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라스무스와 성 아우구스티누스 : Enchiridion Militis Christiani (1503)와 De Doctrina Christiana (396/426)1)

        오흥식 ( Oh Hungshik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5 서양고대사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에라스무스의 저서 Enchiridion Militis Christiani (1503)에 미친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서 De Doctrina Christiana (『그리스도교 교양』, 396, 426/7)의 영향을 구명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에라스무스의 『엥키리디온』과 아우구스티누스의 『그리스도교 교양』은 모두 성경해석에 관한 책이다. 두 사람 모두 고대 학문이, 특히 플라톤 철학이 성경의 해석에 사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에라스무스는 플라톤 철학이 “예언서들과 복음서의 정신에”(CWE, v. 66, p. 33) 그리고 플라톤주의자들의 비유라는 표현법이 “성경의 언어에”(p. 69) 매우 가깝다고 보았다. 에라스무스는 “신비를 밝히려 할 때, 마음대로 추측해서는 안 되며... 『그리스도교 교양』의 저자인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전해 내려온 방식과 기술을 배울것”(p. 127)을 역설한다. 그는 스콜라 철학자들은 “문자에 더 얽매이고 신비를 해석하기보다는 소피스트적 섬세함에 얽매인다”(pp. 34-35)고 비판하며, 스콜라 철학자들보다 교부들의 “경건(pietas)이 더 입증되었는데... 그들의 해석은 신성한 신비에 더 적합하기 때문이다”(p. 35)라고 그 이유를 밝히고 있다. 그의 경건은 그의 성경해석론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셈이다. 『엥키리디온』의 1518년판에 서론 격으로 덧붙여진 Hugshofen(훅스호펜) 수도원장 폴 볼츠에게 쓴 헌정 편지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한 그것(주: 그리스도의 철학)을 모든 사람에게 쉽고도 열려 있는 것으로 돌려주어야 합니다(ut eam quam fieri potest, reddamus facilliman, omnibus expositam). 우리의 목적은 우리 자신의 학식을 자랑하는 것이 아니라, 할 수 있는 한 많은 사람을 그리스도의 삶으로 이끄는 것이어야 합니다(sed ut quamplurimos ad Christianam vitam pelliciamus)”(p. 9). 그가 스콜라 철학을 비판한 궁극적인 이유는 그것이 평신도를 위한 사목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지 않은 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그리스도의 철학’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저서는 그의 신학성경 연구서인 Novum Instrumentum 초판(1516)의 서론으로 쓴 Paraclesis (παράκλησις)라고 한다. ‘그리스도의 철학’이라는 개념의 일부가 사목에 관련된 것이라면, 그 개념이 적어도 『엥키리디온』에까지는 거슬러 올라가 형성되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그리스도교 교양』의 마지막 권인 제4권의 서두에서 “성경 연구 전체가 달려 있는 사안이 둘 있다. 깨달아야 할 바를 파악하는 방법(modus inueniendi quae intellegenda sunt)과 깨달은 바를 전달하는 방법(modus proferendi quae intellecta sunt)이 그것이다. (『그리스도교 교양』, 4.1.1)” 그는 설교에서 수사학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역설한다. “수사학의 기술을 통해서 진리 또는 허위를 (상대방에게) 설득시키는 것이라면 (Nam cum per artem rhetoricam et uera suadeantur et falsa), 허위에 대항해서 진리를 옹호하는 사람들을 (수사학의 기교로) 무장시킬 필요가 없다는 말을 누가 감히 하겠는가?(4.2.3)” 아우구스티누스가 『그리스도교 교양』에서 성경해석론에 관한 1-3권의 저술에 그치지 않고 설교술에 관한 제4권까지 저술했다는 것은 그가 평신도를 위한 사목을 얼마나 중시하였는가를 보여준다. 결국 그의 성경해석이 신학자들 사이의 논쟁에 그치지 않고 최종적으로는 에라스무스의 표현대로 “할 수 있는 한 많은 사람들을 그리스도의 삶으로 이끄는 것”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에라스무스는 자신의 ‘경건’의 개념을 형성하는 데에 아우구스티누스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았고, 그 개념의 토대에는 평신도를 위한 사목도 깔려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the influence of St. Augustine’s De Doctrina Christiana (396/c.426) upon Desiderius Erasmus’ Enchiridion Militis Christiani (1503). Both books are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Erasmus insisted on the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quoted St. Augustine: “In bringing the mysteries to light you must not follow the conjectures of your own mind, but you must learn the method and the art, so to speak, which was handed down... by Augustine in his De Doctrina Christiana (CWE, v. 66, p. 69).” Both men had the same opinion that ancient learning, expecially Platonism, can be useful to interpret the Bible. Erasmus said that Platonists were the closest “to the spirit of the prophets and of the gospel (ad propheticam evangelicamque figuram, p. 33)” and their mode of expression of allegory were very close to “to the language of Sacred Scripture (ad propheticam evangelicamque figuram, p. 69).” St. Augustine said, “Moreover, if those who are called philosophers, and especially the Platonists, have said aught that is true and in harmony with our faith, we are not only not to shrink from it, but to claim it for our own use (in usum nostrum) from those who have unlawful possession of it (De Doctrina Christiana, 2.40.60).” While Erasmus criticized scholastics as follows that “modern theologians are too willing to stick to the letter and give their attention to sophistic subtleties rather than to the elucidation of the mysteries(pp. 34-5),” St. Augustine(2.31.48) also warned against the danger of the theological debate: “The science of reasoning (disputationis disciplina) is of very great service in searching into and unravelling all sorts of questions that come up in Scripture, only in the use of it we must guard against the love of wrangling (Tantum ibi cavenda est libido rixandi), and the childish vanity of entrapping an adversary. For there are many of what are called sophisms (sophismata), inferences in reasoning that are false, and yet so close an imitation of the true, as to deceive not only dull people, but clever men too, when they are not on their guard.” Erasmus related the patristic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o the piety(pietas): “their piety is more proven, their learning more profuse and more experienced, their style neither jejune nor impoverished, and their interpretation more fitted to the sacred mysteries (sacris mysteriis).” In the preface to a new edition of the Enchiridion Militis Christiani, printed in 1518, Erasmus says that “it is right... to make it as easy and as open to all men as we possibly can; and our object should be not to show off our own attainments but to attract as many as we can to the Christian life (sed ut quamplurimos ad Christianam vitam pelliciamus).” The ultimate reason why Erasmus prefers Church Fathers to scholastic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s related to the ministry for the laity. St. Augustine(4.1.1) says in the beginning of the book 4, the last book of De Doctrina Christiana: “There are two things on which al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depends: the mode of ascertaining the proper meaning (modus inueniendi quae intellegenda sunt), and the mode of making known the meaning when it is ascertained (modus proferendi quae intellecta sunt).” He put emphasis on the art of rhetoric of the sermons: “Now, the art of rhetoric being available for the enforcing either of truth or falsehood (Nam cum per artem rhetoricam et uera suadeantur et falsa), who will dare to say that truth in the person of its defenders is to take its stand unarmed against falsehood?... That the former are to tell their falsehoods briefly, clearly, and plausibly, while the latter shall tell the truth in such a way that it is tedious to listen to, hard to understand, and, in fine, not easy to believe it? (4.2.3)” The fact that St. Augustine wrote not only three book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but also one book on the art of rhetoric of the sermon shows how he emphasized the ministry for the laity. After all his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s for the ministry beyond controversies between theologians, as Erasmus said, “to attract as many as we can to the Christian life.” Erasmus was greatly influenced in forming the concept of his piety (pietas) by St. Augustine, and the concept is based upon the ministy for the laity as well as the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 KCI등재

