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직류송전 인버터의 필터 최적설계를 위한 해석 및 목적함수의 선정
오성철,정교범 전력전자학회 2001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6 No.1
본 논문은, HVDC 시스템의 인버터 제어기 및 고조파 필터의 설계를 위하여 동특성 및 정상상태 특성을 해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EMTP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면, 동특성 분석이 가능하며, 정상상태 특성의 분석은필터와 부하를 고려한 조류해석을 수행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본 논문은 HVOC 시스템의 정적 및 동적 특성 분석이 가능한 단상 등가회로를 제안한다. 이 단상 등가회로에서 인버터는 스위치의 소호에 따른 전류원으로 취급된다. 또한 필터설계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목적함수를 단상 등가회로룹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전압의 고조파 성분 및 필터의 전력손실을 고려한 목적함수를 이용하여 펄터를 최적화하는 과정이 제시되어 있다. This paper proposes several methods to analyze dynamic and static characteristics of HVDC inverter system. The characteristic analysis is essential of the controller and filter design of the HVDC inverter system. Dynamic characteristic can be analyzed with EMTP simulation and static characteristic can be obtained by solving newly proposed load flow equation which includes the filter and load characteristic. New simple per-phase-equivalent circuit is also proposed. In this circuit, HVDC inverter is considered as a current source depending on the on-off status of switch. Dynamic and static characteristic can be analyzed by the proposed per-phase-equivalent circuit. For the optimal filter design, various performance criteria are proposed. The performance index, based on the per-phase-equivalent circuit, is calculated. Voltage harmonics and filter power loss are selected as criteria. Optimization procedure is explained to find optimal passive filter parameters.
The Possibility of English Stress Shift: on the Syllable Level or on the Foot Level
오성철 미래영어영문학회 2014 영어영문학 Vol.19 No.1
그동안 영어 강세충돌(stress clash)과 강세전이(stress shift)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들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 음절단위(syllable level)에서 강세충돌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본 논문은 영어의 리듬은 음절단위가 아닌 음보단위(foot level)에서 설명해야 한다고 본다. 강세충돌과 강세전이 또한 영어의 리듬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음보단위에서 설명해야 한다는 것이 이 논문의 핵심이다. 본 논문에서 주장하는 바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강세전이는 음절단위가 아닌 음보단위에서 일어난다. 강세전이가 음보단위에서 일어나는 것을 보이기 위해 나무구조(tree structure)를 재조명하고 기존 분석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수정안을 제안했다. 둘째, 강세충돌이 일어나는 음보의 지배를 받는 음절들이 비대칭 성분통어(asymmetric c-command)를 할 때는 강세전이가 일어나지 않는다. 음보단위에서 강세충돌이 일어남에도 강세전이가 일어나지 않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무구조의 내부구조를 분석하고 비대칭 성분통어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설명했다. 셋째, 비대칭 성분통어를 할 때도 강세충돌이 일어나는 음보의 지배를 받는 음절 사이에 단어경계(word boundary)가 존재할 때는 강세전이가 일어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