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中期 學術振興과 鶴山書院

        오항녕(OH, Hang-Nyeo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3 인천학연구 Vol.2 No.1

        I have tried to stud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onfucian private academy(Suwon 書院) movement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and the procedure of the establishment of Hak-San Suwon and the encouragement of education in Incheon County. I have traced the communication of Hak-San Suwon with the other Suwon of capital region as well. Neo-Confucianism was a thought that emphasized the education, which aimed at comprehending the world and cultivating human personality. Therefore, it was natural to build the public academy and to discipline the young people at the beginning of Chosun Dynasty. The confucian private academy surpassed the function of the public academy in the middle of 16th century when the literati accomplished their academic identity and formed political parties. The activ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Suwon meaned the reflection of this dynamism in the literati society. This trend that the literati got together with in same academic legitimacy arranged about the Hyojong and Hyonjong Reign. As its side effect, the excessive establishments of Suwon became a hot issue and the government prohibited the excessive establishments of Suwon with the strict restrain. Hak-San Suwon was built in this process. To build the shrine of Lee Dan-Sang who was once a ruler of Incheon County and endeavored to educate the people in this region at that time, and, foremost, to develop their own education environment, the people tried to reconstruct public academy and establish a Suwon for their own sake. I think Hak-San Suwon belonged to Western-Party(Old-Party). The scholars they communicated with were members of Western-Party(Old-Party). In deficiency of primary resources of Hak-San Suwon, I have used some side-evidences such as the tendency of establishments of Suwon in capital region, the population of Incheon County, and Roads of transportation and traffic of the period. I expect they will be bases of further studies being able to find multi-layers perspectives. Hak-San Suwon was established late comparatively, because Incheon County was located at the corner of west coast. As a matter of fact, the main roads of transportation and traffic in the nation was far from Incheon County. Moreover, the population of Incheon County were smaller than any other counties. I conclude temporarily that these deficiencies were the reason why the literati of Incheon County tried to weave their relation to Lee Family who was a member of the main stream of Old-Party.

      • KCI우수등재

        《宣祖實錄》 修正攷

        吳恒寧(Oh Hang-Nyeong) 한국사연구회 2003 한국사연구 Vol.123 No.-

        I have tried to explain the revision of the Seonjo Veritable Records(SVR) as a whole in three chapters: the revision procedure and debates, the format and references of Revised Version, and revised articles. In chapter I, I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the compilation, of contemporary records and political situation, especially Injo-banjeong (仁祖反正 the In-jo Restoraton), and the scope and committee of the work and the work-process itself through 40 years-enterprise. Next, I think the reason why both the original SVR and the revised SVR remained, so to speak, the original SVR was not disposed after the revision, was that the model of the revision was the Red-Black History (朱墨史), which corrected the distorted records of the Emperor Cheol-jong Reign in Chinese Sung Dynasty by using red ink in revising on the one hand and black ink in rewriting the original on the other. In addition to save the production cost, this pragmatic convenience implicated a fair and objective accession of records by which descendants or anyone else would judge the truth between the two records remained. Furthermore, I examined the references and the introductory remarks that Yi Sik (李植) who was a leader of this work outlined. At last,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s being revised and supplemented, In doing so, I found a lot of articles about the Dong-Seo Party Division (東西分黨), the Gi-Chuk Trial (己丑獄死), and the activities of Loyal Troops (義兵) during Im-Jin Japanese Invasion were supplemented and a lot of comments of diarists on persons Dae-Buk Party heaped abuses on were revised in the revised SVR. I think the revision of SVR meaned the correction of the fact, first of all, the Second meaning of the work was the reflection of the dynamics that promoted the concentration of the academically oriented parties at that time. The revision of SVR enhanced each who consented on the work or engaged in the work their own identity in the course of revision.