        모세와 다나오스

        오흥식 ( Oh Hungshik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4 서양고대사연구 Vol.37 No.-

        기원전 1세기의 역사가 디오도로스(40.3.2)는 이집트 원주민의 공격을 받아 다나오스, 모세가 이집트로부터 같은 때에 쫓겨났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의 기록은 두 사람이 쫓겨난 힉소스임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표는 한편으론 성서, 다른 한편으론 다나오스와 관련된 고대 그리스의 문헌사료를 연계하여 모세의 출애굽 연대를 제시해보는 데에 있다. 언제 모세가 이집트를 탈출하였느냐에 관해 『성서』는 서로 다른 연대를 제공한다. 「탈출기」 제1-2장에 근거한 기원전 13세기설, 「열왕기 상」 제6장에 근거한 기원전 15세기설, 「사도행전」 13:17-21에 근거한 16세기 설이 있다. 그런데 「사도행전」에서 바울로의 16세기설은 「판관기」나 「사무엘서」 같은 구약성서 경전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기원후 1세기 유다인 사제출신 역사가 요세푸스(Contra Apionem, I.26, §§230-23; I.31, §§279-280)를 통해 모세가 파라오 테트모세 치세에 축출된 힉소스임을 살펴보고, 마네토의 두 단편(「단편」 50, from Josephus, Contra Apionem, i.15, §§94-95; 「단편」 53 (a), from Syncellus, according to Eusebius)에 따르면 요세푸스가 말하는 파라오 테트모세가 파라오 아모세(『옥스퍼드 고대이집트사』 (2000), 1550-1525년)임을 제시하려 한다. 에파포스(힉소스 파라오 아포피스로 여겨진다)를 다나오스의 증조부이자 파라오로서 기록하고 있는 아폴로도로스(2.1.4), 스파르타 왕가(다나오스의 8대손 헤라클레스가 그 국조이다)와 유다인은 ‘아브라함의 후예’라는 구약성서 『마카베오 상』 (12:19-23), 다나오스의 도래를 기원전 1511년으로 기록한 『파로스 연대기(Marmor Parium)』―이러한 문헌기록은, 힉소스는 여러 민족으로 구성되었지만 서부 셈족(페니키아인과 유다인)이 주류이고 그들이 아바리스로부터 축출된 시기는 기원전 1530년경이라는 (힉소스의 수도 아바리스에 대한) 최근의 고고학적 연구결과와 잘 맞아 떨어진다. Diodorus(40.3.2) wrote that Danaus and Moses were expelled from Egypt by the natives of Egypt, which suggests that the two men were the expelled Hyksos. This article aims to propose the Exodus’ date by connecting the Bible with the ancient Greek documentaries relating to Danaus. The Bible suggests different dates for Moses’ Exodus: the date of the 13th-century based on Exodus 1:8-11, the mid 15th-century based on 1 Kings 6:1 -2, and the 1540’s based on Acts 13:17-21. The date of 1540’s is supported by Judges, 1 Samuel, and so on in the Old Testament. Josephus, the Jewish historian of the first century A.D., says that Moses was the leader of the Hyksos who were expelled by Pharaoh Tethmosis (Contra Apionem, I.26, §§230-23; I.31, §§279-280). According to two fragments (Fragment 50, from Josephus, Contra Apionem, i.15, §§94-95; Fragment 53a, from Syncellus, according to Eusebius), Tethmosis was Pharaoh Amosis, the first king in the 18th dynasty. According to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2000), “the conquest of Avaris can be dated much more closely, between years 18 and 22 of Ahmose(Amosis), 1532-1528 BC.” Diodorus suggests that Diodorus and Moses were the leaders of the aliens expelled from Egypt in the same period. Apollodorus(2.1.4) mentions Epaphus(considered as Apophis, king of the Hyksos) as Danaus’ great-grand father and the king of Egypt. Marmor Parium says that Danaus sailed from Egypt to Greece in 1511/10 BC. Greek documents mentioned above suggest that both Moses and Danaus were contemporary leaders of the Hyksos who were expelled from Egypt in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B.C.

