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면 포장색채에 대한 한중 소비자들의 수용도 비교 융합연구 - 매운 맛 라면 포장을 중심으로 -

        오자홍(Wu, Zi Hong),김영삼(Kim, Yong Sam)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2

        본 연구는 라면의 포장색채 수용도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중 양국 소비자들의 라면 포장색채에 대한 수용도 차이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증연구법을 사용하여 한중 양국의 라면 포장색채에 대해 비교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라면 포장색채에 대한 한중 양국 소비자들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수집한 자료들에 대해 문항묶기(item parcel) 및 T-test 등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매운 맛을 대표하는 라면 포장색채에 대한 수 용도 차이에 있어 중국 소비자들이 수용할 수 있는 색채종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매운 맛을 대표하는 라면 포장색채에 대한 한국 소비자들의 수용수준은 비교적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장 수용도가 높은 색채는 빨간색(M=4.614)과 검정색(M=4.100)으로 나타났고 가장 수용할 수 없는 색채는 초록색(M=1.986)과 파란색(M=1.786)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운 맛 라면의 포장색채에 대한 개인적인 수 용도 차이에서 한국 소비자들은 빨간색과 검정색에 대한 수용수준이 중국 소비자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유의확률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하다. 반면 중국 소비자들은 초록색과 파란색에 대한 수용도가 한국 소비자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의확률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라면기업이 한중 시장을 위한 라면 포장색채를 디자인할 때 실제적인 참고적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하며 한중 라면 포장색채 이론 및 실증연구에 대한 선행연구의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starts with the color acceptance of the packaging of Ramen, and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color acceptance of Ramen packag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herefore, this paper conducts empirical research to analyze the colors of Korean and Chinese Ramen packaging, and adopts questionnaire survey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the color acceptance of Ramen packag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item parcel and T-tes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ver all differences in the color acceptance of spicy Ramen packaging, the color species of spicy Ramen packaging which Chinese consumers can accept are more than those accepted by Korean consumers. On the contrary, the accepting advises on colors of spicy packaging are relatively concentrated, red(M=4.614) and black(M=4.100) are the most acceptable, and the most unacceptable are green(M=1.986) and blue(M=1.786). Second, in terms of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color acceptance of spicy Ramen packaging, Korean consumers have higher acceptance level of red and black than Chinese consumers,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while Chinese consumers’ acceptance level of green and blue is higher than Korean consumers,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The abov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practical reference by Ramen enterprises to design Ramen packaging colors for Korean and Chinese markets, and make up for the deficiencies in previous scholars’ color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of Korean and Chinese Ramen packaging.

      • KCI등재

        라면 포장형태에 대한 한중 소비자들의 기호 차이 비교 분석 : 대학생 그룹을 중심으로

        오자홍(Wu, Zi Hong),김영삼(Kim, Yong Sam)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1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도 점차 변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는 한국 라면기업이 세계시장을 진일보 확장하는데 큰 상업적인 기회를 마련해주고 있다. 중국은 한국 라면의 주요 수출국가인 동시에 한국의 각 라면브랜드 기업들이 다투어 확장하는 주된 해외시장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라면 포장형태에 대한 한중 양국 소비자들의 기호 차이를 주제로 하여 실증연구법을 사용하여 설문조사 및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두 개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 단계에서는 시장조사법을 사용하여 라면포장의 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라면포장에 대한 한중 소비자들의 기호 차이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해 한국 소비자들은 중국 소비자들에 비해 라면포장의 형태 기호에서 대부분 현저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조사에 의한 전체적인 상황에서 볼 때, 한국 라면은 컵형 혹은 봉지형의 포장형태가 위주이다. 반면 중국 라면은 컵형, 봉지형, 사발형의 포장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국물라면의 포장형태에 대한 전체적인 기호 차이에서 한국 소비자들은 봉지형을 선호하였고 중국 소비자들은 용기형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물없는 라면의 포장형태에 대한 전체적인 기호 차이에서 한중 양국 소비자들은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모두 용기형 라면포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두 가지 유형의 라면 포장형태에 대한 전체적인 기호 연구에서 라면의 식용방식은 라면포장의 형태에 대한 한중 소비자들의 기호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설명해주고 있다. 셋째, 용기형 포장의 기호 수준에서 국물라면과 국물없는 라면의 포장형태에 대한 양국 소비자들의 기호는 모두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기호수준의 배열순위 결과에서 보면, 한국 소비자들은 컵형을 가장 좋아하고 중국 소비자들은 사발형을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중 시장에서의 라면포장 형태의 차이와 실제 형태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호는 일정한 연계성을 가진다는 것을 설명해준다. 본 연구결과는 라면기업이 한중 시장을 위한 라면 포장형태를 디자인할 때 실제적인 참고적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하며 한중 라면 포장형태 이론 및 실증연구에 대한 선행연구의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the coming of the post epidemic era, consumers’ lifestyles have changed gradually, which provides a great business opportunity for Korean instant noodles to further expand their global market shares. China is not only a major importer of South Korean instant noodles, but also a major overseas market for various Korean instant noodle brands. Themed on the discussion about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preferences toward instant noodles’ packaging shapes, this research adopts the method of empirical studying to carry out questionnaire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compared with Chinese consumers, most Korean consumer shave significantly different preferences toward instant noodles’ packaging shapes, which can be reflected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based on the overall conditions of market investigations, Korean instant noodles are mainly cup or bag-shaped while Chinese instant noodles are mainly cup, bag or bowl-shaped. Secondly, from the perspective of overall differences among preferences toward the packaging shapes of soup noodles, Korean consumers prefer the bag-shaped ones while Chinese consumer prefer container types. From the point of overall preferences toward the packaging shape of dry noodles with sauce,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consumer, whereas they all prefer the packaging of container types. Thirdly, from the perspective of preferences toward different container type packaging,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th countries, no matter for soup noodles or dry noodles with sauce. It can be seen from the preference sequencing that Korean consumers like the cup-shape noodles most while Chinese consumers most like the bowl-shape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