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성인의 요골두 및 경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Mason 2형 골절의 아분류

        신현대 ( Hyun Dae Shin ),김경천 ( Kyung Cheon Kim ),우세민 ( Se Min Woo ),주용범 ( Yong Bum Joo ),김동규 ( Dong Kyu Kim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4

        목적: Mason 분류 II형을 세분하고 치료방침을 정하여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부터 2003년까지의 33예를 대상으로, 세분화한 Mason 분류를 이용하여 요골 경부가 전위된 IIa형은 소형금속판으로, 요골두가 전위된 IIb형은 압박나사못으로, 요골두와 경부 모두 전위된 IIc형은 소형금속판 및 압박나사못으로, III형은 소형금속판과 압박나사못으로 고정하였으며, 고정이 불가능한 3예는 요골두를 절제하였다. 결과는 An과 Morrey의 평가법을 이용했다. 결과: 주관절 기능 평균 점수는 IIa, IIb, IIc형이 92.7, 88.4, 86.4, 내고정한 III형이 83.5, 절제한 III형이 75.0, IV형이 75.5점이었다. 합병증은 이소성 골형성 2예, 금속판 이완 1예, 불유합 1예, 부분적 주관절 강직 3예, 외상성 관절염 2예가 있었다. 결론: Mason II형의 아분류를 기준으로 경부 골절이 동반되지 않은 IIb형은 압박나사못을, 경부 골절이 동반된 IIa, IIc, 일부 적용이 되는 III형은 소형금속판을 이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세분화된 분류는 치료 방침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treatment according to the sub-classification of the Mason type II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99 to 2003, according to the sub-classification of the Mason type II fracture, 33 patients were treated with miniplate in displaced neck fracture (IIa), with compression screw in displaced head fracture (IIb), with miniplate and/or compression screw in displaced head and neck fracture (IIc), with compression screw and miniplate in comminution fracture (III) or excision of head in irreducible state.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An and Morrey`s functional rating index. Results: Functional rate score averaged 92.7 in type IIa, 88.4 in IIb, 86.4 in IIc, 83.5 in type III with reduced fracture, 75.0 in type III with excised head, and 75.5 in type IV. Complications included heterotopic ossification (2 cases), metal loosening (1 case), malunion (1 case), partial ankylosis of elbow (3 cases), posttraumatic arthritis (1 case). Conclusion: These results supported the recommendation for internal fixation with compression screw in isolated radial head fracture (IIb) and with miniplate in fracuture combined with displaced neck (IIa, IIc, indicated some III). We concluded that sub-classification is useful for dicision making in radial head or neck fracture`s treatment.

      • KCI등재

        반-유구골 자가 이식을 이용한 후방 불안정 근위지간 관절 골절 및 탈구의 치료

        신현대(Hyun-Dae Shin),김경천(Kyung-Cheon Kim),우세민(Se-Min Wo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4

        목적: 반유구골 자가 이식술을 통해 불안정 근위지간 후방 골절 및 탈구의 치료에 대한 임상 결과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근위 지간 골절 및 탈구로 진단받은 환자 중 중수지골 수장측 관절면의 50% 이상을 침범하거나, 관절의 손상은 절반이하이나 불안정성이 남아서 반-유구골 자가 이식술을 이용하여 치료한 6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결과에 대한 평가는 술 후 환자의 만족도, 운동범위, 안정성 및 악력(grip strength)으로 측정하였고, 방사선학적 검사 상 유합, 이식 결합 혹은 붕괴 유무를 측정했다. 결과: 전례에서 환자들은 수술 결과에 대하여 술 전에 비해 만족하였다. 근위 지간 관절의 평균 운동 각은 81°(75-100°)로 측정되었다. 전례에서 근위지간 관절의 안정성을 보였고, 평균 악력은 손상 받지 않은 건측의 82% (75-90%)로 측정되었다. 방사선학적 검사상 전례에서 골유합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이식골의 붕괴나 재흡수, 재탈구 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불안정한 근위 지근 관절 후방 골절 및 탈구 치료로서 반-유구골 자가 이식술은 관절면 컵 모양의 윤곽을 재건하고, 근위 지간 관절의 안정성과 기능적 운동각을 회복하는 데 유용한 술식이며, 향후 중-장기 기간 동안의 추시가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and radiology assessments of the treatment outcomes of an unstable dorsal proximal interphalangeal (PIP) fracture and dislocation by hemi-hamate autograft. Materials and Methods: Six patients underwent a hemi-hamate autograft for the treatment of an unstable dorsal PIP fracture dislocation of which the articular involvement of the PIP joint was >50%, or an unstable joint despite the lesser degree of involvement.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from the following: postoperative patient satisfaction, range of motion, stability and grip strength. The radiographs were evaluated for the union, and graft incorporation, and/or collapse. Results: All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and the range of motion of the PIP joint was 81 degrees (75-100°). In all cases, stability of the PIP joint was restored. The average grip strength was 82% (75-90%) of the uninjured side. Bone union was achieved in all patients. Conclusion: A hemi-hamate autograft is effective for reconstructing the cup-Shaped contour of the articular surface, and for recovering the functional range of motion of the PIP joint after an unstable dorsal proximal interphalangeal (PIP) fracture and dislocation. However, more study will be needed through a mid-term and long-term follow up.

