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서울로 7017 방문자들의 이용행태 분석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우경숙,서주환,Woo, Kyung-Sook,Suh, Joo-Hwan 한국조경학회 2020 韓國造景學會誌 Vol.4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age behavior of Seoullo 7017, the first public garden in Korea, to understand the usage status by analyzing blogs, and to present usage behavior and improvement plans for Seoullo 7017. From June 2017 to May 2020, after Seoullo 7017 was open to citizens, character data containing 'Seoullo 7017' in the title and contents of NAVER and·DAUM blogs were converted to text mining and socialization, a Big Data technique.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atio of men and women searching for Seoullo 7017 online is similar, and the regions that searched most are in the order of Seoul and Gyeonggi, and those in their 40s and 50s were the most interested.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ack of interest in regions other than Seoul and Gyeonggi and among those in their 10s, 20s, and 30s. The main behaviors of Seoullo 7017 are' night view' and 'walking', and the factors that affect culture and art are elements related to culture and art. If various programs and festivals are opened and actively promoted, the main behavior will be more varied. On the other hand, the main behavior that the users of Seoullo 7017 want is 'sit', which is a static behavior, but the physical conditions are not sufficient for the behavior to occur. Therefore, facilities that can cause sitting behavior, such as shades and benches must be improved to meet the needs of visitors. The peculiarity of the change in the behavior of Seoullo 7017 is that it is recognized as a good place to travel alone and a good place to walk alone as a public multi-use facility and group activities are restricted due to COVID-19. Accordingly, in a situation like the COVD-19 pandemic, more diverse behaviors can be derived in facilities where people can take a walk, etc., and the increase of various attractions and the satisfaction of users can be increased. Seoullo 7017, as Korea's first public pedestrian area, was created for urban regeneration and the efficient use of urban resources in areas beyond the meaning of public spaces and is a place with various values such as history, nature, welfare, culture, and tourism. However, as a result of the use behavior analysis, various behaviors did not occur in Seoullo 7017 as expected, and elements that hinder those major behavior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usage behavior of Seoullo 7017 and to establish a plan for spatial system and facility improvement, so that Seoullo 7017 can be an important place for urban residents and a driving force to revitalize the city. 본 연구는 국내 최초의 공중보행로인 서울로 7017의 이용행태를 이용객이 자율적으로 서술한 블로그를 분석하여 이용현황을 파악하고, 서울로 7017의 이용행태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서울로 7017이 시민에게 개방된 2017년 6월부터 2020년 5월까지로 검색엔진 NAVER·DAUM의 블로그 제목과 원문에 '서울로 7017'이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를 빅데이터 기법인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서울로 7017의 주요 행태는 '야경'과 '걷다'이고,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문화·예술과 관련된 요소로 여러 가지 프로그램 및 축제를 이용객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적극적으로 알린다면 주요 행태가 더 활발하게 일어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서울로 7017의 이용객들이 원하는 주요행태는 정적 행태인 '앉다'인데, 앉는 행태가 일어나기에 물리적인 조건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그늘, 벤치 등 앉는 행태가 일어날 수 있는 시설을 개선하여 방문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서울로 7017의 행태변화의 특이점으로 코로나19로 인하여 공공다중이용시설 및 집단 활동이 제한되면서 혼자 여행하기 좋은 곳, 혼자 산책하기 좋은 곳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코로나19와 같은 상황에서 사람들이 산책 등을 할 수 있는 시설, 여러 가지 볼거리 증대 등을 통하여 더 다양한 행태가 도출될 수 있고, 이용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서울로 7017은 국내 최초의 공중보행로서 공공공간의 의미를 넘어 주변 지역의 도시재생 및 도시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조성되었으며, 역사, 자연, 복지, 문화, 관광자원 등 다양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장소이다. 그러나 이용행태 분석 결과, 서울로 7017에서 다양한 행태가 일어나지 않고 있으며, 주요 행태를 방해하는 요소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서울로 7017의 이용행태를 파악하고, 공간체계 및 시설 개선의 계획을 수립하여 서울로 7017이 도시민들에게 중요한 장소이자 도시를 활성화하는 동력이 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국내 보건복지 분야의 시계열 분석 연구 동향

