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국어과에서 방정환 동화극의 인물 비판적 읽기 교육의 내용

        오판진 ( Oh Pan-jin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4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다룬 방정환의 동화극을 살펴보면, 연극 공연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문학성 측면이 미흡하다. 동화극을 읽는 것은 문학교육의 한 부분이기도 하기 때문에, 등장인물을 비판적으로 읽으면 인간과 인생을 깊이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방정환의 동화극 두 편에 초점을 두어 어린이 독자들이 등장인물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에 관한 교육 내용을 탐구하였다. 이런 교육적 탐구는 연극 공연을 중심에 두면서도 비판적 인물 읽기를 보완하여 연극성과 문학성을 함께 도모하려는 시도이다. 방정환의 동화극 <노래주머니>와 <토끼의 재판>에 등장하는 인물을 비판적으로 읽는 것은 오판진의 이론을 근거로 세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희곡에 나타난 인물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고, 둘째 그것을 개연성이나 현실성 등의 기준을 통해 적절한지 평가한 후 적절하면 그것을 수용한다. 그러나 만약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하면, 셋째 그 부정적인 인물에 대한 대안을 모색한다. <노래주머니>의 박 서방은 착한 인물의 전형이며, 도깨비 3은 박 서방의 성격을 더욱더 착하게 만드는 조력자로서 기능하고, 김 서방은 욕심 많은 나쁜 인물을 상징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토끼의 재판>에 등장하는 토끼는 똑똑하고 지혜로운 인물이며, 나그네는 순진하기만 하고 지혜롭지 못한 인물이고, 호랑이는 은혜를 갚을 줄 모르는 배은망덕한 악인형 인물을 상징한다고 분석하였다. 이런 분석적 읽기는 비판적 희곡 읽기의 첫 번째 단계이며, 두 번째 단계는 이런 상징이 개연성이나 현실성이 있는지 따져보고, 긍정적이면 수용하고, 만약 부정적이면 그 대안을 마련하는 세 번째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 어린이들과 이런 희곡 인물 읽기를 공부하면 대체로 분석적 단계까지는 견해차가 크게 없지만, 평가적 단계나 대안 모색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올 수 있고, 간혹 불필요한 갈등이나 낙인효과 등이 발생할 수 있어서 세련된 교수법을 사용해야 한다. 어린이들은 방정환 동화극의 인물을 비판적으로 읽는 공부를 통해 인간과 인생에 관한 안목을 점검하고 증진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wo fairy tales among Bang Jung-hwan’s literary works, and explores the educational content that child readers require to study character critical reading. Reading fairy tale scripts is part of literary education; therefore, critically analyzing characters provides an opportunity to deeply reflect about human beings and life. Examining the fairy tale scripts by Bang Jung-hwan that was dealt with i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the literary aspect is insufficient because it focuses on theatrical performances. This educational quest features an attempt to promote both theatricality and literary characters by complementing critical character reading, while focusing on theater performances. The critical reading of the characters in “Singing Pouch” and “The Trial of Rabbits” is derived from the theory shared by Oh pan jin (2013). First, this theory analyzes the symbolic meaning of the characters presented in the play. Second, this theory assesses the symbolic meaning based on criteria, such as probability or realism, and then deems whether it is appropriate. Third, if it is deemed inappropriate, it seeks an alternative to the negative character. Park in “Singing Pouch” represents the epitome of a good person, whereas Dokkaebi 3 serves as a helper to make his character even more good, and Kim is analyzed to symbolize a greedy, bad person. The rabbit in “The Trial of Rabbits” is smart and wise, whereas the traveler is naive and unwise, and the tiger represents an ungrateful villain. This analytical reading is the first step in critical play reading, and the second step is to determine whether such symbols are probable or realistic, accept it if positive, and if negative, move on to the third step of devising an alternative. Children reading such plays generally do not differentiate these aspect until the analytical stage. However, because various opinions can be expressed during the evaluation stage or the search for alternatives, and sometimes unnecessary conflicts or stigmatizing effects can occur, it is necessary to use sophisticated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study of the critical reading of the characters in Bang Jung-hwan’s fairy tale scripts, children can begin to verify and enhance their perception of humans and life.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가면극 패러디 교육 연구

