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Effect of lonizing Radiation on the Host Resistance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Infection and the Cytokine Production in Mice

        오윤경,장미영,강인철,오종석,이현철,Oh, Yoon-Kyeong,Chang, Mee-Young,Kang, In-Chol,Oh, Jong-Suk,Lee, Hyun-Chul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3

        목적 : 방사선조사가 세포내재성 병원균인 Listeria monocytogenes (LM)의 감염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감염면역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대식세포에서의 $TNF-\alpha$ 및 Nitric oxide (NO) 생산능의 변화와 비장세포에서의 $IFN-\gamma$ 및 IL-2생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실험동물로는 BALB/c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Co-60 원격치료기를 이용하여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LM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서 방사선조사 1일후 $10^5$의 LM균을 복강내에 주사하고 1일, 3일, 5일후에 비장조직에서 LM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방사선조사가 마우스의 생체내에서와 시험관내에서의 $TNF-\alpha$의 생산능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서 각각 LPS로 유도하여 L929/Actinomycin D assay에 의해 $TNF-\alpha$량을 측정하였다. $IFN-\gamma$의 생성능은 방사선조사후 비장을 적출하여 비장세포액을 제조하여 Concavalin A (Con-A)로 자극한 후 정량검사를 하였다. IL-2의 생성능은 $IFN-\gamma$실험에서와 같이 비장세포를 얻어서 Con-A로 자극하여 CTLL-2세포의 성장촉진능력을 관찰함으로써 판정하였다. 방사선조사가 복강내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는 NO에 미치는 영향도 관찰하였다. 결과 : 방사선 (300cGy)을 조사한 군에 LM을 감염시킨 1일후 비장으로부터 검출되는 생균수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감염 3일 5일후의 생균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오히려 증가하였다. 시험관내 복강대식세포에 방사선 (100-850cGy)을 조사하면 1일후 생산되는 $TNF-\alpha$의 양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방사선조사 (100-600cGy) 5일후 수집된 복강대식세포에 의한 $TNF-\alpha$의 생산은 오히려 감소하였고. 방사선조사 (300cGy)후 LM감염시 5일후 유도된 생체내 $TNF-\alpha$의 생산도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방사선 (300cGy)을 조사한 마우스로부터 적출한 비장세포로부터 생산되는 $IFN-\gamma$와 IL-2의 양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NO의 양은 100cGy 및 300cGy조사시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그 이상 조사량을 증가하면 점차 감소하였다. 결론 : 방사선조사후 세포내재성 병원균인 LM감염에 대한 초기 저항성의 증가와 감염중반이후의 저항성 감소는 대식세포에서의 초기 $TNF-\alpha$ 생산능 증가후 감소, 그리고 T림프구에서의 $IFN-\gamma$및 IL-2 생산능 감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qualitative immunologic changes by ionizing radiation. we studied the altered capacities of the macrophages and lymphocytes to produce cytokines in conjunction with resistance to Listeria monocytegenes (LM) infection in mice Materials and Methods : BALB/c mice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used. The mice were infected intraperitoneally with $10^5LM$ at 1 day after irradiation (300cGy) and sacrificed at 1, 3, 5 days after infection, and then the numbers of viable LM per spleen in the irradiated and control group were counte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feron-gamma ($IFN-\gamma$). interleukin-2 (IL-2), and nitric oxide (NO) were assessed after irradiation. Results : Under gamma-ray irradiation with a dose range of 100-850cGy, the number of total splenocytes decreased markedly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le peritoneal macrophages did so slightly Cultured peritoneal macrophages produced more $TNF-\alpha$ in the presence of lipopolysaccharide (LPS) during the 24 hours after in vitro irradiation, but their capacity of $TNF-\alpha$ Production showed a decreased tendency at 5 days after in vivo total body irradiation. With 100cGy and 300cGy irradiation, cultured peritoneal macrophages produced more NO in the presence of LPS during the 24 hours after in vitro irradiation than without irradiation. Activated splenocytes from irradiated mice (300cGy) exhibited a decreased capacity to Produce IL-2 and $IFN-\gamma$ with Concavalin-A stimulation at 3 days after irradiation. When BALB/c mice were irradiated to the total body with a dose of 300cGy, they showed enhanced resistance during early innate phase, but a significant inhibition of resistance to LM was found in the late innate and acquired T-cell dependent phase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99es1 that increased early innate and decreased late innate and acquired immunity to LM infection by ionizing radiation (300cGy) may be related to the biphasic altered capacity of the macrophages to produce $TNF-\alpha$ and the decreased capacities of the lymphocytes to produce IL-2 and $IFN-\gamma$ in addition to a marked de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cells.

