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불거부응답의 판별

        오형나,OH, Hyungna 한국개발연구원 2012 韓國 開發 硏究 Vol.34 No.1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은 비시장재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 방법의 하나로, 공공사업의 경제적 편익을 계산하는 데 이용되어 왔다. 지불거부응답(protest responses)은 본인의 선호와 상관없이 설문과정에서 공공사업에 대해 단 1원도 지불할 의사가 없다고 응답하는 행동으로, 전체 CVM 응답의 25% 정도를 차지한다. 본 연구는 평가 대상이 된 공공재의 가치 추정에 있어 지불거부응답 행동에 의한 편의(bias)를 최소화하기 위해, 자신의 선호에 의해 지불의사액이 '0'이라고 답한 응답으로부터 지불거부응답을 판별해 내는 문항(protest response filtering items)과 그 미시적 근거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선호에 기반한 지불의사액을 '잠재적 지불의사액(implicit willingness-to-pay)'이라고 정의함으로써 설문과정에서 선호체계 이외에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여 결정된 '구술된 지불의사액(stated willingness-to-pay)'과 구분하였다. 한편,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주관한 20여 건의 CVM 데이터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지불거부응답은 무작위가 아닌 응답자의 사회 경제적 특징에 의해 체계적으로 발생한다. 이는 지불거부응답을 공공재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서 제외시킬 때 선택편의(selectivity bias)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analyzes ways to detect protest responses (hereafter, PR zero-bid) in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In order to distinguish PR zero-bids from true zero-bids (non-PR zero bids), this study adopts the concept of the implicit willingness to pay employing the Hicksian compensating surplus and the Taylor's 1st order approximation. When a respondent proposes a zero-bid (i.e., WTP=0) and chooses a PR filtering item to indicate that her implicit WTP is not necessary zero, her response is identified as a PR zero bid. PR filtering items falling into the PR zero bids category include the uncertainty of information, distrust in the government and project achievement, disagreement to project plans, discontent with the fairness of public works and their payment method and animosity against the CVM itself.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PR zero bids take place systematically in particular respondent groups: respondents who have never used similar facilities before nor plans to use the facility provided by the public project, the employed, and low income groups.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a CVM questionnaire needs to be designed carefully to minimize problems associated with PR zero bids and the potential risks of having sample selection bias should be concerned.

      • KCI등재

        연구논문 : 제조업과 서비스 부문 기후 리스크 측정

        오형나 ( Hyungna Oh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5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4 No.3

        지구 온난화와 그에 따라 발생빈도가 늘어난 이상기온 현상으로 인해 제조업과 서비스 업종에서 감당해야 할 기후위험 역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는 Pardo et al. (2002)이 이용한 간단한 실증모델 추정을 통해 품목별 기후리스크를 측정한다. 실증분석의 결과, 제조업 품목의 26.7%, 서비스 업종의 27.9%가 날씨여건에 따라 판매량이나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iven the presence of global warming, the economic impact of climate changes on output sales has been discussed in the literature, but rarely with empirical evidences. In this present study, a simple log-model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economic impacts of weather changes in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in Korea. For this empirical exercise, weather variables including the CDD (cooling degree days) and HDD (heating degree days) were computed using the Korea``s meteorological records covering the period 1970-2012. According to estimation results, 26.7% (144 over 539) and 27.9% (64 over 229) of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respectively, are found to be weather-sensitive.

      • KCI등재

        디지털 전환의 기후효과: 현황과 전망

        오형나 ( Hyungna Oh ),홍종호 ( Jong Ho Hong ) 한국경제학회 2022 한국경제포럼 Vol.14 No.4

        디지털 전환과 그린 전환이 메가 트랜드로 자리잡으면서 디지털 전환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ICT 기술을 통해 에너지 수요를 대체하거나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기후변화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는 반면, ICT 제품과 서비스가 제조, 사용 또는 폐기 과정에서 다량의 에너지, 특히 전기를 소비하며 그 결과 온실가스 배출과 e-폐기물량이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 또한 존재한다. 이 논문은 2013-2019년 기업활동조사 와 에너지총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의 제조업 부문을 중심으로 ICT 기술이 제조업 부문에서 전력을 포함한 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 제조업 부문에서 ICT 기술이 활용된다면 전력 소비가 증가할 수 있지만 다른 에너지 소비가 줄어들면서 결과적으로는 총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긍정적 효과가 이미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그러나 ICT 활용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현재 전력의 탄소집약도가 전체 에너지의 탄소집약도 보다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발전 부문의 탈탄소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가운데 디지털 전환이 추진된다면 디지털 전환은 그린 전환을 방해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digital transition has been transforming the nature of energy and resource use in the production process. Existing literature have presented different views on the digital transition’s impact on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Some have welcomed the wave of digitalization with the expectation that ICT technologies will contribute to climate mitigation 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energy and resource use in the production sector. Others, on the contrary, have shown concern that the resulting surge in electricity consumption, water use and e-waste generation in digital sectors will do more bad than good in regards to GHG emissions. With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 how ICT technologies affect energy consumption and GHG emission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Two datasets, the Survey of Business Activities (2013-2019) and the National Energy Total Information System (2013-2019) are employed in the empirical exercise of this study. Estimation outcomes suggest that utilizing ICT technologi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will help reduce overall energy consumption and energy intensity, implying that the twin deals (Digital New Deal and Green New Deal) are complementary. However, this positive synergy effect of digitalization in green transformation was not found within electricity consumption, the dominant fuel of digital technologies, as its carbon intensity is higher than that of most other fuels. As a result, the digital transition will show an exigent need to green electricity production.