        오판진 ( Pan Jin O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1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가면극 패러디 교육을 설계하기 위해 정재일이라는 가면극 전문가의 수업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런데 그의 수업 설계는 예술통합교육의 맥락에서 이루어졌고,패러디의 수준이 소극적이었으며, 공연을 강조하고 있었다. 정재일은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교육 전문가가 아니라 한국가면극을 공연예술의 관점에서 익히고 전수하는 데 집중한 예술가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분석하였다. 정재일의 교육적 설계를 바탕으로 국어교육의 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한국가면극 패러디 교육의 목표와 내용, 자료 및 절차를 설계하였다. 핵심적인 교육 내용은 여섯 가지이며, ``한국가면극 텍스트 읽기``, ``한국가면극 동영상 시청``, ``한국가면극 내용 패러디``, ``한국가면극 패러디 연기 연습``, ``한국가면극 패러디 공연``, ``한국가면극 패러디 교육 평가``가 그것이다. 이런 교육적 설계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한결과 학습자들의 ``인간 이해``가 심화되고, ``자기 수정적 사고 능력``이 증진되었으며, 한국가면극이``창조적으로 계승``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Korean Mask Drama is a core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Korean Mask Drama have a lot of educational contents. But it have been unnotic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re are cognitive frame works of human relationship and life in Korean Mask Drama, so we can use it in the field of education. Korean Mask Drama Parody Education is one of the pla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a effective plan of Korean Mask Drama parody education, I met a lot of Korean Mask Drama teachers. And then I found a excellent teacher, Jae-Il Jung. He taught a Korean Mask Drama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is teaching plan is one of the arts education plan and a negative parody education plan, stress the performance. Because Mr. Jung is not an Educational specialist, but an Artist. I designed teaching goal, teaching contents,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process from his teaching plan. The 6 Key points are ``Reading the Korean Mask Drama Script``, ``Watching the Korean Mask Drama video``, ``Parody Korean Mask Drama``, ``Practicing Korean Mask Drama Parody act``, ``Performing Korean Mask Drama Parody``, ``Evaluating Korean Mask Drama Parody Performance``. From this Educational plan, I taught Seoul Won-hy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n I found a deepening ``Human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improving of self correc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succession of Korean Mask Drama.

      • KCI등재

        학습자 구연을 통한 전래동화교육의 방법 연구: <오늘이>를 중심으로

        오판진 ( Pan Jin O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구연이 전래동화교육의 한 방법으로 필요한 이유와 그 실체를 구명하는 데 있다. <오늘이>라는 텍스트에 대한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텍스트 고유의 의미보다는 ``줄거리 요약 능력`` 신장에 초점을 두고 역할극이라는 교육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구연이라는 학습자 중심의 동화구연 방법이 보다 적절하다고 보고 있다. 교사나 성인들의 실연을 바탕으로 학습자 스스로 동화구연자가 되어 보도록 하는 것이 학습자 구연의 핵심이다. 비록 미흡할지라도 이런 동화구연 경험은 줄거리 요약 능력 신장은 물론 이야기 문화를 창조적으로 향유하고, 계승할 수 있는 소양을 길러주기 때문에 국어교육 측면에서 가치가 크다. 학습자 구연의 구체적인 양상을 전제 조건과 지향점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학습자 구연의 전제 조건은 첫째 구연하는 전래동화 텍스트의 분량을 학습자 자신의 능력을 고려하여 스스로 조절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고, 둘째 교육의 장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들의 동화구연은 경연대회가 아닌 축제가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학습자 구연의 지향점은 첫째 학습자 구연이라는 교육 활동의 수준을 학습자 발달 단계에 맞게 위계적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며,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음독하기``, 중학년은 ``낭독하기``에 초점을 두는 방식이 그것이다. 둘째 교사나 특정인의 시각에 근거한 ``목소리 흉내 내기``에 치중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구연을 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This study claims that learner story telling is needed in order to get access to the essence of traditional fairy tale. So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why and how to teach traditional fairy tale teaching through learner story telling. When I survey traditional fairy tale teachings, I detect that most them are planned in terms of Korean literature teaching or Korean language teaching. <Onuli> which is selected for this study is taught in Korea elementary school. But it is focused on not text`s core meaning but student ability to summarize story-line. The essence of traditional fairy tale teaching is to teach traditional fairy tale`s core which is cultural inheritance, and students continue to inherit and develop traditional culture. In doing so student`s ability about thinking and language skill is improved, and they can have korean cultural mind-set to live their life in harmony in korea. Therefore I attempted to prepare contents for this purpose. ``Story culture`` to connect past, present and future is very important. So I suggest ``student story telling`` which is a learner-centered story telling method. This method is not becoming a passive listener to their parents and teachers but becoming a storyteller based on adults` presentation. Even if this opportunity to become a storyteller is lack, listening story telling is to develop student`s ability to enjoy and inherit story culture, and in this context it is very valuab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paper I present two preconditions and two directions on a specific aspect of student`s story telling. First precondition is to control an traditional fairy tale text`s quantity. Second, learner story telling is to be a festival not a contest. The activities of learner story telling are to be organised in hierarchical order according to student`s development level, and then it should not focus on mimicking adult`s or teacher`s style.

