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음속 비행체 모델의 연성기법을 이용한 구조 안전성 해석

        도규성,소정,강지훈,김형진,박대훈,오정수,문희장,Do, Gyu-Sung,So, Jung-Soo,Kang, Ji-Hoon,Kim, Hyung-Jin,Park, Dae-Hun,Oh, Jeong-Su,Moon, Hee-Jang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08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2 No.2

        The structural stability for preliminary model of supersonic rocket which has large L/D ratio is investigated. Large L/D ratio can cause a critical problem on the structural stability by the increase of bending-moment. By using the ANSYS and the CFX codes, we inspected the structural stability for Ma=2 and angle of attack for $20^{\circ}$. The optimum number of bolts and their joints required on the rocket surface are predicted.

      • KCI등재
      • 추력 650 kgf 급 하이브리드 로켓 모터의 연소시험

        이정표(Jungpyo Lee),김수종(Soojong Kim),김기훈(Gihun Kim),조정태(Jungtae Cho),김학철(Hakchul Kim),우경진(Kyongjin Woo),도규성(Gyu-Sung Do),소정수(Jungsoo So),오정수(Jung-soo OH),조민경(Mingyung Cho),문희장(Heejang Moon),성홍계(Honggye S 한국추진공학회 2009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1

        본 연구에서는 추력 650 kgf 급의 PE/N2O 하이브리드 로켓 모터의 지상 연소시험을 수행하였다. 초기 실험에서 산화제 유량이 작게 유입됨으로 인해 연소실 압력 및 추력이 설계치 만큼 확보되지 못함을 확인 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노즐목 감소 및 산화제 유량을 증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실험에서 발생하는 연소현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sub-scale과 lab-scale의 실험결과를 통해 scale에 따른 연소특성 변화를 비교? 분석 하였고, 동일 산화제 유속에서 sub-scale의 후퇴율이 lab-scale의 후퇴율보다 차이는 작지만 낮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실제 하이브리드 사운딩 로켓 개발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results of static firing tests on the PE/LN2O hybrid rocket motor, which has a thrust of 650 kgf level. Through the early tests, we found that the combustion chamber pressure and the thrust were lower than design values because an actual oxidizer flow rate was less than that expected. In order to complement this result, the methods of decrease of nozzle throat and the increase of oxidizer mass flow rate were conducted in the next experiment, and we studied the combustion phenomena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lso we compared and analyzed a difference of combustion characteristics on scale effect. It show that a sub-scale motor regression rate was a little less than that of a lab-scale motor with the same oxidizer mass flux.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hybrid sounding rocket.

      • KCI등재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of 9-Year-Old Children on a Nation-Wide Survey: Effects of Gender and Socioeconomic Status

        오소정(So Jung Oh)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9세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을 부모가 작성하는 아동화용언어체크리스트(CPLC)를 통해 알아보고 아동 및 가정 환경의 요인에 따라 화용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한국육아정책연구소의 대규모 종단연구인 한국아동패널 조사에 참여한 전국의 9세 아동 1,386명을 대상으로 부모보고 설문지인 CPLC를 작성하게 하였다. 전체 아동의 CPLC 총점과 영역별 점수의 기술통계와 성별, 어머니 학력, 가정 소득수준, 거주지 규모별로 CPLC의 총점과 영역별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두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화용언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전반적으로 9세 아동은 CPLC의 총점과 담화관리, 상황에 따른 조절,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양호한 수준을 나타냈으며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영역은 담화 관리 영역이었다. 아동의 성별과 사회경제적지위(어머니의 학력과 가정의 소득수준)가 높을수록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용언어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어머니의 학력과 아동의 성별이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성별과 SES 요인이 언어발달 후기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며 언어의 의미나 형식뿐 아니라 의사소통 능력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며, 학령기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와 중재 시에도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Improvement of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has often been regarded as a major feature of language development during school-ag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of 9-year-old children. The current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se abilities vary according to the child’s gender and socioeconomic status (SES), and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Methods: Performance data on the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CPLC) and information regarding child and family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from 1386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otal and subtest scores of the CPLC were obtain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one-way ANOVA and t-test were used to compare group differences, as well a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seeking affecting factors for performance on the CPLC. Results: In general, 9-year-old children obtained good scores in CPLC total and subtest scores. Discourse management was relatively difficult when compared to the other sub-areas. The children’s gender and SES (education level of mother, monthly family income) brough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as well as the size of their residential areas.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mother alone, along with the child’s gender, affected the pragmatic abilities of 9-year-old childre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9-year-old children have fair pragmatic, communication skills, and suggested that child gender and SES should be considered i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 KCI등재