      • KCI등재

        필리스티아인들의 원고향: 캅토르(Caphtor, 크레타)?

        오흥식 ( Oh Hungshik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8 서양고대사연구 Vol.51 No.-

        필리스티아인들 또는 블레셋인들의 고향은 기원전 11세기 람세스 3세 제8년에(기원전 1176년)치세에 이집트를 침입한 바다의 민족들 중의 하나인 펠레세트(Prst)가 도래한 캅토르(크레타, Caphtor)라는 것이 정론이다. 그런데 구약 성경은 기원전 1176년 이전, 아브라함의 때에도 「창세기」 (21:30-32, 26:8-9), 이사악의 때에도「창세기」(26:8-9), 출애굽의 시기에도 (「탈출기」 13:17), 15세기 초 여호수아의 때에도(「여호수아」 13:1-3, 「판관기」 3:1-3), 14세기 판관 삼가르의 때에도(「판관기」 3:31), 1200년경에도(「판관기」 10:6-8) 필리스티아인들의 존재를 일관되게 말하고 있다. 필리스티아인들의 원고향은 캅도르가 아니라 필리스티아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아모스」 9:7은 “내가… 필리스티아인들도 캅도르에서… 되돌아오게 하다(헤엘레티)”로 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1176년 이전에도 필리스티아에 필리스티아인들이 있었고 이후에도 캅토르로부터 왔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디오도로스(5.80)에 따르면, 크레타의 두 번째 거주자들은 펠라스고이인데, 논자는 이들을 힉소스 시대(1700-1530) 시대의 힉소스로 보았다. 펠라스고이를 축출된 다나오스의 아르고스 도래 이전에 그리스에 거주하였던 사람들로 말하고 있는 스트라본(5.2.4)과 헤로도토스(2.171, 7.94-5), 그리고 펠라스고이가 비헬라스계 언어를 사용한다는 헤로도토스(1.57)의 기록은 디오도로스의 기록을 뒷받침하고 있다. 논자는 힉소스 시대(1700-1530)에 힉소스의 일원으로 필리스티아인들의 ‘일부’가 갑토르로 갔다가 필리스티아로 귀향하였을 개연성을 제기하려 하였고, 캅토르로부터 필리스티아인들의 귀향을 힉소스의 이주와 귀향이라는 역사적 배경에서 설명하려 하였다. The Cretan origin of the Philistines, one of the Sea Peoples who invaded Egypt in the eighth year of the reign of Ramesses III (1176 B.C.), is generally accepted by scholars. However, the Old Testament says that there were the Philistines in the land of the Philistines in the time of Abraham(Genesis 21:30-32), Isaac(Genesis 26:8-9), Moses(Exodus 13:17), Joshua(Joshua 13:1-3, Judges 3:1-3), Shamgar the Judge(Judges 3:31), and about 1200 BC(Judges 10:6-8). This indicates that the Urheimat of the Philistines were from Palestine, not Crete. Additionally, Amos 9:7 could be translated as “"Did I not return... the Philistines (to Palestine) from Caphtor?”. How can the presence of the Philistines in Palestine before 1176 B.C. as well as the return of them from Crete be explained? According to Diodorus (5.80) the second inhabitants were Pelasgoi, “who were in movement by reason of their continuous expeditions and migrations arrived at Crete and made their home in a part of the island.” I have tried to identify Pelasgoi with the Hyksos people in the Hyksos period (c. 1700-1530). Strabo (5.2.4) and Herodotus (2.171, 7.94-5) support the identification, saying that the Pelasgoi were the people in Greece before Danaus, the expelled Hyksos leader from Egypt, arrived at Argos (1511). Furthermore, Herodotus(1.57.2) said that “the Pelasgians spoke a language which was not Greek.”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demonstrate that a part of the Philistine people went to Crete in the Hyksos period and returned to Philistia, their Urheimat, as the Prst (a sea People) did.

