered literary class, many interesting stories about author and period related literary texts, and free literary responses before literary knowledge.

      • KCI등재

        소설 해석에 나타난 독자의 현실 인식 연구-`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에 대한 해석텍스트를 중심으로-

        우신영 ( Woo Shin You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국어교육 Vol.0 No.15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ader`s perception of reality involved in the process of novel interpretation and to design educational methods accordingly. The process of novel interpretation has a multi-layered structure in which the perception of reality by various person subjects is communicated. In addition, through this dialogue, the reader`s perception of reality finally grows and reconstructs. Therefore, we analyzed the actual perception of the actual reader by using the growth stage of the perception of reality as an analysis frame. The analysis of the analysis text of 52 high school students` readers on "The day of novelist Kubo," revealed the following perception of rea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turn to subjective perception of reality before novel experience", “mutual reality recognition through novel experience", and “meta interpretation and reconstruction of reality recognition". Each was stepped into a first - person reality recognition, a second person reality recognition, and a third person reality recognition. Learning readers who showed first-person perception of reality tended to return to or reinforce their existing perception of reality rather than experiencing the text world of the novel. The readers who had perceived the second - person reality revealed the similarity of their perception of the reality and the perception of the other, and expressed the attitude of mutual dialogue. Readers who have reached the perception of the third person have re-read the world around them through the text world and have prearranged their own consciousness of the reality in this process. In addition, he showed the reflexive ability to reconcile the author`s perception of reality and to communicate with it, and to perceive his own reality as well.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of education for realistic perception growth of readers. It was designed to provide an educational medium in accordance with the perception of reality that readers reached. First, in the first - person recognition phase of reality, listening and fictional conversation about fictional other is called novel text. In the second personality recognition stage, reading texts of his own interpretation texts and his own interpretation codes were suggested. In the third - person recognition stage of reality,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the interpreting community, has been propos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practicall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reader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novel, which has not been pondered sufficiently yet.

      • KCI등재

        문학교육과 윤리의 관계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연구 -< 은교 >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우신영 ( Shin Young Woo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4

        이 글은 예비교사들이 문학교육과 윤리의 관계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의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어과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대학 3, 4학년 예비 문학교사들에게 박범신의 소설 <은교>(2010)를 읽고 문학교육과 윤리의 관계에 대한 글을 작성하도록 한 후, 그 글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문학교육과 윤리의 관계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범주는 예비교사들의 목소리가 담긴 자료를 통해 질적 내용 분석의 방법으로 귀납적으로 도출하되, 교사들의 신념체계를 범주화한 어네스트(Ernest)의 분류를 참조하였다. 그 결과 문학교육과 윤리의 관계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범주를 보호주의적 관점, 절충적 관점, 도구적 관점, 독자적 관점등으로 나누고 각각의 관점 별로 예비교사들이 드러내는 인식의 양상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충분히 초점화 되지 못하였던 예비 문학교사들의 교과관과 자기인식이 문학교육의 미래를 위해 결정적임을 주장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질적으로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spect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about literature education and ethics. Meanwhile many academic discussions about rel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and ethics. However that discussions cannot provide a practical suggestion for pre-service teach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explores pre-service teacher``s text about the rel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and ethics after reading <Eungyo>. As a result, I determine that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category about literature education and ethics consists of protective perspective, eclectic perspective, instrumental perspective, independent perspective. That category emerge from texts that analyzed qualitatively. On this course, I refer to the Ernest``s categorization about belief system of teacher. And I explore aspect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microscopically according to each viewpoint. This study determine the importance of pre-service teacher``s subject matter perspective and self-knowledge. And this study have a specialty because it explore pre-service teacher``s voices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 KCI우수등재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과 문학교육의 관계

