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의 흥정 에이전트

        오현주(Hyunju Oh),김대인(Daein Kim),황부현(Buhyun Hwang)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Ⅱ

        웹 기술에 기반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상품 판매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거래 분야의 새로운 전략적 도구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쇼핑몰에서 제시한 일방적인 상품 정보와 가격에 따라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상거래를 위해서는 서로간의 요구 조건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판매자와 구매자가 서로 흥정함으로써 양측의 요구조건을 반영할 수 있는 에이전트를 이용한 흥정 시스템 모델과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흥정 알고리즘을 통하여 구매자는 보다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구매할 수 있고, 판매자는 많은 고객의 확보와 상품 판매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해석적 모델을 이용하여 제안하는 흥정 쇼핑몰 시스템의 효율성을 보인다.

      • KCI등재

        메타분석을 통한 메이커 교육의 효과 분석: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을 중심으로

        오현주 ( Hyunju Oh ),박인우 ( Innwoo Park ),최고은 ( Koun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적용하여 핵심 역량 중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중심으로 메이커 교육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2020년 11월까지 국내에 발표된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 기준에 부합하는 22편의 연구 논문을 선정하고 26개의 효과크기를 추출하여 메이커 교육이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또한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대한 효과크기의 이질성의 원인을 탐색하고자 연구 대상, 정규 수업 여부, 융합 수업 여부, 수업 별 인원 수, 수업 차시를 조절 변인으로 하여 하위그룹분석 및 메타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커교육의 효과크기는 0.66으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창의성의 전체 효과크기는 0.64, 문제해결력의 전체 효과크기는 0.68으로 두 종속변인 모두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둘째, 문제해결력의 조절 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러 교과목을 연계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보다 단일 교과 형태로 수업을 진행했을 때 문제해결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창의성의 조절 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 대상의 학교급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학생, 초등학생, 중ㆍ고등학생 순서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메이커 교육의 효과를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측면에서 규명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aker education for K-12 and college-level students, focusing on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For this meta-analysis empirical studies on maker education conducted from 2016 to November 2020 were reviewed.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a total of twenty two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out of the 22 studies, 26 effect sizes were extracted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estimates. Sub-group analyses and meta-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recognize the causes of heterogeneity on the effect size of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maker education on student competencies was 0.66-specifically on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the estimates were 0.64 and 0.68 respectively, which indicate large effect sizes. Second, as the result of the moderator effect of subgroups such as the subject type of a class(single subject vs. converge subjects) on problem-solving, convergence class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ffect size than single classes. Third, another moderator, school level of participating studen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ffect size of creativity; the result showed higher effect size at the group of college-level students, follow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se results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maker education on student competencies such as problem-solving and crea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maker education programs and future studies.

      • KCI등재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의 브랜드스케이프에 관한 연구

        오현주 ( Hyunju Oh ),이재규 ( Jae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디지털 시대의 쇼핑 트렌드가 옴니 채널의 영향으로 기존의 오프라인 공간은 다양한 모습으로 공간의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아웃도어 매장 공간은 브랜드를 직접적으로 경험 할 수 있는 환경을 제안하고 소비자에게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경향으로 발전되고 있고 일관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브랜드스케이프 공간 구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에서 공간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브랜드스케이프 구축을 위한 표현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스케이프와 라이프스타일 숍에 대해 이론적으로 개념을 정립하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브랜드스케이프의 구성 요소와 라이프스타일 숍의 특성을 8가지 키워드로 추출하여 이를 토대로 사례 분석을 위한 매트릭스의 틀로 사용했다. 사례 분석 대상으로는 차별화 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국내외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을 대상으로 사례연구에 적용하여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에서의 공간 특성과 표현요소에 대해 연구했다. (결과)위 요소들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각 브랜드마다 추구하는 가치와 공간적 환경, 제품은 다르지만 공간을 통해 라이프스타일 제안을 전제로 하며 다양한 제품과 프로그램, 전문적인 서비스를 통해 경쟁 브랜드와의 차별화를 추구한다.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에서의 브랜드스케이프 구축을 위한 특성을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매장의 공간적 환경은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기 때문에 명확한 콘셉트를 세우고 그에 맞는 공간 디자인 구성이 요구 된다. 둘째, 다양하고 전문적인 제품 구성으로 아웃도어에 특화된 매장과 체험형 공간, 카페와 편의시설 등 다양한 복합 문화 공간 형태로 구성 되어야 한다. 셋째,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을 방문하는 소비자들에게 공간에서의 색다른 체험과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넷째,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로 편안한 휴식을 제공하고 가치 공간으로 고객 공감을 얻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결론)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은 디자인만으로 차별화 된 공간이 아닌, 소비자가 즐길 수 있는 문화 공간으로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 내고 소비자에게 감성과 경험을 확장 시켜주는 공간 구성과 프로그램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해아 한다. 본 연구는 브랜드만의 명확한 콘셉트와 아이덴티티를 확립하기 위한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의 공간 환경에서 브랜드스케이프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브랜드스케이프를 적용한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의 공간 환경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향후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숍 디자인에 있어 새로운 접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Background & Objective)The shopping trend in digital era is the expansion of traditional off-line spaces into a variety of aspects owing to omni-channel shopping. Toward this trend, outdoor clothing stores have been developing by allowing their customers to experience the brand directly while proposing a lifestyle, thereby demanding for brandscapes to establish a coherent brand identity and enhance its valu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features of building brandscapes that enhance a brand image through an outdoor lifestyle shop. (Methods)This study establishes a theoretical concept of brandscapes and lifestyle shops, by using eight extracted characteristic keywords from preceding studies of brandscapes components and aspects of lifestyle shop, as a matrix frame for case analysis. Outdoor lifestyle shop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at propose a differentiated lifestyle are selected as the focus of this research; in particular, this study looks in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aterials of an outdoor lifestyle shop. (Results)This study found that each brand seeks differentiation against its rival brands through various products and programs or professional servic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t suggests a lifestyle in a space in which different products and spatial circumstances exist. Four features were found to establish brandscapes of an outdoor lifestyle shop. First, a clear and a definite concept as well as an appropriate and a suiting spatial design are required, as the spatial atmosphere of a shop creates a general image of an outdoor lifestyle shop. Second, the shop should form a complex cultural space composed of various and professional outdoor products, in which customers can experience the products personally while relaxing with coffee and using the store`s other amenities. Third, the shop should be able to offer unconventional experiences to customers. Lastly, the place must gain the sympathy of customers as a space for value, by providing a comforting, relaxing, and eco-friendly image. (Conclusions)Outdoor lifestyle shops should be able to propose a lifestyle to customer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pace and programs, espousing customers` sensitivity and inducing their positive reaction toward the place as a cultural place in which they can enjoy. This study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randscapes of outdoor lifestyle shop`s spatial atmosphere in an attempt to constitute clear and distinctive brand concept and identity. By utilizing the unique spatial aspects of outdoor lifestyle shops, and then applied to brandscap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new direction to future approach on prospective design for outdoor lifestyle shops.