      • KCI등재

        이집트 제1왕조의 개창과 메소포타미아

        오흥식 ( Oh Hungshik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6 서양고대사연구 Vol.44 No.-

        이집트 제1왕조가 이집트 자체의 역량이 축적되어 개창되었다는 마이클 호프만의 이론이 1980년대 이래 정론이다. 이 연구는 제1왕조가 개창되는 기원전 3000년 이전 수 세기 전부터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이 바닷길로 상이집트의 나카다를 중심으로 한 지역들과 접촉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두 지역의 도상들을 비교함으로써 보여주려 한다. 이 논문에서는 게벨 엘-아라크 돌칼과 나르메르 화장판에 새겨진 도상들을 동시대나 그 이전 시대의 메소포타미아와 수사의 도상들과 비교·분석하였다. 제1왕조가 개창되기 이전인 선왕조 시기에 상이집트 유물의 도상에 미친 외부의 영향이 학자들에 따라 수사(엘람)에서, 또는 메소포타미아에서 온 것으로 주장되었다. 가늠하기가 힘든데, 논자가 보기에는 두 종류의 도상이 모두 유물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논자에게는 수사의 도상도 메소포타미아로부터 상이집트에 들어온 것이라고 여겨지는데, 그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하겠다. 게벨 엘-아라크 돌칼과 나르메르 화장판에 새겨진 도상들은 메소포타미아로부터 어떤 경로로 상이집트에 이른 것일까? 그러한 도상들이 주로 상이집트에서 발굴된 것으로 보아, 삼각주를 거쳐 나일강을 타고 상이집트에 들어왔다기보다는 더 남쪽 경로를 통해 상이집트에 이르렀을 것이다. 함마마트 와디는 파라오 시대에 상이집트와 홍해를 잇는 물길이었다. 그 와디의 계곡에는 선왕조 시기에 속하는 수많은 선박들의 암각화가 있고 그 중에는 메소포타미아 배의 모습을 닮은 것들이 있다. 그러한 도상들을 상이집트에 들여온 메소포타미아인들은 배로 페르시아만, 아라비아 반도 남단의 바다를 거쳐 홍해 입구에서 북쪽으로 항해하다가 홍해 서안 쿠세이르에서 함마마트 와디를 거쳐 상이집트의 콮토스에 이르렀을 가능성이 크다. 함의 아들 구스가 배로 홍해 입구에 이른 후, 상륙하여 이집트 남쪽 쿠시에 이르렀다는 데이비드의 롤의 주장도 이러한 경로의 가능성을 뒷받침해주고 있다(<부록>). 상이집트에 있는 수사(엘람)의 도상들은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피에르 아미에(Pierre Amiet)는 “수사 지층II의 시기(3800-3100 BC)에 모든 것이 바뀌었다. 수사는 남메소포타미아의 세계에 통합되었고… 우루크가 표준 유적지(type-site)”라고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메소포타미아의 우루크 문화(Uruk Culture, 4000-3100 BC)에는 엘람적인 요소도 자연히 섞여 있었고 메소포타미아인들은 자신들의 도상만이 아니라 수사의 도상도 상이집트에 들여왔을 것이다. 나르메르 화장판에 새겨진 왕권에 관련된 도상들은 상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사이의 단순한 문화적 교류를 통해서 상이집트에 들어온 것이 아닐 개연성이 크다. 이제는 이집트 제1왕조의 개창에 관한 내재적 발전론과 외부의 영향론이 조화를 이룰 때가 되었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iconographies in Gebel el-Ark Knife and Narmer Palette with those of Mesopotamia and Susa, and to interpret the result from the comparison.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Naqada I sites all lie within Upper Egypt. The Naqada II culture diffuses northwards as far as the eastern edge of the Delta, and also southwards, where it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Nubian A-Group. By the end of the Naqada II phase (c.3200 BC) or early Naqada III, the indigenous material culture of Lower Egypt had disappeared and was replaced by artifacts (especially pottery wares) deriving from Upper Egypt and the Naqada culture. Judging from this archaeological evidence, the first Dynasty was founded by Upper Egypt, rather than Lower Egypt. The iconographies on Gebel el-Arak Knife and Narmer Palette were influenced by Mesopotamian and Susan ones. The fact that such iconographies were discovered mainly in Upper Egypt suggests that foreign influences were introduced via the Persian Gulf, the Indian Ocean, the Red Sea and Hammamat Wadi, which connected the Red Sea with the Nile, rather than by way of the Delta. How can the Susan iconography in Upper Egypt be elucidated? Pierre Amiet says, “Everything changed with period II of the Susa stratigraphy (3800-3100 BC) when there was complete integration with the world of south Mesopotamia,.. at a time for which the city of Uruk is the type-site.” Then the Uruk Culture (4000-3100 BC) in Mesopotamia naturally included the Elamaic factor. Taking the fact into consideration that the iconographies which Mesopotamians brought into Pre-dynastic Upper Egypt were used as dynastic iconographies since the foundation of the First Dynasty, the type of interrelation between Upper Egypt and Mesopotamia can hardly be considered as merely cultural. It is time to study the foundation of the first dynasty of Egypt from the viewpoint of foreign influences as well as “[as] a result of prehistoric development”.