      • SCOPUSKCI등재

        폐 편평세포암에서 자발성 아포토시스와 원격전이

        오윤경,기근홍,Oh Yoon-Kyeong,Kee Keun-H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3

        목적 : 폐암 환자의 대부분은 진단 당시 수술을 받을 수 없는 병기로 발견되기 때문에 수술 조직이 아닌 기관지내시경 조직에서 자발성 아포토시스 정도를 평가하여 이의 임상적 의의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9월부터 1994년 9월까지의 4년동안 흉부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폐 편평세포암 환자 중 조직표본이 충분히 보관되어 있으며 추적이 가능하였던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기는 II기가 1명, IIIa기 8명, IIIb기 5명, IV기 5명이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법으로 자발성 아포토시스율(Al)과 p53 단백질 양성률을 관찰하였다. 결과 : 19명 중 16명은 $5\~15$ 개월 후에 사망하였으며 3명은 55, 67, 67 개월간 생존하고 있다. 중앙생존기간은 17개월, 평균 생존기간은 24 개월이었다. AI는 $0\~1\%$의 범위로 중앙값이 $0.4\%$였다. AI가 낮은 군에서 진단 당시 원격전이가 있었던 경우가 $50\%$ (5/10) 였고, 높은 근에서는 원격전이가 전혀 없었다(0/9). 생존기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예후인자들의 분석 결과 단변량 분석에서는 M병기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다변량 분석에서는 AI, 화학요법, M병기, T병기, 병기가 의의가 있었다. 자발성 아포토시스와 p53 변이 사이의 관련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AI는 진단 당시 원격전이와 관련이 있으며, p53 변이와는 관련이 없었다. AI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보다 생존기간이 짧은 경향을 보였다. Purpose : To evaluate whether spontaneous apoptosis has prognostic value among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lung. Materials and Methods : Material from 19 patients who received thoracic irradiation between 1990 and 1994 was analyzed. Their stages were II (1), IIIa (8), IIIb (5), and IV (5). Patients were observed from 5 to 67 months (median : 17 months). The spontaneous apoptosis index (AI) and p53 mutation were measur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s. Results : AI was found to range from 0 to $1\%$ (median $0.4\%$). Patients with low AI ($AI{\leq}$median) had a much higher distant metastasis rate at diagnosis than patients with high AI. By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M stage was significant in univariate analysis. AI, chemotherapy, M stage, T stage, and stage were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I and p53 mutation was not seen. Conclusion : AI was related with distant metastasis at diagnosis and not with p53 mutation. Also low AI group tended to have shorter survival time than high AI group.

      • SCOPUSKCI등재

        접형동암 환자에서 척수공동증을 동반한 척수내 전이 -증례 보고-

        오윤경,김영숙,Oh, Yoon-Kyeong,Kim, Young-Sook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4 No.1

        Purpose : Primary sphenoid carcinoma is rare. It accounts for $0.3\%$ of all primary paranasal sinus malignancies. Because of the rarity of sphenoid carcinoma, large series of patients with outcome and survival statistics are currently unavailable. So we followed up the 1 case of sphenoid sinus carcinoma treated in our hospital and reported the course of the disease. Case report : In a review of case reports and small series of patients, 2-rear survival was $7\%$. Our case is alive at 29 months after diagnosis of sphenoid sinus carcinoma. Intramedullary spinal cord metastasis (ISCM) is an unusual complication of cancer. In our case rapidly progressive paraparesis and urinary retention developed at 25 months after diagnosis of sphenoid sinus carcinoma. MRI of the thoracic spines showed the intramedullary spinal cord tumor mass at T3 and 74 level with accompanying syringomyelia. Here we report a case of ISCM associated with syringomyelia which has developed after primary sphenoid sinus carcinoma with a review of literature about the clinical behavior and treatment of this lesion. 목적 : 접형동에 발생하는 일차성 암은 매우 드물어 전체 부비동 악성종양의 $0.3\%$를 차지한다. 접형동암이 드물게 발생되므로 많은 환자들을 분석하여 얻은 치료결과나 생존기간의 통계가 지금까지도 보고되지 않았다. 이에 본원에서 치료를 시행했던 접형동암 환자 1예의 치료경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보고 : 일부 증례보고들과 소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했던 연구들을 재검토한 한 보고에 따르면 2년 생존율이 $7\%$였다. 본 증례는 접형동암으로 진단된 후 지금까지 29개월동안 생존하고 있다. 또한 척수내 전이는 암환자에서 드문 합병증인데 본 증례에서는 접형동암으로 진단된 후 25개월 만에 갑자기 하지 마비증세와 배뇨곤란을 호소하여 흉추부위를 MRI촬영한 결과 척수내 전이성종양을 3번 4번 흉추부위에서 관찰할 수 있었고 척수공동증을 그 이하부위에 동반하고 있었다. 저자들은 접형동암환자에서 척수공동증을 동반한 척수내 전이소견을 보인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SCOPUSKCI등재

