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의레질리언스 영향요인

        오은정,오세영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 affecting resilience of the mentally disabled in community. For this purpose, 233 mentally disabled people receiving rehabilitation treatment in 8 rehabilitation facilities, mental health centers, and psychiatric clinic in 4 cities, korea were analyzed. The data analysis di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distributed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20.0 for window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ilience showed a significant amount of correlation with respect to self esteem,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In contrast, psychiatric functions and symptoms indicated a meaningful correlation in the lower regions of the spectrum between everyday lif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depression anxiety. Impulsive behavior and mental symptoms indicated in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it has been analyzed that self-esteem,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and social skills of psychosocial function·symptom have been analyzed as factors affecting the mentally disabled resilience, and these factors account for 34% of the resilience. Based on these finding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measures to enhance the mentally disabled resilience should be sough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program for enhancing the self-esteem,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daily life.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의 레질리언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4개 도시에 있는 8곳의 사회복귀시설,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과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정신장애인 233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0.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레질리언스는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사회적 지지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정신사회적 기능·증상은 하위영역에서 일상생활수행기술,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 우울 및 불안이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충동 및 탐닉행동과 정신병적 증상은 무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사회적 지지와 정신사회적 기능·증상의 하위영역 중 일상생활수행기술이 정신장애인의 레질리언스에영향 미치는 요인으로는 분석되었으며, 이들 요인은 레질리언스를 3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레질리언스를 강화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사회적 지지와 일상생활수행기술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재후(災後)의 시공간에 울려 퍼지는 ‘부흥’이라는 주문(呪文):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부흥의 사회 드라마와 느린 폭력

        오은정 한국문화인류학회 2020 한국문화인류학 Vol.53 No.3

        This article reviews the concepts presented in the latest anthropology of ecology and anthrop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purposing to analyze the temporal–space of disaster aftermath of 10 years since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accident in 2011. The topics are as follows. First, it takes a close look at the concepts of ‘disaster capitalism’ and ‘disaster utopia’ which are two opposing views that suggest the possibility of change after a disaster breaking down the existing order and the emergence of a new society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It examines the disaster– specific reconstruction process in the town of Tomioka(Tomioka–cho, 富岡 町), known as Fukushima ‘Genshiryoku Mura’(the atomic village). Seco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atomic village, where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is located, is reviewed in the dynamics of “the poetry of infrastructure” and the politics surrounding them. In the 20th century, nuclear power plant technology produced a specific population group with various political and economic differences and ‘cheap nature’ in the process of building infrastructure for technology–politics–capital–society systems. The infrastructure acts as a factor that strengthens dependency on nuclear complexes in the Fukushima region and constrains social changes after the accident. Third, it examines the Fukushima Daiichi accident’s effects from the perspective of ‘slow violence.’ Slow violence is not only the critical concept in reviewing long–term effect of invisible environmental pollution but also connects the concept of ‘inter–scalar vehicles’ to investigate its applicability as an experiment necessary to analyze the multiple aspects of lives in the contaminated region. Fourth, it looks into the citizen science activities including radiation measurement, which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restoring the lives of people living in contaminated areas, in terms of citizens’ potential activities or resistances against slow violence. Will the hope that the social drama of reconstruction in the temporal space of disaster produce stories of alternative possibilities, not division or deteriora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reviewing Fukushima Daiichi accident, the most disastrous accident in recent history, and its aftermath provides a way to find the answer and also the way to ask more questions. 이 글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10년 동안. 이 재난/재후(災後)의 시공간에서 펼쳐진 ‘부흥’의 사회 드라마를 최근의 생태인류학, 과학기술인류학에서 제시된 분석 개념을 통해 검토한다. 하부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이 지역에서의 삶에 가져오는 변화와 기존 질서의 재구축 과정을 재난 자본주의와 재난 유토피아의 개념을 통해 살펴본다. 또한, 이를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부흥의 시험대로 내세워진, 원전마을 도미오카의 재난 특이적 부흥 과정에서 검토한다. 둘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의 부흥과정을 ‘인프라의 시학’과 정동 정치의 역동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한다. 20세기의 원자력 기술은 기술–정치–자본–사회체계의인프라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정치사회 및 경제적 차이를 가진 인구집단과 ‘값싼 자연’을 생산했는데, 이는 후쿠시마 지역의 원자력 복합체에 대한 의존을 강화하고 원전 사고이후의 사회변화 가능성을 제약/가능하게 하는 요소로 작동한다. 셋째, 후쿠시마 원전 사고이후, 방사능의 장기 영향을 느린 폭력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느린 폭력은 피폭과 같이 비가시적인 환경 오염의 장기적 영향을 검토하는데 핵심적인 개념일 뿐만 아니라, 오염지역에서의 삶을 다중적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 스케일 간 매개체 개념과도 연결된다. 넷째, 오염지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을 복구하는 데 가장 중요한 준거가 된 방사선량 측정과 관련된 시민 활동의 의의를 느린 폭력에 대항하는 잠재적인 형상화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본다. 재난/재후의 시공간에서 펼쳐진 부흥의 사회 드라마가 분열이나 악화가 아닌 대안적가능성의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희망을 말할 수 있는가. 후쿠시마는 답을 찾아가는길이기도 하고 또 다른 질문을 던지는 방법이기도 하다.