      • KCI등재

        『현종실록』의 편찬과 개수(改修) : 시정기찬수범례(時政記纂修凡例)를 통한 비교

        오항녕(Oh, Hang-Nyeong)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9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두 번째 있었던 실록의 수정(개수)였던 『현종실록』의 개수 과정과 실제 기사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역사적 진실에 접근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인 셈인데, 그 방법은 두 실록이 어떻게 다른지 14개 조항의 시정기찬수범례를 기준으로 삼아 비교해보는 것이었다. 우선, 두 실록 사이에 비교될 수 없거나, 비교의 의미가 없는 경우가 있었다. 12조 산삭(刪削)에 관한 원칙, 10조 과거 급제자에 대한 기록은 『현종실록』(원본)이나 『현종개수실록』(개수본) 사이에 특이사항은 없었다. 5조 재해 기록은 둘 다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9조 인사기록은 『승정원일기』가 화재를 당하여 불확실하기 때문에 판단을 내리기 어려우나 개수본이 좀 더 상세한 경향을 띤다. 11조 군병, 호구에 대해서는, 훈련도감의 군병 수 등에서 전체적으로 개수본이 상세하지만 큰 의미가 있는 차이는 아니다. 찬수범례 6조, 7조 논계는 원본과 개수본에서 다 잘 지켜졌다. 경향으로만 보면 개수본 쪽이 찬수범례에 합당한 경우가 많았다. 아무래도 나중에 편찬한 실록이니만큼 앞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한다. 둘째, 원본에 비해 개수본이 상대적으로 나아진 경우를 들 수 있다. 2조 중국의 조칙은 원본에는 없는 기록을 개수본에서 수록한 경우가 있다. 13조 국가의 전례나 의례 기록의 경우 개수본이 대체로 갖추어 수록하였다. 또 개수본에 빠진 것이 원본에는 있는 경우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원본과 개수본 중 개수본 쪽이 좀 더 충실한 편이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셋째, 원본보다 개수본이 실록편찬 범례에 비추어 개선된 경우도 있다. 개수본에는 원본에 실린 기사의 날짜를 수정한 사례가 적지 않게 발견된다. 3조 졸기의 경우, 개수본에는 신하의 졸기 중 빠진 부분을 보충한 기사가 여럿 보인다. 예를 들면 신익전, 오준, 윤순지, 송준길, 이민적의 졸기가 『현종실록』에는 누락되었는데, 고의 누락이든 편찬의 실수든 실록편찬으로 볼 때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현종실록』이 22권인데 비해 『현종개수실록』은 28권으로, 분량으로 보아 6권이 늘어났다. 이는 약 1/4이 늘어난 셈인데, 그 늘어난 분량 중 상당한 부분이 바로 개수본에서 원본에 빠진 상소나 차자를 수록하였기 때문이다. 첫째, 원본에 내용이 실려 있지만 개수본에서 상소 중 더 많은 내용을 추가하였기 때문이고, 둘째, 원본에 상소 사실만 기록되어 있거나 아예 상소 사실 자체가 기록되지 않은 기사에 대해, 상소 내용을 보완하거나 상소 사실과 내용을 보완한 경우이다. 14조 경외의 관리들에 대한 출척이나 시비의 경우도 차이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분량보다 평가 자체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I studied the revision of the Veritable Records of Hyeonjong(VRH) as a whole in two chapters ; 1) the revision procedure and debates, 2) the comparison of the main revised articles The reason why both the original VRH and the revised VRH remained was that the revisors took the model of the revision from the Red-Black History (朱墨史), which corrected the distorted records of the Emperor Cheol-jong Reign in Chinese Sung Dynasty by using red ink in revising on the one hand and black ink in rewriting the original on the other. This tradition was settled of the course of the revision of Veritable Records of Seonjo in Joseon. In chapter Ⅰ, I traced the argument around the revision of the VRH. As the reign of King Sookjong, the Northern Party had the good position in the court and leaded the compilation. However some politicians suggested the revision of the VRH they considered as a distorted or incomplete history after Kyeongsin Change (庚申換局). The comparison of the two VRH was examined one article by one according to the Rules of Compilation(RC). the RC was the continuous criteria in the VR compilation till the early 19C. Among 14 categories of the RC, 12th/10th/5th/9th/11th categories were meaningless in comparison. And 6th/7th/2nd/13th categories were more ellaborated in the revised VRH. The most significant aspects if the revision were appeared on the 3rd/14th categories that dealt with Sangsos and Comments.