        하악부 에나멜모세포종의 수술후 방사선치료

        오윤경,여환호,Oh, Yoon-Kyeong,Yeo, Hwan-Ho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2 No.3

        에나멜모세포종(ameloblastoma)은 하악부에 드물게 생기는 상피성 종양으로서 치원성(齒原性)의 모든 종양과 낭(囊)의 약 $1\%$를 차지한다. 이들은 서서히 자라는 종양이지만 국소적으로 침습성을 보이고 높은 재발율을 나타낸다. 반면에 원격전이는 드물다. 에나멜모세포종은 방사선에 저항적이라고 알려져 있었기에 드문 경우들외에는 주로 수술적 요법으로 치료되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 에나멜모세포종이 방사선에 반응을 보이므로 수술가 병용하거나 방사선치료 단독으로 치료에 쓰일 수도 있다는 보고들이 나왔다. 저자들은 수술후 방사선치료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본 치료방사선과에 의뢰된 2예의 에나멜모세포종 중 1예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실시하였기에 이들 2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meloblastoma is a rare epithelial tumor of the jaw, comprising approximately $1\%$ of all tumors and cysts of odontogenic origin. The tumor has been the subject of much controversy and cliscussion. Amelobiastoma is slow growing, locally invasive, and has a high rate of total recurrence, but rarely metastasizes. This neoplasm has been considered radioresistant, so it has been treated with surgery primarily except some cases. Recently it is suggested that ameloblastoma is radiosensitive, so radiation therapy (RT) would be used in addition to or, in certain cases, in place of surgery. We report these two cases which were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for deciding tile need of postoperative RT, because amelobiastoma is rare and has been known tot be radioresistant. Postoperative RT was given to one of these two Patients.

      • SCOPUSKCI등재

        Splenic Irradiation in Chronic Myeologenous Leukemia

        오윤경,권형철,윤세철,박용휘,김춘추,김동집,Oh Yoon Kyeong,Kwon Hyung Chul,Yoon Sei Chul,Bahk Yong Whee,Kim Choon Choo,Kim Dong Jip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3 No.2

        전신질환인 만성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에 있어서, 비장에만 국소적으로 방사선을 조사(Splenic Irradiation; SI)함으로써, 임상적 증상의 호전과 혈액소견상에 완해를 일으킨다는 것은 1903년대 이후로 알러져 있는 사실이다. 최근에 와서 Busulfan에 의한 화학요법이 주치료로서 도입되기 전까지는 SI가 CML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었다. 요즈음엔 비장의 방사선치료는 화학요법보다 그 결과가 좋지 못하지만, 통증을 동반한 비종대에서 증상의 완화를 위하거나, 가속기(accelerated phase)에 들어섰거나, 화학요법에 반응하지 않을 때 사용되고 있다. SI의 효과는 백혈구수의 감소, 헤모글로빈치의 상승등의 직접, 간접효과가 있으며 이 효과는 방사선치료를 끝낸 후에도 어느 기간 지속되며, 만족스런 반응을 보일 경우엔 반복치료도 시도되고 있다. 그리고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었던 판자에서도 에로는 SI로 임상적 호전을 관찰할 수 있으며, SI전에 많은 치료를 받지 않았던 경우에 더 좋은 반응을 기대할 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가톨릭의대 방사선치료실에서는 화학요법도중 통증을 동반한 심한 비종대를 호소하거나, 화학요법에 반응이 없었던 15례의 CML환자에서 SI를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대상환자들의 SI전후의 임상적 증상, 이학적 소견 혈액학적 소견등의 변화 및 생존기간을 추적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adiation therapy w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CML in the past, in the form of SI or radioactive phosphorus. Its use has been replaced to a large extent by various chemotherapeutic agents. Recently SI in CML has been used, both to relieve painful splenomegaly and to take advantage of an indirect effect of SI on unirradiated bone marrow. We have treated 15 CML cases who had a huge spleen during chemotherapy or even after chemotherapy by 6 MV linear accelerator during the past two years at the Division of Radiation Therapy, Kang 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College. Response to SI has been rated according to the scoring system of Roger W. Byhardt, et al. which evaluated the splenic and hematologic response as well as the response of disease-related systems. According to this scoring system, most patien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relief of splenomegaly along with improvement of hemogram. And we observed the change of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after SI, and survival after a confirmative diagnosis and SI.