      • KCI등재후보

        이원수 아동극의 인물 유형 연구

        오판진(Oh, Pan-Ji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9

        Lee Won-su is one of the prominent writers of Korean children literature leaving behind numerous works. He is a prolific writer and researchers of Korean children literature appreciate his works. However, neither such appreciation nor researches upon his works is found in the area of children theatre while he produced great children theatre scripts reflecting historical thoughts and contemporary mind of 1950's and 1960's. In Lee Won-su's collection, 23 works are scripts. This research analyses these scripts and explores characters of these works. By doing so, this study attempts to show what concept of child Lee has. Children in his works are categorized into hurt child, thoughtful child, immature child and low educated child. Such pictures of children demonstrate that he has humanism, romantism and respect for children's dignity which are positive and constructive concepts of child.

      • KCI등재

        고령사회 노인연극의 지향점 고찰 : 당진시 ‘회춘유랑단’을 중심으로

        오판진(Panjin Oh)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지원 측면의 노인복지에 속하는 노인연극 프로그램의 한 사례를 분석하여 노인연극의 지향점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충남 당진시 할머니들로 구성된 ‘회춘유랑단’의 활동 사례를 조사하고, 그 공연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사례 연구와 연행 이론을 사용하였으며, 동료 검토법(peer examination)의 전략을 사용하여 연구의 타당도를 높였다. 연구 결과, 노인연극 프로그램을 통해 할머니들은 첫째, 어린이와 청소년들과의 소통을 지향했고, 둘째, 몸이 불편한 다른 노인들과 소통하기를 원했으며, 셋째, 청년이나 중년은 물론 모든 주민과 소통하길 바랐고, 넷째, 연극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체험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성취감을 높이면서 노년을 즐겁고 유익하게 보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회춘유랑단’을 밴치마킹한 노인연극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노인연극에 관한 다양한 사례를 연구하고, 이런 노인연극을 지원하는 정책 연구도 필요하며, 노인연극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 과정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노인연극 프로그램이 지역적인 한계를 벗어나 국내와 국외의 단체들과 교류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넷째, 연극치료 분야에서도 새로운 길을 모색할 여지가 있고, 소시오드라마나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 개발이 대안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elderly theatre by analyzing an example of the elderly theatre program which is attempted in a way of the welfare of senior citizens in terms of cultural support. To this end, the ‘Hoechun Circus’ composed of elderly women in Dangj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earch methods uses a case study, performance theory, and peer review strategies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elderly women intended to communicate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performance; Secondly, they wanted to communicate with other physically uncomfortable elderly people; Thirdly, they also attempted to communicate with young or middle-aged as well as all residents; Fourthly, they experienced a new genre of theatre to identify themselves in a different ways and enhance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pent their old age pleasantly and informal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we should expand the theatre programs of senior citizens which benchmark the ‘Hoechun Circus’. Second, various cases of elderly theater should be studied and policy research to support such elderly theatre is necessary. Besides, educational courses to train elderly theatre experts should also be developed. Third, it should also seek ways for the program to move beyond regional limits and interact with organizations at home and abroad. Fourth, there is room to explore new ways in the field of theater therapy, and the development of sociodrama or psychodrama programs can be an alternative.