      • KCI등재

        엘레우시스 비의의 기원 :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와 이집트

        오흥식 ( Oh Hungshik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7 서양고대사연구 Vol.48 No.-

        이 연구논문의 목표는 고대 그리스의 ‘엘레우시스 비의’의 기원이 이집트에 있었음을 문헌적, 고고학적, 어원적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제시하는 데에 있다. 기원전 14세기 전반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에 의해 그 비의가 이집트로부터 받아들여져 그리스의 엘레우시스에 확립되었을 개연성을 제시하려 한다. 사후의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엘레우시스 비의(Eλευσiνια Μυστŋρια)는 고대 그리스에서 데메테르 여신의 숭배를 위한 제례다. 엘레우시스 비의가 기원한 시기를 학자들은 청동기 시대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는 데에 거의 동의하고 있지만, 기원지에 관해서는 그리스 본토설, 트라키아설, 크레타설이 있다. 그런데 일찍이 『엘레우시스 비의(Les Mysteres d’Eleusis)』 (1914)라는 책으로 엘레우시스 비의에 관한 연구의 문을 열어 놓았던 폴 푸카르(Paul Foucart)는 그 비의의 기원지가 이집트라고 기록한 고대 그리스 저자들의 글은 논박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책이 출간된 지 한 세기가 흘렀다. 논자는 그 동안의 고고학적 증거, 언어학적 증거로 보아, 고대 그리스인들의 기록에 신빙성이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오도로스(1.29.2)는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가 엘레우시스에 데메테르의 입교식을 시작하고 비의(τa μυστŋρια)를 확립하였는데, 이는 그가 이집트로부터 들여온 의식이다”고 기술하고 있다. 디오도로스의 이러한 기록을 직·간접적으로 뒷받침해주는 다른 그리스 저자들의 기록들이 있다. 『파로스 연대기』도 기원전 14세기 전반에 에렉테우스 치세에 그 비의가 시작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헤로도토스(2.171.1)는 테스모포리아 축제라고 부르는 데메테르 축제도 다나오스의 딸들이 이집트에서 들여온 것이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때는 「파로스 연대기」에 따르면 기원전 1511/10년이다. 그리고 헤로도토스(2.156.5)와 디오도로스(1.29.4)는 모두 데메테르가 이집트의 이시스 여신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고고학적으로는, 엘레우시스 분묘에서 기원전 9, 8세기에 속하는 이시스의 스카랍과 상징물이 발굴되었는데, 이는 데메테르가 바로 이시스라는 그리스인들의 기록의 신빙성을 뒷받침해준다. ‘비의(mystery)’로 번역되는 μυστŋριον의 어원을 학자들은 대체로 인도유럽어 어근 ‘mu’로 보고 있는데, “입술을 닫다” 또는 “말이 없는”이라는 뜻을 지니며 그리스어로는 동사 μuω가 있다. 그런데 이집트 종교 전문가 S. Mayassis에 따르면, μυστŋριον은 이집트어 어근 √st3에서 온 것으로, 이 어근에 명사화 접두어 또는 처소격 접두어 m-을 붙이면 m st3(mstr, “비밀히”)이 된다는 것이다. з의 음가가 중왕국 때에는 ‘ㄹ’이었으나 신왕국 중기까지는 ‘ㄹ’과 ‘ㅏ’로 병존하다가 중기 이후부터 ‘ㅏ’의 음가만을 지니게 되었다는 버날의 주장을 받아들이면, μυστŋριον의 어원은 이집트어다. 이집트인들이 기원전 1530년 경 힉소스를 쫓아내고 투트모세 3세의 치세에 이르러 이집트 밖으로 영역을 넓혔고, 에릭 클라인 교수는 그 파라오의 당시에 제작된 비문을 근거로 이집트의 종주권이 크레타(Kftiw, 카프투)와 그리스 본토(Hзw nbwt, *하우 네부트)에도 미쳤던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엘레우시스 비의가 확립되었을 시기의 파라오 아멘호테프 3세 (1390-1352 BC)의 장례전 비문 기록에는 이집트 사절이 방문한 곳들에는 크레타와 그리스 본토의 도시들이 포함되어 있고, 1900년경부터 최근까지 아멘호테프 3세의 왕명이 기록된 파이앙스 명판이 장례전 비문에서도 언급된 크노소스, 파이스토스, 미케네 등지에서 발굴되었다. 그리고 미케네 그리스의 도기 LHIIIA와 LHIIIB가 나일 강 연안의 고대 도시들에서 발굴되었다. 이러한 고고학적, 언어학적 증거들을 종합하면, 기원전 14세기 아테네왕 에렉테우스 치세에 확립된 엘레우시스 비의는 고대 그리스인들의 기록대로 이집트에서 들여온 종교의식일 개연성이 대단히 높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ursue the origin of the Eleusinian Mysteries (Eλευσiνια Μυστηρια) in combination with documentary, archaeological and linguistic proofs. It will be suggested that the Mysteries were established in Eleusis in the reign of Erechtheus the Athenian king in the first half of the fourteenth century. The Mysteries, which pursued the happy life after death, is the ritual for Demeter. It has been generally agreed th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Mysteries in Eleusis dated back to the Mycenaean age. But there are several opinions about the country of origin of the Mysteries: Greece, Thracia, Crete, and Egypt are all included. However, Paul Foucart insisted in his book, Les Mysteres d’Eleusis (1914) that the ancient Greek writers who said that the country of origin of the Mysteries was Egypt can not be denied. A century has flown by since the publication of his book. I try to suggest in the light of new archeological and linguistic proofs that the reports of the ancient Greek writers about the country of origin of the Eleusinian Mysteries are reliable. According Diodorus (1.29.2), “he [Erechtheus] instituted the initiatory rites of Demeter in Eleusis and established the mysteries(τa μυστηρια), transferring their ritual from Egypt.” There are the reports of the ancient Greek writers that support Diodorus directly or indirectly. Parian Marble says “[From when Eumolpus _____] instituted the mysteries in Eleusis and made known the works of the [father of M]ousaios, [11______, when Erechthe]us son of Pandion [was king of Athens].” We can deduce the time of the institution of the Mysteries as the first half of the fourteenth century BC in the context of the Parian Marble. Both Diodorus (1.29.4) and Herodotus (2.156.5) say that Demeter was the Egyptian goddess of Isis. Herodotus (2.171.3) says that “The daughters of Danaus were those who brought this rite (the rite of Demeter which the Greeks call Thesmophoria) out of Egypt and taught it to the Pelasgian women”. According to the Parian Marble, Danaus and his daughters arrived in Greece from Egypt in the year 1511/10 BC. Archaeologically, Egyptian scarabs and a symbol of Isis were found in a tomb at Eleusis of the ninth or eighth century BC, which supports the report of the ancient Greek writers that Demeter is Isi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etymology of μυστηριον (mystery) is the Indo-European root ‘mu’, which means “to close the lips” or stay “mute”, and there is a Greek verb μuω, which means “intr. close, be shut, of the eyes, trans. close, shut.” However, According to the specialist on Egyptian religion S. Mayassis, the word comes from the Egyptian root √st3 (cognate to the Semitic root √str “cover, veil, hide”). If the locative preposition m- is added to the root, m st3 (m str) “in secret” is attested. (According to Martin Bernal, the 3 “double aleph” was originally pronounced as a liquid r or I, and the process through which 3 lost these consonantal values was not complete until the middle of the New Kingdom.) Egyptians expelled the Hyksos around 1530 BC and Thutmose III expanded their influential region beyond Egypt. According to the inscriptions of his achievements, Crete (Kftiwu) and the Aegean (Hзw nbwt) paid tributes to Egypt. The pharaoh, about the time when the Eleusinian Mysteries was established, was Amenhotep III (1390-1352 BC). According to the inscriptions on the base of his statues from his funerary temple, the pharaoh sent his ambassadors to the Aegean cities, and faience plaques with the cartouche of Amenhotep III have been discovered in Cnossos, Phaistos, and Mycenae. Putting documentary,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proofs together, it is highly probable that Erechtheus instituted the Eleusinian Mysteries, transferring their ritual from Egypt.