      • SCOPUSKCI등재

        Intramedullary Spinal Cord Metastasis : A Report of Two Ca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오윤경,박희철,Oh, Yoon-Kyeong,Park, Hee-Chul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4

        척수내 전이암은 암환자에서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증상이 있는 척수 전이암 중 $3.4\%$정도를 차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척수내 전이암 환자의 생존 기간은 매우 짧아서 2개월 이내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그 이유는 신경학적으로 빨리 악화되고 뇌전이를 포함하여 여러 곳에 전이암이 동반되기 때문이다. 국내 문헌상 척수내 전이암에 대한 보고가 거의 없고 저자들이 경험한 두 증례는 서로 다른 임상 경과를 보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원발암이 접형동암인 환자에서 척수내 전이암으로 인해 이차성 척수공동증을 동반한 증례는 세계 문헌상 세번째 증례이다. 한 증례는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었고 척수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 생존기간이 26개월이었고, 다른 증례는 증상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었고 생존기간이 훨씬 짧았다. 척수내 전이암도 신경학적 증상이 가역적인 상태에서 조기 진단이 내려진다면 더욱 효과적인 증상완화를 기대할 수도 있다. Intramedullary spinal cord metastases (ISCM) account for only $3.4\%$ of symptomatic metastases to the spinal cord.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ISCM is characteristically short, often no longer than 2 months, due to a rapid neurologic deterioration and the presence of widespread metastases, Including metastases to the brain. We report two cases of ISCM arising from primary sphenoid sinus carcinoma and primary lung cancer along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case of ISCM from the primary sphenoid sinus is the third case of secondary syringomyelia due to ISCM In the world literature, and ISCM from the primary lung cancer is the first case reported in Korea. One case showed a slow progression of symptoms and a longer survival (26 months after the radiotherapy to the spine), and the other showed a rapid deterioration of symptoms with a shorter survival. More effective palliation can be achieved if the disease is diagnosed at an early stage when the neurologic deficits are still reversible.

      • SCOPUSKCI등재

        Esophageal Steno-Obstruction due to Nonesophageal Tumors

        오윤경,길학준,정수미,윤세철,신경섭,박용휘,Oh Yoon Kyeong,Gil Hak Jun,Chung Soo Mi,Yoon Sei Chul,Shinn Kyung Sub,Bahk Yong Whee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5 No.2

        암 환자에 있어서 영양상태는 치료에 대한 반응과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된다. 그래서 연하곤란은 암 환자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저자들은 1983년 3월부터 1987년 3월까지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방사선치료실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1,400명의 환자 중 연하곤란 및 호흡기계 문제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식도암 이외의 암에 의한 식도의 헙착 및 폐쇄를 일으킨 환자 16예를 대상으로 이들의 특성과 식도의 협착 및 폐쇄에 대한 방사선 치로의 효과 및 생존기간을 후향성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1.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중 빈도는 $1\%$이었다. 2. 가장 빈번한 원인은 폐암 (14/16)이었고, 식도 중부 (14/16)가 가장 흔하게 침범되는 부위였다. 3.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은 연하곤란의 정도와 2주 간격으로 촬영한 바륨조영사진으로 평가하였는데 계획된 방사선 치료를 종료한 환자들의 $80\%$(8/10)에서 반응을 보였다. 4. 반응이 시작되는 선량은 1,000cGy-6,010cGy의 범위에 들어 있으며 중앙치는 2,880cGy였고 평균치는 2,993 cGy였다. 5. Kaplan-Meier 방식에 의한 15주와 30주 생존율은 전예에서는 $60\%$와 $46\%$였고 계획된 방사선 치료를 종료한 환자들에서는 $77\%$와 $51\%$였다. 6. 4예에서는 연하곤란의 재발 없이 90주 이상 생존하고 있다. From March, 1983 to March, 1987, 16 patients with esophageal steno-obstruction due to nonesophageal tumors were treated in the Division of Therapeutic Radi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The patient characteristics, effect of radiotherapy (XRT) on esophageal steno-obstruction and survival were evaluated. The most common primary tumor was lung cancer (14/16) and the middle third of the esophagus was most frequently involved (14/16). Improved clinical response was observed in $80\%$ of the patients who finished the planned courses of XRT. The mean radiation dose evoking the improvement of dysphagia was 2,993 cGy given over a period of 3 to 4 weeks. The Kaplan-Meier estimates of survival at 15 and 30 weeks of follow-up were $60\%$ and $46\%$, respectively. In the completed group who finished the whole planned courses of XRT, survival rates were $77\%\;and\;51\%$, respectively. Four patients were alive over 90 weeks with normal passage of food.