      • KCI등재

        전층 감염 화상창상에 대한 신개발 알지네이트의 치유효과 비교

        오은정,이정우,임현주,최진현,편도기,이수복,정동준,김태정,정호윤 한국생체재료학회 2010 생체재료학회지 Vol.14 No.1

        We divided the Sprague-Dawley rats into three categories by types of wound model which was fresh surgical wound,3rd degree burn wound, and infectious wound and three different types of wound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dressing material: Group A with new developed Alginate dressing materials, Group B with Algisite M as a positive control group, Group C with gauze as a negative control group. We compared each group with gross findings by tracing he remained wound, histological and bimolecular test on each time periods. This study suggest a new developed alg-nate dressing materials induced stable re-epithelization and collagen synthesis in the wound healing process, and are considered as effective biologic dressing materials.

      • KCI등재

        미혼모의 양육 스트레스 영향요인: 우울, 사회적 지지, 건강지각을 중심으로

        오은정,김혜영,Oh, Eun Jeong,Kim, Hye Young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018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4 No.2

        Purpose: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arenting stress of unmarried moth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108 unmarried women who were parenting their children under the age of six. The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5, 2016 to March 5, 2017. The instruments consisted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at included93 items: 21 on depression, 16 on social support, 20 on health perception, and 36 on parenting str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were health perception (${\beta}=-.55$, p<.001), evaluative support (${\beta}=-.42$, p=.005), informative support (${\beta}=-.35$, p=.040), emotional support (${\beta}=-.24$, p=.045), partner support (${\beta}=-.20$, p=.048), and depression (${\beta}=.14$, p=.033),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57%. Conclusion: In order to alleviate the parenting stress of unmarried moth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considering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of unmarried mothers. Their subjective assessment of their health can increase or decrease their parenting stress,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parenting-stress intervention focusing on health perception.

      • 영어 비대격 동사, 비능격 동사 관련 오류 및 학습 방안

        오은정,김민정 상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科學硏究 Vol.23 No.-

        본고의 목표는 의미적, 통사적 자질을 바탕으로 영어 자동사가 비대격 동사(unaccusative verb)와 비능격 동사 (unergative verb)로 양분화된다는 비대격 가설(Unaccusative Hypothesis)를 배경으로 이 두 종류의 자동사의 문법적 특성을 고찰해 보고 이를 토대로 영어 자동사부류 학습 및 습득에 제기되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이러한 문제 제기를 배경으로 고등학생 대상으로 이들이 비대격 동사와 비능격 동사를 통사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지를 문법성 판단 실험을 통해 검증해 보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 비대격 동사, 비능격 동사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인류세의 재난과 유산의 존재론: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유산의 해체와 재조합

