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핵심역량 중심의 교양교육 방법 및 효과 연구 - 성공회대학교의 <말과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오현화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0 한국어문교육 Vol.33 No.-

        핵심역량 중심의 교양교육의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대학교육의 본질 훼손과 수행의 측면만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핵심역량 중심의 교양교육이 지닌 한계점들을 극복하고, 대학교육의 본질과 질적 향상을 제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먼저 성공회대의 교양교육 체계 및 교육과정 운영 현황 및 결과를 살펴보고, 1학기 ‘혁신’ 과정의 핵심역량 과목으로 지정된 <말과글> 수업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해 핵심역량 중심의 교양교육의 실효성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팀프로젝트 활동으로 이루어진 ‘기획서 작성하기’는 2019년 재학생 핵심역량진단 평가에서 미흡하다고 지적된 ‘대안’ 역량 습득 보완을 위해 마련된 교육과정이다. 코로나19로 인해 팀프로젝트 활동은 전면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이루어졌으며, LMS 온라인 강의와 카카오톡 오픈채팅을 통해 팀별 활동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팀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안’ 역량과 ‘실천’ 역량의 영역별 학습 능력 향상도 역시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학습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답변을 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말과글> 수업이 ‘실천’ 역량 중심의 교양과목이긴 하지만, 기존 교육과정 및 내용을 수정·보완한다면 통합적 핵심역량 교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There is still much controversy about the effectiveness of liberal arts education centered on core competencies in the education field. This is because it undermines the essence of university education and emphasizes only the aspect of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s some cases of actual classes to see whether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re competencies-centered liberal arts educ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First, the current status and results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operation of Sungkonghoe University were investigated. Afterwards, the effects of liberal arts education centered on core competencies were analyzed through the case of <Speaking and Writing> class. The result of a survey done through Google revealed that students' satisfaction with team project activities was very high. The results of the survey found that the integrated core competency education is possible if the already existing curriculum and contents are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 영화 속 여체(女體)에 반영된 괴물성 연구 -위반, 분리, 교란의 미학-

        오현화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3 현대영화연구 Vol.9 No.1

        Study of the monster in the movie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female victims and male monster. Such research for most of the monsters in the movie and analyze the dichotomy in the structure of male and female victims monster. However, these monster’s narrative structure has a limit to describe the monster appeared in the Korean movie. Korean in the movie monster has a unique narrative structure narrative to be a duplicate of the female victim and a female monster. This study says that duplicate the victims and the female monster,monster with a feminine body characteristics Korean monster narrative structure. Taijoo of <Bat>, mother of <Mother>, and boknam of <Whole story of the murder Kim boknam> are the monsters that threaten the order of the symbolic rather than the victims. They are described as horrific monsters who violate the order of the symbolicin, and separate it, and disturb it. However, they are not the batter that was removed because of the threat to the subject. The location of the monster are duplicated the position of the female victims of patriarchal oppression. These film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 monster with a woman's body.