        우신영(Woo, Shin-young)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3

        포스트휴머니즘은 문학교육에 삼중의 질문을 던진다. 더 나은 인간이란 무엇이며, 앞으로의 문학예술은 무엇이고, 인간이 인간을 교육한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가. 인간다움의 개념을 내파시키는 포스트휴머니즘 시대가 육박해오면서 휴먼의 완성을 학문적 정체성으로 삼던 일반 교육학은 물론 문학교육의 목표와 방향, 정체성 역시 검토의 대상이 되었다. 이 연구는 그러한 검토를 위해 예술 경험의 포스트휴먼적 가능성에 대한 브라이도티의 ‘되기’ 개념과 문학 독서 행위에 대한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 개념을 결합하여 포스트휴머니즘적 문학교육 모델을 설계하였다. 또한 그러한 모델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내 여자의 열매〉,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레디메이드 보살〉 등의 문학 경험을 통해 삼중의 미메시스에서 발생하는 자기 갱신과 타자되기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휴머니즘적 환상에 파열선을 긋는 세 편의 작품 읽기를 통해 포스트휴먼 시대, 문학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는데, “인간과 세계에 대한 총체적 이해라는 문학교육의 목표가 인간중심적 관점으로 경사되지 않도록 생태학적 관점을 지향해야 한다.”, “문학교육은 문학 텍스트 안팎의 타자를 구별과 판단의 대상이 아닌, 마음 씀과 돌봄의 대상으로 느낄 수 있는 경험과 역량을 촉진해야 한다.”, “문학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미래의 인간이 어떤 존재여야 하는지 고민하고, 자아와 삶의 개념을 규범적 틀에서 떼어내 재검토하게 배려해야 한다.” 등이 그것이다. 인간이 타자와 접속하며 끊임없이 변신해가는 과정을 형상화 하는 문학을 통해 독자 역시 새로운 자기로 변화한다. 이 과정의 핵심은 역시 문학자체가 내장하고 있는 포스트휴먼적 질문들의 힘일 것이다. 문학교육이 해야 하는 일은 이러한 삼중의 미메시스 과정에서 학습자가 열린 존재가 될 수 있게, 그래서 아주 많은 다른 존재를 상상할 수 있게, 그리고 그러한 타자들에 대해 마음을 쓰게 하는 일이다. Post-humanism asks three questions to the education of literature. What is a better human being, what is the literary art in the future, and what is the meaning of education? With the advent of post-humanism, which ruptures the concept of humanity, not only general pedagogy, which used to use human completion as an academic identity, but also the goal, direction and identity of literary education have become subject to review. For such a review, the study designed a post-humanistic literary education model by combining Braidotti’s ‘becoming’ concept of the post-human potential of art experience with Ricoeur‘s ’triple mimèsis’ concept of literary reading.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such models, I also looked at the possibility of self-renewal and typeface arising from triple mimèsis through literary experiences such as “My Woman’s Fruit,” “Cyborg But It’s Okay,” and “Ready-made Bodhisattva.” Through reading three works that draw a rupture line to humanistic fantasies, the implications of the identity of post-humanism education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an ecological perspective should be directed so that the goal of literary education of a ho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the world is not sloped from a human-centered perspective. Second, literary education should promote the experience and capacity to feel other people as objects of concern and care, not as objects of discrimination and judgment. Third, literary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learner to think about what future human beings should be, and to review the concepts of self and life by removing them from the normative framework. Through literature that embodies the process of human beings constantly changing from connecting to others, readers also transform themselves into new self. The key in this process will also be the power of post-humanistic questions that literature itself poses. What literary education should do is to make the learner open in this triple mimèsis process, so that they can imagine so many different beings and be concerned about such others.