        언어재활사의 언어표본분석 경험 및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 아동언어장애를 중심으로

        오소정(So Jung Oh),윤지혜(Ji Hye Yoon),이윤경(YoonK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재활사의 아동의 언어표본분석에 대한 인식이나 경험에 대한 견해를 종합하여 언어분석의 필요성이나 현황, 어려움에 대한 면담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언어평가 과정에서 발화 분석을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방법: 아동언어분석에 경험이 있는 8명의 언어재활사가 아동언어평가 및 중재과정에서의 발화 분석의 필요성, 실시 현황과 요구에 대하여 심층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면담은 연구자들이 개발한 질문지에 기초하여 제 1연구자와 개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인터뷰 내용은 녹음하여 질적 연구의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전사, 코딩하였다. 결과: 인터뷰 내용을 전사하여 질적 분석한 결과 발화 분석의 현황에 대하여 2개 주제와 그에 따른 8개 소주제를 도출하였으며, 발화 분석에 대안에 대하여 4개 주제와 그에 따른 11개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전문가들은 발화분석의 필요성은 공통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임상현장에서 발화분석을 실시하는 데에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음을 언급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체계적인 표집 절차와 표준화된 분석 체계를 이용한 객관적 분석, 발화자료 축적을 통한 규준 비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간과 절약하기 위하여 자연어 처리기술이 포함된 컴퓨터화된 언어분석 활용도 논의되었다. Objectives: Language sample analysis has been the “golden standard” in language assessment for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pinions of SLPs on their experiences with children’s language analysis and to find alternatives that could make the analysis more useful and robust. Methods: Eight SLPs with experience in language sample analysi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on the needs, implementation, and obstacles of language sample analysis in child language 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with the first researcher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n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cod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by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2 topics and 8 sub-themes were derived for the current state of utterance analysis, and 4 topics for the alternatives to utterance analysis and 11 topics accordingly. Conclusion: All experts recognized the need for utterance analysis, but noted that there were practical difficulties in conducting utterance analysis in clinical settings. In order to properly realize the value of speech analysis in children’s language evaluation, three things need to be developed; systematic sampling procedures, objective analysi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norms and criteria through accumulation of sufficient language sample data for various age groups.

      • KCI등재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and Conversation Observations

