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Preliminary Structure Determination of the theonellapeptolide Iefrom the marine sponge Theonella swinhoei Using NMR Methods

        오선관,김은희,정해갑,노정래 한국자기공명학회 2006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 Resonance Society Vol.10 No.2

        A known theonellapeptolide Ie, previously reported in other research group, was isolated from the methanolic extract of the Philippine sponge Theonella swinhoei. The planar structure of this compound was determined on the basis of NMR methods including HMBC and selective HMBC experiments. This is fast and efficient for the dereplication of natural products compared with the MS studies of fragments obtained from complete and partial hydrolysis. The sequence of thirteen amino acids including six N-methyl amino acids in the compound was clearly determined from correlations of extensive HMBC experiments. 영어논문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태안해안국립공원 및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생육하는 해초류의 분포 및 생육환경 특성 연구

        이규성(Gyu-sung Lee),오선관(Sun-kwan Oh),홍성원(Seung-won Hong),정주학(Joo-hak Jeong) 국립공원연구원 2011 국립공원연구지 Vol.2 No.1

        태안해안국립공원과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생육하는 해초류의 분포와 생육환경을 14개 지역에서 조사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는 거머리말과 새우말 2종이 출현하였으며,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는 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 수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 4종이 출현하였다. 조사대상인 두개의 국립공원에서는 거머리말이 가장 우점종으로 분포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에는 소규모의 초지와 패치 형태로 생육하였으나,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출현한 해초는 초지형태로 대부분 생육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거머리말과 새우말은 조간대에서 출현하였다. 새우말은 조간대 암반의 조수웅덩이에 생육하였으며, 다른 해초류들은 사질, 사니질, 니사질에서 생육하였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의 거머리말, 수거머리말과 포기거머리말은 조하대에서 출현하였으며, 애기거머리말은 조간대에 생육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4개 해초지에서는 총 16종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 출현하였으며, 한려해상국립공원의 5개 해초지에서는 총 22종이 출현하였다.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seagrasses were investigated in the 14 sites of Hallyeohaesang and Taeanhaean National Park. Zostera caespitosa, Zostera caulescens, Zostera japonica, Zostera marina were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Zostera marina, Phyllospadix iwatensis in Taeanhaean National Park. Zostera marina was the dominant species among the surveyed sites. The most common habitat type was bed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whereas bed and patch type were common in Taeanhaean National Park. Zostera caespitosa, Zostera caulescens, Zostera marina were located in subtidal areas and Zostera japonica was located in intertidal areas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Zostera marina and Phyllospadix iwatensis were in intertidal area in Taeanhaean National Park. Phyllospadix iwatensis was in rocky tidal pool and other seagrasses were in sand, muddy sand and sandy mud. In the benthos survey of seagrass habitat, 22 species were surveyed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16 species in Taeanhaean National Park.

      • KCI등재후보
      • KCI등재

        VRS/RTK GPS 측량을 통한 태안해안국립공원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 - 학암포와 안면 해안을 사례로-

        박정원 ( Jung Won Park ),오선관 ( Sun Kwan Oh ),서승적 ( Seung Jik Seo ),서종철 ( Jong Cheol Seo ) 한국지형학회 2012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2

        태안해안국립공원은 파랑의 에너지가 큰 해안과 조차가 큰 해안이 공존하고 있어, 갯벌, 모래해빈, 해안사구, 해식애 등의 해안지형이 잘 나타나고 해안생태계의 다양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무분별한 모래채취와 인공구조물의 설치 등으로 인해 해빈과 해안사구의 침식이 심각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해안에서의 이러한 변화를 정확히 계측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VRS 방식의 RTK GPS를 이용해 학암포 해안과 안면(창정교) 해안을 대상으로 3차례의 주기적인 측량을 실시하였고 장기적인 해안지형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VRS 측량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is located on the middle of the west coast of Korean peninsula. Due to the relatively high wave energy, large tidal range which is about 7m, and extremely complex coastal line, various coastal land-forms such as mud-flats, sand beaches, sand dunes, sea cliffs etc. are well distributed in this area, and thus various coastal ecosystems are well preserved. However, because of reckless sand diggings and construction of artificial structures in the coastal zone, the natural flowing and exchange of coastal deposits were disturbed and the erosion in the beach and the dune has been seriously accelerated. To understand of the causes of these problems, we tried three times periodical measuring with VRS/RTK GPS instrument at the Hakampo and Anmyeon beach. According to seasonal changes of the coast-line, beach area and cross-section of study sites, generally erosion process was dominated in the summer and deposition process was followed after summer.

