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인문학: 포스트휴머니즘과 인문학의 변용

        오용득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20 탈경계인문학 Vol.13 No.2

        Rising such unexperienced problems as the posthuman or the posthumanity,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classical study of humanities to conceptualize the humanity anyway. Thereby if we will draw a new study of humanities, it may be called the ‘posthumanstudies’ to mean “humanstudies after humanstudies” literally. The posthumanstudies discovered in such way make their appearance in two mode: the posthumanstudies and the posthuman-studies. On the one hand, the post-humanstudies always will try to break down every attempt to define the humanity and the posthumaniy conceptually, by criticizing the attitude of the classical study of humanities to conceptualize the humanity. On the other hand, the posthuman-studies will try to inquire into various posthuman images that can not to be defined conceptually, by adjusting their own course according to critical attitude of the post-human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인간의 생물학적 현사실성과 실존적 자유

        오용득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0 No.-

        이 연구는 유전자의 운반체 혹은 유전자의 생존 기계라는 인간의 생물학적 현사실성에서 경험되는 인간의 부조리 함을 극복하기 위해 실존주의에서 제안한 실존적 자유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를 실마리로 삼아 우리가 유전자의 의도에 종속하지 않는 진정한 주체로서 살아갈 수 있는 실천적인 삶의 모델을 탐색하기 위해서 기획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최근까지 이루어진 생물학의 연구 성과들을 바탕으로 인간의 생물학적 현사실성을 분석하고, 실 존주의 사상에서 개진된 인간의 존재 의미 해명을 바탕으로 우리가 유전자의 생존 기계일 뿐임을 거부할 수 없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실존적 자유를 감행할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을 논구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첫째,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와 <확장된 표현형>을 주로 참조하면서 모든 생물의 존재 의미를 ‘유전자 의 전달자’ 혹은 ‘유전자의 생존 기계’로 보는 관점의 근거가 무엇인지를 고찰했다. 둘째, 인간도 유전자의 생존 기계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생물을 유전자의 생존 기계라고 규 정할 수 있는 두 가지 조건, 즉 ① 그 몸의 구조가 유전자의 생존 기계로서 적합하게 조직되었다는 것, ② 그 활동 메커니즘이 유전자를 생존시키기에 적합하게 조성되어 있다는 것을 인간도 충족시키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검토했 다. 셋째, 실존주의 작가이자 사상가인 알베르 카뮈의 시쥐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시쥐포스라는 인물의 행동을 통 해서 우리 인간이 어떻게 유전자의 생존 기계가 아닐 수 있는지를 논구했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how to overcome the absurdity experienced in human biological facticity according to which man is merely a vehicle or a survival machine of gene. To attain this goal, I considered the conception of the existential freedom proposed by existentialists, and investigated a practical life-style of an authentic subject who could reject the orders of gene. In this paper, I analysed the human biological facticity with reference to the results of biological research recently performed. And then in the light of the thoughts on the meaning of human being elucidated by existentialists I searched for an way to carry out resolutely the existential freedom even though we could not deny that man is merely a survival machine of gene. Firstly, with reference to The Selfish Gene and The Extended Phenotype I considered whether it is or not reasonable that all organism is the vehicles or survival machines of gene. Secondary, to find whether is or not man a survival machine of gene, I examined that man has also the conditions in according to which any organism is counted as a survival machine of gene. There are two conditions to count any organism as a survival machine of gene; ① it must have a body organized appropriately in according to the gene program, and ② it must do whatever it thinks best to keep its genes alive. And lastly, I investigated how can not be we a survival machine of gene with reference to a life style seen in Sisyphus whom an existentialist writer Albert Camus has regard as the typical revol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전 해석의 철학적 의의