      • Optimal Regulation for Production with Multiple Externalities

        오형나(Hyungna Oh),주재욱(Jaeuk Ju) 한국재정학회 2016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Since many individual production activities release more than one pollutants, policy outcomes of one regulation often complement or contradict those of another regulation. Considering this, anintegrated approach to dealing with multiple negative externalities was developed. In practice, however, regulating pollutants separately at a time rather than anintegrated approach is a common regulatory model and, as a result, the inefficiency of regulation arises. The inefficiency even increases as individual environmental policy is implemented with uncoordinated agenda. This paper employs a game theoretic model and explores the issue of optimal regulation for multiple production externalities. In the model, corrective tax rates for two externalities represent the level of regulation. According to findings of our analytical model, regulation level under a comprehensive approach, which simultaneously determines tax rates in year 1, is consistent with Pigouvian rate. Meanwhile, regulation level under a separate approach, which introduce two regulations sequentially, one in the first year and the other in the second year, deviates from the optimal level: the earlier regulation in the first year is higher and the latter one in the second year is lower than that of a comprehensive one. To avoid distortions associated with the sub-optimal level of regulation, our model discourages a use of excessive forward-looking when the level of regulation is made sequentially.

      • KCI등재

        가구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계부문 에너지 소비행태 분석 - 1인 가구 및 고령가구를 중심으로-

        홍종호 ( Jong Ho Hong ),오형나 ( Hyungna Oh ),이성재 ( Sungjae Lee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8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7 No.3

        우리나라의 인구구조는 1인 가구 및 고령가구가 점차 증가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에너지 수요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1인 및 고령가구의 에너지 소비패턴이 일반 가구의 에너지 소비패턴과 구별되는 특징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에너지 소비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역고정효과 모형과 에너지 경제연구원의 가구상설표본조사 패널 자료(2013-2015년)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1인 가구는 다른 가구 형태에 비해 모든 에너지원에서 소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인 가구 중 4060대의 소비가 가장 많았다. 고령화 효과는 에너지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고령가구의 전력 소비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대체로 많거나 비슷하였으나, 등유는 고령가구의 소비가 가장 적었다. 반면, 가스 및 총에너지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는 정부가 1인 가구 및 고령화로 인해 증가하는 전력 혹은 에너지 소비 추이를 면밀히 관찰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s the population structure of Korea changes with the increase of single households and elderly households, this may have effect on domestic energy consumption pattern. Our study analyzes whether the energy consumption of single and elderly households are distinguishable from those of general households. For empirical analysis, Household Energy Standing Survey panel data and regional fixed effect model are employed. The result strongly shows that single households consume more energy than other households. The consumption of single households from 40s to 60s wa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aging was different from energy sources. Electricity consumption of elderly household was more than other age groups, while oil consumption of elderly household was less than others. Gas and total energy consumptions turned out to be not much different among different age groups.

      • KCI등재

        원전 유치에 대한 태도의 결정요인: 지진 경험의 영향 및 전기요금 감면 효과

        김지영 ( Jee Young Kim ),오형나 ( Hyungna Oh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8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7 No.1

        리스크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원자력발전 수용성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다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경주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의 경험이 원자력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국내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2017년 3월 1,349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지진의 경험 및 정부의 보상조건(10년간 전기료 ‘10% 인하’, ‘30% 인하’, ‘50% 인하’, ‘100% 인하’)을 주요 변수로 하여 원전 유치 태도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인근 원전의 존재 자체가 원전에 대한 위협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지만, 지진의 경험이 더해지면 원전 유치를 반대할 확률이 높아졌다. 물론, 정부의 보상 수준이 높아지면 원전 유치를 반대할 확률은 낮아진다. 그러나 10년간 전기료 무상지원이라는 보상이 주어진다고 해도 원전 유치에 찬성할 확률은 50%를 밑돈다. 특히 최근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시민들의 지진 경험이 높아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원전 건설에 대한 국민의 동의를 얻어내기 위한 경제적 비용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Using survey data of selected 1,349 individuals nationwide in Korea, we measure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acceptance of nuclear power and estimates the probability of acceptance under several scenarios with different percentages of monetary compensation. Results of panel probit demonstrate that nuclear risk aversion tendency was found to be higher in case of female, younger age, past experience of extreme event such as an earthquake. However, the residents’ residency nearby the nuclear power plant was not related to the risk-aversion tendency.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nuclear acceptance is improved when the monetary compensation rate is increased. Although the policy demand intended to reduce GHG emissions in South Korea, the expansion of nuclear power is not be easy due to the occurrence of recent strong earthquakes because the risk attitude of an individual is influenced by subjective assessments formed throug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an earthquak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opposition to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 is expected to be further intensified especially when combined with the experiences of threatening earthquakes. As a result, the debate and policy conflicts of nuclear power plants will consistently continue and large social costs are apparent for the acceptance of nuclear power plant.