      • KCI등재

        초등국어 1학년의 연필 잡는 법 연구

        오판진(Oh, Pan-jin),유상언(Yoo, Sang-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o hold a pencil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Korean and to find ways to help students write correctly. Methods A case study method was used among the qualitative studies, and interviews with Yoo Sang-eon for a single case of how to hold a pencil, Hangul files related to his claims, YouTube materials, student handwriting materials, and testimonials were used in this study. Textbooks and teacher s guides were analyzed in a multi-layered manner, along with texts and letters.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position of the finger guiding i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first grade textbook. In other words, if you look at the position of your fingers when writing, holding a pencil while holding your thumb and index finger in a circle is not the optimal way. Also, it is not appropriate to place your elbows on the desk when writing, so it is a guideline that needs to be corrected. On the other hand, Yoo Sang-eon s method of holding a pencil is a better way to help students write correctly. Here s how to hold a pencil correctly, as he suggests. First, put the tip of the thumb and middle finger together to make a round shape, and then place the pencil on the nail area of the middle finger and the area next to the bone where the index finger begins. Second, lift your thumb upwards, bend it at a right angle, and press the pencil gently from above. Third, bend the forefinger close to a right angle and put it lightly between the thumb and middle finger without straining. Fourth, write in such a way that the wrist or arm where you are writing extends slightly over the edge of the desk. Conclusions If you write according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finger holding the pencil as suggested by Yoo Sang-eon, the force of the finger applied to the pencil is maintained evenly, so that you can write more correctly.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국어 1학년의 연필 잡는 법을 분석하고, 학생들이 바른 글씨를 쓰도록 돕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가운데 사례 연구라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유상언의 연필 잡는 법이라는 단일 사례를 대상으로 그와의 인터뷰 자료와 그가 주장하는 내용과 관련한 한글 파일, 유튜브 자료, 학생들의 글씨 자료, 소감문이나 편지글 등과 함께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다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1학년 교과서에서 안내하고 있는 손가락의 위치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글씨를 쓸 때 손가락의 위치를 보면, 엄지와 검지를 둥그렇게 모으면서 연필을 잡는 방법은 최적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글씨를 쓸 때 팔꿈치를 책상 위에 올리도록 한 것도 적절하지 못해서 수정해야 할 지침이다. 이와 달리 유상언이 제안하는 연필을 바르게 잡는 방법은 학생들이 글씨를 바르게 쓰는 데 도움을 주는 더 나은 방법이다. 그가 제안하는 연필을 바르게 잡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 끝을 맞잡아 둥글게 만든 후 가운뎃손가락의 손톱 부위와 집게손가락이 시작되는 뼈 옆 부위에 연필을 올린다. 둘째, 엄지손가락을 위로 들어서 직각으로 꺾은 후 연필을 위에서 지그시 눌러 준다. 셋째, 집게손가락도 직각 가깝게 꺾어서 엄지와 가운뎃손가락의 사이에 힘주지 않고 살짝 붙여만 준다. 넷째, 글씨 쓰는 손목이나 팔이 책상 모서리에 약간 걸치는 정도로 해서 글씨를 쓴다. 결론 유상언이 제안하는 연필 잡는 손가락의 모양과 위치에 따라 글씨를 쓰면, 연필에 가해지는 손가락의 힘이 균등하게 유지되어 편안한 자세로 글씨를 더 바르고 쉽게 쓸 수 있다.