      • KCI등재

        한반도 서·남해 주요 갯벌 퇴적물의 시·공간적 변화: 입도, 유기물, 중금속

        김은영,류상옥,최대업,이재환,오하늘,오선관,고병설,김영남,여정원,KIM, EUNYOUNG,RYU, SANG-OK,CHOI, DAE-UP,LEE, JAE-HWAN,OH, HA-NEUL,OH, SUN-KWAN,KHO, BYUNG-SEOL,KIM, YOUNG NAM,YEO, JEONG WON 한국해양학회 2019 바다 Vol.24 No.1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의 일환으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강화남단, 가로림만, 증도, 순천만 등 한반도 4개 대표 갯벌에서 시계열 변화에 따른 퇴적환경 및 유 무기 오염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시기 및 지역별 퇴적물의 평균입도는 강화남단 $5.0-5.3{\varnothing}$, 가로림만 $4.5-4.8{\varnothing}$, 증도 $6.1-6.5{\varnothing}$, 순천만 $8.6-8.7{\varnothing}$이었다. 전반적으로 강화남단에서 순천만으로 남하함에 따라 입도가 조립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순천만에서 가장 세립한 경향을 보였다. 조사시기별로 강화남단과 증도의 경우 2015년보다 2017년에 평균입도가 보다 세립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강열감량은 2015년 순천만에서 15.5%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2016년 8.3%, 2017년 7.0%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감소되었다. 미량금속 농도는 증도와 순천만의 일부정점에서 Zn와 As가 주의기준(TEL)을 초과하였으나 기타 금속의 경우 오염농도 이하의 범위로 분석되어 오염의 개연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지역내 퇴적물중 평균입도와 미량금속 농도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증도의 경우 수은을 제외한 모든 미량금속과 강열감량이 평균입도와 정의 상관성(r=0.40-0.88, P < 0.05)을 보였다. 반면 순천만의 경우, 입도와 미량금속은 유의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강열감량과 미량금속 간에 음의 상관성(p < 0.05)을 나타내었다. 퇴적물의 미량금속 오염을 평가하기 위하여 농집지수 $I_{geo}$를 계산한 결과, Cu, Zn, Pb, Cd, Hg에 대해서는 1보다 작은 범위로 오염되지 않았고, As의 경우 순천만과 증도의 일부정점에서 약간 오염된 수준에 해당되었다. As a part of the national marine ecosystem monitoring program,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sedimentary environment and pollution of organic matters and trace metals from four major tidal flats, i.e., Ganghwa Is., Garolim bay, Jeung Is., Suncheon bay, was investigated for 3 yerars from 2015 to 2017. The mean grain size of the sediment was $5.0-5.3{\varnothing}$ at Ganghwa Is, $4.5-4.8{\varnothing}$ at Garolim bay, $6.1-6.5{\varnothing}$ at Jeung Is, and $8.6-8.7{\varnothing}$ at Suncheon bay. The mean grain size (Mz) tended to decrease from the north (Ganghwa Is.) to the south (Suncheon bay). The ignition loss (IL) was 15.5% in Suncheon bay in 2015, which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sites, but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from 8.3% in 2016 to 7.0% in 2017. In Jeung Is. and Suncheon bay, the concentration of Zn and As exceeded the threshold effect level (TEL) at some stations, but the range of trace metals in the other sites was below the level. In Jeung Is., the Mz and concentration of trace metals except Hg was positively correlated (r= 0.40-0.88, P<0.05). On the other hand, Mz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race metals (P<0.05) in Suncheon bay. The geoaccumulation index ($I_{geo}$) to evaluate contamination status of sediments for trace metal was less than 1(not contaminated) for Cu, Zn, Pb, Cd and Hg, and 2-3 (moderately to strongly polluted) for As at several stations in Suncheon bay and Jeung Is.

      • 태안해안국립공원 바람아래 특별보호구역의 지형 및 염생식물 분포특성 연구

        박정원(Jeongwon Park),서종철(Jongchul Seo),김진석(Jinseok Kim),오선관(Sunkwan Oh),박정원(Jungwon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13 국립공원연구지 Vol.4 No.1

        본 연구는 바람아래 할미섬 특별보호구역의 자연해안 복원 연구를 위하여 현재의 해빈의 높이, 면적, 해안의 길이, 사구정상의 높이 등 정확한 지형의 현황을 분석하고 지형특성에 따른 사구·염생식물 분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할미섬 지형의 최고높이는 17m이며 제일 낮은 높이는 평균 3m에서 5m로 섬 남단 만입에서 남동쪽 니질조간대 지역이다. 연구지역내 총 소산식물은 17목 23과 40속 49종 3변종 8외래종이 생육하고 있으며 곰솔군락, 갈참나무군락, 보리장나무군락, 아까시나무군락, 순비기나무군락 등 5개 목본군락과 띠군락, 갯그령군락, 갯잔디군락, 나문재군락, 왕잔디군락, 갯메꽃군락, 해홍나물군락, 천일사초군락, 갯쇠보리군락, 통보리사초군락 등 10개 염생·사구식물군락이 분포하고 있으며 갯그령-띠군락, 띠-갯메꽃군락, 띠-갯그령군락, 띠-은백양나무군락 등 4개의 혼합군락이 분포하고 있다. 식물의 공간적 분포 특성은 곰솔(Pt1), 갯그령(Em2,3,4), 갯잔디(Zs5)를 제외한 식생군락의 대부분이 10m2에서 500m2의 작은 패치형태를 띄고 있으며 높이는 평균 4m에서 6m 사이, 해안선으로부터 거리는 100m에서 150m 사이에 분포하고 잇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xact current status of the topography such as the present beach elevation and area, coastline and the height of the dune crest, with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the sand dune·halophytes on geomorphic characteristics for the restoration of natural coast in the protection zone of Baramarye Halmi-island. Halmi-island has the maximum height of 17m and the lowest height of average 3m to 5m, which is the muddy tidal flat area located southeast of the embayment on the southern tip of the island. The total distribution of plants in the research sites are 17 orders, 23 families, 40 genus, 49 species and 8 exotic species: 5 arbors communities including Pinus thunbergii, Quercus aliena, Elaeagnus glabra, Robinia pseudo-acacia, Vitex rotundifolia etc., 10 halophytes and sand dune plants communities including Calystegia soldanella, Suaeda maritima, Carex scabrifolia, Ischaemum anthephoroides, Carex kobomugi etc and 4 mixed communities including Elymus mollis-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Calystegia soldanella,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Elymus mollis,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Populus alba etc.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lants are identified that the most plant community are distributed in the distance of between 100m to 150m from the coastline, with the small-scale patch structure of 10m2 to 500m2 and the height of average 4cm to 6cm except Pinus thunbergii (Pt1), Elymus mollis (Em2,3,4) and Zoysia sinica (Zs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