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도시공원 관련 초기 법률 입안과 「공원법(1967~1980년)」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유보지로서 도시공원에 관한 제도의 문제

        오창송 한국조경학회 2018 韓國造景學會誌 Vol.46 No.3

        The Park Act (1967~1980) was the first law to define urban parks in Korea. The urban parks of that time were similar to a reservation area used for other purposes after giving regulation. Because ‘the urban park as a reservation area’ in the past is a repeated park issue in the pres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ssues of the original law system that created the cause.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legislation to reserve an urban park by collecting bills and information about the factual relationship between 1960·70s park issues and the Park Act. Analysis showed that the reason for the adoption of different kinds of urban parks in the law of a nature park is that a negative list separated from the Urban Planning Act is required to curb private usage. Inherent in the Park Act, however, was the problem of allowing the encroachment of urban parks by governmental power. ① The Park Act sets out a wide range of cases to abolish urban park. ② Unclear setting of governmental power could abuse the urban park. ③ Insufficient standards were able to erode the urban park with large for-profit facilities. ④ The inactivity of the Urban Public Park Committee had reduced democratic decision-making and professional judgement on park issues. Therefore, the Park Act was characterized as infringing on the environment and right to urban parks and took a passive attitude in creating parks and in citizen usage thereof. The Park Act had limitations as a progenitor for establish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pts of urban parks. 「공원법」은 도시공원을 규정한 우리나라 최초의 법률이다. 그러나 당시의 도시공원은 규제만 가해진 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 유보지와 유사하였다. 과거 ‘유보지로서 도시공원’은 지금의 공원문제로도 반복되고 있기에, 그 원인을 제공하는 초기 제도의 문제에 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공원법(안)」들을 수집하여 도시공원을 유보하게 된 제도화 과정과 1960․70년대 공원문제와 「공원법」과의 사실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연공원의 법률에 이질적인 도시공원을 수용하게 된 이유는 민간의 무분별한 용지 사용을 억제하여 유보할 수 있도록 「도시계획법」 이외의 부수적 규제 장치가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정된 「공원법」은 공권력으로 도시공원의 잠식을 용인할 수 있는 문제점을 담고 있었다. ① 「공원법」은 도시공원을 폐지할 수 있는 광범위한 경우를 설정하였다. ② 불명확한 공권력 범위의 설정은 도시공원을 남용할 수 있었다. ③ 미흡한 관련 기준은 대형 수익시설로 도시공원을 침식할 수 있었다. ④ (도시)공원위원회의 무기력은 공원문제에 대한 민주적 의사결정과 전문적인 판단력을 축소시켰다. 따라서, 「공원법」은 도시공원에 대한 환경과 권리에 관한 침해 속성이 내제 되었고 공원설치와 시민 이용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동시에 「공원법」은 도시공원의 특성과 개념을 정립하여 선도하기 위한 독립법으로 한계가 있었다.