      • KCI등재

        초등교사와 뮤지컬 강사의 협업을 통한 어린이 뮤지컬 교육 활성화 방안

        오판진(Oh Pan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에서 살펴본 ‘어린이 뮤지컬’의 개념은 어린이들이 배우가 되어 무대 위에서 음악과 무용이 특화된 연극을 공연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연구의 대상은 어린이 뮤지컬을 교육한 경험이 풍부한 예술 강사와 초등교사가 협력하여 지도한 2018년 서울S초등학교 3학년 사례이다. 초등교사와 예술 강사의 협업을 통한 교육 양상은 ‘교육 계획과 역할 분담’, ‘교육의 내용과 공연 감상’, ‘예술 강사와 학생 간의 관계’ 등을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교육 계획’을 보면 전체적으로 어린이 뮤지컬 교육의 주요 절차와 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어린이 뮤지컬 교육의 구체적인 교육 양상은 전문적인 지식과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위계화하고 개별화하고 있었다. 그리고 어린이 뮤지컬의 콘텐츠는 ‘자살 방지’, ‘학교폭력’, ‘금연교육’, ‘성폭력 예방’ 등 교육적 소재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둘째 초등교사와 뮤지컬 강사 간의 ‘역할 분담’은 어린이 뮤지컬 교육 직무연수와 같은 전문적인 교육이나 양자 간의 소통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서울S초등학교 교사 대다수는 뮤지컬 교육 관련 직무연수를 받지 않았고, 초등교사와 예술 강사 간의 소통을 통한 역할 분담도 원활하지는 않았다.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초등교사와 예술 강사의 협업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협업을 위한 어린이 뮤지컬 직무연수 개설’, ‘협업을 위한 초등교사의 사전 준비 강화’, ‘초등교사와 예술 강사의 소통 네트워크 확보’, ‘협업을 통한 어린이 뮤지컬 교육에 관한 연구 확대’라는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The concept of a ‘child musical’ reviewed in this study refers to children becoming actors and performing plays specialized in music and dance on stage.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case of the third grade of Seoul S Elementary School in 2018, which was co-directed by experienced art instructo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educated children s musicals. The collaborative patterns of primary and artistic teachers analyzed in this case have implications for children’s musical education in other elementary schools and can be a model. The patterns of education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rt instructors were analyzed and examined by analyzing “education planning and role sharing”, education content and performance appreci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instructors and students” First of all, ‘education plan’ mentions the major procedures and elements of children’s musical education in general, but it lacked the details, methods and significance of children’s musical education in practice. Specific educational patterns of children’s musical education should be hierarchical and individualized, taking into account the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based on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various experiences. And there have been discussions that the content of children’s musicals should actively consider educational materials such as “preventing suicide”, “school violence”, “no smoking education” and “preventing sexual violence” Next, it was discussed that ‘participation in role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musical instructors should be resolved through professional education, such as children’s musical education, or bilateral communication. The majority of teachers at Seoul S Elementary School did not receive any extra training related to musical education, and the division of role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rt instructors was also regrettable. Based on this analysis, it was discussed that in order to further collaboration between primary and artistic teachers, alternatives such as ‘Installation the extral training of children’s musicals for cooperation’, ‘strengthening the prepar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in advance for cooperation’, ‘forming communication networks between elementary and artistic teachers’ and ‘promoting research on child musical education through collaboration’ should be explored.