      • KCI등재

        ‘환상’ 기법을 통한 역사-기억의 영화적 재현 양상 연구

        오현화 한국극예술학회 2019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6

        As the memory of mankind, which is the basis of history, has recently changed from text to digital visual media, the formative structure and function are changing from 'repetition' to 'reconstruction'. This article examines aspects of film reproducing history-memory through director Jang Jun-hwan's Jigureul jikyeora(2003) and Jeon Gye-soo's Samgeori geukjang(2006), which reproduces the modern history of Korea through fantasy techniques. In addition, we looked at how the film represents history and its meaning, which is closer to the method of reconstruction of history than repetition. First of all, Jigureul jikyeora reproduces the opposite-memory by actively borrowing the subversive effect of 'fantasy', unlike the film that reproduces the history-memory. This work, which denounces the violence of modern subjects through the madness of Byeong-gu, embodies the subversive narrative of 'reality' turning into 'fantasy' by setting the reality of the lecturer as an alien. The 'fantasy' technique, through alien motifs, is intended to accuse the subject of violence against the other. And the use of these motifs creates counter-memory. On the other hand, Samgeori geukjang tells the story through the 'fantasy' narratives of President Woo Gi-nam and the spirits who are trapped in the theater. This work shows that history-memory is a medium that connects the past and the present, not a mere break or break with the past. This work changes the temporal status of the past by confirming that it has passed by on the one hand and presenting it at the same time. The last scene of the film, which suggests that the fantasy theater is still in operation even after the spirits of mourning have been made, means that history is not just a restoration of the past. It means that history in this work lead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resent identity and the alternative-memory for the future. 역사의 근간이 되는 인류의 기억은 최근 문자텍스트에서 디지털 영상 매체로 변화하면서 형성구조와 기능방식이 ‘반복’에서 ‘재구성’의 양태로 변모하고 있다. 이 글은 환상 기법을 통해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재현하고 있는 장준환 감독의 <지구를 지켜라>(2003)와 전계수 감독의 <삼거리극장>(2006)을 통해 영화가 역사-기억을 재현하는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더불어 ‘반복’이 아닌 ‘재구성’의 역사 재현 방식에 가까운 영화가 역사를 표상하는 방식과 그 의미를 분석하고 있다. 두 영화는 기존 역사-기억을 다루는 영화들과 달리 ‘환상’이라는 독특한 기법을 통해 역사-기억을 다루고 있다. 이들 영화의 외피는 외계인이나 혼령이라는 독특한 소재로 인해 판타지 장르의 성격을 띠고 있지만, 두 작품의 내적 구조는 지나간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폭력과 상처를 담고 있다. <지구를 지켜라>가 1960년대 이후 추진된 경제개발정책으로 인해 은폐된 근현대사의 폭력성을 담고 있다면, <삼거리극장>은 일제강점기 치유되지 않은 우리민족의 상처를 형상화하고 있다. 두 작품 모두 환상과 현실을 교묘하게 중첩 배열시켜 개인의 사적 기억을 공적 역사로 환치시키는 독특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먼저 <지구를 지켜라>는 기존 역사-기억을 재현하는 영화와 달리 ‘환상’의 전복적 효과를 적극적으로 차용하여 대항-기억을 재현하고 있다. 병구의 광기를 통해 근대 주체의 폭력성을 고발하던 영화는 강사장의 실체가 외계인이라는 설정을 통해 ‘실재’가 ‘환상’으로 전환하는 전복적 서사를 구현한다. 영화 속 외계인 모티프를 통한 ‘환상’ 기법은 타자를 억압하는 주체의 폭력을 고발하기 위한 대항-기억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삼거리극장>은 죽지 못하고 극장에 갇힌 우기남 사장과 혼령들의 ‘환상’ 서사를 통해 역사-기억이 단순한 과거와의 단절이나 결별이 아닌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매개체임을 보여준다. 영화는 ‘기억의 터’인 후락한 삼거리 극장을 통해 잊힌 기억을 복원하고, 제대로 매장되지 못한 슬픈 역사를 애도한다. 혼령들의 애도가 이루어진 후에도 환상극장이 계속 영업 중임을 암시하는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영화 속 역사-기억이 단순한 과거의 복원이 아닌 현재의 정체성 확립과 미래를 위한 대안-기억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藝壇一百人>을 통해 본 1910년대 기생집단의 성격