      • KCI등재

        트로이 전쟁과 바다의 민족들

        오흥식 ( Oh Hungshik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3 서양고대사연구 Vol.34 No.-

        호메로스는 『일리아스(ΙΛΙΑΣ)』에서 그리스에서 제일 아름다운 여인, 스파르타 메넬라오스의 왕비 헬렌을 되찾기 위해 트로이 전쟁이 일어났다고 시인답게 원인을 말하고 있다. 그런데 소아시아의 내륙에 자리잡았던 히타이트 제국(1700-1200 BC)의 문서가 해독되고 연구되면서 역사가들은 히타이트 문서의 아키야와(Ahhiyawa)를 그리스의 아카이아인들(그리스어의 Achaioi, 영어로 Achaeans)로 보고, 소아시아 서부 해안을 놓고 히타이트와 대치하던 미케네 그리스(청동기 시대의 그리스)가 히타이트의 국력이 약해진 틈을 타서 히타이트의 봉신국이었던 트로이―히타이트는 트로이를 기지로 삼아 소아시아의 그리스인들을 제어하고 있었다―를 장악하여 해안 지역 전체를 차지하려고 했던 것이 트로이 전쟁의 원인이라고 주장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트로이 원정의 원인을 더 넓은 차원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기원전 1200년 경 동지중해를 혼란에 빠뜨려서 청동기 시대를 실질적으로 막내리게 했던 ‘바다의 민족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바다의 민족들과 그리스인들을 연계시키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도 이러한 시도 중의 하나로, 트로이 원정 직후의 노스토이(Nostoi, 트로이로부터 귀향하는 그리스군)의 활동이 파라오 메르네프타와 라메세스 3세 때 이집트에 침입한 바다의 민족들에 포함되어 있음을 주장하려 한다. 그런데 이 주장 자체는 새로운 것은 아니라 할 수 있으나, 이집트 비문에 기록된 아카이와샤와 데니엔이 구체적으로 어떤 그리스인인지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다. 여기서는 그리스 연표와 이집트 연표를 좀 더 세밀하게 연계시키고 트로이 전쟁 후에 노스토이들이 세운 나라들의 활동을 바다의 민족들의 활동과 연계시켜 아카이와샤와 데니엔의 정체를 좀 더 구체적으로 구명하는 데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연구자가 다달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트로이 원정을 이집트와 연계시켜 연구할 경우, 대단히 어려운 과제가 그리스 연표와 이집트 연표를 맞추는 작업이다(두 지역의 연표도 각각 여럿이다). 우선 두 지역의 연표를 맞추기 위해, 기원전 3세기에 기록된 『파로스 연대기』가 말하는 트로이 전쟁의 시기 기원전 1218/7-1209/8년을 믿을 만하다고 연구자의 믿음으로부터 연구를 시작하였다(그런 믿음의 근거는 본문에서 언급된다). 이집트에 침입한 바다의 민족들 중에 이집트 비문에서 언급된 아카이와샤(’Ikws, Akaiwasha)와 데니엔(Dnn, Denyen)이 그리스인들이라고 보는 데에는 학자들 사이에 큰 이견이 없다. 이집트 기록에 따르면, 메르네프타5년에 아카이와샤가, 30년쯤 후 라메세스 3세 8년에 데니엔이 침입하였다. 트로이를 공격한 그리스인들이 그리스측 사료에서는 ‘아카이오이(Achaioi)’로 그리고 히타이트 사료에서 ‘아키야와(Ahhiyawa)’로 기록되었다면, 이집트 사료의 ‘아카이와샤’가 앞의 두 발음과 비슷한 발음으로 기록된 것으로 보아, 연구자는 메르네프타 치세에 이집트를 침입한 아카이와샤가 트로이로 원정한 ‘아카이오이’인일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것을 두 지역의 연표로 맞출 수 있을까『이집트 신왕국 연표로 학자들에게 많이 사용되는 것은』캠브리지 고대사(Cambridge Ancient History)『(1973)의 연표와 』옥스퍼드 고대이집트사(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2000)의 연표이다. 연구자는』옥스퍼드 고대이집트사『의 신왕국 연표가 더 믿을만한 이유가 있다고 보았고, 그 연표에 따르면 아카이와샤의 침입연도는 1208년 이니 』파로스 연대기『에 따르면 트로이 원정이 1209년에 끝나고 1년 후에 아카이아인들이 이집트에 침입한 셈이 되어, 연대적으로 잘 들어맞는다. 그렇다면 라메세스 3세 8년에 침입한 것은 데니엔이고 그 연도는』옥스퍼드 이집트사『에 따르면 기원전 1176년이 된다. 학자들 사이에 아카이와샤와 데니엔이 그리스인일 것이라는 데에는 대체로 일치된 생각을 지니고 있지만, 그 차이가 명확히 제시되지는 않았다. 연구자의 이 연구에 따르면, 미묘한 차이가 있다. 아카이와샤가 히타이트어의 아키야와, 그리스어의 아카이오이와 관련된 것이라면, 아카이와샤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던, 아카이오이인들을 비롯한 여타 그리스인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데니엔은 트로이 전쟁 때 아르고스 왕 암필로코스가 이끌어던 아르고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트로이가 함락된 후에도 암필로 코스는 아르고스인들을 이끌고 킬리키아의 말로스(Mallus)에까지 이동하여 클라로스의 예언자 모프소스(Mopsus)와 함께 나라를 세웠다. 후에 그리스저자들에 따르면, 말로스(Mallus)의 아르고스인들은 시리아, 페니키아에까지 이동하였다. 연구자는 이들 아르고스인들이 바다의 민족들의 하나로서 이집트를 침입했다고 본다. 그 이유는 이러하다. 』파로스 연대기『에 따르면 기원전 1511년, 다나오스(Danaus)는 아르고스에 도래하여 나라를 세웠고 아르고스인들을 다나오이(Danaoi, ‘다나오스의 백성’이라는 뜻)로 명명하였고, 그후 다나오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다. 아르고스 왕 암필로 코스가 이끌었던 아르고스인들, 곧 다나오이인들이 이집트에 침입했다면, 이집트인들은 이들을 Dnn(Denyen, 데니엔)으로 기록했을 것이다. Homer says that the Trojan War broke out to get back Helen, the most beautiful woman in Greece. However, since documents from the Hittite empire (1700-1200 B.C) have been deciphered and studied, many of the scholars identify Ahhiyawa in the Hittite documents with the Achaeans. They argue that the Achaeans made war with Troy, the vassal city of the Hittites, when the Hittite Empire was weakened in the second half of the thirteenth century.