      • KCI등재

        컨설팅 장학을 활용한 연극 공연 지도 연구 -서울 J 초등학교 6학년 사례를 중심으로-

        오판진(Oh Pan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연극 공연 지도를 도울 수 있는 방안으로 컨설팅 장학이 적절하다고 보고, 서울 J 초등학교 6학년의 사례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 사례를 조사하기 위한 일정은 2018년 3월부터 시작하여, 같은 해 12월에 마무리하였 다. 그 결과 연극 공연 지도를 위한 컨설팅 장학의 절차로는 ‘(1) 우수한 전문 컨설 턴트 섭외’, ‘(2) 연극 공연 지도 방법 연수’, ‘(3) 연극 공연 일정 및 중간 점검’, ‘(4) 연극 공연 지도 능력 습득 및 정착’이 있었고, 그 내용에는 ‘연극 이해 교육’과 ‘역할 소개 및 역할 정하기’가 있었으며, ‘연극 이해 교육’에서는 ‘희곡에서 출발하는 연극’과 ‘즉흥극에서 출발하는 연극’을 안내하고, ‘역할 소개 및 역할 정하기’에서는 ‘역할의 종류와 하는 일’, ‘역할 정하기’가 있음을 분석하였다. 연극 공연 지도를 위한 컨설팅 장학 자체에 관한 평가에서는 첫째 학생들이 만든 희곡은 거시적으로는큰 문제가 없이 좋았고,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분명해서 성공적이었으며, 둘째 참여한 학습자들은 공연을 준비하면서 힘들고 짜증나는 감정을 경험하지만, 함께 고생하며 다독이는 가운데 서로에 대한 이해와 공동체 의식도 생기고 자신감도 강해졌다고 평가했고,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컨설턴트의 조언 가운데 여러 가지가 인상적이었고, 컨설팅 장학이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응답했다. 서울 J 초등학교의 컨설팅 장학 사례를 분석한 이 연구는 단일한 사례여서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이를 근거로 더 나은 컨설팅 장학을 모색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연극 공연 지도를 위한 컨설팅 장학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교사들이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이나 평가 등에 관한 논의가 풍성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se of the 6th grade of J Elementary School in Seoul, believing that a consulting scholarship is appropriate as a way to help teachers guide theatrical performances. The schedule for investigating the case began in March 2018 and ended in December of the same year. As a result, consultative arts procedures for the guidance of theatrical performances included: (1) the selection of excellent professional consultants, (2) the training of how to direct theatrical performances, (3) the scheduling and intermediate inspection of theatrical performances, and (4) the acquisi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ability to direct theatrical performance, and the introduction and role of play understanding and the establishment of play in the drama teaching of drama from the play to the play. In an assessment of the consultant scholarship for theater performance guidance itself, the play produced by the first students was successful, with no major problems in the macro, and the message they wanted to convey was clear, and the second participants experienced difficult and annoying feelings while preparing for the performance, but working together developed a strong understanding and sense of community and confidence in each other, and finally teachers responded that among the consultants advice was impressive and many scholarship. The study, which analyzes the case of consulting scholarship at J Elementary School in Seoul, is a single case and cannot be generalized, but it is meaningful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a better consulting career. We hope that research on consulting scholarship for theater performance will be activated in the future, and that there will be a lot of discussions on how to help teachers guide their students.

      • KCI등재

        어린이를 위한 낭독공연의 유형 연구

        오판진 ( Oh Pan-ji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7

        낭독공연이란 배우들이 희곡을 암기하지 않고 읽는 것을 통해 관객들에게 희곡의 의미를 전달하는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이 용어는 오래전부터 사용하였지만, 우리 문화계에서 낭독공연을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초라고 할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연극교육을 강화하면서 ‘낭독공연’에 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낭독공연을 교육의 장에서 풍부하게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성인들의 낭독공연에서 찾아보고, 이를 어린이 교육의 장에서 활용하고자 분석하였다. 낭독공연에는 배우들이 무대 위에서 ‘희곡을 보면서 읽는 유형’과 ‘희곡을 암기하여 연기하는 유형’ 및 ‘두 유형을 혼합한 유형’이 있다. 결국, 낭독공연의 형식에는 정해진 규칙이 없다는 것이 핵심이다. 희곡을 보거나 보지 않거나 문제 되지 않는다. 낭독공연의 주체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적합한 형식의 공연을 하되 낭독공연은 꼭 이렇게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가질 필요는 없다. 어린이와 청소년 또한 낭독희곡의 개념을 유연하게 이해하면 교육적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더 커질 것이다. 이런 분석을 근거로 어린이를 위한 교육의 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준거로 ‘낭독공연의 형식을 한 가지로 고집하지 않기’, ‘여러 유형의 낭독공연 선택하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여러 유형의 낭독공연 선택하기’에 필요한 하위 준거로는 ‘희곡의 내용 가운데 특정 장면 선택하기’, ‘학생의 수준이나 상황을 고려하기’, ‘새로운 유형의 낭독공연을 만드는 데 주저하지 않기’가 있음을 밝혔다. 이 글이 낭독공연에 관한 논의가 필요한 교육계에 활력을 넣고, 이론의 부재로 인해 교육적 설계가 미흡해지는 점을 해소하는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한다. A reading aloud performance is an activity in which the actors convey the meaning of the play to the audience through reading the play without memorizing the play. Although this term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it can be said in the early 2000s that Korea began to pay attention to reading aloud performance in the cultural world. As the theater education is strengthened i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interest in this "reading aloud performance" is also growing. In this article, we analyzed the reading aloud performance of the 8th contemporary Japanese drama '2018' in order to utilize the reading aloud performance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o utilize it in the lecture of the children education. There are two types of rehearsals for the actors on stage: 'Reading by watching drama', 'Playing by memorizing drama', and 'Mixing two types'. In the end, the key is that there is no set rule for the type of reading aloud performance. It’s not trouble to see or not to see the play.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 stereotype that you should do a proper reading aloud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your situation, but that you should do this. If children understand the concept of read aloud performance in a flexible way, the educational effect will be greater. Based on this analysis, we suggested 'not sticking to the form of reading aloud performance' and 'choosing various types of reading aloud performance' as a criterion for applying to the education field for children. In addition, the sub-criteria required for selecting 'various types of lecture performances' include' selecting a specific scene in the content of the play ',' considering the level or situation of the student ',' not hesitating to make a new type of lecture performance '. I hope that this article will be a stepping stone to revitalize the discussion in the educational world where discussion on the performance of reading aloud is requested, and to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educational design due to lack of theory.