      • SCOPUSKCI등재

        The Results of combined Modality Treatment with Transurethral Resection, Cisplatin and Radiation Therapy for Invasive Bladder Cancer

        오윤경(Yoon Kyeong O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2

        1989년 2월부터 1990년 6월까지 조선대학교 부속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침윤성 방광암으로 경오도적절제술 및 Cisplatin과 방사선을 병용하여 치료를 받았던 10예에 대하여 저자는 후향적으로 국소관해율, 생존기간, 치료실패양상 및 부작용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원발병소가 근치적수술을 할수 없었던 경우였다. 원발병소의 병기는 T3a-T4b였고, N병기는 NO가 9예이고 N1이 1예였으며, 10예 모두 MO였다. 추적기간은 16~32개월이었다. 수술요법은 경요도적절제술, 화학요법은 Cisplatin 1~5회, 방사선치료는 골반부위에 3960~5400 cGy의 선량으로 치료하였다. 원발병소의 병기에 따른 완전관해율은 cT3a에서 80%, cT3b에서 67% 그리고 cT4b에서 0%였고 전체적으로 60%의 완전관해율을 보였다. 부분관해율은 20%이어서 전체의 국소관해율은 80%였다. 조직학적 검사상 모두 이행상피암이었고 조직학적 등급에 따른 완전관해의 차이를 보면 Ⅰ,Ⅱ등급인 6예에서는 모두 완전관해를 보였고 Ⅲ,Ⅳ등급인 4예에서는 부분관해가 2예이고 무반응이 2예였다. 완전관해를 보였던 6예는 모두 생존하여있고 이중 1예에서만 치료후 10개월후에 국소재발을 보였다. 완전관해를 보이지 않았던 4예는 모두 조직학적 등급이 Ⅲ,Ⅳ등급으로 방광암으로 사망하였다. 원격전이는 3예에서 보였으며 2예(cT4b)는 폐, 1예(cT3b)는 척추부위였다. 방사선치료후 부작용은 설사가 가장 심한 부작용으로 1예에서 나타났으나 보존요법으로 호전되었다. 따라서 침윤성방광암에 있어서 방광기능이 보존측면에서 병용치료는 심한 부작용없이 치료가 가능하며 완전관해율을 높이기위하여 방사선선량을 높이고, T4b병기에서는 원격전이가 큰 문제이므로 효과적인 복합화학요법을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en patients with deep muscle-invading bladder carcinoma (clinical stages T3a to T4b) who were not candidates for cystectomy were treated with combined modality treatment with transurethral resection, cisplatin chemotherapy and pelvic irradiation from 1989 through 1990, and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ll patients were not candidates for cystectomy because the tumors were judged unresectable or they were not fit for a radical cystectomy. Of the patients 5 had clinical stage T3a, 3 stage T3b and 2 stage T4b disease. The minimum follow-up was 16 months. The complete response rate is 60% for all patients. The complete responses were achieved in 4 of 5(80%) with stage cT3a, in 2 of 3(67%) with stage cT3b and in none of 2(0%) with stage cT4b. The partial responses were achieved in 2, so overall response rate was 80%. All six patients with grade ⅠorⅡ transitional cell carcinoma showed complete responses. Four patients with higher grade tumors showed partial responses in 2 and no response in 2, and all died of their bladder cancer. Six patients who showed complete responses after treatment are alive and only one of them showed a local recurrence 10 months after treatment. Distant metastases developed in 3 patients: lungs in 2 (cT4b) of those who were never locally free of disease and spine in 1 patient (cT3b) among those with a partial response. Two patients died of metastases to lungs. During the follow-up diarrhea occurred in one which was improved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it is suggested that combined modality treatment seems to be a tolerable regimen and can be offered with a relatively high probabillty of success and conservation of bladder function in those with less advanced tumors by clinical stage and low grade.