        우경숙,신영전,Woo, Kyung-Sook,Shin, Young-Jeo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ends and risk of bias of research using time series analysis on health and welfare in Korea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future health and welfare research. The database searches identified 6,543 papers. Following the process for screening and selecting, a total of 91 papers wer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articles using time series analysis from 1987 to 2013. Time series analysis was applied in medicine and health science journals. The main goals were explanation and description. Most of the subjects were heath status and utilization of healthcare services. The main model used in the time series analysis was ARIMA followed by time series regression. The data were gather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government agencies. For assessing risk of bias, some studies were found to have inadequate sample sizes or showed no time series graphs and plots. These findings suggest greater widespread utilization of time series analysis in the field of health and welfare and to use the appropriate analysis methods and statistical procedures to obtain more reliable results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earch. 이 연구는 국내 보건복지 분야에서 시계열 분석을 실시한 논문의 현황을 파악하고, 비뚤림 위험평가를 시행함으로써 향후 보건복지 분야에서의 시계열 분석 방법을 적용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국내 외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논문명, 키워드, 초록에 '시계열 분석'을 포함한 6,543건 문헌 중에서 보건복지 분야 91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1987년부터 2013년까지 시계열 분석을 활용한 논문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시계열 분석 연구는 의학과 보건학관련 학회에서의 활용이 높았고, 요인분석과 추세분석을 주요 분석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세부주제는 국민건강과 의료서비스이용을 주로 다루고 있었고, 분석 기법은 ARIMA 모형, 시계열 회귀모형 순으로 활용되었다. 자료의 대부분은 통계청과 정부기관에서 생산하는 통계자료를 이용하였다. 문헌의 비뚤림 평가 결과, 상당수의 논문들이 표본수가 부족한 자료를 이용하거나, 시계열 도표와 플롯 작성을 간과하였다. 보건복지 영역에서 시계열 분석의 활용이 늘고 있고 향후 이용 가능성도 커지고 있으나, 기존 연구에서는 분석 과정과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분석 절차와 기준을 준수하지 않거나 주요 항목을 간과한 논문들이 일부 확인되었다. 향후 시계열 분석의 적극적인 활용뿐만 아니라 통계적 방법과 절차를 준수하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스마트가든의 인식경향에 관한 연구

        우경숙,서주환,Woo, Kyung-Sook,Suh, Joo-Hwan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2