      • KCI등재

        환경보전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제도의 효과성: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저감과 환경투자유인 효과를 중심으로

        홍종호 ( Jong Ho Hong ),오형나 ( Hyungna Oh )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17 재정학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오염방지시설에 대한 투자를 촉진할 목적으로 도입된 「환경보전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제도의 효과성을 대기오염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제도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평가지표로 기업의 환경보전 시설에 대한 투자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이 사용되었다. 제도와 투자, 성과지표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2006~2014년간 국립환경과학원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패널과 한국신용평가정보의 KIS 데이터, 2016 년 실시된 한국개발연구원의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 프로빗 모형(Probit model)과 성향점수 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기법을 이용하여 제도의 정책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현 세액공제제도가 환경보전시설에 대한 투자를 유인함으로써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줄이는데 기여한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tax credit policy, which was introduced in 2008 to promote the private sector investment in environmental protection facilities. In our empirical analysis, various data sets were used including air pollutants emission panels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IS data of NICE Group and questionnaire survey outcomes obtained by Korea Development Institute. Employing Fixed Effect and Probit models and the Propensity Score Method, we draw a conclusion that both the impact of the tax credit policy on the private sector investment in environmental protection facilities and its contribution in reducing air pollutants are statistically ignorable.

      • KCI우수등재

        미세먼지 건강위험과 회피행동: 야외여가활동수요 감소를 사례로

        엄영숙 ( Young Sook Eom ),오형나 ( Hyungna Oh ) 한국경제학회 2019 經濟學硏究 Vol.67 No.2

        본 연구는 2017년에 실시된 전국 웹설문 조사에 응답한 1,224명을 분석표본으로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주관적 인지수준이 야외활동 제한 형태의 회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위험인지변수의 내생변수 가능성을 고려하여 도구변수를 사용한 결합추정방식이 시도되었다. 개인들의 주관적 위험인지 수준이 일상적인 야외여가활동에 유의미한 변화를 주지는 않았지만, 봄철기간 동안 회피행동에의 참여여부와 회피행동 수요(일상적인 야외 여가활동의 제한 횟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미세먼지 농도가 회피행동 여부나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지만, 주관적 위험인지수준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야외 여가활동을 줄인 응답자들은 마스크 착용이나 공기청정기 사용 등 미세먼지 관련 다른 종류의 회피행동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회피행동 수요함수 추정결과를 근거로 위험인지수준이 평균에서 1단위 개선되면 야외활동을 평균적으로 월 1회 정도 감소시키지 않아도 되고, 이러한 개선효과의 편익이 월평균 16,000원 정도인 것으로 산정되었다. Using a national panel web survey data with 1,224 respondents, the tobit demand model of outdoor leisure activity reduction was jointly estimated with risk perceptions about particulate matters (PM<sub>10</sub>) using an instrument variable approach. Respondents’ risk perceptions of PM<sub>10</sub>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participation and demand decisions of averting behavior, while they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demand for daily outdoor leisure activities. Whereas the objective measure of PM<sub>10</sub> concentration matched with respondents’ residential region had indirect impacts on averting behavior through changes in respondents’ subjective risk perceptions, Based on estimates of tobit demand model of averting behavior, respondents were willing to pay at least a monthly average of 16,000 won for a one unit reduction(based on a 0-10 linear likert) in their risk perceptions.

      • KCI등재

        EU-ETS 배출권가격 결정요인 분석: 과잉할당량을 중심으로

        홍이슬 ( Leesle Hong ),오형나 ( Hyungna Oh ),홍종호 ( Jong Ho Hong ) 한국경제학회 2016 經濟學硏究 Vol.64 No.3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 탄소시장인 유럽 배출권시장에서 가격하락요인으로 지목되어 온 배출권 과잉할당을 포함하여 배출권가격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유럽배출권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 과잉할당량을 계량분석 모형에 포함한 사례는 아직까지 없었다. 본 연구는 과잉할당량이 배출권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실증분석 필요성을 바탕으로 거래제 단계 내 차입효과 모의변수와 함께 과잉할당량을 직접 계산하여 설명변수에 포함하였다. 과잉할당량은 문헌에서 논의된 방식에 따라 기준시나리오를 산정한 후 이를 실제 할당량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과잉할당량과 주가지수, 전력스프레드, 주가지수와 전력스프레드의 상호작용항, 유가, 극한 기온이 유의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Although the ``over-allocation`` of allowances in EU-ETS has been noted as a major cause of carbon price crash in phase I, few studies have analyzed quantitatively the issue of over-allocation in the formation of carbon prices. In this study, we employ new variables such as over-allocation and intra-phase borrowing in our regression model along with other price determinants. Based on the literature, the amount of over-allocation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cap to Business-as-Usual emissions. The over-allocation, stock price index, clean dark/spark spread, the interaction term of stock price index and clean dark/spark spread, oil price, and extreme weathers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