      • KCI등재

        라이선스 뮤지컬 변용의 맥락과 그 의미 : 뮤지컬 〈삼총사〉를 중심으로

        오현주(Hyunju Oh),하효숙(Hyosook Ha)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5 No.2

        본 연구에서는 해외 라이선스 뮤지컬이 어떤 과정을 거쳐 한국 뮤지컬 시장을 반영한 콘텐츠로 변화하게 되는지를 분석하고 뮤지컬 제작사의 일방향적인 기획이 아닌 수용자 및 배우와 상호작용하는 지점에 대해 검토한다. 상업적인 분야로서 일컬어지는 뮤지컬이지만 현대 문화산업과 자본주의에 속하는 다양한 행위자가 참여하고 있는 영역인 만큼 그 안에서 만들어지는 텍스트가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기호와 관계들은 매우 복잡하게 얽혀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라이선스 뮤지컬의 로컬화라는 의미가 단순히 배우나 언어가 한국적인 것을 가리키는 것에서 진화하여 뮤지컬을 실행시키는 주체로서의 배우, 그리고 그들과 한국의 관객을 위해 텍스트가 미세하게 조정되는 결정에 이르기까지 한국화에 해당되는 모든 요소를 가리키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 사례로 라이선스 뮤지컬로서 10주년 공연을 한 〈삼총사〉를 선택하였다. 뮤지컬 〈삼총사〉는 관객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스펙터클화 된 엔터테인먼트물로 변형되고, 그것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배우와 캐릭터들 또한 미세하게 어떻게 조정되었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그것은 일방적인 생산자의 선택이 아닌 뮤지컬의 산업화라는 맥락 속에서 한국 관객의 취향을 고려하고 배우의 욕망에 의해 탄생한 상호작용의 결과물로 해석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foreign licensed musicals are transformed into contents that reflect the Korean musical market. It examines the point of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and actors, not the one-way planning of the musical production company. In this paper, the localization of licensed musicals is considered as a process in which text is finely adjusted for actors as the actors who perform musicals, and Korean audiences, from simply pointing out that the actor or language is Korean. As an example, in this study, 〈The Three Musketeers〉 who performed the 10th anniversary performance were selected. The musical 〈The Three Musketeers〉 was transformed into a spectacleized entertainment piece in the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Also, we found that this work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tastes of Korean audiences in the context of the industrialization of musicals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interactions created by actors’ desire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musicals should take into account that active audiences’ cultural consumption methods and emotional exchanges are a important basis.