        오소정(So Jung Oh)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일반 아동 및 화용문제를 가진 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화용언어체크리스트(CPLC)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실제 대화에서의 대화기술, 의사소통 능력 측정치와 CPLC 결과 간 상관과 대화관찰에서의 두 집단 간 수행 차이가 CPLC에서도 드러나는지 살펴봄으로써 CPLC가 실제 대화에서의 화용능력을 잘 반영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총 28명의 1-4학년 학령기 일반 아동(N=14)과 학년과 생활연령일치 화용문제가 보고된 언어장애 아동(N=14)에게 CPLC와 반구조화된 대화관찰 절차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고 CPLC 점수와 대응되는 대화관찰에서의 대화기술 및 의사소통 측정치 간 상관을 구하였다. 결과: CPLC와 대화관찰 측정치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두 독립표본 t-검정으로 살펴본 결과, 대화차례 관리 및 적절/부적절한 주제유지와 개시 등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CPLC 점수에서는 모든 하위점수와 총점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CPLC 점수와 대화 측정치 간 상관은 .40-.60 정도로 중간 정도의 상관을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CPLC는 실제 대화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대화기술을 어느 정도 반영한다고 할 수 있으며 화용언어평가도구들은 서로 상관관계의 정도나 집단 간 차이를 가져오는 변수들이 다르므로 보다 확실한 임상적 유용성 검증을 위해서는 화용평가도구 간, 다른 평가와의 상관연구와 함께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민감도, 특이도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CPLC) and communication skill in actual conversation to examine the clinical validity of CPLC and to see whether it reflects communication skills in everyday life. Methods: Fourteen 1-4 grade school-age children with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and fourteen age-matched children with pragmatic language problems participated in conversation sampling; their parents filled out the CPLC questionnaire. Conversation observation measures were matched with CPLC subarea.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examined using two independent sample t-tests; the relationship between CPLC scores and conversation observation measures was measur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 t-test analysis revealed that group differences were more salient in CPLC scores than conversation observation measures. The correlations coefficient between CPLC scores and some conversation sample measu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stly .40-.60), implying moderate correlation. Topic management measures, including appropriate/inappropriate topic initiation and maintenance rate, were mostly correlated to CPLC total score and subscores. Conclusion: CPLC can reflect communication skills in real conversation, but it is not clear which CPLC scores are related to certain measures. A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pragmatic assessment procedures may vary in degrees of correlation, which can create group difference among clinical group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ragmatic skills assessment in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학령기 다문화가정 언어장애 아동의 어휘지식 및 구어처리 과제 수행 특성

        오소정(So Jung Oh),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4 言語治療硏究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vocabulary knowledge-based tasks and language processing tasks. Three groups of school-aged childr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aged 6 to 11 were recruited and undertook three knowledge-based tests (REVT expressive/receptive tests and culture-related vocabulary expression tests), and two processing-dependent measures (NRT, CLPT). All three groups were matched in terms of family income and one-to-one matched by age (in months) within ± 6 months. ANCOVA with age and IQ as covariates revealed that most measures, except NRT item sco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of children. Multicultural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showed significant lower performance in vocabulary knowledge measures and CLPT word recall. The two typically-developing groups did not differ in any measure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otential of vocabulary knowledge-based tasks and language processing tasks for valid assessment tools.

      • KCI등재

        실내 정밀 매핑을 위한 회전식 스테레오 라인 카메라 시스템의 캘리브레이션

        오소정 ( So Jung Oh ),신진수 ( Jin Soo Shin ),강정인 ( Jeong In Kang ),이임평 ( Im Pyeong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5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1 No.2

        본 연구는 실내 정밀 매핑과 정교한 영상 기반 서비스에 활용 가능한 실내의 입체 전방위 영상을 취득하는 시스템과 이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회전식 스테레오 라인 카메라 방식으로 구성되며, 안정적인 입체시와 객체점의 정밀한 결정에 적합한 입체 전방위 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의 투영모델을 기반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수학적 모델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실내 공간에 대해 ±1.6 cm 이내의 정확도로 객체점을 추정할 수 있었다. 제안된 시스템과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실내의 정밀한 3차원 모델링에 활용될 것이다. We propose a camera system to acquire indoor stereo omni-directional images and its calibration method. These images can be utilized for indoor precise mapping and sophisticated imagebased services. The proposed system is configured with a rotating stereo line camera system, providing stereo omni-directional images appropriate to stable stereoscopy and precise derivation of object point coordinates. Based on the projection model, we derive a mathematical model for the system calibration. After performing the system calibration, we can estimate object points with an accuracy of less than ±1.6 cm in indoor space. The proposed system and calibration method will be applied to indoor precise 3D modeling.