        오은정 한국문화인류학회 2023 한국문화인류학 Vol.56 No.2

        In traditional heritage studies, heritage is viewed as something that must be preserved and managed following the principle of maintaining its original form. On the other hand, disasters are recognized as the biggest threat, capable of damaging the value of heritage. However, this simplistic dichotomy between heritage and disaster, representing extremes of preservation and destruction, is now being challenged in the era of the Anthropocene. In this new era, the ontology of disasters and heritage demands a reevaluation beyond the discourse of merely p reserving heritag e from t he t hreat of d isasters. This study addresses the need to reconsider the two seemingly incongruous categories of ‘heritage’ (to be preserved and managed) and ‘disaster’ (which destroys the existing order)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ontology. This perspective arises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greatest legacy that mankind will leave for the next generation is the extensive destruction wrought by various environmental crises and natural disasters, which are combined with technical failures, war, terrorism, and the resulting destruction and waste on a large scale. This is illustrated by the events of the March 11, 2011 earthquake, tsunami, and subsequent nuclear explosion in northeastern Japan. The disaster provides examples of two problems: first, the destruction of the leg acy of t he m ixed n atural a nd t echnolog ical d isasters, and second, the destruction of the legacy itself. The following case study on t he d estruction, preservation, a nd h eritag e in J apan a fter t he disastrous events of 2011, to explore whether heritage can serve as a medium to envision an alternative future for a more resilient community in the context of a disaster-prone modern society. These practices are regarded as the processes of “open dynamics,” wherein they are reinterpreted and translated to serve the interests of diverse stakeholders and citizens, including individuals, communities, countrie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GOs. 전통적인 유산 연구에서 유산은 원형 그대로 유지한다는 원칙 위에서 보존⋅관리되어야 하는 존재로 위치 지워지며 재난은 유산의 가치를 훼손하는 가장 큰 장애물로 인식된다. 그러나 보존과 파괴의 극단을 상징하는 이러한 유산과 재난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는 인류세(Anthropocene)라는 새로운 시대적 도전 앞에 놓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인류세 시대의 재난과 유산의 존재론을 다시 물어야 한다는 요구는 단순히 재난으로 유산이 보존의 위기에 처했다는 담론 이상이다. 본 연구는 보존되고 관리되어야 하는 것으로서의 유산(heritage)과 현존하는 질서를 무너뜨리고 파괴하는 것으로서의 재난(disaster)이라는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두 범주가 관계론적 존재론(relational ontology) 의 관점에서 새롭게 고찰될 필요가 있다는 데서 시작한다. 그것은 현재의 인류가 다음세대에 남기게 될 가장 큰 유산이 바로 다종다양한 환경 위기와 자연재해, 자연재해가기술적 실패와 결합해서 나타나는 복합 재난, 전쟁과 테러 등으로 인한 광범위한 파괴그 자체이며, 이러한 재난으로 파괴되거나 폐허가 된 장소, 그리고 거대한 폐기물이 유산이 되어가고 있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지방에서 발생했던 대지진과 쓰나미, 그리고 이어진 원자로 폭발 사건은 이 두 개의 문제, 즉 자연재해와 기술재해가 뒤섞인 인류세의 복합 재난이 가져온 유산의 파괴, 그리고 파괴된 것그 자체의 유산화 문제가 서로 중층적으로 얽혀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선명한 예시다. 본 연구는 2011년 동일본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에서 진행된 유산의파괴와 보존, 재난의 유산화에 관한 사례연구를 통해 재난이 일상화된 현대사회에서 유산이 더 나은 공동체를 위한 대안적 미래를 상상하는 매개자로 존재할 수 있는가에 관한 물음을 탐구한다. 파괴된 유산의 보존과 재난의 유산화를 위한 여러 실천은 이를 둘러싼 개인, 공동체, 국가, 국제기구, NGO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들과 시민들의 관심, 그리고 유산화 되거나 보존되어야 하는 비인간 사물의 관계 속에서 재해석되고 번역되는열린 동학(open dynamics)의 과정이다.