        오용득 대동철학회 1998 大同哲學 Vol.2 No.-

        고전은 시대를 막론하고 지혜의 보고요 사회적 규범의 근거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고전은 그것이 항상 새롭게 해석되는 한에서 지혜의 보고요 사회적 규범의 근거일 수 있다. 따라서 우리에게는 해석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해석(解釋)’이란 “사물의 뜻을 자신의 논리에 따라 풀어서 이해함”을 말한다. 따라서 ‘고전 해석’은 “고전에 담겨있는 뜻을 자신의 논리에 따라 풀어서 이해함”으로 된다. 여기서는 우선적으로 ‘뜻’이라는 용어가 문제된다. ‘뜻’ 혹은 ‘의미(意味)’란 “어떤 말이나 글이 나타내고 있는 내용”을 말한다. 그런데 여기에는 지시체(指示體), 의의(意義), 의지(意志) 혹은 의도(意圖) 등이 매우 복잡하게 얽혀있다. 이 때문에 종종 의미의 혼란이 일어난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의 혼란은 결국 ‘오해’를 야기시킨다. 오해의 상황은 이해의 기술을 요구한다. 여기서 말하는 ‘이해’의 의미는 “어떤 말이나 글의 의미를 깨쳐 앎”이다. 그러나 이해의 목표가 오해를 피하는 데 있다면, 이해란 말이나 글 자체의 의미를 깨쳐 아는 것이 아니라 말한 사람이나 글쓴 사람이 염두에 두고있는 의미를 깨쳐 아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에게는 고전의 저자들이 고전을 쓸 당시에 염두에 두고 있었던 의미들을 잘 파악하는 것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고전의 저자들이 아무리 훌륭한 지혜의 소유자였다 하더라도, 또 그 지혜들이 그 당시에 아무리 완벽한 사회적 규범들로서 기능했다 하더라도 바로 그 것 자체가 오늘날 나의 삶의 지혜요 우리 시대의 사회적 규범으로서 기능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정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고전에서 나의 삶의 지혜와 오늘날 요구되는 새로운 사회적 규범의 근거를 찾고자 한다면, 우리는 고전에 대한 우리의 접근방식을 전적으로 바꾸지 않으면 안된다. 나는 이것을 ‘이해’가 아닌 ‘해석’에서 찾고자 한다. ‘해석’이란 “사물의 뜻(의미)을 자신의 논리에 따라 풀어서 이해함”을 말한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 해야 할 것은 “자신의 논리에 따라”라는 삽입구이다. 논리의 형식적인 타당성은 하나의 생각과 연결 되어 나타나는 다른 하나의 생각이 필연적인 관계를 갖느냐 그렇지 않느냐 하는 것에 달려있다. 그런데 하나의 생각에 뒤이어 필연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생각은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해석은 하나의 생각에 뒤이어 필연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무수한 다른 생각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일이다. 그렇지만 하나의 텍스트를 해석한다는 것은 다름 아니라 바로 그 텍스트를 소재로 하여 전혀 다른 새로운 하나의 텍스트를 생산하는 것이기도 하다. 텍스트를 생산하는 일은 말이나 글을 앞뒤의 콘텍스트(context, 맥락)에 따라 정합적으로 짜 나가는 일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텍스트의 생산으로서의 해석은 해석자 자신의 마음에 떠오르는 여러가지의 의미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일이긴 하지만 그 선택은 자신의 개성에 따라 자의적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맥락에 따라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불가피하게 이루어질 경우도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나는 해석의 주체이면서도 동시에 주체가 아니다. 나는 해석되어지는대로 나 자신을 내맡길 수 있어야 한다. 즉 텍스트 의 해석을 통해서 내가 무엇을 하는가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 바로 해석의 철학적 중요성이다. Ob in die alte und die neue Zeit, funktioniert die Klassik als das Schatzhaus der Weisheit und den Grund der sozialistischen Norm. Aber das ist so, insofern wie sie wirt interpretieren immer wieder. Es ist die gebrauchliche Bedeutung der Interpretation, zu verstehen den Sinn der Ding auf eigenes logischen Standpunkt stehend. Daher ist das Interpretieren die Klassik das Verstehen den in der Klassik liegenden Sinn. Was ist der Sinn? Er ist der eine Rede oder eine Schrift zeigenden Inhalt: Vorstellung, Bedeutsamkeit, Absicht usw.. Weil der Sinn sehr kompliziert ist, tragen die Mißverstandnissen oft sich zu. Wir mussen die Kunst des Verstehens fordern, wenn wir etwas mißverstehen. Es ist die gebrauchliche Bedeutung des Verstehens, zu erfassen den Sinn einer Rede und einer Schrift. Wenn der Ziel des Verstehens die Vermeidung des Mißverstandnis ist, mussen wir nicht Sinn an sich verstehen, sondern die in der Rede liegende Absicht des Sprecher. Aber es ist nicht so wichtig, daß wir die in der Klassik liegende Absicht ihreres Autor erfassen. Denn die Absicht selbst des Autor kann nicht als meine Weisheit und den Grund der gegenwartigen sozialistischen Norm funktionieren, wenn auch immer er damals der einsichtigeste Philosoph war. Darum wir mussen den anderen Weg um uberzugehen zur Welt der Klassik suchen. Ich denke daß dieser neue Weg nichts anderes als die Interpretation ist. Das Interpretieren einen Text ist das Verstehen den Sinn des Textes auf eigenes logischen Standpunkt stehend. Hier ist Problematik die Parenthese ”auf eigenes logischen Standpunkt stehend“. Wir gebrauchen das Wort ”logisch“, wenn ein Denken in notwendiger Zusammenhang mit dem anderen Denken steht. Aber ein Denken kann sehr vielen Denken hervorbringen. Daher mussen wir eins von dieses vielen Denken auswahlen. Dieser Auswahl ist die Interpretation. Interpretation als Auswahl ist auch das Produzieren einen neuen Text. Wenn wir einen Text produzieren wollen, mussen wir die Reden kontextmaßig koharieren. Darum bin ich als Interpret nicht das Subjekt der Interpretation. Ich muß mich dem der Text sich interpretierenden Werdegang uberlassen. Also es ist nicht wichtig, was will ich in der Intrepretation tun, sondern wer will ich werden zu. Dies ist die philosophische Bedeutsamkeit der Interpretation.