      • KCI우수등재

        조경의 환경윤리에 대한 비판적 해석과 도덕적 위치 - 유진 하그로브의 '약한 인간중심주의'를 중심으로 -

        오창송,Oh, Chang-Song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2

        조경은 스스로 환경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환경윤리를 이론으로 흡수하였다. 그러나 환경윤리는 자연 보전에 집중한 나머지 조경을 인공물로 취급하며 도덕 대상에서 배척하였다. 그 과정에서 조경은 인간과 자연의 중도적 입장을 주장하나 도덕적 정체성을 의심하게 한다. 오히려 조경은 '자연의 대리인'으로 자처하며 '인간을 위한' 조경의 전통적 도덕관을 밀어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윤리의 비판적 해석을 통해 인간중심으로서 조경의 도덕적 위치의 재정립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환경윤리의 여러 분파 중 하그로브의 '약한 인간중심주의'는 조경처럼 자연미학을 윤리적 덕목으로 삼는다. 그러나 상이한 자연관 때문에 환경윤리는 조경을 비판적 대상으로 삼는다. 그러한 이유로 필자는 하그로브의 조경 비판 내용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반론을 도덕적, 미학적, 조경적 입장에서 살펴본다. 비판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자연은 존재 자체로서 미적이고 도덕적인 반면 조경은 모조품으로서 자연에 대한 완화된 태도를 취한다. (2) 자연은 자기창조적이기에 완전한 미적 실체인 반면 조경은 상상을 통해 인간적 결함을 감추는 설계된 자연이다. (3) 자연에 기술을 부여하는 환경관리는 무의미하기에 도덕적 허무주의를 발생한다. 이에 대한 반론으로 환경윤리는 '도덕적 자율성'을 배제하고 '도덕적 선'을 단순화함으로써 조경이 내포하고 있는 자연을 넘어선 도덕적 실천 능력, 창조와 상상의 폭 넓은 도덕적 의미, '돌봄'으로서 환경관리의 도덕적인 면을 간과하고 있다. 그 결과, 현실에서 자연의 문제는 인간의 삶과 분리할 수 없기에 더 이상 보전만이 미덕이 될 수 없다. 또한 조경은 '선한 삶'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중도적 위치보다는 인간중심적 도덕적 위치가 타당하다. The the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applies environmental ethics in order to secure an ecological status. However, environmental ethics that focus on nature conservation excludes landscape architecture as artifacts. In the process, it is hard to identify what landscape architecture insists on as the middle posi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Rather, landscape architecture pretends to be an 'agent of nature' and pushes the traditional moral values 'for peop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stablish the anthropocentrism moral posi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through critical analysis. Hargrove's weak anthropocentrism' of several environmental ethics branches accepts natural aesthetics(such as landscape architecture) as an ethical virtue. But environmental ethics makes landscape architecture a critical target. For that reason, this study looked into critical contents and objects that in a position to moral, aesthetic and landscape architecture. Critical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nature is an absolute as an aesthetic and moral value, but landscape architecture is an imitation and takes a relaxed attitude about nature. Second, nature is full of aesthetic substance because it is self-creative, but landscape architecture is designed nature covered human flaws through imagination. Third, environmental management granting techniques in nature generate a moral nihilism. As an argument, environmental ethics overlooked the moral practices of landscape architecture beyond nature another moral aspect of creation and the imagination-and moral aspect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s 'care' because they rule out 'moral autonomy' and simplify what is considered 'good.' As a result, conservation cannot be the only virtue why the problem of nature in reality cannot be separated from human life. The moral posi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based on a 'good life' is more appropriate under anthropocentrism than as a middle position.

      • KCI등재

        우리나라 구곡시가에서 나타난 조경 식물종의 상징적 의미

        오창송,박상욱 한국전통조경학회 202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8 No.2

        Gugok poems were an important material for studying the Gugok landscape garden(九曲園林). the landscape feature(景物)that emerges from poetry is an important material that expresses the sense of placefulness and garden consciousness(園林意識). However, many studies are passive about plant materials that can explore the perception of nature or the aesthetic embodiment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discover various symbolic meanings and reveal the context of plants that have appeared in Gugok poems in order to expand the research material of the Gugok culture.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e study, I collected a total of 25 related poems from 18 Gugoks and found a total of 20 species of trees. I used ‘R-program’ to derive the meaning of trees and examined the meaning of trees by intertextuality. According to the study, the 20 species of trees contained symbolic meanings of world of Taoist hermit, pursuit of study, constancy, true pleasure, dignity, honest poverty, reign of peace, nostalgia. Many species focused on the symbolism of the 'world of Taoist hermit' and then on the 'dignity' was the most frequent. A number of species, except for the peach, zelkova and oak, had multiple meanings. Among them, pine trees and lotus had a wide range of symbolic meanings and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While the Gugok culture generally targets natural scenery, Yongsan, Toegye, Deoksan, and Jusan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strengthening or reproducing symbolic meanings through artificial plating and gardening.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each tree, which symbolizes ‘Mureungdowon(武陵桃園)’, Gugok poems used maple trees and reeds as alternative specie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context, the trees appearing in the Gugok poems expressed their symbolic mean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andscape features, acts and purposes of the Gugoks, rather than sticking to the traditional meaning. 구곡시가는 구곡원림을 연구하는 중요한 소재이다. 특히 시가에서 출현하는 경물은 그 장소성과 원림의식을 표출하는 중요한소재이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인식 태도나 미적 형상화 과정을 탐구할 수 있는 식물 소재에 대하여 다수학문들은 소극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곡원림문화의 연구 소재를 확장하기 위해 구곡시가에 출현한 식물에 관한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발굴하고 그 맥락을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나는 총 18구곡처 25개의 관련 시가를 수집하였고 총 20종의 식물을 발견하였다. 본연구는 구곡 시가와 그 해설문을 R-program을 사용하여 수목의 의미를 도출하였고 상호텍스트성에 의한 수목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20종의 식물은 신선계, 청빈, 향수, 군자의 품격, 진락, 절개, 강학, 태평성대의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였다. 다수의 종은‘신선계’에 상징성을 집중하였고 다음으로 ‘군자의 품격’에 대한 싱징 빈도가 높았다. 복사나무, 느티나무, 떡갈나무 등을 제외한 다수의 수종이 다중적 의미를 갖추고 있었다. 그 중 소나무와 연꽃이 상징적 의미의 폭이 넓었고 주변 경관의 특성에 따라 의미도달랐다. 일반적으로 구곡문화는 자연경관을 대상으로 하지만 용산, 퇴계, 덕산, 주산구곡은 인위적인 배식 및 정원 행위를 통해 상징적 의미를 강화 또는 재생산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우리 구곡시가는 무릉도원을 상징하는 복사나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단풍나무와 갈대를 대체 수종으로 활용하였다. 이상의 맥락에 따라, 구곡시가에 출현하는 수목은 전통적인 의미를 고집하기보다는 해당 구곡의 경물, 행위 그리고 의도에 따라 그 상징적 의미를 다르게 표출하였다.