      • KCI등재

        Predictors of Language Disorders in School-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Vocabulary Knowledge-Based Tasks and Language Processing Tasks

        오소정(So Jung Oh)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 언어평가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언어지식과 경험 의존적인 표준화 검사를 포함한 어휘지식 평가와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덜 편향적(biased)인 것으로 알려진 구어처리 과제의 언어장애 예측 여부와 설명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생활연령을 6개월 이내로 일치시킨 6-11세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정상 언어아동(15명)과 다문화가정 언어장애아동(15명), 일반가정 정상언어 아동(15명) 등 총 세 집단 45명을 대상으로 어휘검사와 비단어따라말하기 과제(NRT)와 문장폭기억 과제(CLPT)를 실시하였다. 월령과 지능을 제어변인으로 하고 정상언어 집단과 언어장애 집단의 이분변인인 종속변인을 포함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편상관 분석을 실시하고, 언어수준별 집단(정상언어집단, 언어장애집단)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각 과제 수행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구어처리 변인이 단일 투입되었을 때 집단 구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어처리 과제 변인을 입력방식으로 모두 투입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월령과 CLPT 낱말회상 점수 변인이 유의수준 .05에서 언어장애 여부 결정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계선택 방법으로 도출한 회귀방정식에는 월령과 CLPT 낱말회상 점수, NRT 음절 점수가 유의한 변인으로 모형에 포함되었으며, 전체 모형의 집단 분류 정확률은 88.4%로 높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학령기 다문화가정 언어장애 아동과 다문화가정 및 일반가정의 정상언어 아동을 예측하는 데 비단어따라말하기와 문장폭기억 과제등의 구어처리 과제가 유용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vocabulary knowledge-based’ measures, including a standardized vocabulary test, and ‘language processing’ measures administered to school-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Three groups of school-aged childr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children with a language delay), aged 6-11, were recruited and have went through three knowledge-based tests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expressive/receptive tests and culture-related vocabulary expression test), and two processing-dependent measures (nonword repetition [NRT], competing language processing task [CLPT]). All three groups were matched in terms of family income, and 1 to 1 matched by age (in months) within ±6 months. Result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comparable diagnostic accuracy for both knowledge-based vocabulary measures and processing dependent measures. When all measures were put into regression analysis at once, however, processing dependent measures, in particular the CLPT recall measures, were the most predicting factors. Conclusion: It is significant that processing measures, which are less time-consuming and more independent to language experience or knowledge, have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on identifying language impairments in school-aged multicultural children. Further study is needed regarding processing measure to assure the predictive value with populations from various socio-economic status backgrounds and other family factors in order to be put it into practice as an assistive or primary diagnostic procedure.

      • KCI등재

        3차원 소음지도제작을 위한 도화원도와 수치지도를 이용한 도시공간모델 생성

        오소정 ( So Jung Oh ),이임평 ( Im Pyeong Lee ),김성준 ( Seong Joon Kim ),최경아 ( Kyoung Ah Choi ) 大韓遠隔探査學會 2008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4 No.2

        본 연구는 3차원 소음지도 제작에 요구되는 도시공간모델을 생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센서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기 구축된 수치지도와 도화원도만을 이용하여 지면 및 건물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지면모델은 수치지도의 표고점과 등고선의 고도값을 격자로 내삽하여 생성한다. 건물모델은 수치지도에서 추출한 건물의 2차원 경계와 도화원도에 취득한 건물의 고도를 융합하여 생성한다. 제안된 방법은 영등포구 전역을 포함하는 수치지도와 서로 다른 시기에 생성된 3 set의 도화원도에 적용하였다. 생성된 도시공간모델은 소음분석 및 분석결과의 3차원 가시화에 성공적으로 활용되었다. This study aims for generating a city spatial model required for the creation of a 3D noise map.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to generate 3D models of the terrain and buildings using only a digital map and draft maps previously established without using any sensory data. The terrain model is generated by interpolating into a grid the elevation values derived from both the contour lines and the elevation point of the digital map. Building model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2D building boundaries and the building elevations extracted from the digital map and the draft map, respectively. This method has been then applied to a digital map and three sets of draft maps created in the different times. covering the entire area of Yeongdeungpo-gu. The generated city spatial model has been successfully utilized for the noise analysis and the 3D visualiz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