        오현화 민족어문학회 2004 어문논집 Vol.49 No.-

        Weight that kisaeng who took charge tradition Yeoak and most of woman play in flow of world of art early 20th century that woman could not be active with spiritedness independently occupies was huge. That is art introduced on running story that <매일신보> is <藝檀一百人> for year in 1914 of affection period of ten days, kisaeng is occupying all if except 8 man play. That kisaeng's weight was not small as play person even if consider intention of <매일신보> to heighten the subscription rate report who do circumstantial evidence be. If examine situation of performance world of art at that time with kisaeng as the central figure serialized <藝壇一百人>, kisaeng was group which is example that had the most lively performance activity present age through various Repatori. Artist mass of performance regulation who lead fall of royal family and common people play sinc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brought big discrepancy in tradition play succession with loss between play ball. Unlike curling up of these performance world of art comparatively free activity kisaeng group guaranteed that included artistic inclination of various class extensively to meet on various request of performance commercialized far than former generations such that that move popularization of performance culture accelerate. In this way, kisaeng formed recent publication of populace art through intermediation of performing art, market formation, electric wave etc. as well as planed as occupying individual area succession of tradition play and spread in performance world of art. Took charge fair part of woman play, and approach about kisaeng that got into center in creation and consumption of new culture can do that is essential for research about process ordered by consumption culture or populace art that tradition art is social dominate culture pattern according as society is modernized gradually. 여성이 독자적으로 기예를 가지고 활동할 수 없었던 20세기 초 예술계의 흐름 속에서 전통 여악과 여성 연희의 대부분을 담당했던 기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막대했다. 1914년 <매일신보>가 한 해 동안 <藝檀一百人>이라는 연재물에 소개된 예술인 중 심정순, 박춘재 등 8명의 남자 예인을 제외하면 모두 기생이 차지하고 있다. 구독률을 높이기 위한 <매일신보>의 의도를 고려하더라도 연희자로서 기생의 비중이 작지 않았음을 방증해 주는 기사다. <藝壇一百人>에 연재된 기생을 중심으로 당시 공연예술계의 상황을 살펴보면 기생은 다양한 레파토리를 통해 당대 가장 활발한 공연 활동을 했던 예인 집단이었다. 한일합방 이후 왕실의 몰락과 민간 연희를 주도하던 예인집단의 공연 규제는 연희 공간의 상실과 함께 전통연희 계승에 큰 차질을 가져 왔다. 이러한 공연예술계의 위축과는 달리 비교적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받았던 기생 집단은 전대보다 훨씬 상업화된 공연계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계층의 예술적 성향을 넓게 포괄하였으며, 이러한 움직임이 공연 문화의 대중화를 가속화했다. 이처럼 기생은 공연예술계에서 독자적인 영역을 점하면서 전통연희의 계승 및 확산을 도모했을 뿐만 아니라, 공연예술의 중계, 시장 형성, 전파 등을 통해 대중예술의 근간을 형성하였다. 여성 연희의 상당 부분을 담당했고, 새로운 문화의 생성과 소비에 중심이 되었던 기생에 대한 접근은 사회가 점차 근대화되어 감에 따라 전통예술이 사회의 지배적인 문화양식인 소비문화 혹은 대중예술로 이행되어 가는 과정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도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 잡음환경에서의 바이모달 시스템을 위한 견실한 끝점검출

        오현화,권홍석,손종목,진성일,배건성 대한전자공학회 2003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0 No.5

        음성인식 시스템과 입술독해 시스템을 결합한 하여 음향학적 잡음에 대하여 안정된 성능을 갖는 바이모달(bimodal) 시스템을 구현한다. 바이모달 시스템의 성능은 두 인식 시스템의 성능뿐만 아니라 입력 신호의 끝점검출 성능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신호와 영상신호에서 끝점을 자각 자동 검출하여 입력 음성신호로부터 음성신호에서 추정한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로 두 끝점검출 결과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낮은 SNR에서는 영상신호로부터 검출된 끝점을 선택하고 높은 SNR에서는 음성신호로부터 검출된 끝점을 선택함으로써 음향학적 잡음에 대하여 견실하게 끝점을 검출한다. 제안한 끝점검출 방법이 적용된 바이모달 시스템이 강한 음향학적 잡음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인식성능을 나타냄을 실험견과에서 확인할 수 있다. The performance of a bimodal system is affected by the accuracy of the endpoint detection from the input signal as well as the performance of the speech recognition or lipreading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ndpoint detection method which detects the endpoints from the audio and video signal respectively and utilizes the signal to-noise ratio (SNR) estimated from the input audio signal to select the reliable endpoints to the acoustic noise. In other words, the endpoints are detected from the audio signal under the high SNR and from the video signal under the low SN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bimodal system using the proposed endpoint detector achieves satisfactory recognition rates, especially when the acoustic environment is quite noisy.