      • KCI우수등재

        계류형 수경시설의 지속가능한 운영 · 관리를 위한 설치방안 -전주 · 완주 혁신도시 실개천 용량과 설비계통을 중심으로-

        오창송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2

        Although planning techniques linking parks, green areas, and waterways have become common, there are frequent disruptions i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landscape-use artificial channels (LuAC).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a design to promote the sustainabl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 LuAC using rainwater for the streamlets of the Jeonju-Wanju Innovative City.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scenarios were set up by dividing the design into waterhead and waterway portions. First, the scenario regarding the waterhead was analyzed to calculate the water supply and storage required for the waterway and waterhea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waterway requires a water supply of 676.8 tons/months, 3,018 tons to 5,512 tons of storage space, and a water depth of 0.75 m to 1.37 m considering the ecological and landscape aspects. The second scenario is to select an effective system of facilities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LuAC. To accomplish this, a single-circulation system (SCS), which transports water to a highland location was compared to a multi-circulation system (MCS), which supplied water separately to each water space and operated independent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CS, which was operated independently by small power units, was more effective owing to the vast difference in water supply operation times. 공원녹지와 물길을 연결하는 조경계획기법이 보편화되었지만, 대규모 계류형 수경시설의 운영과 관리상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주․완주 혁신도시를 대상으로 빗물을 이용한 계류형 수경시설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운영을 모색할 수 있는 설치방안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수원지와 수로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첫째, 수원지에 관한 시나리오는 수로와 수원지에 필요한 유지용수량과 저장공간을 산정하기 위해 물수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로 부분 자체는 676.8톤/월의 급수가 필요하지만, 수원지의 생태적 또는 경관적 측면을 고려하여 3,018톤~5,512톤의 저장 공간과 0.75m~1.37m의 수심 유지가 요구되었다. 둘째, 수로에 관한 시나리오는 계류형 수경시설의 유지관리에 효과적인 설비의 계통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용수를 고지대로 압송하여 흘려보내는 단일순환계통과 각각의 수공간에 별도 공급하여 독립 운전하는 다중순환계통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규모 동력장치에 의해 독자적으로 운전하는 다중순환계통이 용수공급에 필요한 운전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김현옥 서울시장(1966~1970년)의 공원녹지 정책 경로에서 나타난 하이 모더니즘 특성

        오창송,김근호,Oh, Chang-Song,Kim, Keun-Ho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5