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find better and wider reasons for the Trojan War, as opposed to the reasons traditionally held about that conflict. An attempt is under way to link the Greeks with the Sea Peoples, who plunged the eastern Mediterranean in chaos around 1200 BC and substantially ended the Bronze Age. This paper will argue that the activities of the nostoi (the Greek army going home from Troy) after the Trojan War were related to the invasions of Egypt by the Sea Peoples. Scholars see Akaiwasha and Denyen, two of the Sea Peoples recorded in Egyptian inscriptions, as Greeks. According to Egyptian records, Akaiwasha invaded Egypt in Merneptah’s third year, Denyen in Ramesses’ 8th year about thirty years after the invasion of Akaiwasha. But scholars disagree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Akaiwasha and Denyen. This paper tries to identify Akaiwasha and Denyen more specifically by linking the Greek chronology with the Egyptian, and the activities of the nostoi with the activities of Sea Peoples, by using detailed Greek sources. The conclusion which this paper has reached is summarized as follows: When one studies the Trojan War in connection with the Sea Peoples, it is a very difficult task to connect the Greek chronology with the Egyptian (Ancient Greece and Egypt have several chronologies respectively). To fit the chronologies of the two regions with each other, first of all I accept the date of the Parian Marble (inscribed in the third century B.C.): the Trojan War took place 1218/7-1209/8 BC. The Greeks who attacked Troy were recorded as ‘Achaioi’ in Greek and ‘Ahhiyawa’ in Hittite. As ‘Akaiwasha’ in Egyptian inscription is pronounced (Akaiwasha) similar to the previous two, Achaioi could have invaded Egypt after the fall of the Trojan War. Could this conjecture fit in terms of the chronology? The Egyptian New Kingdom chronologies which are used most among scholars are those in Cambridge Ancient History (1973) and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2000). I consider the chronology of the latter more reliable. According to that chronology Akaiwasha invaded Egypt in 1208 B. C. As the Trojan expedition ended in 1209/8 BC (according to the Parian Marble) and the Achaeans (that is, Akaiwasha) invaded Egypt one year later or in the same year. Then Denyen invaded Egypt in Ramesses III’s eighth year, 1176 BC, according to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There is a consensus of opinion among scholars that Akaiwasha and Denyen were Greeks, but the reasons are not presented clearly. There are subt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ccording to this paper. Akaiwasha referred to all the Greeks, including Achaeans, who fought in the Trojan War. Denyen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 Argives, who were led by Amphilochus the King of Argos during the Trojan War. After the capture of Troy Amphilochus moved to Mallus in Cilicia, and founded a country there (with Mopsus the prophet of Clarus or Colophon). Later the Argives from Mallus moved to Syria, even to Phoenicia according to Strabo (xiv.4.3). It stands to reason that the Argives invaded Egypt as Denyen, one of Sea Peoples, because the Argives had been called Danaoi (Danaans) by Greek writers (Danaus founded a country in Argos in 1511 BC according to the Parian Marble.) It is likely that Egyptians recorded these Danaoi (Danaans) as Dnn (Denyen) in Egyptian hieroglyp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