      • KCI등재후보

        한국어 모음 입술독해를 위한 시공간적 특징에 관한 연구

        오현화,김인철,김동수,진성일 한국음향학회 2002 韓國音響學會誌 Vol.21 No.1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입술독해를 위한 기반 연구로서 음성학에 기반하여 음성의 시각적 기본 단위인 viseme을 정의하고 입술의 움직임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특징들을 추출하여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먼저, 다수의 화자로부터 한국어 모음에 해당하는 입술의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고 각모음별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여 7개의 한국어 모음 viseme을 정의하였으며 입술 윤곽선상의 특징점과 시공간적 특징 벡터들을 추출하여 은닉 마르코프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입술독해를 위한 각 특징 벡터별 성능을 비교하였다. 7개의 한국어 각 viseme에 대한 인식 실험 결과에서 입술의 안팎 윤곽선의 정보가 모두 반영된 특징 벡터가 입술독해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윤곽선 상의 특징점들의 시간적 움직임 크기와 방향이 입술독해를 위하여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defines the visual basic speech units, visemes and investigates various visual features of a lip for the effective Korean lipreading. First, we analyzed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vowels from the database of the lip image sequences obtained from the multi-speakers, thereby giving a definition of seven Korean vowel visemes. Various spatio-temporal features of a lip are extracted from the feature points located on both inner and outer lip contours of image sequences and their classification performances are evaluated by using a hidden Markov model based classifier for effective lipreading.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recognizing the Korean visemes have demonstrated that the feature victor containing the information of inner and outer lip contours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lipreading and also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movement of a lip feature point over time is quite useful for Korean lipreading.

      • KCI등재후보

        한국 영화 속 괴물 서사의 변모 양상 − 전통적 귀신관과의 영향 관계 및 변화를 중심으로 −

        오현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9 동방문화와 사상 Vol.7 No.-

        This paper examined the foundations of the formation of the Korean monster narrative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raditional ghosts and novel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t that time, Confucian scholars did not see ghosts as transcendent and divine beings. They tried to strengthen virtue, such as rituals of ancestors through ghosts, The ghosts of the Confucian scholars who emphasized moral ethics in the real world have a profound effect on ghost tales and ghost stories. The major ghost nove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Story of Janghwa and Hongnyeon> and ‘Arang Style Legends’ are based on 'Revenge and Hewon(解寃)' of female ghosts. They were ghosted by the excessive oppression of patriarchy. But in Hewon(解寃)'s course, they maintain the temporal Confucian order of feudalism. The horror narrative of horror movies, which began to be produced in earnest since the 1960s, is in line with the traditions of original tales, such as <Story of Janghwa and Hongnyeon>, and ‘Arang Style Legends’.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onster narrative based on 'Revenge and Hewon (解寃)', started changing rapidly after the IMF. After the IMF, monster narratives are rather shaped as being violent, disturbing, or disrupting patriarchal order. This change in monster narrative since 2000 shows the collapse of a long-standing patriarchal order. 이 글은 조선 후기 성리학적 유교 전통의 귀신관과 괴기담 소설과의 연관성을 통해, 한국 괴물 서사의 형성 기반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영화 속 괴물 서사와 전통적 귀신관과의 영향 관계 분석을 통해, 2000년 이후 괴물 서사의 변모 양상을 살펴 보고 있다. 조선 후기 성리학자들의 귀신관은 귀신을 ‘초월적이고 신이한 존재’로 파악하기보다는, 조상신에 대한 제사의례의 하나로 ‘귀’와의 교감 행위를 통해 현실에서의 도덕의식을 강화하려 했다. 현실에서의 도덕 윤리를 강조했던 성리학적 귀신관은 이후 귀신 설화나 괴기담 소설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조선 후기 대표적 괴기담 소설이라 할 수 있는 <장화홍련전>과 아랑형 전설은 ‘여귀의 복수담과 해원’을 주된 서사 구조로 한다. 그들은 가부장제의 과잉 억압에 의해 원귀가 되었지만, 해원 과정에서 현세의 유교적인 봉건 질서를 추수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당시 귀신관에 내재 된 성리학적 유교 윤리가 적용된 결과다. 196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한 한국 공포영화 속 괴물 서사는 조선 후기 <장화홍련전>이나 아랑형 전설과 같은 원귀 설화의 전통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그러나 유교적 가부장제에 기반한 여귀의 복수담과 해원이라는 한국 괴물 서사 구조는 사회가 급변함에 따라 변화하기 시작한다. 과거 영화 속 괴물이 가부장제의 억압에 의해 귀환한 타자였다면, IMF 이후 괴물 서사는 오히려 가부장제의 질서를 위반하거나, 교란 혹은 와해시키는 존재로 출몰한다. 2000년 이후 괴물 서사의 이러한 변화는 오랜 기간 전통적 가치관으로 자리 잡아 온 가부장제의 질서가 흔들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영화 속 괴물 서사가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함께 변화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 멜로드라마에 반영된 ‘남성성’ 변화 양상 연구