      • KCI등재후보

        비호지킨림프종에서 아포프토시스 및 세포증식

        오윤경(Yoon Kyeong Oh),이미자(Mi Ja Lee),전호종(Ho Jong Je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1

        목적: 종양의 성장은 세포의 증식과 소실의 순수한 결과이며, 대부분의 종야들에서 아포프토시스는 계속되는 세포 소실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호지킨림프종 환자들을 REAL 분류에 따라 재분류한 다름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이용하여 아포프토시스 지수, Ki-67 세포증식지수, Bcl-2 단백 발현, P53 단백 발현을 관찰하여 종양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여러 인자들의 관련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비호지킨림프종 환자 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Working Formulation을 이용하여 분류하였을 때 저등급 3명, 중등급이 64명이었다. 세포 표현형은 전체 67명의 혼자 중 47명(70%)이 B세포 표현형이었고, 18(27%)이 T세포 표현형이었으며, 2명세서는 분류할 수 없었다. 환자의 파라핀 포매 조직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여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Ki-67 세포증식지수, Bcl-2 단백발현, P53 단백발현을 관찰하였다. 결과: Bcl-2 단백의 발현은 40$ (26/65)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P53 단백의 발현은 31%(20/65)에서 보였다. 아포프토시스 지수는 0%와 15% 사이의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은 2.16이고 중앙값은 1.2이었다. 아포프토시스 지수는 세포 표현형이나 P53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cl-2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5). Bcl-2 단백발현이 양성이면 아포프토시스 지수가 낮았다. Ki-67 세포증식지수는 1%와 91% 사이의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은 55.4%이었다. Ki-67 세포증식지수는 세포표현형이나 Bcl-2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53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0). 전체 환자군에서는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ki-67 세포증식지수 사이에 관련이 없었으나, Bcl-2 단백발현 양성인 황자에서는 아포프토시스 지수가 증가하면 Ki-67 세포증식지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p=0.012) 결론: Bcl-2 단백발현이 양성이면 아포프토시스 지수가 낮았고, P53 단백발현이 양성이면 Ki-67 세포증식지수는 높았다. 또한 Bcl-2 양성인 환자에서는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Ki-67 세포증식지수사이의 양성 연관성을 보였는데 이는 아포프토시스가 종양의 성장에 있어서 세포의 증식과 별도로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는 것임을 시사해준다고 본다. Purpose: Tumors growth in a given neoplasm is the net result of cell proliferation and cell loss, and apoptosis is the most significant component of continuous cell loss in most tumors. In this study, we examined non-Hodgkin's lymphoma (NHL, n=67) immunohistochemically for the presence of Bcl-2 oncoprotein and P53 protein and compared apoptotic indices (Als) and Ki-67 proliferative indices (percentages of Ki-67) positive cells). Materials and Methods: 67 patients with NHL were evaluated : 3 low-grade and 64 intermediate-grade. The phenotype was determined in 65 cases: 47(70%) were B cell type and 18(27%) were T cell type. Als and Ki-67 proliferative indices were determined immunohistochemically and the overexpression of P53 and Bcl-2 protein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overexpressions of Bcl-2 protein and P53 protein were found in 40% (26/65) and 31%(20/65). The Al ranged from 0% to 15% (mean 2.16, median 1.2) Cellular Bcl-2, which counteracts apoptosis, was significantly (p=0.005) associated with Als. Ki-67 proliferative indices ranged from 1% to 91% (mean 55.4), and P53 was significantly (p=0.000) associated with Ki-67 proliferative indice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s and Ki-67 proliferative indices was revealed (p=0.012) in Bcl-2 positive patients. Conclusion: In NHL, we observed a correlation between Als and Bcl-2 expression, between Ki-67 proliferative indices and P53 expression, and between Als and Ki-67 proliferative indices in Bcl-2 positive patients. Our results suggest that cell apoptosis may be inseparable from cell proliferation during tumor growth.