      • KCI등재

        교육실습 기간 예비교사들의 정서적 지형도 연구

        우신영 ( Woo Shin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5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기간 동안 경험한 정서를 분석하여 일종의 정서 지형도를 구축하고, 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에 기반하여 교육실습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정서적 경험이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보고 그들의 교육실습 경험기술지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질적 내용 분석 도구인 NVivo11이 사용되었다. 정서가 경험되는 주요 공간 축에 따라 학교 공간에서의 정서적 경험/교실 공간에서의 정서적 경험/사적 공간에서의 정서적 경험이 분석되었다. 학교 공간에서의 정서적 경험은 다시 두개의 하위 범주를 갖는데 ‘제3의 공간이 주는 정체성 혼란’, ‘지도교사에 대한 의존과 인정 욕구’ 등이 그것이다. 교실 공간에서의 정서적 경험은 세 개의 하위 범주를 갖는데 ‘수업 전의 긴장과 불안감’, ‘수업 중의 희노애락’(喜怒哀樂), ‘학습자에 대한 애착 형성’ 등이 그것이다. 사적 공간에서의 정서적 경험은 두 개의 하위 범주를 갖는데 ‘육체적, 정신적 피로와 소진감’, ‘자신과 교직에 대한 효능감’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토대하여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프로그램 운영 및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현장 중등학교와 사범대학 사이의 공조 및 협의를 통해 예비교사들에게 보다 많은 책임과 경험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 프로그램과 자유학기제, co-teaching 제도 등의 연계가 고려될 수 있다. 둘째, 교육실습 전담 지도교수가 지정되어 실습 중인 예비교사들에게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케어를 제공하고 예비교사 커뮤니티를 조직해줄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물리적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예비교사들의 수업권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otions experienced by the pre - service teachers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to construct a kind of emotional geography, and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teaching practicum based on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analysis process. This study analyzed the empirical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as an important study subject and analyzed their experimental ethnography phenomenologically. Emotional experience in school space/emotional experience in classroom space/emotional experience in private spac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ain space axis where emotion is experienced. I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 proposed the oper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eaching practicum of the pre-service teacher. First, more responsibility and experience should be provided to pre-service teachers through coordination and consultation between the field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of education. Second, there is a need to assign a practicum specialist instructor who can provid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are to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and to organize a community of pre-service teachers. Third,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teaching practicum and to secure the lecture rights of pre - service teachers.

      • KCI등재

        청소년문학 장르의 문학교육적 전유

        우신영 ( Woo Shin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4

        이 연구는 청소년문학을 ‘기능하는 장르’로 보고 문학교육이 그러한 청소년문학의 당대적 기능을 어떻게 전유할 수 있는지 탐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일종의 비공식적 교육의 형태로 해당 장르가 기능하고 있다면, 중등학습자의 문학능력 향상을 목적하는 문학교육에서 이러한 현상을 도외시 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 현실을 만들어가는 힘과 방향의 의미를 따져보고 그것을 생산적으로 전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청소년문학 현상을 주도하고 있는 청소년문학상 담론, 특히 청소년문학상 심사평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자료들이 가시적 혹은 비가시적으로 드러내는 청소년문학에 대한 기대와 장르적 자의식을 확인하고, 해당 장르의 기능이 가시화된 언어적 표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문학의 기능을 관찰의 기능, 대변의 기능, 교육의 기능 등으로 유형화하고 문학교육적으로 각 기능을 어떻게 전유할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이상의 작업을 통해 문학교육은 청소년문학이 수행하는 기능을 전유하여, 학습자들이 청소년문학 창작 주체, 비평 주체, 장르 주체로 성장하도록 도울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gnize youth literature as a “functional genre” and explore how literary education can appropriate the contemporary functions of youth literature. If the genre is functioning in the form of an informal literary education, this phenomenon cannot be neglected in public education aimed at improving the literary ability of secondary learners. If so, examining the meaning of the power and direction that makes this reality is necessary. Additionally, literary education needs to productively appropriate it. Therefore, the discourse on youth literature, which leads the youth literature phenomenon, especially the literary magazine commentaries on youth literature award, is qualitatively analyzed to confirm the expectations and genre self-consciousness of youth literature, and the linguistic signs that focus on the function of the genre are analyzed and categorized. Thus, the functions of youth literature have been categorized into observation, representation, and education functions, and how each function can be exclusively appropriated in literary education has been discussed. Through this, it is confirmed that literary education can exclusively play the functions of youth literature, allowing learners to become the creative subjects of youth literature, criticism subjects, and genre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