        오현화 한국문예창작학회 2019 한국문예창작 Vol.18 No.3

        This paper analyzes the traditional ‘masculinity’ representation of male characters in Korean melodrama. As a result, he has been studying the change of masculinity of male characters in melodrama since 2000. In addition, I will study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 with society reflected in the melodrama. According to R. W. Connell, the ‘masculinity’ image of the society in which the media is reproduced reflects the hegemonic masculinity,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society and women. The early Korean melodrama inherits and reproduces traditional masculinity through a patriarchal male character with an immoral moral against the obedient female characters. This reflects the Confucian patriarchy of Korean society. The traditional masculinity of male characters in Korean melodrama has weakened since the 1990s, but still maintains patriarchal status as a home economist. However, since the 2000s, Korean society has rapidly declined in patriarchal masculinity and rapidly changed into a consumer society. These changes have changed the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characters in melodramas. In the past, the woman who was the target of consumption changed into the subject of consumption. As a result, men became targets for consumption. The desireful female subject has targeted masculinity. As the men have done in the past, female characters began to desire and consume men. This tendency appears in older melodies and younger male characters in melodramas. The female character shows a storytelling structure that heals male characters with trauma. This characteristic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character of the male and female characters of the melodrama in the past. Currently, male and female characters in the melodrama are changing from vertical relationship to horizontal equalization. 이 글은 한국 멜로드라마 속 남성캐릭터의 전통적 ‘남성성’ 재현 양상을기반으로, 2000년 이후 남성캐릭터의 ‘남성성’ 재현 양상 변화와 그 의미를살펴보고 있다. 코넬에 의하면 미디어가 재현하는 그 사회 혹은 시대의 ‘남성성’ 이미지는 그 사회 및 여성성과 직・간접적인 관련을 맺으며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재현한다고 한다. 한국 멜로드라마 속 남성캐릭터 역시 사회와그 시대의 여성성과 견주어 관계적 관점에서 ‘남성성’이 변화하고 있음을알 수 있다. 초기 한국 멜로드라마는 순종적 여성캐릭터와 대비시켜 부도덕한 성 모럴을 지닌 가부장적 남성캐릭터를 통해 전통적 남성성을 계승・재현하고 있다. 이는 오랜 기간 축적되어 온 유교적 가부장제에 기반한 통념을 반영한 결과이다. 이러한 멜로드라마 속 전통적 남성성은 90년대 이후약화되었지만, 여전히 가정 경제 주체로서의 가부장적 남성성을 유지하면서 열애의 주체로 거듭난다. 그러나 2000년 이후 가부장적 남성성의 쇠퇴, 소비사회로의 급격한 변화등으로 인해 멜로드라마 속 남녀 관계는 재편되기 시작한다. 이제껏 소비의대상이었던 여성이 소비의 주체로 자리매김하면서 남성 역시 소비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덧붙여 연상연하 모티프로 구조화되는 결함과결핍을 지닌 남성캐릭터와 그들을 치유하는 여성캐릭터의 등장 등은 전대와는 다른 멜로드라마의 지형학을 보여준다. 이는 오랫동안 멜로드라마의남성캐릭터에 영향을 끼쳤던 남성 상위의 가부장적 ‘남성성’이 2000년 이후 사회구조의 변화에 의해 변모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