      • KCI등재후보

        조선초기 治平要覽 편찬배경과 성격

        오항녕(Oh, Hang-Nyeong) 한국사학사학회 2006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13

        I studied the character of the compilation of the Abridged Version for Fair Governance(AVG) in early Josun dynasty in view of the intellectual history. At first, I surveyed the procedure of the compilation and analyzed its introductory remarks, contents and citing books. AVG comprized the wide period from the era of Spring and Autumn to Yin dynasty in China and the history of Koryo dynasty. AVG reflected the evolution of history, for example, the Comprehensive Mirror for Aid in Governance(資治通鑑), the Mirror of Tang Dynasty(唐鑑), the Reading History with Poor Intellect(讀史管見), the Abridged Essential of Comprehensive Mirror for Aid in Governance(資治通鑑綱目), since Neo-Confucianism developed in Sung dynasty which emphasized the Classic-History as the Essence-Change(經史體用) as a methodology of the self cultivation as well as academic discipline. In addition to this, King Sejong's plan for the national compilation projects made it possible to accomplish AVG. The Commentary of the Thinking Politic Palace, a three-years project to footnote two classical history books, the Comprehensive Mirror for Aid in Governance and the Abridged Essentialof Comprehensive Mirror for Aid in Governance, gave a good chance to the scholastic bureaucra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each history and to discipline the know-how of the compilation. Furthermore, the long argument on the issues around the Koryosa, the History of Koryo dynasty, also elaborated the knowledge of history. AVG's affect o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early Josun might be traced in two directions. First, after AVG was accomplished, King Sejong started to compile the valuable History of the Dynasty(國朝寶鑑) which could be referred at any time in comparison to the secretness of Annals. Some scholastic bureaucrats studied the sage-learning more deeply and made new text on it, the Abridged commentary on the Great-learning(大學衍義輯略). Second, after the literati governance was prevailed, many scholars seem to study AVG. I presented a case of Yi Hwang, one of the greatest scholar of Josun dynasty. Nevertheless there remain some tasks to overcome in comprehending AVG. This thesis is just a introductory one on AVG. We have to develope the methode of text critic and analysis the book of vast amount such as AVG.

      • KCI등재

        史通의 구조와 역사비평

        오항녕(Oh Hang-nyeong)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2 泰東古典硏究 Vol.29 No.-