      • KCI등재

        <우리집> 시나리오에 나타난 인물의 주체성 고찰

        오판진 ( Oh Pan-ji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윤가은 감독의 시나리오 <우리집>에 나타난 인물의 주체성 양상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평가하는 데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연극교육이 강화된 것이나 초등국어과 4학년에 영화가 텍스트로 사용된 사실을 통해 주인공이 어린이이거나 어린이의 눈높이에서 의미 있는 극문학 텍스트를 탐구해야 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커졌다. 연구 결과 주인공 하나의 주체적인 모습은 하나네 가족의 이혼 문제와 유미네 가족의 이사 문제에 대처하는 장면에서 나타난다. 먼저 하나가 가족의 이혼 문제에 주체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은 하나가 가족의 식사를 고집스럽게 준비하는 대목과 가족 여행을 밀어붙이는 대목, 유미 자매와 힘을 합하여 주 대리에게 전화하는 대목에 나타나 있다. 둘째 유미네 가족의 이사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은 유미 자매가 곤경에 처했을 때 하나가 도움을 주는 대목 즉, 유미가 사라지거나 아팠을 때, 유미네 집을 보러 온 손님을 방해하는 작전을 펼칠 때, 유미네 부모님을 직접 만나러 여행을 떠났을 때 나타난다. 이런 장면에서 볼 수 있는 하나와 다른 인물들의 주체적인 모습은 ‘어린이의 위상 재정립’과 ‘건강한 어른으로 성장하기’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영화 한 편에 나타난 어린이 인물의 주체성이란 특성을 고찰한 점에서 한계가 있다. 앞으로 다른 영화 시나리오도 연구 대상으로 탐구하여야 하고, 여러 영화 시나리오를 비교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후속 연구자들은 어린이는 물론 청소년 대상 극문학 텍스트 연구에서 시나리오도 주요한 연구 대상이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더 나아가 뮤지컬이나 또 다른 공연 예술 텍스트까지 극문학 텍스트 연구의 대상으로 삼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dentity of the characters in director Yoon Ga-eun’s < Our House > and evaluate their meaning. The change in theater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r the fact that film scenarios were used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departments raised the need for research to explore meaningful dramatic text at the level of children or children's eyes. According to the study, the main character's subjectivity is shown in the scene of dealing with the divorce of Hana’s family and the moving of Yumi’s family. First of all, Hana’s subjectivity to the family's divorce issue is illustrated in Hana’s stubborn preparation of family meals, her pushing for family trips, and her joining forces with Yumi’s sister to call Joo. Active handling of the second Yumi’s family's moving problem is illustrated when the Yumi sisters are in trouble: when Yumi is in trouble, when she disappears or is sick, when she conducts operations to disturb the guest who came to buy Yumi’s house, when she went on a trip to meet Yumi’s parents in person. The subjectivity of Hana and other characters seen in these scenes is said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reestablishing the status of children" and "growing into adult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considering the subjectivity of a child's character in only one movie. In the future, other film scenarios should also be explored as research targets, and studies comparing different film scenarios are also needed. Subsequent researchers acknowledge that scenarios are one of the main targets, and expect to further target musical or other performing arts 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