      • KCI등재

        Survival and Compliance with the Use of Radiation Therapy for Anaplastic Thyroid Carcinoma

        Yoon-Kyeong Oh(오윤경),Ji-Young Jang(장지영),Woong-Ki Chung(정웅기)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act of the use of external radiation therapy (ERT) in terms of survival and compliance in patients with anaplastic thyroid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7 patients with anaplastic thyroid carcinoma treated with ERT between 1993 and 2002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ERT was administered after surgery in 14 patients and after a biopsy in three patients. Among the 14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ery, nine underwent a curative resection and five underwent a palliative resection. Six patients had associated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s and 14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a tumor size exceeding 5 cm. The radiation dose ranged from 6∼70 Gy (median dose, 37.5 Gy). Eleven patients completed the planned course of ERT, whereas six patients did not. Th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1∼104 months (median, 5 months; mean, 20 months). Results: Five patients started the ERT without the presence of a gross mass and all of the patients completed ERT without a re-growth of tumor. Twelve patients (four patients after a curative resection, five patients after a palliative resection and three patients after a biopsy) started ERT with a gross mass present and only six patients were able to complete the planned course of ERT. Among the six patients who completed ERT, two patients showed a marked regression of the tumor mass, whereas two patients showed slight regression and two patients showed no response. The median survival was five months (range, 1∼104 months) and the mean survival was 21 months. The overall survival was 41% at 1-year, 24% at 2-years and 12% at 5-years.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included the number of primary tumors present, tumor size, whether surgery was performed and completion of ERT as planned. Long-term survivors showed a tendency of having smaller sized initial tumors and smaller sized pre-ERT tumors than the short-term survivor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atients with a small initial tumor (≤5 cm), which was treated by surgery (curative resection or palliative resection) before ERT, and without rapid re-growth of the mass seen at the surgical site at the beginning of the ERT course, would be the best candidates for postoperative ERT. In contrast, patients with a large initial tumor (>5 cm) and did not undergo surgery before ERT or that rapid re-growth of the mass was observed at the surgical site are likely to have a short survival time, along with the interruption of ERT. In these cases, the role of ERT is very limited and the omission of ERT could be considered 목 적: 본 연구는 미분화 갑상선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에 대한 치료순응도와 치료 성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부터 2002년까지 미분화 갑상선암으로 외부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던 1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외부방사선치료는 14명에서 수술 후에 시행하였고, 3명에서 조직검사 후에 시행하였다. 수술이 시행되었던 14명의 수술 방법은 9명은 근치적절제술, 5명은 고식적절제술이었다. 고분화 갑상선암이 6명에서 동반되어 있었고, 진단 당시 암의 크기가 5 cm보다 컸던 경우는 14명이었다. 총방사선량은 6∼70 Gy (중앙선량, 37.5 Gy)이었고, 11명은 예정된 방사선치료를 끝낼 수 있었고, 6명에서는 방사선치료가 중단되었다. 추적기간은 1∼104개월로 중앙값이 5개월, 평균값이 20개월이었다. 결 과: 5명에서는 방사선치료를 시작할 당시에 육안적 종양이 없었으며, 5명 모두 종양의 재성장 없이 방사선치료를 잘 끝낼 수 있었다. 나머지 12명에서는 방사선치료를 시작할 당시 육안적 종양이 있었는데, 이 중 4명은 근치적절제술 후에 바로 암이 자란 경우였고, 5명은 고식적절제술, 3명은 조직검사만을 받은 상태였다. 육안적 종양이 있었던12명 중 6명 만이 예정된 방사선치료를 끝낼 수 있었는데, 2명에서는 방사선치료로 종양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하였 고, 2명은 약간 감소, 2명은 무반응이었다. 전체 환자의 생존기간은 1∼104개월의 범위로 중앙 생존기간은 5개월이 었고, 평균 생존기간은 21개월이었다. 1년, 2년, 5년 생존율은 41%, 24%, 12%이었다. 원발암수, 종양크기, 수술, 방 사선치료 완료가 의미있는 예후인자였다. 장기 생존자는 단기 생존자에 비해 진단 당시와 방사선치료 시작 당시에 암 의 크기가 작은 경향이 있었다. 결 론: 진단 당시 암의 크기가 5 cm 이하, 방사선치료 전에 수술 시행(근치적 또는 고식적), 수술 부위에 종양의 빠른 재성장이 없는 환자들이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좋은 지원자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그와 반대인 경우는 방사선치료가 중단되기 쉽고 생존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방사선치료의 역할이 매우 부족하여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지 않을 수도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