        본고에서는 세 측면에서 사통(史通)에 접근하였다. 첫째, 사통의 탄생과 실록 편찬이라는 사학사적 관점이었다. 둘째, 사통의 구조에 대한 논의 였다. 셋째, 사통에서 제시한 역사서술의 원칙과 기준, 그리고 사료 및 역사서 비평을 살펴보았다.관료제의 발달로 문서 생산이 많아지면서 새롭게 등장한 실록(實錄) 편찬은 사관의 임용과 관청(官廳) 자체에 변화를 가져왔다. 유지기가 볼 때 자격미 달의 사관이 임용되고, 집단 편찬은 비밀 보장을 어렵게 했으며, 무원칙한 편찬 지침이 난무하였다. 유지기는 이런 현실을 보고 사통 저술을 시작했다. 어떤 면에서 보면 실록 편찬이라는 사건은 유지기가 보기에 퇴행이라고밖에볼 수 없는 비극적 상황이었다. 그 문제의식이 ‘역사학개론’인 사통을 탄생 시켰고, 유지기가 실록 편찬에서 우려했던 문제점은 후일 조선시대 실록을 편찬하는 과정에서 극복되었다. 본고에서는 사통 내편의 구조를 6범주로 나누었다. 범주①은 역사서의 연원과 종류이다. 범주②는 기전체의 구조이다. 범주③은 그 구조를 에워싸고 역사가가 선택하고 구성하는 역사서의 양식(Style)에 대한 논의이다. 범주④ 는 역사서술의 방법과, 기준, 원칙에 대한 논의이다. 범주④ 안에서도 두 부분 으로 나뉘는 것으로 보았는데, 유지기가 말한 삼장지재(三長之才) 중 학(學)과 식(識)에 상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범주⑤는 역사가의 자격, 범주⑥은 집필 동기이다. 사통 외편은 이러한 사통 내편 구조의 보론(補論)이자 구체적인 사례와 실습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통은 유지기의 역사론이고 역사비평이었다. 그리고 그의 역사비평론은 사통의 구조와 상응하여 전개되고 있었고, 본고의 서술도 그 흐름에 따라서 살펴보았다. 첫째, 역사서술 비평. 둘째, 역사가의 양식. 셋째, 역사비평의 실제가 그것이다. 실습 부분인 「점번」 편에서는 직접 빼야할 글자와 넣어야할 글자까지 표시하며 논의를 전개하고 있어서, 마치 학생들에게 첨삭을 해주는 듯한 스승 유지기의 모습을 떠올릴 수 있었다. 사통이 저술된 시기에는 주로 정부 관원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고, 사관의 사유는 국가를 중심으로 움직였다. 그래서 유지기는 국사(國史)의 권위를 우선시했다. 그러나 그럴 때조차도 국가보다 언제나 인간 문명의 전달자로서의 역사가인 그에게 상위개념이었다. 이 점이 지금까지 그의 사통이 역사학의 보편적 질문에 대답해줄 수 있는 이유이다. In this essay I tried to understand Shitong 史通, which was the introduction to history in the world, under three aspects. First, in view of the birth of the authentic record(實錄) in early Tang Dynasty and the Shitong, second, the Structure of Shitong, and third, the principle and essence of historiography and critic suggested in Shitong. With the development of bureaucracy, the record of administration was producted massively. So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standing organization for the compil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record. Liu zhi-ji(661~721) regarded the authentic record compilation as the retrogress of authenticity of historical materials. Because of the group compilation of the authentic record, it was impossible to guarantee the confidentiality of the record and the integrity of the guideline of work. This was a main reason why Liu zhi-ji wrote his book, Shitong. Shitong consisted in two parts, the inner part(內篇) and the outer part(外篇). I analyzed the inner part with six categories. ① the origin and the kind of histories, ② the structure of period-biography histories(紀傳體), ③ the style of history, ④ the method and principle of historiography, ⑤ the qualification of historians, ⑥ the motive of his writing. The outer part of Shitong was the supplementation and practice of the inner par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Shitong, I studied the theory of critic and historiography of Liu zhi-ji. The Shitong was written in the age when the historians were the officials of the dynasty, so Liu zhi-ji emphasized the roll and responsibility of the court-historians. However, even though he mentioned the national history, his national history was different from the national history in modern meaning of the nation-state. Rather, the national history meaned the national archives for him. This view of history based on the notion that history continue as the transfer of civilization beyond the dynasty. And this is why I recall the Shitong to answer the question of history in general.

      • KCI등재

        기축옥사의 비극적 사건과 기억들

        오항녕(Oh, Hang-Nyeong) 한국인물사연구회 2015 한국인물사연구 Vol.23 No.-

        I studied two memories about a tragic accident of Gichuk-trial being made by an illegal trial. There were two memories about one accident! At the trial Yibal was engaged in and his old mother and baby died in the course of the trial. His mother was too old to torture for the confession of crime in law and his son too young. This was the reason to be a hot issue at that time. According to the tragic and illegal character of the accident, the responsibility of the accident became a sensitive problem. As the time flew, two memories conflicted each other. Jung Chul or Ryu Sung-Ryong. The difference of the memory mainly due to the absence of the records of the trials. The Imjin Invasion erased the records of the trial 1589~1592. Second, there was a intentive distortion of the historical material during the Late Sun-jo and the Gwang-Hae Reign. The difference of the memory mainly due to the absence of the records of the trials. The Imjin Invasion erased the records of the trial 1589~1592. Second, there was a intentive distortion of the historical material during the Late Sun-jo and the Gwang-Hae Reign. I concluded that Ryu Sung-Ryong was the Wigwan(Head officer of Trial) at the time of the tragic accident. However, including Jung Chul, Yi San-Hea and Sim Su-Kyeong also were the Chugwan(Officer of Trial) at that time. At this point, I examined a institution of the Dynasty, the Chugukcheong(Office of Trial Processes). All accidents happened on base of their historical conditions. That is the reason why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theory of party-confict.