        현대사회는 인간, 사물, 네트워크가 관계를 형성하는 디지털기술의 발전으로 정보화, 지능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식물 재배 시 온도, 습도, 일광량, 수분공급 등 식물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정원 관련 시스템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스마트가든의 개념 및 인식경향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가든의 특성은 기술의 발전 및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실내·외 공간에서 IoT기술과 정원이 융합한 새로운 정원형태 혹은 여가의 유형 중 하나이다. 기술의 발전과 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인간과 자연이 융합되는 생활공간의 요구로 스마트가든이 현실화되고 보편화되고 있다. 스마트가든의 등장으로 정원 관련 산업의 변화,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등 정원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현재 스마트가든과 관련된 연구 및 이용자의 경험에서 공통적으로 스마트가든의 기술적인 측면에 관심이 가장 높다. 사람들은 스마트가든이 일상생활 속에서 안전하고 쾌적하며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는 기능 및 기술적인 측면을 중요시하며, 개인의 취향 및 디지털 기기의 이용능력에 따라 주체적인 이용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스마트가든의 이용행태를 살펴보면 주로 가정 및 실내공간에서 이용하고 있으며, 먹을 수 있는 식물을 재배하고 있는 추세이다. 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기후변화, 식량위기 등에 대한 우려로 먹거리와 관련된 식물 재배를 선호하고 있지만, 화훼류 등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기술 및 매뉴얼로 이용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주어 정원기능의 확대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가든의 형태를 새롭고 세련된 형태라고 느끼고 있어 스마트가든의 디자인이 이용자의 가치를 만족시키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현재 스마트가든은 기술적인 차원에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가든의 주요 구성 요인은 인간과 자연 그리고 기술일 것이다. 단순하게 화분과 스마트기기를 연결하여 식물을 편하게 기르는데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시티, 스마트홈 등 다양한 도시서비스와 연계성을 강화하고, 스마트가든이 과학기술에 의해서만 자연이 재현되는 것이 아니라, 조경가와 상호작용하여 정원의 기능 및 이용자의 니즈를 포함한 디자인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내뿐만이 아니라, 도시공원 및 공공시설에서 시민에게 제공하여 연령 및 디지털 기기·정보의 격차로 인하여 '스마트'한 서비스를 향유하지 못하는 계층을 대상으로 하여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정원의 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조경공간으로 잠재성을 갖고 있다. Modern society is becoming more informed and intelligent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which humans, objects, and networks relate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times, a garden system has emerged that makes it easy to supply the ideal temperature, humidity, sunlight, and moisture conditions to grow plan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concept, perception, and trends of smart gardens, a recent concep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vious studies and text mining were u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haracteristics of smart gardens are new gardens in which IoT technology and gardening techniques are fused in indoor and outdoor spaces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changes in people's lifestyles. As technology advances and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increases, smart gardens are becoming a reality due to the need for living spaces where humans and nature can co-exist. With the advent of smart gardens,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gardens' vitalization to deal with changes in garden-related industries and people's lifestyles. Second, in current research related to smart gardens and users' experiences, the technical aspects of smart gardens are the most interesting. People value smart garden functions and technical aspects that enable a safe, comfortable, and convenient life, and subjective uses are emerging depending on individual tastes and the comfort with digital devices. Third, looking at the usage behavior of smart gardens, they are mainly used in indoor spaces, with edible plants are being grown. Due to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and concerns about climate change and a possible food crisis, the tendency is to prefer the cultivation of plants related to food, but the expansion of garden functions can satisfying users' needs with various technologies that allow for the growing of flowers. In addition, as users feel the shapes of smart gardens are new and sophisticated, it can be seen that design is an essential factor that helps to satisfy users. Currently, smart gardens are developing in terms of technology. However, the main components of the smart garden are the combination of humans, nature, and technology rather than focusing on growing plants conveniently by simply connecting potted plants and smart devices. It strengthens connectivity with various city services and smart homes. Smart gardens interact with the landscape of the architect's ideas rather than reproducing nature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design that considers the functions of the garden and the needs of users. In addition, by providing citizens indoor and urban parks and public facilities, it is possible to share the functions of communication and gardening among generations targeting those who do not enjoy 'smart' services due to age and bridge the digital device and information gap. Smart gardens have potential as a new landscaping space.

      • KCI우수등재

        텍스트 마이닝과 인자분석에 의한 도시경관이미지 연구 - 롯데월드타워를 대상으로 -

        우경숙,서주환,Woo, Kyung-Sook,Suh, Joo-Hwan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4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인자분석를 활용하여 경관이미지 분석의 결과를 비교?분석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이 경관이미지 연구에서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롯데월드타워의 경관이미지는 텍스트 마이닝 분석 결과, 형용사 '새로운', '변화적인', '특이한', '신기한', '인상적인', '개성적인' 등이 도출되었으며, 롯데월드타워의 경관이미지가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람들의 활동적인 요소(구경, 나들이, 프로젝트, 야경 등)와 미디어매체(신문, 블로그 등), 기후(날씨, 계절) 등이 경관이미지를 변화시키는 변동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인자분석 결과, 롯데월드타워의 경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징성, 심미성, 조형성 순으로 나타났다. 형태적 특징인 식별성은 규모성, 가시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오히려 독특성, 특별성 등의 특징을 갖고 있는 상징성과 주변 환경과의 특성과의 조화성, 아름다움의 특징을 갖고 있는 심미성 등 심리적인 요인이 경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연구방법에서 공통적으로 도출된 결과는 건축물의 장소나 위치 등 형태적 물리적인 특성보다 도시를 대표하고 상징할 수 있는 요소 등 심리적인 특성이 경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은 사람들이 대상을 보고 느낀 이미지에 해당되는 명사 형용사를 파악할 수 있고, 도출된 키워드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경관이미지 형성 과정과 더 나아가 도시의 이미지까지 파악이 가능하므로, 조경분야에서 경관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조경의 연구 분야인 경관분석에서 빅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실제 실행을 통하여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추후 빅데이터 기반의 정보를 파악 분석하여 경관 연구 영역의 확대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compares the results of landscape image analysi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and factor analysis for Lotte World Tower, which is the first atypical skyscraper building in Korea, and identifies landscape images of the site to determine possibilities of use. Lotte World Tower's landscape image has been extracted from text mining analysis focusing on adjectives such as 'new', 'transformational', 'unusual', 'novelty', 'impressive', and 'unique', and phrases such as in the process of change, people's active elements(caliber, outing, project, night view), media(newspaper, blog), and climate(weather, season).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factors affecting the landscape image of Lotte World Tower were symbolic, aesthetic, and formative. Identification, which is a morphological feature, has characteristics of scale and visibility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ference. Rather, th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the symbolism with characteristics such as poison and specialty, harmon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beautiful aesthetic characteristics were an influence on the landscape image. The common results of the two research methods show tha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factors that can represent and represent the city affect the landscape image more greatly than the morpholog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ocation and location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text mining technique can identify nouns and adjectives corresponding to the images that people see and feel, and confir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rived keywords, so that it can focus the process of forming the landscape image and further the image of the city. It would appear to be a suitable method to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landscape resear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e possibility that big data can be utilized in landscape analysis, which is one research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is significant for understanding the information of a big data base and contribute to enlarging the landscape research area.