      • KCI등재후보

        Effects of Cervical Joint Mobilization on the Forward Head Posture and Neck Disability Indexes

        오현주(Hyunju Oh),황병준(Byeongjun Hwang),최유림(Yoorim Choi) 한국방사선학회 2014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8 No.2

        경추관절의 부정렬로 인한 두부전방자세를 가진 대상자에게 관절가동술을 적용 후 경추관절의 자세변화와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자들은 경상북도 G대학 학생 39명 중 경부관절가동술그룹 20명, 가동술을 적용하지 않은 그룹 19명을 나누어서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들은 방사선 사진 촬영을 한 후 그 중 경추전만각(cervical lordosis angle)이 21°이하이고, 머리의 전방무게부하(anterior weight bearing, AWB)가 15㎜이상이며, 경추 신전 관절가동범위(extension ROM)가 70° 이하인 대학생을 선별하여 자발적 동의를 구하였다, Mulligan 기법(1995) 중 SNAGS로 경추 신전과 굴곡 운동을 주당 3회, 4주간 통증이 있는 관절을 치료사가 지속적인 종속활주운동(sustained accessory glide)을 적용하는 동안 환자가 능동적으로 관절운동을 각 회마다 천천히 8회 정도 적용하였다. 측정 방법은 방사선 검사와 경부장애지수를 통해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두부전방자세 대상자에게 경부관절가동술 적용 후 경부관절가동술군에서 경부의 AWB와 ARA, 굴곡신전범위 변화, NDI에 대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관절가동술 적용이 경부관절의 자세개선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두경부의 기능개선에서도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tries to examine whether the application of joint mobilization to subjects who have the forward head posture due to malalignment in the cervical joint has influence on posture changes and functions in the cervical joint. The subjects were 39 students from G University in Gyeongsangbuk-do. The cervical joint mobilization was applied to 20 subjects and not to 19. The students with a cervical lordosis angle of 21° or less, an anterior weight bearing (AWB) of 15mm or greater, and a cervical extension ROM of 70° or less in terms of radiography were selected as subjects under their voluntary agreement. The patients actively performed the joint mobilization slowly 8 times per session while therapists continuously applied sustained accessory glide to their painful joints 3 times per week for 4 weeks along with the cervical expansion and flexion in SNAGS among other Mulligan’s (1995) techniques.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in terms of radiographic inspection and neck disability indexe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turned out that the subjects with the forward head posture had changes in the cervical AWB and ARA, the ranges of expansion and flexion, and the NDI(Neck Disability Index) after the interven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by applying cervical joint mobilization. There were no changes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joint mobilization turned out to ha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cervical joint postures, and craniocervical region functions.

      • KCI등재

        포항형 지진파에 의한 지반증폭 특성에 따른 세종시 부지구역화에 관한 연구

        오현주(HyunJu Oh),이준성(JunSung Lee),박형춘(Hyung Choon Park)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6

        지진발생 시 지반의 거동은 지진파의 특성(파형)과 토층의 상태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를 고려하기 위해 국내·외 내진설계 기준에서 지반응답해석에 사용될 입력지진파는 설계응답스펙트럼에 상응하면서 해당 단층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기반암 위치에서 계측된 포항 지진파를 수정·생성한 설계지진파를 이용하여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세종시 120개 지반조사 위치에서 포항형 지진파에 대한 세종시의 지표면최대가속도, 지반증폭비 그리고 고유주기에 대한 위험도지도 작성을 통해 지진발생 시 상대적으로 큰 지진하중을 경험할 수 있는 개략적 건물 층수 지도를 결정하였으며, 연구로부터 결정된 위험도지도를 통해 지진발생 시 구조물에 가해지는 지진재해 정도를 미리 파악하여 건축물 점검 우선순위 또는 내진보강 우선순위를 선정함으로서 지진피해를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 behavior of the ground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eismic wave characteristics (waveform) and soil layer conditions. In local and international seismic design standards, it is recommended that the input seismic wave should correspond to the design response spectrum and reflect the fault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ground response analysis was performed to satisfy the seismic design standards using modified design seismic waves generated by the Pohang seismic waves measured at the bedrock location. The peak ground acceleration, ground amplification ratio, and natural period of Sejong-si for Pohang-type seismic waves were determined using the Sejong-si 120 site exploration results. From a plotted risk map, a map of floors that could experience relatively large seismic loads during an earthquake was determined. Based on the risk map plott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earthquake damage in advance by identifying the degree of seismic damage to a structure when an earthquake occurs and selecting the building inspection or seismic reinforcement priority.

      • 색상 히스토그램과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을 활용한 장면 전환 검출 방법

        오현주 ( Hyunju Oh ),고완진 ( Wanjin Ko ),박지용 ( Jiyong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0 No.2

        장면 전환 검출에서 단일 특성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 가능한 정확도 감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색상 히스토그램 분포 차 분석과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을 활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 SURF 기반의 장면 전환 검출 방법

        오현주 ( Hyunju Oh ),박지용 ( Jiyong Park ),홍석민 ( Seokmin Hong ),강현민 ( Hyunmin K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2

        장면 전환 검출을 위해 히스토그램 등 단일 특성만 고려할 경우 움직임이 많은 영상과 조명의 변화가 다양하거나 단조로운 색상으로의 장면 전환이 일어나는 영상에 검출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프레임 간 색상 히스토그램을 비교 후, SURF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