      • KCI등재후보

        기획논문 : 내상(內傷)과 외상(外傷)을 넘어 -인조시대 대내외 정책-

        오항녕 ( Hang Nyeong Oh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4 한국불교사연구 Vol.4 No.-

        인조대 인식은 광해군대 인식과 짝을 이룬다. 조금씩 사료에 근거하여 역사 현실에 가까운 논문이 제출되고는 있지만 여전히 광해군 중립외교론의 위세는 강하고 그에 따라 두 차례의 호란을 겪은 인조대에 대한 평가는 박하다. 근대주의적 역사관에 의해 계해반정이 부정적으로 인식된 결과가 실은 광해군 재평가, 광해군의 부활이었다. 일제 식민사관론자들이 조선후기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식민지 합병을 합리화하기 위해 광해군을 띄운 것은 우연이 아니라 정확한 논리적 장치였다. 광해군대가 살기 힘들어 반정을 일으켰던 사람들에게는 해결해야할 과제들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선조 이후 해결해야할 민생과 재정, 사회적 문제들이 멈추어 서 있었기 때문이다. 남은 정도가 아니라 지속된 궁궐공사로 악화된 채 방치되었다. 잃어버린 15년의 시간이 남긴 무게는 단순히 지나가버린 데 그치는 것이 아니었다. 실기(失機)의 업보까지 남겨주게 마련이었다. 조선 사회와 인민들은 광해군 15년 동안의 시간을 ‘잃어 버렸다.’ 민생회복, 사회통합, 재정확보, 군비확충, 문화발전 등 어느 하나 제대로 이룬 것이 없이 오히려 그 반대로 흘러갔다. 계해반정 이후 사람들은 다시 삶을 시작하고 있었다. 반정은 그들이 선택한 행위이기도 했지만, 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선택한, 그러므로 선택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숙명이었는지도 모른다. 먼저 광해군 때 백성들에게 부당하게 또는 추가로 부과된 세금을 탕감하였다. 조정 관리들의 녹봉부터 반으로 줄였고, 공물도 삭감하였다. 공신들의 세곡도 줄였다. 중단된 대동법도 다시 시작하였다. 이들은 광해군이 남겨준 나라의 상황을 임진왜란의 충격과 마찬가지 비상사태로 인식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광해군대 잔여세력의 크고 작은 반란이 이어졌다. 인조 5년에는 후금의 침략을 받았다. 단순한 불안한 정세가 아니라 안팎으로 현실적인 위협들에 대처해야했다. 하지만 인조 14년 병자호란과, 이후 청나라의 북경 함락은 동아시아 질서를 뿌리째 흔들었음은 물론 조선에게 변화된 국제환경에 강압적 적응을 요구하였다. 동아시아의 평화의 유지라는 명분과, 문화선진국이자 넓은 땅과 인구를 가진 대국이라는 현실 속에서 조선과 중국은 사대 관계를 맺어왔다. 임진왜란 당시 명이 원군을 보낸 일은 명분과 현실 모두 강화하였다. 이것이 재조지은(再造之恩)으로 인식되었다. 동시에 척화의리는 앞서 홍익한이 천자로 칭하려는 청의 의도와 조선의 입장에 대한 견해를 명료히 표현한 데서 확인하였듯이 조선의 자주성에 대한 침해를 거부하는 논리였다. 그러므로 소중화라는 문화적 자부심에 기초한 사대 외교는 당시의 국제질서에 대한 주체적 대응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기에는 조선의 군사체계가 재편되는 때였다.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방군수포(防軍收布)로 표현되듯이 조선전기 병농일치체제에서 납포군화하는 추세와 함께 후금의 직접적인 국방상의 위협으로 인해 인조반정 이후 군정 개혁과 대안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전래의 호패법을 강화할 것을 주장하는 견해가 제시되기도 하였고, 낙강 유생의 군역 충정이나 포의 징수, 사족에게도 군역을 지우는 호포제가 제기되기도 하였다. 김장생 등의 문제제기는 균역(均役)을 통해서만이 군역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제기에 대한 대안은 군역 불균 해소와 재원 충당 방법으로 효종대 이후 전개된 호포론(戶布論)에서 수렴되었다. Because of the historical modernism, the colonialistic approach prevailed in the study on the period of KwangHea-Injo since 1930`s, which was contrasted with the view of Joseon period. Especially the two war, Qing China invasions acctually, reinforced the negative valuation to the Injo period and his politicians. However, the colonialists` overestimation of KwangHea`s foreign policy and domestic care was the clever and distorted project for the rationalization of military annexation of Japan. Injo-revolution was occurred enevitablely for the financial collapse of KwangHea Regime. He only concerned with the palace construction all the time in his reign. Therefore the social and political problems to overcome the aftereffects of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remained in the aggravation. After Injo-revolution, Injo and his subjects cancellated the people`s tax forced bt the KwangHea. They reduced the salaries of the civil servants and the tributes. The year-prize of the vassal of merit was delayed for three-year. At the same time, the reformation of tax system started again. But the residues of KwangHea rebelled from time to time and Qing China invaded twice in decade. Joseon Dynasty faced the new situation and had to reform the traditional foreign policy.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pride and the defeat demanded them to endure the insupportable change for a long time. There was a new policy in military service system after Injo-revolution. The idea of equal military service was suggested by some progressive intellectuals. They insisted the imposition of military service to Yang-ban in the form of cotton cloth. Inspite of the slow step of the reforms, the vision of the future was comparatively optimistic.