      • KCI우수등재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풍력발전시설의 경관 인식 연구

        우경숙,서주환,Woo, Kyung-Sook,Suh, Joo-Hwan 한국조경학회 2022 韓國造景學會誌 Vol.50 No.5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landscape of wind power facilities as renewable energy sources that supply sightseeing, tourism, and other opportunities. Therefore, social media data related to the landscape of wind power facilities experienced by visitors from different regions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of wind power facilities are based on the scale of wind power facilities, the distance between overlook points of wind power facilities, the visual openness of the wind power facilities from the overlook points, and the terrain where the wind power facilities are located. In addition, the preference for wind power facilities is higher in places where the shape of wind power facilities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 can be clearly seen- flat ground or the sea are considered better landscapes. Negative keywords about the landscape appear on Gade Mountain in Taibai, Meifeng Mountain in Taibai, Taiqi Mountain, and Gyeongju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on Gyeongshang Road in Gangwon. The keyword 'negation' occurs when looking at wind power facilities at close range. Because of the high angle of the view, viewers can feel overwhelmed seeing the size of the facility and the ridge simultaneously, feeling psychological pressure. On the contrary, positive landscape adjectives are obtained from wind power facilities on flat ground or the sea. Visitors think that the visual volume of the landscape is fully ensured on flat ground or the sea, and it is a symbolic element that can represent the site. This study analyzes landscape awareness based on the opinions of visitors who have experienced wind power facilities. However, wind power facilities are built in different areas. Therefore, landscape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and there are many variables, such as viewpoints and observers, so the research results are difficult to popularize and have limitations. In recent years, landscape dama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wind power facilities has become a hot issue, and the domestic methods of landscape evaluation of wind power facilities are unsatisfactory. Therefore, when evaluating the landscape of wind power facilities, the scale of wind power facilities, the inherent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wind power facilities are set up, and the distance between wind power facilities and overlook points are important elements to consider. In addition, wind power facilities are set in the natural environment, which needs to be protected. Therefore, from the landscape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landscape of wind power facilitie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KCI등재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가구 경제에 미치는 영향: 재정적 대응과 빈곤을 중심으로

        우경숙 ( Woo Kyung Sook ),신영전 ( Shin Young-je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3

        이 연구는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가구의 재정운영과 소비지출, 그리고 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복지패널 3차(2008년)~8차(2013년)년도 조사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5,155개 가구를 대상으로 기술분석과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재난적 의료비는 2011년 이후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3년에는 19.3%였다. 패널분석 결과, 재난적 의료비 지출은 사적이전과 민간보험수령액과 유의한 양(+)의 연관성이 있는 반면, 저축액과는 음(-)의 연관성이 있었다. 가구 유형별로는 빈곤 계층은 사적이전을 이용하는 반면, 비빈곤 계층은 사적이전, 보험수령액, 저축액 등 다양한 대응을 선택하고 있었다. 재난적 의료비 발생 가구는 그렇지 않은 가구보다 비-의료서비 스의 소비지출이 유의하게 낮았으나, 가구 유형별로는 비비곤 계층에서만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재난적 의료비 발생가구는 그렇지 않은 가구보다 빈곤 상태에 있을 확률이 높았다. 재난적 의료비 발생의 증가와 그로 인한 가구의 사적이전의 증가 및 소비지출 감소, 그리고 빈곤화는 한국의 의료보장제도가 사회안전망으로써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재난적 의료비에 대한 재정적 대응이 가구의 경제 수준 별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어, 재난적 의료비 발생을 줄이기 위한 정부의 의료보장제도의 개선뿐만 아니라 취약 계층을 고려한 정책을 추가적으로 마련 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E on financial coping and poverty of households in South Korea. Using panel data of 5,155 households that participated over a 6 year period (2008-2013) in the Korea Welfare Panel. The incidence of CHE in South Korea increased overall between 2011 and 2013. The results showed that private transfer income and private insurance benefit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E, but savings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E. Especially, poor households were more likely to rely on private transfer income, while non-poor households were likely to finance CHE through health insurance, savings and private transfer income. Non-medical consumption expenditu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households with CHE than in those without CHE, but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non-poor households. Households with CH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facing poverty than households without CHE. The high rates of CHE and impoverishment resulting from CHE can be implied that the medical safety net in South Korea was insufficient. It is necessary that a policy should be developed for the protection of vulnerable households, as well as the reinforcement of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 to reduce the risk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 KCI등재

