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서남부지역 이중구연호의 변천과 성격

        왕준상 ( Jun Sang Wang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0 백제문화 Vol.42 No.-

        이중구연호는 3~4세기대에 집중 출토되고 있으며, 서남부지역 특히 호남지역에 집중분포하고 있다. 본고는 이중구연호를 형식분류하여 시기별·지역별 변화상을 살펴본 것이다. 형식분류는 저부와 동체 세장도를 기준으로 설정하였고, 유구와 공반유물을 통해 형식별 변화상을 확인하였다. 이중구연호는 ⅠA→ⅠB·ⅡA→ⅠC·ⅡB·ⅡC→ⅡD형식으로 변화하는데 가장 이른 형식은 3세기 전반에 호남지역 영산강 서북부지역의 주구토광묘에서 등장한다. 이 시기에는 ⅠA, ⅠB, Ⅱ A형식이 중심을 이룬다. 3세기 중반 이후 중서부이남 전 지역에서 모든 형식의 이중구연호가 지속 된다. 그러다가 4세기 중반 이후에는 그 수가 현저히 줄어들지만 여전히 ⅡA, ⅡD형식은 출토된다. 그리고 ⅡA형식은 6세기까지 잔존하며 호남지역의 주거지에서 출토되고 있다. 3세기 중반 이후 이중구연호는 지역적 색채를 보여주고 있다. 영산강 서북부지역에서 ⅠA, ⅠB형식, 영산강 중·하류에서ⅠC형식, 영산강 상류지역에서 ⅡC형식이 출토되고, ⅡA형식은 모든 지역에 걸쳐 확인되나 중서부지역, 해남지역, 탐진강유역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된다. 이와 같이 이중구연호는 3세기에서 6세기대까지 출토되고 있고 3~4세기에 집중 출토된다. 4세기 전반 이후에는 그 개체수가 점자 줄어들고 있는데, 이 시기 호남지역의 양상이 주구토광묘에서 옹관묘로 변화가 이루어지는 과도기적 시기로 이중구연호의 쇠퇴는 당시 정치·사회·문화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Pottery with two-fold mouth was intensively excavated in the 3rd~4th centuuy and mainly found in Honam region of southwest area. This study classifies pottery with twofold mouth by types and examines its changes by period and region. Classification of the type was based on lower part and types of the boby and the changes of types were confirmed through relics and excavated relice at the same spot. The pottery with two-fold mouth had changes with the types of ⅠA→ⅠB·ⅡA→ⅠC·Ⅱ B·ⅡC→ⅡD and the earliest type was found at pit tombs with ditch of northwest area near the Yeongsan river in Honam region in the early 3rd century. In this period, ⅠA, ⅠB and ⅡA types were intensively distributed. Since the middle of the 3rd century, pottery with twofold mouth of all types was found at the whole areas of the mid-west and the south of Korea. After that, it was remarkably decreased since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but IIA and IID types were still excavated. ⅡA type remained until the 6th century and was excavated at the residential site of Honam region. The pottery with two-fold mouth since the middle of the 3rd century showed regional colors. IA and IB types were excavated at the northwest area of the Yeongsan river, IC type was at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of the Yeongsan river, and IIC type was at the upstream of the Yeongsan river. ⅡA type was excavated at all areas, but it was intensively found at midwest area, Haenam and the Tamjin basin. The pottery with two-fold mouth was excavated between the 3rd and 6th century and intensively found in the 3rd and 4th century. It was gradually decreased since the early of the 4th century and in this period, construction of pit tombs with ditch was reduced at Honam region and instead, that of jar coffins tomb was increased. So it was found that the decline of the pottery with two-fold mouth was also related to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of those days.

      • KCI등재

        나주 오량동과 광주 고룡동 창암 가마의 화목

        정성목 ( Seong Mok Jeong ),김민구 ( Min Koo Kim ),권경숙 ( Kyong Suk Kwon ),왕준상 ( Jun Sang Wang ),남성자 ( Sung Ja Nam )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9 No.-

        나주 오량동 토기요지와 광주 고룡동 창암의 가마에서 수습된 목탄을 이용하여 소성에 사용된 화목(火木)의 수종(樹種)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오량동 토기요지의 삼국시대 가마에서는 소나무와 밤나무가 비슷한 비율로 쓰였던 반면 고룡동 창암의 조선시대 가마에서는 거의 전적으로 소나무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 장인들의 진술에 따르면 제작된 토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화목으로 가장 선호되는 나무는 소나무이다. 이는 소나무가 마을 주변에 많이 생장할 뿐 아니라 1300℃에 달하는 고온에 쉽게 도달하고 재가 빨리 되어 작업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참나무나 밤나무 같은 참나무과(Fagaceae) 나무는 잡목으로 분류되며 화목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선호된다고 보기는 힘들다. 창암 가마의 화목은 대부분 소나무인 것으로 판명되어 현대 장인들의 진술 내용이 적어도 조선시대까지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삼국시대에 해당하는 오량동 가마의 목탄은 소나무와 밤나무가 양분하는 현상을 보여 현대의 증언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오량동 토기요지 인근 임상(林相)의 특이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량동 가마에서 보이는 밤나무 화목의 사용은 선호된 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화목의 선택 범위가 넓어지면서 생겨난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remains of charred firewood from two kiln sites: Oryangdong (Three-Kingdoms period) in Naju and Changam (Joseon period) in Gwangju. The results of wood identification indicate pine tree was exclusively used as firewood in the Changam kiln, while both pine and chestnut trees were used in the Oryang-dong kiln. Ethnographic research on modern pottery making reveals that modern potters prefer pine firewood over others. Oak and chestnut wood can also be used but they are considered mostly as a secondary resource. Although the dominance of pine charcoal in the Changam kiln conforms to this ethnographic information, the presence of both pine and chestnut wood in the Oryang-dong kiln does not. In reference to the prey choice model of the optimal foraging theory, this paper argues that the use of chestnut wood in Oryang-dong can be understood as a diversification strategy in resource selection, which was presumably promoted by the management of chestnut forests in the site vici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