      • KCI우수등재

        당대사 실록을 둘러싼 긴장, 규율, 그리고 지평

        吳恒寧(Oh Hang-nyeong) 역사학회 2010 역사학보 Vol.0 No.20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wisdom and instruction of the Sillok, the Veritable Records(VR), which was the comtemporary history in the traditional East Asia, especially in Joseon Dynasty. The VR was'a national history' arranging and preserving public records (the first useful-ness), and transmitting them to descendants in the future(the second usefulness). And the VR was also a product of the development of the bureaucracy at the its turning point of Tang China. The recording or compilation of the comtemporary history sometimes leaded to conflicts for the interests of the persons and parties alive. This tension of the comtemporary history was continued through the life-cycle of the VR and controlled by the religious character of the idea of history since ancient confucianism which considered history as the last judgment of the social beings. In this sense, history was a wisdom of the symmetry among generations and civilizations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Needless to say, the function of this wisdom was changed from time to time, especially from the buddhist society to the neo-confucian. This transition showed much more accomplishments on history than before. At the same time, the cultivation on history influenced on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in the history compilation. The Public Exam and the Royal Lecture accelerated this tendency in the bureaucracy of the Dynasty. The institutional devices on the VR as the comtemporary history might be summarized with two words, exclusion and confidentiality. The regulation of the VR compilation parallelled to the customs and rituals in the process of the VR compilation. Besides the VR, such as the Secretary Records substituted the first usefulness of the VR for the authentic and fair management of it. And I examined the character of the VR by the concepts of the archival studies. I think that the VR is a kind of the registry, so the concept of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of the modem archival studies may be adopted to explain the exclusion and confidentiality of the VR. Futhermore, the VR is not the history in modem meaning but the archives that may over-come the limits and singularity of 'the history of nation-state'.