        산단지역 공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농도와 지역주민의 노출 수준

        우경숙 ( Kyung Sook Woo ),박희진 ( Hee Jin Park ),강택신 ( Tack Shin Kang ),김근배 ( Geun Bae Kim ),전준민 ( Jun Min Jeon ),장봉기 ( Bong Ki Jang ),이종화 ( Jong Wha Lee ),손부순 ( Bu Soon Son ) 한국산업보건학회 2015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25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VOCs and the urinary concentration of t,t-MA, HA, MA in the industrial complex of Yeosu, South Jeolla Province. Methods: In order to study seasonal patterns of air concentration of VOCs, measurements were taken at five sampling sites around Yeosu from June 2013 to June 2014. Urinary metabolite excretionsfrom 671 subjects, exposure and comparison area were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VOCs in the air was 1.53ppb for benzene, 0.73ppb for toluene, 0.22ppb for ethylbenzene, 0.52ppb for xylene and 0.12ppb for styrene. The concentration of benzene was somewhat higher than the year-average standard (5 ㎍/㎥, about 1.5ppb) of the domestic air-environment criteria newly established in 2010.The metabolic concentration of VOCs in the urine of the entire sample was analyzed at 47.76μg/g cr., 213.07mg/g cr., and 290.09μg/g cr. for t,t-MA, HA, and MA,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average values for Korea as presented in the first basic survey of nation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49.8μg/g cr. for t,t-MA, 0.17g/g cr. for HA, and 0.26mg/g cr. for MA), the metabolic concentrations of HA and MA in urine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s. Conclusions: The concentration of VOCs in the air and urinary metabolites of the exposed and control area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all substances were higher in the exposed area than in the control area.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진료비 상한제도 비교

        우경숙(Woo, Kyung-Sook),김도훈(Kim, Dohoon),신영전(Shin, Young-Jeo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8 비판사회정책 Vol.- No.60