      • 2014학년도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생생활연구

        오은정,김민선,정소라 상명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015 학생생활연구 Vol.28 No.-

        1. 연구배경 본 2014 학년도 실태조사는 상명대학교 신입생들의 적응을 도모하고, 자아성장과 개발을 통하여 상명인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양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2. 연구내용 본 실태조사에서는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생활환경, 대학생활, 학업 및 진로, 본교에 대한 태도, 일상생활과 관련된 6가지 항목을 살펴보았다. 3. 연구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일반적 특성 ㆍ본 실태조사에는 1,408명의 신입생들이 참여하였으며 그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0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1.398 명의 자료를 분석함. 남학생 581 명(41. 6%), 여학생 815명(58.3%), 무응답 2명(0.1%) 이 참여함. 신입생 44.8% 가 출신 고등학교 소재지가 서울로 나타났으며, 62.1% 가 졸업한 해에 입학한 학생으로 조사됨. ○ 생활환경 ㆍ신입생들의 통학지역을 살펴보면 경기 지역에서 통학하는 학생 비율이 35.0% 로 가장 높았으며, 통학시간은 1시간-1시간 30분이라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이 39.4%로 가장 높았음. 신입생의 53.5% 가 스스로 중류계층이라고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대학 재학 중 학비 및 생활비 부담과 관련해서 85.5% 가 부모가 이를 부담한다고 응답함. ㆍ38.6% 의 학생들이 가족 분위기가 화목한 편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부모와의 심리적 거리와 관련해서는 ‘가깝다’혹은 ‘매우 가깝다’고 지각하고 있는 학생들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ㆍ부모와의 의견 차이와 관련해서는 39.5% 가 생활습관에서 의견차이를 가장 많이 경험한다고 응답함. ○ 대학생활 신입생의 86.7% 가 오리엔테이션에 참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8.8% 가 만족도에 대해서 ‘그저 그렇다’고 응답함. ‘매우 불만족스럽다’거나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이유와 관련해서 동기 및 선배와의 친목시간 부족 34.7%, 프로그램의 문제 29.6% 를 주요하게 언급함. 입학 후 가장 힘들었던 점에 대해서 25.1% 가 친구 사귀기, 24.6% 가 학교에 대한 정보부족, 20.8% 가 수강신청을 선택함. ㆍ현재까지의 대학생활 만족도와 관련해서 5점 리커트 척도로 평정했을 때 3.44 정도의 평균을 보고함. 단과대학별로 살펴보면 사범대 학생들이 예년과 동일하게 가장 높았고, 미래창조산학대학(군사학과), 인문사회과학대, 소프트웨어대, 경영대, 자연과학대, 음악대, 조형예술대 순으로 나타남. ○ 학업 및 진로 ㆍ수업시간 이외에 하루 평균 공부하는 시간에 대해서는 37.5% 가 1시간 미만이라고 언급하였으며, 대학공부를 하면서는 시험공부 방법 (39.7%), 리포트 작성 (26.3%), 발표 및 토론 (20.5%) 등에 대해서 어려움을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남. 소속학과 지망 동기에 대해서는 53,7% 가 적성과 흥미에 맞춰서 지원했다고 응답하였으며, 자신의 전공 분야, 강의 내용 또는 전망 등에 대해서 49.3% 가 보통정도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전공에 대한 확신 역시 보통이라고 응답한 학생들이 36.5% 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ㆍ부전공, 다전공(연계전공 포함)이나 전과를 할 의향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34.9% 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과반수에 가까운 49.8% 가 다전공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남. 취업과 관련해서 25.0% 의 학생들의 국가기관(공무원 포함), 18.9% 의 학생들이 대기업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남 취업을 하려는 이유와 관련해서 52.7% 의 학생들의 적성과 흥미에 맞아서라고 응답함. ○ 본교에 대한 태도 ㆍ신입생들에게 본교를 선택하게 된 동기를 질문한 결과 67.1% 가 성적에 맞춰서를 선택했으며, 본교 지망 결정 시기와 관련해서 43.0% 의 신입생들이 원서접수 기간에 결정한 것으로 나타남. ㆍ본교에 대한 정보를 접한 매체로는 46.9% 가 본교 홈페이지라고 응답함. ㆍ본교에 대한 자부심에 대해서는 53.5% 가 보통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본교의 낮은 사회적 인지도 59.6% 가 가장 불만스럽다고 응답함. 본교 인지도 상승과 이미지 개선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대학의 질적 수준 강화 (63.6%) 를 우선적으로 바라는 것으로 나타남. 본교에 바라는 점으로는 대외 이미지 개선이 43.9% 로 가장 많았으며. 복지시설 30.7%, 교육환경 25.4%의 순으로 나타남. ㆍ본교 홍보를 위해 필요한 사업으로는 우수인재 양성 49.8% 이라고 언급한 학생들이 가장 많았으며, 본교 홍보를 위한 적절한 매체로는 인터넷 포털광고를 35.4%, 대학홍보브로슈어를 34.7% 로 많이 언급함. ○ 일상생활 ㆍ신입생들이 입학 후에 갖게 되는 걱정거리를 물어본 결과 학교공부 (29.4%), 시간관리(23.9%), 진로 및 취업 (23.8%), 학자금 조달(14.5%) 의 순으로 나타남. ㆍ개인적인 문제의 의논상대로는 친구 (38.5%) 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어머니(34.8%) 라고 응답한 학생들이 많았음. 학생상담센터에 기대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질문한 결과 개인상담 (43.7%) 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성폭력 상담센터와 관련해서 성 교육 시 가장 알고 싶은 점으로는 피임, 임신, 낙태관련 교육 (41.3%) 을 가장 많이 선택함.