      • KCI등재
      • KCI등재

        부정인간학 시론

        오용득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09 石堂論叢 Vol.0 No.45

        This essay aims to set up a new philosophical discourse on the human being. The reason is that the traditional discourses on the human being may be a theoretical ground to suppress some people who have not the essential properties of human being. A new discourse which we will to set up is named ‘the negative anthropology’ that is to be comparable ‘the negative theology’. The negative theology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in so far as God is an infinite substance. To set up the negative anthropology, we have to get it's theoretical foundation. It is to confirm the infinity of human being. We have elucidated this problem in terms of the dialectical, phenomenological and hermeneutical explanations on the infinity of human being. The negative anthropology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it will to deconstruct the conceptual definitions of human being maintained by the traditional positive anthropologies. So it will be able to set free some people who have been suppressed by a substantial power to conceptualize human being in a certain form. And it will give us a chance to accept the individual particularity of the others and to promote the communications to understand the otherness. 이 시론의 목적은 ‘부정신학’과 비교할만한 ‘부정인간학’의 기초를 세우는 데 있다. 이 작업은 인간을 개념적으로 정의(개념화)할 수 있다고 본 지금까지의 인간 논의들(긍정인간학)이 특정한 인간을 타자화하거나 인간 자체를 제한하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기 때문에 기획된 것이다. 부정인간학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것의 학적 기초가 마련되지 않으면 안 된다. 부정신학의 학적 기초가 신의 무한성에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부정인간학의 학적 기초는 인간의 무한성에 있다. 그리하여 우리는 먼저 무한성에 대한 변증법적, 현상학적, 해석학적 고찰을 통해 인간의 무한성을 해명함으로써 부정인간학의 학적 기초를 수립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성립된 부정인간학은 인간을 개념화할 수 있다는 생각이 부당하다는 사실을 깨우칠 수 있는 실천적 효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개념화에 의거하여 행사되어온 억압과 폭력을 부당한 것으로 폭로하고 인간에 대한 한층 개방된 이해를 통해 인간 상호간의 소통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바로 여기에 부정인간학의 실천적 가치가 있다.

      • KCI등재

        하이데거의 건축론과 집의 의미

        오용득 대동철학회 2021 大同哲學 Vol.94 No.-

        하이데거는 건축을 탈은폐함의 한 방식으로 이해한다. 하이데거의 기술론을 참조하여 건축의 탈은폐함을 포이에시스적인 탈은폐함과 무리하게 요구하는 탈은폐함으로 구분해서 고찰한다면, 전자의 경우에는 집이 ‘거주하는 곳’으로 이해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집 이 ‘재산증식수단’이라는 의미로 고정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논자는 하나의 철학적 문제 로서 집의 의미를 숙고하기 위해 하이데거의 건축론에서 개진되는 집의 의미를 고찰한다. 하이데거는 집이 인간의 존재 의미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무리하게 요구하는 탈은폐함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건축은 집을 재산증식 수단이라는 의미-고정된-것으로 배치하는 공-배치-틀로 작동하는데, 인간은 이러한 배 치를 주문하는 자가 됨으로써 인간 자신도 하나의 의미-고정된-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인간이 하나의 의미-고정된-것으로 배치되는 경우 인간은 ‘존재의 개방성’이라는 그 본 질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날 수밖에 없다. 하이데거는 우리가 인간의 본질 영역에서 벗 어나지 않고자 한다면 건축하다(짓다)’, ‘거주하다(살다)’라는 말들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말을 경청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말들은 우리에게 포이에시스적인 탈은폐함의 차원에 서 집을 짓고 집에서 살아가는 것이 곧 우리가 ‘사는 자’로서의 ‘사람’으로서 존재하는 방 식이라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Heidegger says that the architecture is a mode of the disclosing. Accordance with Heidegger’s thought of technology, we may be able to divide the disclosing in relation to the architecture into two; one is the poietic disclosing as like ancient Greek word ‘poiēsis’, and the another is the provocative disclosing as like German word ‘Ansinnen’. In the poietic disclosing, the meaning of house focuses on the dwelling. In the provocative disclosing, however, the meaning of house is defined as a means of property increase. So then, how must we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house? On this question, Heidegger maintains that we ough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house in consideration how the house relates to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Heidegger says that the architecture as the provocative disclosing is working as an en-framing which stations each and every thing as a being-havinga- fixed-meaning. By this en-framing, for example, the house is defined as a means of property increase. In this case man is the requester who wish the house to be such a being-having-a-fixed-meaning, thereby man also comes to be a being-having-a-fixed-meaning. If so, then man is sure to be deviated from the essential realm of human existence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openness of existence”- expressed in German word ‘Dasein’. If we would live in the essential realm of human existence, we should listen to a message that the words ‘to build’ and ‘to dwell’ tell us. According to Heidegger’s thought of architecture, these words tell us; to say that we build a house and dwell in it is same as to say that we exist as a 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