      • KCI등재

        제한적 수근골 유합술을 이용한 Kienböck 질환의 치료

        신현대(Hyun-Dae Shin),김경천(Kyung-Cheon Kim),우세민(Se-Min Woo),이훈(Xun Li),강태환(Tae-Hwan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6

        목적: Lichtman 분류 제3기의 Kienbock 질환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제한적 수근골 유합술인 삼중주상골 유합술과 생역학적으로 유사한 주상유두골 유합술의 치료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Lichtman 제3기의 Kienbock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수술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5명 중, 주상유두골 유합술을 시행한 15명과 삼중주상골 유합술을 시행하였던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2.6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33개월이었다. 술 전과 최종 추시상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평가에서 술 후 동통의 소실은 두 방법에서 모두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술 전 및 술 후 수근 운동범위 제한의 변화 정도는 두 방법 간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학적 평가상 carpal height ratio와 lunate index의 변화 정도 역시 두 수술 방법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합병증은 주상유두골 유합술의 경우 불유합 1예를 포함한 4예에서 나타났으며, 삼중주상골 유합술은 표재성 감염 2예를 포함한 4예에서 나타났다. 결론: Lichtman 분류 제3기의 Kienbock 질환에서 주상유두골 유합술은 수술적 접근이 용이하고 주상골의 해부학적 위치로 정복이 용이하며, 삼중주상골 유합술과 임상적 평가와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To compare the treatment results of triscaphe and scaphocapitate arthrodesis in Lichtman's stage Ⅲ Kienbock's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 Among 25 cases of Kienbock's disease (Lichtman's stage Ⅲ), who were followed up more than 1 year after surgery from 1997 March to 2005 March, 15 cases of scaphocapitate and 10 cases of triscaphe arthrodesis were reviewed. The average age was 42.6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3 months. The clinical and radiology results were analyzed before surgery and at the last follow-up. Results : In the clinical assessments, there was good pain relief after each procedure and there was a similar limitation of the carpal range of motion before and after surgery. The radiology assessments reveal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arthrodeses according to the carpal height ratio and lunate index. Regarding complications, there were 4 cases with a scaphocapitate including 1 nonunion and 4 cases with triscaphe arthrodesis including 2 superficial infections. Conclusion : The scaphocapitate arthrodesis is a technically simple, easy reducible to the anatomical position and produces similar clinical and radiology results to triscaphe arthrodesis. Overall, scaphocapitate arthrodesis appears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treating Lichtman's stage Ⅲ Kienbock's disease.

      • KCI등재

        가토의 아킬레스건 파열의 수술적 치료 후 고정 방법에 따른 생역학적 및 조직학적 변화

        김경천(Kyung-Cheon Kim),황득수(Deuk-Soo Hwang),정상윤(Sang-Yun Chung),우세민(Se-Min Woo),이충희(Choong-Hui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3

        목적: 아킬레스건 파열의 수술 후 고정 방법에 따른 생역학적 및 조직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30마리의 수컷 가토의 우측 아킬레스건을 절단 후 변형된 Kessler씨 방법으로 봉합하였고, 수술하지 않은 좌측은 대조군으로 하였다. Ⅰ군(n=10)은 족저 굴곡 상태로 장하지 석고를 6주간 고정하였고, Ⅱ군(n=10)은 수술 1주일째부터 전신 마취하에 1주일 간격으로 교정하여 수술 5주에는 완전히 배측 굴곡시켜 고정하였다. Ⅲ군(n=l이은 외고정 장치를 경골과 종골에 고정 후 수술 1주부터 완전히 배측 굴곡이 되도록 하루에 2㎜씩 외고정 장치를 단축시켰다. 수술 6 주에 아킬레스건을 종골의 부착 부위에서 절단하여 각 군의 5마리는 생역학적 실험을 실시하였고 나머지 5마리는 조직 검사를 하였다. 결과: 생역학 검사에서 제Ⅰ, Ⅱ, Ⅲ, 대조군에서 파열 하중(N)은 각각 55.50, 97.46, 140.27, 180.98이었으며, 변형률은 0.44, 0.49, 0.74, 0.67이었으며, 파열에 필요한 에너지(J)는 12.23, 23.98, 51.20, 60.78이었으며, 강도(N/㎜)는 9.63, 17.87, 19.01, 23.33이었다. 제Ⅰ, Ⅱ, Ⅲ 군간 파괴 하중, 변형률, 파열에 필요한 에너지 그리고 강도가 Ⅲ군으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조직학 소견 상 Ⅲ군으로 갈수록 건 구조가 보다 성숙되어 있었으며, 섬유 다발이 보다 평행한 배열 양상을 보였다. 결론: 수술 후 치유 중의 아킬레스건의 연속적인 교정에 의한 인장력은 생역학 및 조직학적으로 보다 정상에 유사한 회복 양상을 나타낸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regimens of immobilization after surgery in a rabbit model.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on the right Achilles tendon of 30 rabbits. Modified Kessler method was used to suture the transected tendon. Rabbi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Ⅰ (n=10) underwent long leg cast with equinus position for 6 weeks, Group Ⅱ (n=10) underwent weekly cast correction to full dorsiflexion from 1 week after surgery, and Group Ⅲ (n=10) underwent daily correction of equinous position with external fixator from 1 week after surgery. The contralateral Achilles tendon served as an un operated control. And three groups were compared at 6 weeks after surgery. Results: The maximal load at rupture (N) was 55.50, 97.46, 140.27, 180.98 for group Ⅰ, Ⅱ, Ⅲ and control respectively. The strain was 0.44, 0.49, 0.74, 0.67. The stiffness (N/㎜) was 9.63, 17.87, 19.01, 23.33. The absorbed energy to rupture (J) was 12.23, 23.98, 51.20, 60.78. Values among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nsidering the maximal load, strain, stiffness, and absorbed energy to rupture (p<0.05). Histological finding was revealed more mature restoration and more parallel arrangement of fiber bundles in the group Ⅱ, and especially group Ⅲ. Achilles tendon rupture, Maximal load, Strain, Stiffness, Tensile loading. Conclusion: Tensile loading of the healing tendon by postoperative continuous correction leads to changes in more similar to the normal Achilles tendon, biomechanically and historical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다발성 손상에서 발생한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보존적 치료