      • KCI등재

        “완전 왜년이지, 왜년으로 살았제”: 히로시마 재일조선인 1.5세·2세의 귀환 서사와 해방공간

        오은정 한국문화인류학회 2018 한국문화인류학 Vol.51 No.2

        After World War Ⅱ, more than two million people returned to their homeland, Korea, from Japan, Manchukuo, and the battlefields in the Asian Pacific area. Among them, it was reported that over ten thousand migrants were repatriated from Hiroshima and Nagasaki to the liberated Korean Peninsula. While preceding studies of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have focused on their experience of victimization, their historical migration experiences were rarely given attention by social scientists. As the new national governance was reordered following the collapse of Imperial Japan, the returnees were represented as natural member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new nation.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on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return migration experiences based on the analyzing their family registries and life history interviews, this paper traces how their identities and sentiments toward the homeland were intertwined with their life experiences and sociocultural networks which they had built in colonial Japan. In spite of the national integration propaganda, the returnees from Japan were often discriminated against as pro–Japanese, and were sometimes excluded fromsociocultural reintegration at the community level because of anti–Japanese nationalistic sentiment.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period of 1945 Liberation of Korea needs to be studied more critically and ethnographically, not as an integrated space of nationalistic purity to be taken for granted, but as a differentiated, subtle place in which sociocultural identities conflict. 본 연구는 재일조선인 1·5세, 2세로서 일본에 거주하다가 해방후 ‘고국’으로 귀환한 한국원폭피해자들의 호적과 생애구술사면담 자료를 분석했다. 그간 한국원폭피해자들의 피해자됨에 대한 많은 사회과학적 연구가 있었지만, 해방 후 한국으로 이주해 온 ‘귀환자’로서의 경험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또 귀환자 연구 분야에서는 제국의 붕괴, 동아시아의 국민국가간 경계 질서와 지배권력이 새롭게 재편되던 시기의 정치적 구획과 민족적 정체성 문제에초점이 맞추어지며, 이 시기의 대규모의 이주과정과 정치적 차별과정을 각각의 국가에 귀속될 귀환자들이 소속국에 통합될 당연한 성원인 것으로 표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한국원폭피해자들의 역사를 귀환이주사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면, 식민본토였던 일본이무조건적인 ‘두려움’의 공간도, ‘조국’이 독립과 해방을 맞아 당연하게 돌아가야 할 ‘막연하지만 열렬했던 환상과 기대’의 장소로 기억되지만은 않는다. 특히 피식민이주자 2세들의 귀환서서에서 ‘고국’은 새로운 이주로 생겨날 두려움과 우려를 불러일으키는 ‘낯선 이향(異鄕)’ 으로 회상되곤 했다. ‘해방 공간’도 패전을 맞은 제국 일본의 ‘전후 공간’도, 국민국가와 민족이라는 경계만을 통해 서로를 완전히 타자로 적대시하는 순전무결한 ‘통합성의 공간’이 아니라, 여러 다층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며 정치적·사회문화적 부딪침과 갈등이 모이고 분기하던 ‘낯선 공간’이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는 해방 공간에 대한 연구가 국가와 민족을 경계로 하는 전형적 구도와 담론들에 균열을 낼 역사인류학적 상상력의 개입을필요로 함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