        본 연구는 서울 근대화의 주역인 김현옥 서울시장이 추진한 공원녹지 정책의 경로를 추적하고 그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의 공원녹지 정책 논의를 발전시키기 위해 하이 모더니즘의 관점을 투영하였다. 하이 모더니즘은 전후 도시재건사업에서 나타나는 불가피한 현상으로 국가 엘리트들에 의한 이상적 사회질서와 합리적 계획에 대한 신념의 형태로 출현하였다. 이것의 특징은 가독성 구축, 권력에 의한 신속성과 편의성, 민간 참여와 이익 창출, 그리고 건설되는 도시의 스펙타클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하이 모더니스트로서 김현옥 서울시장의 도시계획은 폭증하는 인구와 서울 영토의 확장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그의 공원녹지 정책은 서울 외곽으로 공원을 확장시켰고, 도심에 위치한 공원을 전용하는 이원적 태도를 보였다. 한편 공원조성을 위해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였지만 장소성을 소거하고, 관련 제도를 배제하는 근대화의 이면을 보여 주었다. 김현옥 시장의 공원녹지 정책의 경로는 인구증가에 대응하고 공원의 잠식을 해소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정책의 궁극적 목표는 도시계획 현실화를 수용하고 비재정방식 실험하는 것이었다. 하이 모더니즘을 반영한 그의 공원녹지 정책의 특성은 첫째, 국토계획학회, HURPI 그리고 장문기로 대표하는 엘리트들이 참여하였고, 둘째, 사방위의 축, 표고 기준 그리고 인구 예측을 반영한 합리적 계획에 의한 공원녹지의 가독성을 구축하였다. 셋째, 급격한 도시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신속하게 공원을 해제하였고 넷째, 민간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이벤트와 스펙타클을 과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path of policy for urban parks and greenbelts (PUPG) pursued by Seoul Mayor Kim Hyeon-ok, who was a protagonist of Seoul's modernization and to reveal the policy's characteristics. A high modernism perspective was projected to advance his PUPG discussion. High modernism was an unavoidable phenomenon that appeared in post-war urban reconstruction projects and emerged in the form of a belief that the national elite creates the ideal social order and rational planning. Its characteristics were to build with legibility, immediacy, and convenience by power, with private participation and profit creation, while realizing the spectacle of "the city being built". As a high-modernist, Seoul Mayor Kim Hyun-ok's urban planning aimed to deal with the booming population and the expansion of Seoul's territory. Although his PUPG extended the parks to the outskirts of Seoul, he showed a dualistic attitude, diverting parks away from the city center. On the other hand, he induced the participation of the private sector to create parks. However, he showed the other side of modernization, eliminating the placeness and excluding related systems. The path taken by Mayor Kim Hyun-ok's PUPG was started to respond to population growth and resolve the encroachment of parks. The ultimate goal was to accept the realization of urban planning and experiment with non-financial methods. The characteristics of his PUPG reflecting high modernism were: First, elites were represented in the National Land Planning Association, HURPI, and Jang Moon-gi participated; second, legibility was ensured by using east-west and north-south axes, elevation standards, and rational planning. Third, parks were quickly released to respond to the rapid urban change. Fourth, it showed off events and spectacles to attract private capital.

      • KCI등재

        우리나라 민간공원 관련 제도의 변천과 설치 및 관리의 과제

        오창송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ccumulated tasks of urban park by analyzing the historical causality of the park policy outcomes and private park systems in Korea.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eory was used as a framework for research to accomplish its purpose. In addition, the period classification was established during the Park Act (1967), the Urban Park Act (1980), and the Special Cases Concerning Private Park (2009) and the analysis factors were divided into park issues, system design, and policy tasks.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relevant system began in the form of a public contest and changed the landowner’s participation in the park projects and the incentive-based project promo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ivate park system in Korea was designed with the aim of indirect compensation to guarantee ownership of the private sector and expand its profits. The changes in the system were outwardly gently transformed. However, the policy choices were constrained by maintaining a two-sticked path internally: ‘landowner-centeredness’ and ‘park facility-centeredness’.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민간공원 제도와 정책 결과의 역사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누적된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제도의 맥락과 역사적 과정을 추적하는 역사적 제도주의 이론에 근거하여 연구의 틀을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시대구분은 공원법(1967년) 기간, 도시공원법(1980년) 기간, 민간공원 특례(2009년) 이후로, 분석 요소는 공원문제, 제도설계, 정책과제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관련 제도의 시행방식은 공모형식으로 시작하여 토지소유자의 공원사업 참여, 인센티브에 의한 사업추진 순서로 변천하였다. 한편 관련 제도가 민간 부분의 소유권 보장과 수익 확대와 같은 간접적 보상의 방향으로 설계되면서 민간 부분의 참여 저조, 공원시설의 단순화, 공원 환경성 침해와 같은 민간공원의 과제가 누적된 상태였다. 또한 민간공원 관련 제도의 변화는 외적으로 완만한 변형을 보여주었지만, 내적으로 ‘토지소유자 중심주의’와 ‘공원시설 중심주의’ 두 갈래의 고착된 경로를 유지하면서 정책적 선택을 제약하고 있었다. 따라서 토지 소유 이외의 다양한 민간참여에 의한 도시공원 설치 및 관리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 KCI우수등재