        신현대,이광진,김영모,우세민,송호섭 대한골절학회 2004 대한골절학회지 Vol.17 No.4

        목적 : 보존적 방법으로 고에너지 손상에 의한 다발성 손상에서 발생된 쇄골 간부 골절을 치료하는 것이 저에너지 손상에 의한 쇄골 간부 단독 골절에서 만큼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쇄골간부 단독 골절과 쇄골 간부 골절을 포함한 다발성 손상으로 진단받고 쇄골 골절에 대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성인 환자들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쇄골 간부 단독 골절만 있는 경우가 12례, 다발성 손상에서 쇄골 간부 골절이 동반된 경우가 36례였다. 골절 정도에 따라 단순 전위만 있는 골절을 A형(단순 방사선 사진상 골절면의 접촉 비율이 50% 이상인 경우를 A1, 50% 미만인 경우를 A2), 그리고 분쇄 골절을 B형으로 분류하여 단독 골절군과 다발성 손상군에서의 골유합 시기, 불유합 비율, 임상적 결과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 쇄골 간부 단독 골절군에서 골절 양상은 A1형 7례, A2형 4례 그리고 B형이 1례였고, 다발성 골절군에서는 A1형 8례, A2형 16례 그리고 B형이 12례였다, 쇄골 단독 골절군 12례 중 1례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였고, 11례는 평균 2.91개월에 골유합 소견이 나타났다. 쇄골 골절을 포함한 다발성 손상군에서는 36례 중 7례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였고, 29례는 평균 3.58개월에 골유합 소견이 나타났다. 임상적 결과는 우수 이상인 경우가 쇄골 단독 골절군에서 8례 (67%), 다발성 손상군에서 19례 (53%)였다. 추후 불유합으로 수술을 시행한 8례 모두 골유합 소견을 보였다. 결론 : 쇄골 골절의 치료는 전위가 있더라도 보존적 치료가 원칙이지만, 성인의 다발성 손상에서 발생안 쇄골 간부 골절에서 불유합의 발생 가능성은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P value=0.183 Fisher's exact test), 쇄골 단독 골절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보존적 치료시 불유합 발생 가능성 항상 염두해 두어야하며, 따라서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Purpose : To analyse the comparative clinical results between adults with multiple injury including the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who had supportive care through retrospective aspect. Materials and Methods : We had 48 adult patients in this hospital with simple fracture and multiple injury including the clavicular shaft whom we were able to evaluate at leat more than a year. 12 of 48 patients were with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the rest of them were with multiple injury. We classified patients into two groups those who had fracture with displacement for group A(A1 for the cases with over 50% of fracture surface contact rate and A2 for less than 50% from the images of simple X-ray) and those who had comminuted fracture for B. We compared the time of bone union, nonunion rate of only davicular fractures and multiple injury, clinical results for patients who had supportive care with retrospective aspect. Result : A1 (7 cases), A2 (4 cases), B (1 case) were prevalent in the group of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A1(8 cases) and A2 (16 cases) and B (12 cases) were prevalent in the group of multiple injury. For the case with supportive care, we could find 1 nonunion case (8%) and 11 union cases on average 2.91 months in the group of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7 nonunion cases (19%) and 29 union cases on average 3.58 months in the group of multiple injury. The best clinical results had occurred in 8 cases (67%) of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group and 19 cases (53%) of multiple injury group. We could find out the from all 8 nonunion cases that took operation afterward. Conclusion : Although the choice of treatment of clavicular fracture is supportive care, but multiple injury including the clavicular fracture is a high-energy injury, so the possibility of comminuted and displacement is high, so that nonunion rate is high. The possibility of early surgery must be considered seri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