        연구 배경 및 목적 | 한국의 본인부담 상한제도는 국민건강보험 본인부담금이 일정 기간 동안 상한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 금액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부담하는 제도이다. 이는 과다한 의료비 지출로 인한 가구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도입하였으나, 재난적 의료비 발생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어 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반면, 이와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일본의 ‘고액 요양비 제도’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의 본인부담 상한제도의 구조적 문제점을 고찰하고, 일본의 ‘고액 요양비 제도’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제도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진료비 상한제도의 현황 | 1) 관리 기관: 한국과 일본은 공통적으로 공적 보험자가 대상자 관리 및 지급 등의 관리 ·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2) 상한액 산정 단위: 한국은 1년 단위로 한도액을 설정하고 있으나, 일본은 1개월 단위로 한도액을 설정하여 지급하고 있다. 3) 적용 항목: 두 제도 모두 법정급여 항목을 적용하고 있으나, 한국은 상대적으로 비급여 항목이 많으며, 급여 항목에서도 법정 본인부담률이 높기 때문에 일본과 동일한 적용이라고 할 수 없다. 4) 상한액 산정 기준: 한국은 소득을 기준으로 상환액을 차등하는 반면, 일본은 소득 수준과 연령을 기준으로 차등화하고 있다. 제도에 대한 평가 | 한국의 진료비 상한제는 제도의 체계는 갖추었으나, 적용 대상이 소수에 불과하며, 소득별 차등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상한액 기준이 높음으로 인하여 재난적 의료비 발생이 높다는 부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 일본의 고액 요양비 제도는 신청 절차의 복잡성 및 지급 지연 등과 ‘세대 간 부담액 차이’에 대한 불만과 같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세대별 합산‘, ‘다수 이용자’ 및 ‘특정 장기 · 고액질환’에 대한 상한액 경감 제도, ‘의료 및 개호 보험의 합산’ 등의 보완 장치를 추가적으로 마련함으로써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고 있다. 결론 | 한국의 본인부담 상한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성과 정부의 재정 책임 강화라는 전제 하에 제도의 운영방식 및 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제도의 한계를 보완하면서, 일본의 상환액 1개월 단위 지급, 가구 단위 합산, 만성질환 및 특정질환에 대한 상한액 감액과 같은 보다 정교한 운영 방식을 발전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Objective Korea’s Out-of-Pocket Limit Policy provides for a maximum amount of out-of-pocket payments for health care with the medical expenses exceeding that limit covered by insurer. This policy has been an object of continuous discussion due to recurring report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In contrast, the High-Cost Medical Care System, a similar policy in Japan, is thought to be functioning stabl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uss the structural problems of Korea’s Out-of-Pocket Limit Policy and compare it with Japan’s High-Cost Medical Care System with a view to deriving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improving the current policy. Comparison of the policy 1) Governing body: In both Korea and Japan, public health insurers are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2) Insurance coverage: Both systems offer a benefit package,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pe of coverage between the two systems, the major differences being more uninsured benefits and higher co-insurance for the coverage benefits in Korea. 3) Ceiling calculation unit: As the basis for setting the payment limit, Korea applies an annual cap, and Japan a monthly cap. 4) Criteria for the threshold: While the ceil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income in Korea, Japan applies both income and age as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ceiling. Evaluation of the policy: Korea’s policy is well-established in terms of system itself, but receives a negative evaluation because of its limited scope of coverage and high rate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scribable to high ceiling despite its income-dependent differentiated levels. In contrast, Japan’s policy is evaluated to be a pragmatic and effective system attributable to various supplementary schemes such as “application on the household unit,” application of a lower ceiling for “frequent users” and “ specific types of disease requiring high-cost and long-term care.”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Korea’s policy, there is a ne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policy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and its effects and to progressively adopt the operational strategies of the Japanese system.

      • KCI등재

        여수시의 대기오염과 일별 사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미세먼지와 이산화황을 대상으로 -

        박희진 ( Park,Hee Jin ),우경숙 ( Kyung Sook Woo ),정은경 ( Eun Kyung Chung ),강택신 ( Tack Shin Kang ),김근배 ( Geun Bae Kim ),유승도 ( Seung Do Yu ),손부순 ( Bu Soon Son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5 환경영향평가 Vol.24 No.1

        The association between daily total/cardiovascular mortality and air pollution in Yeosu was investigated over 11-year period (January 2001 to December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 relative importance of the major air pollutants [particulate matter (PM10), sulfur dioxide (SO2)] as predictors of daily total/cardiovascular mortality. People aged 65 and older showed total mortality increase by 5.0% with SO2 concentration increase by 11.67ppb(IQR) was found to raise mortality caused by circulatory diseases by 8.6%, exhibi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 KCI등재

        한국어판 병원 입원서비스에 대한 환자만족도 평가도구 (H-CAHPS(R))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강민아 ( Min An Kang ),우경숙 ( Kyung Sook Woo ),오제열 ( Je Yol Oh ),신영전 ( Young Jeon Shin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10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35 No.2

        Objective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H-CAHPS(R) for measuring the multi-dimensional experiences of inpatient services and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translated version of the H-CAHPS(R) instrument. Methods: After the H-CAHPS(R) English version was translated and back-translated, the survey instrument was confirmed with a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cognitive interviews and pilot testing.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606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from two city hospitals in Korea from June 2006 to October 2006. Results: The results of the item-level and scale-level analyses were all acceptable. Scale-level analysis suppor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ollowing 6 factors.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ranged from 0.75 to 0.88.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dimensional structure model was well fitted.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dimensions were significant and the C.R(critical ratio) of all dimensions were all highly significant. Overall, discriminan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was proven to be acceptable. Conclusions: The H-CAHPS(R) Korean version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to evaluate patients` experiences of inpatient servic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