        조경공사에서 안전분위기와 안전행동에 대한 조경기술자들의 인식 - 조경시공자와 조경설계자를 대상으로 -

        오창송,심지수 한국조경학회 2023 韓國造景學會誌 Vol.51 No.4

        현재 우리나라 건설안전 정책은 설계단계에서 안전성 검토를 유도하고 근로자의 안전에 대한 인지와 태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었지만, 조경분야는 현황 파악조차 못 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우리나라 조경공사 건설사고 현황을 살펴보았고, 둘째 조경시공자와 조경설계자의 조경공종 안전분위기와 안전행동에 대한 인식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두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1)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에 접수된 조경공사의 사고는 시설종류와 관련하여 민간이 발주한 공동주택공사에서, 조경공정과 관련하여 식재공에서 절반 이상 발생하였다. (2) 조경설계자가 조경시공자보다 조경공종 안전분위기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그중 안전태도, 작업위험, 작업참여, 작업압박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확보하지 못하였지만, 조경설계자들은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으나 구체적인 행동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3) 마지막으로, 조경시공자들은 설계단계에서 안전성 검토에 대한 중요성을 타 항목보다 낮게 인식하였다.

      • KCI등재후보

        폴드 개념을 이용한 환경설계방법 연구 - 도산공원 재설계를 사례로 -

        오창송,조경진 한국조경학회 2002 韓國造景學會誌 Vol.30 No.2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the practice in the design field often reduced the complexity of environment and to remove variety. However, contemporary ideas of space have been changed. The current thought premise is that the environment is mutable and is evolving according to inner and outer forces and elements. Therefore, leading designers recognize that the environment is complex in itself while anticipating a new theory explaining on-going trends. The idea of fold formulated by Gilles Deleuze can provide a theoretical base for new environmental design in constrat to current design practices. The fold is a hybrid by accommodating complex relations within an object. It carries a dynamic world view through continual process and yields a topological space against absolute space like Euclid geomet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d can be paraphrased as rhizome, stratification and smooth space. Rhizome forms a non-hierarchial connection like networking in internet space. Stratification is a kind of superimposition of autonomous potential layers within a single object. Smooth space is a free space and event oriented space keeping non-linear form. This study tried to incorporate the idea of fold to environmental design methods and design process in order to make space which can correspond with complex environment and topological form. In the design process adapted to fold theory, rhizome analysis accepts the complexity of environment and stratification strategy embraces the possibility of accidental use. As a result, the designed park carries a monadic image and produces an ambiguous space. Lastly, smooth space makes topological space unlike Euclid geometry and is free space comosed by the user themselves. Transporting the idea of fold into environmental design could be an alterative way for indeterminate and flexible design to accept new identity of place. Therefore, this study accepts the concept of incidental morphogenesis to make space based on the complexity of environment. The designed space based on the idea of fold searches to create free event space determined by user rather than designated by designer.

      • KCI등재

        안전문화에 대한 조경시공기술자들의 인식과 특징

        오창송,심지수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3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9 No.4

        In recent years, our society has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safety of construction sites. In line with this social trend, the current study aims to not only analyze the perception of the safety culture of landscape construction engineers (LCE) but also derive its characteristics. Safety culture is a product of individual and group values, attitudes, competencies, and behaviors, and it determines the commitment, style, and proficiency of an organization’s health and safety programs. Based on this concept, we used Cooper’s safety culture model as a research framework, divided it into person, situation, and behavior components, and conducted a 5-point scale response survey for LC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person and situation” and “behavior.” Second, safety cultu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LCE working in the specialty and general construction industries were found in each area. Third, the perception of safety culture was not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landscape construction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safety accident witnesses. Fourth, the situation form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behavior.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nalysis result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 sized landscape construction industries that require the expertise and social phenomenon that safety agents are expanding.

      • KCI등재

        조경시공현장 ‘설계 안전성 검토(DfS)’에 대한 조경설계사의 인식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오창송,남진보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3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9 No.4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recognition of safety issue in the context of landscape construction. Accordingly the government introduced a Design for Safety (DfS) in 2016, and will timely enforce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in 2024. This means that DfS will become an important part of landscape designer’s work. However, there has been not enough an wide range of discussion between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and academi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basic data on landscape construction DfS by firstly collecting and draw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construction accident cases, secondly testing the perceptions of landscape designers and lastly proposing overarching issues to develop both the acts. To address the aim, we designed a questionnaire for landscape designers based on the ‘Design for Safety Work Manual’ provid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s a result, (1) the number of accidents in landscape construction under DfS application was low. (2) Landscape architects had a high perception of all DfS-related items, bu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andscape design experience and additional safety reviews in design process. (3) Landscape architects considered the need for th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of the owner-designer-constructor in order to carry out the DfS work properly and effectively. (4) Landscape architects strong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afety-related cost and time. In order to encourage the perception of Df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ch issues such as minimizing the burden on landscape architects’ additional process, making cooperative work between an owner-designer-constructor mandatory and employing BIM design process will have to be addre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