      • KCI등재

        『경종실록』의 편찬과 수정

        오항녕(Oh, Hang-nyeong) 한국고전번역원 2013 民族文化 Vol.42 No.-

        본고에서는 『경종실록』의 편찬과 『경종수정실록』의 편찬을 살펴보고, 경종실록 원본과 수정본을 비교하여 수정의 실제와 의미를 검토하였다. 경종 연간에 『숙종실록』편찬이 끝나지 않아, 『경종실록』은 관례적으로 영조 즉위 이후 시작했어야 했음에도 『숙종실록』이 편찬된 뒤에야 시작될 수 있었다. 또한 정미환국(1627)으로 노론에서 소론으로 정치 주도세력이 바뀌면서 『경종실록』편찬 총재관도 교체되었으며, 뒤이어 무신년 변란으로 지체되기도 했다. 정조 이후 『영조실록편찬』 뒤에 『경종실록』이 수정되었고, 현재 『경종실록』과 『경종수정실록』의 두 실록이 남게 되었다. ‘수정’이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경종수정실록편찬』은 『경종실록』을 원본으로 하되, 『경종실록』에서 누락된 事實을 보완하고, 왜곡된 史論을 바로잡는 두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두 실록(원본과 수정본)의 비교는, 날짜별로 대조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이 때 문제가 되는 것은 비교해보았다. 첫째, 수정본에 있지만 원본에 없는 기사, 둘째, 원본과 수정본에 동시에 나오지만 내용이 상반되거나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 기사가 두 실록의 지향과 성격을 규정할 것이기 때문에 본고에서 주목하였다. 이 조건에 부합하는 사례로는 1721년(경종1년) 왕세제 建儲와 聽政과, 그에 이은 金一鏡의 옥사 및 이듬해 睦虎龍의 고변과 노론 4대신의 죽음, 尹宣擧 부자의 복권과 宋時烈의 道峯書院 黜享 등을 선택하여 두 실록의 기사와 사론을 비교하였다. 김일경의 옥사와 목호룡 고변에 대해서 경종실록원본은 김일경ㆍ박상검과 안팎으로 서로 호응하며 만든 무옥이라는 관점을 견지하고 있었다. 이는 경종수정실록과 일치하는 관점이다. 이는 신임사화를 좀 더 객관적으로 접근하고, 역사의 화해까지 가능할 수 있는 단서가 아닌가 생각한다. 윤선거, 윤증의 관직을 회복시키고 시호를 내렸다. 그런데 이 사안에 대해서는 흥미롭게도 『경종실록』에서 소홀히 다루고 있는 한편, 『경종수정실록』에서는 부정적이었지만 상세히 다루고 있었다. 물론 수정본이 윤선거 부자의 복권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사론을 달았다. 송시열이 조광조와 병향되었던 도봉서원에서 출향된 데 대해 『경종실록』의 사론과 『경종수정실록』의 사론 모두 과도한 조치로 시비가 정확하지 않았다고 비판하였다. 이렇게 된 이유로는 정미환국으로 다시 노론에서 소론으로 정국주도세력이 바뀌었어도 『경종실록』의 편찬은 趙文命, 徐命均 등은 소론에서도 緩論에 속하는 인물들에 의해 이루어졌고 신임사화를 誣獄으로 보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경종실록』과 『경종수정실록』은 蕩平의 흔적이 남아 있는 역사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I studied the revision of the Veritable Records of Kyeongjong(VRK) as a whole in two chapters ; 1) the revision procedure and debates, 2) the comparison of the main revised articles. The reason why both the original VRK and the revised VRK remained was that the revisioners took the model of the revision from the Red-Black History (朱墨史), which corrected the distorted records of the Emperor Cheol-jong Reign in Chinese Sung Dynasty by using red ink in revising on the one hand and black ink in rewriting the original on the other. In chapter Ⅰ, I traced the argument around the revision of the VRK. As the reign of King Youngjo, the Old party had the good position in the court and suggested the revision of the VRK they considered as a distorted history. But their trial leaded to fail because of the Change of Power in 1727 (丁未換局). The comparison of the two VRK was examined one by one. And I selected several cases which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view of the situation or event; the nomination of the Prince in 1721, the Sin-Im calamity of literati, the restoration of Yun Sun-Gue and Yun Jeong and the excommu nication of Song Si-Yeol from the academy shrine of Do-Bong. I think the revision of VRK meaned 1) the complement of the facts, 2) the correction of the comments. In the policy of Impartiality (蕩平), the revised VRK reflected the currency of the politics.

