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α-Amylase 첨가에 따른 쌀가루 및 팽화미분 아이스크림의 이화학적 특성

        오보라 ( Bora Oh ),이영현 ( Young Hyoun Yi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6 산업 식품공학 Vol.20 No.1

        단립종 쌀가루, 장립종 쌀가루, 단립종 팽화미분 및 장립종 팽화미분의 호화도와 α-amylase 첨가에 따른 쌀가루와 팽화미분 아이스크림의 점도, 오버런, 녹아내리는 정도, 수분, 조지방, 총당 그리고 색도를 조사하였다. 호화도는 동일 곡종에서는 팽화로 호화도가 증가하였으며, 동일 처리구에서는 단립종이 장립종 보다 높았다. 점도는 α-amylase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했고 0.0%를 제외한 동일 농도와 곡종에서는 쌀가루가 팽화미분보다 높았으며, 같은 농도와 처리구에서는 단립종이 높았다. 오버런은 0.2%가 가장 높았고 같은 농도와 처리구에서는 단립종이 높았다. 녹아내리는 정도는 믹스 점도가 낮아질수록 많이 녹아내렸고, 팽화미분이 쌀가루보다 많았다. 수분은 효소함량에 따라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팽화유무에 상관없이 단립종이 높거나 같았다. 조지방은 농도, 곡종 및 팽화유무와 상관없이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총당 함량은 α-amylase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졌고 동일 농도에서는 팽화미분이 높은 값을 보였다. 색도는 효소 농도가 짙어질수록 “L”값과 “b”값은 증가하였고 “a”값은 감소하였다. 동일한 농도와 곡종에서는 팽화에 의해 “b”값은 감소하였다(p<0.05). The viscosity, overrun, melting-down, moisture, crude fat, total sugar, and color of rice powder and puffed rice powder ice cream, following the addition of α-amylase, were investigated. For identical grain types, the gelatinization degree increased with puffing, and within the same treatment, the short grain was higher than the long grain. Viscosity dropped with increasing α-amylase at the same concentration and grain type, excluding 0.0%, the rice powder was higher than the puffed one, and for the same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he short grain was higher. The overrun was highest at 0.2%, and for the same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he short grain exhibited higher overrun. Higher melting-down was observed in puffed and lower viscosity ice cream mix.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oisture with enzyme concentration. Regardless of puffing, the short tended to have a higher moisture. No difference was noticed in crude fat by concentration, grain type, or puffing. The total sugar was higher with increasing α-amylase; at the same concentration, puffed tended to be higher. The hunter “L” and “b” increased with α-amylase, while the “a” value dropped. At the same concentration and grain type, the “b” values decreased with puffing (p<0.05).

      • KCI등재

        바르다의 줍기를 통해 본 무용과 우연의 미적 가능성 - 〈이삭줍는 사람들과 나〉에 관하여

        오보배(OH Bobae),박혜민(PARK Hyemin)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21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77 No.-

        우리 논문은 아녜스 바르다의 다큐멘터리 〈이삭줍는 사람들과 나〉에서 ‘이삭줍기’라는 테마가 보여주는 무용 inutilité과 우연 hasard의 미적 가능성에 관한 연구이다. 뉴밀레니엄의 시작을 앞두고 바르다의 카메라는 소비사회의 이면에서 버려진 것을 줍는 사람들을 좇는다. 실직자, 부랑자, 이민자 등 사회의 기준 밖으로 밀려난 사람들이 상품으로 부적격 판정을 받은 과일, 야채, 식품과 망가진 가전, 가구들을 줍는다. 스스로를 ‘이미지 줍는 사람’으로 명명한 감독은 이러한 ‘줍기’를 단순히 주제적으로만 접근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촬영 과정에서 우연히 마주친, 일견 무용해 보이는 사물과 이미지들을 활용해 마치 이삭을 줍듯 영화를 만들어간다. 우연에 기대어 무용한 것들 안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바르다의 시선을 우리는 칸트의 미학이론과 초현실주의 예술운동의 맥락 안에서 이해해볼 것이다.

      • KCI등재

        근대 학문 형성기의 국어국문학 연구 당천(唐川) 이한룡(李漢龍)의 문학론(文學論)과 저술(著述)의 의미(意味)

        오보라 ( Bo Ra Oh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Yi, Han-ryong(李漢龍)’s literary theory and writings. After the Gabo Reform(甲午改革) of 1894, the classical Chinese have lost its authority in the Korean literature and society, but many intellectual who had educated about the classical Chinese still survived. Therefore, many people use the classical Chinese in their writings, although the government declared that all of official documents was written by pure Korean. To explain why many people kept on using the classical Chinese, I analyze Yi, Han-ryong(李漢龍)’s writings. Yi, Han-ryong was a rural intellectual. He lived in Namwon and belonged to a rural community. In other words, he was isolated the mainstream society. So he found his own literature theory. The ancient Chinese prose(古文) was meaningful to Yi, Han-ryong. He thought that the ancient Chinese prose represented the world. And He pursued realizing an ideal Confucian society by using the classical Chinese. Therefore, he didn’t delight in the classical Chinese writings, but wrote serious articles. For example, he wrote about the law, social system, historical events and so on. Additionally, he wrote some biography of patriots and much of monody to memorialize achievements of patriots. In conclusion, Yi, Han-ryong sticked to Confucian values and traditional styles of writing. He coped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in his own way. The writhing of Yi, Han-ryong may be seen by some people as an anachronism. However, he struggled with a crisis of state seriously. So we need to acknowledge a meaning of his writings, rather than criticising it as an anachronism.

