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오세천 한국유변학회 1993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Vol.5 No.2
PDSC(pressurize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이용하여 물 또는 물 -DMF(N,N-dimethylformamide) 혼합물을 함유한 아크릴로니크릴 중합체(wet-PAN)의 융점 거동을 조사하였으며 wet-PAN 용융체의 점도측정에 적합한 모세관형 점도계를 제작하여 전단속도 및 온도에 따른 점도변화를 고찰하였다. 물에 의한 wet-PAN의 융점 및 용융점도 는 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근적으로 감소하여 25wt% 이상에서는 거의 일정하였다. 또한 물(25wt% 기준)의 일부를 DMF로 대체하였을 경우에는 융점이 감소하였다. 한편 wet-PAN의 용융점도는 power-law 거동에 준하였으며 물계에서는 power-law 지수(n)가 0.16(19$0^{\circ}C$)~0.18(17$0^{\circ}C$)인데 비하여 물(95)~DMF(5) 혼합물계에서는 0.24(175$^{\circ}C$)~0.25(16 5$^{\circ}C$)로서 점도의 전단담화거동이 약해졌으나 흐름의 활성화에너지는 다소 증가 하였다.
초임계 THF를 이용한 PMMA의 분해특성에 관한 연구
오세천,이창용,김문성,곽현,배성렬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2
최근에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폐고분자 물질로부터의 오일이나 유효물질 회수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초임계 유체는 기존의 액체 용매와는 달리 실제 적용영역에서 온도와 압력에 따라 용해력이 연속적으로 변하므로 추출대상물질에 대한 선택적 추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임계점 부근에서는 약간의 압력이나 온도변화에 의해서도 밀도가 급격히 변하여 이러한 밀도변화에 의한 용해력 변화를 이용할 경우 추출물 회수방법으로 쉽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초임계 유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초임계 유체 추출에 관한 연구 뿐만이 아닌 폐플라스틱 분해에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폐플라스틱 분해에 있어서 초임계 유체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PMMA (poly(methyl methacrylate))를 대상으로 초임계 THF(tetrahydrofuran)를 이용한 분해특성을 고찰하였다. PMMA에 대한 열분해 연구는 MMA monomer 회수 등의 목적을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으나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PMMA의 분해연구는 거의 이뤄진 경우가 없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유체로 THF (tetrahydrofuran) 및 toluene을 사용하여 반응온도, 반응압력 및 반응시간에 따른 PMMA의 분해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