      • KCI등재

        조선 전기 史禍의 양상과 그 성격 : 제도와 현실의 상호 규정에 대한 소고

        오항녕(Oh Hang-nyeong)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4

        본고에서는, 조선전기 사관제도의 발달과 관련하여 史禍의 성격을 다루었다. 당대사 기록은 거기에 실린 사람들이 살아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매우 평범한 이유와, 기록하는 사람과 편찬하는 사람이 다를 경우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단순한 사실 때문에 중국 唐나라 때 實錄이 관청에서 편찬되기 시작하면서부터 갈등 요인을 내재하고 있었다. 조선전기에 이런 잠재적 긴장, 갈등 요인이 어떻게 나타났고 어떤 방향으로 해결되었는지, 즉 제도의 성립과 정착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는지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문제의식이었다. 이 문제는 당대사의 기록과 편찬이라는 두 단계의 산물인 사초와 실록의 작성(편찬)과 관리로 압축된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조선전기 실록의 열람 금지 및 편찬 시 누설 방지 조치라는 측면과 사초의 보호와 관리에 대한 관례와 규정의 성립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제도의 정착과정에서 국왕이나 고위 관료 같은 정치권력, 즉 외적 요소로 인한 갈등도 존재했지만, 민수의 史獄에서 보듯이 제도를 운영하는 주체인 사관들의 자기 정체성도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조선초기의 당대사를 둘러싼 긴장과 갈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소해가던 관례와 규정이 무너진 것은 무오사화였다. 파탄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전면적인 제도의 붕괴를 거쳐 중종반정 이후 보완대책이 강구되었지만, 을사사화를 계기로 또 한번의 반동을 겪게 되었다. 사관제도라는 文翰 기구, 곧 文治主義를 지탱하는 제도가 유지되기 위한 필수요건인 사회적 역량이 미숙한 데서 초래된 결과였다. 우리는 바로 이 시기를 살았던 퇴계 이황을 통해 전환기의 경험과 고민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이렇듯이 오랜 기간 합의와 관행을 쌓고 주체적 역량을 쌓아온 결과, 사림들이 정치무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선조 연간 이후에는 '史禍'의 범주에 넣을 사건은 발생하지 않았다. 나아가 이런 당대사 관리제도의 정착은 이후 실록을 개정할 경우에도 ‘朱墨史’의 모범에 따라 앞의 기록을 없애지 않고 같이 보존하는 관행으로 이어졌다. I studied the character of the calamity of savants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archives management and the court-diarists system in early Josun dynasty. In this case, the keyword of this article will be the conflicts around the records of the day, so called Historical Manuscripts(史草) and the Annals of Each Kings(the Veritable Records, 實錄). The documentation of the day, so to speak the history or records of the day, always involved the inherent factors of conflict or tension, which might lead to the calamity of savants, because it related many persons alive and included the sensitive assessment of court-diarists who was in charge of records management. To understand the conflicts, I divided the whole procedure of records management into two stage, the recording stage and the compiling stage, which corresponded to Historical Manuscripts and the Annals of Each Kings respectively. And I analyzed the potential factors of conflicts of each stage. In addition, I checked the internal and external party concerned of this system. At the beginning of Josun dynasty, there weren’t any rules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archives, but the consensus of them oriented to guarantee the authenticity of court-diarists and prohibit the access of king to archives and annals. In this context, in the age of King Teajong and Sejong the custom that only court-diarists might access to the records was settled and the rule for the Historical Manuscripts protection were enacted. However, the court-diarist Min Su’s crime who erased and revised the manuscripts he had recorded and suggested showe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realize the idea of historical truth and minimize the conflicts around the records was the self-identity and responsibility of the main body, the court-diarists. After overcoming the twice break down, which we called the calamities of savants or the calamities of the court-diarists, the new generation of literati seized the political power and the customs and rules we mentioned were stabilized, the violation of them didn’t occurred any more until the sunset of Josun dynasty. Even when one party revised the annal the other party complied, both two copy, the former and the latter, were preserved in name of the fair judgement and estimation of the descend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