      • KCI등재

        서피(西陂) 유희(柳僖)의 『중용장구보설(中庸章句補說)』 연구 - 구조 분석 특징과 主氣的 학설 비판을 중심으로 -

        오보라 ( Oh Bo-ra ) 한국실학학회 2021 한국실학연구 Vol.- No.42

        본고는 유희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희의 경학관과 학맥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중용장구보설』을 살펴보았다. 유희는 道를 밝혀 일상생활에 실천하는 것이 儒學의 本領이라고 여겼으며, 여러 분야에 통달한 ‘通儒’가 되는 것이 儒者의 진정한 本分이라 여겼다. 따라서 유희의 경전 해석은 주자학의 학문 방법론을 토대로 도를 실현하는 것을 큰 틀로 삼되, 세부적인 文義해석에 있어서는 다양한 설을 폭넓게 검토하고자 했다. 이처럼 유희는 주자학의 학문 방법론을 종지로 삼으면서도 동시에 유연한 경전해석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전 해석 태도를 지닌 유희의 저술에서 理氣心性論의 존재 양상을 논리적으로 체계화한 저술은 좀처럼 보기 드물다. 유희의 경전 해석은 주로 유학의 실천성과 文義의 치밀한 고증에 방점을 두고 있으며, 전자는 補說類저술에 후자는 訓詁類저술에 각각 드러난다. 유희의 『중용장구보설』은 補說類에 속하는 저술로, 여기서 유희는 『중용장구』의 각 장절에 대한 견해를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서술했다. 본고는 유희의 『중용』 해석 특징을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구조분석의 측면에서 보면, 유희는 程子의 三分說을 수용하여 1장과 33장이 『중용』의 핵심, 즉 道의 本然을 말하는 것이라 보았다. 그리고 2∼32장은 도의 본연이 萬事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설명하는 것으로 보았다. 유희는 정자의 삼분설에 의거해 『중용』의 구조를 분석하여, ‘中庸’을 인간이 행해야 할 핵심 규범으로서 강조했다. 내용 분석에 있어 가장 큰 특징은 유희가 主氣的해석을 경계하고 있다는 점이다. 유희는 큰 틀에서는 栗谷의 학설을 수용하되, 지나친 氣의 강조가 가져올 수 있는 理의 주재성 약화를 우려하여 氣에 대한 理의 우위를 강조했다. 이러한 관점을 지닌 유희는 氣의 영향력을 지나치게 강조한 韓元震의 학설을 강하게 비판했다. 유희는 한원진의 설이 심성 수양에 의한 도의 윤리적 실천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고 보았다. 아울러 유희는 한원진이 氣를 강조해 새로운 설을 수립함으로써 지적 헤게모니를 장악하고자 한다고 여겼다. 경전 해석에서 유학의 실천적 측면을 중시한 유희는 인간 세상의 萬事에 적용되는 윤리 규범으로서 『중용』을 인식했다. This article analyzed the Jungyoungjanggu-Boseol(中庸章句補說) by Seo Pa Yu Hui, to clarifying Yu Hui’s id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background. Yu Hui considered it the essence of the Confucianism to practice Tao(道) in daily life, and considered it the true duty of the scholar to become a ‘Tongru(通儒)’ who mastered various fields. Therefore, Yu Hui’s 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 scriptures is based on the academic methodology of Zhuzi(朱子), but in the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 sentence, various theories were widely reviewed. As such, Yu Hui is showing a flexible attitude of interpreting scriptures while using Zhuzi’s academic methodology as the end. This paper analyzed how Yu Hui interpreted the Doctrine of the Mean from two aspects, as follows. First, it is the aspect of structural analysis. Yu Hui accepted Chengzi(程子)’s view of dividing the Doctrine of the Mean into three parts. So he thought that the Chapters 1 and 33 refered to the core of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Yu Hui thought that Chapters 2-32 explained how the Tao(道) applied to everything. Futhemore, Yu Hui matched the main concepts of the Neo-Confucian and the quote from the Classic of Poetry, one by one. He saw that the Doctrine of the Mean had a thoroughly fine double crown structure. Second, it is the aspect of content analysis. The characteristic of content analysis on the Doctrine of the Mean by Yu Hui is summarized as follows. Yu hui accepted Yulgok(栗谷) Yi I(李珥)’s theory in a large framework, but acknowledged Li(理)’s superiority over Qi(氣), fearing that excessive emphasis on Qi could lead to weakening of Li. From this point of view, Yu hui strongly criticized Han Won-jin’s theory. Yu Hui thought that Han Won-jin’s theory might interfere with the ethical practice of morality through mental training. In addition, Yu Hui thought that Han Won-jin wanted to dominate the intellectual hegemony by establishing a new theory by emphasizing Qi(氣). Yu Hui, who emphasized the practical aspect of the Confucianism, recognized the Doctrine of the Mean as an ethical norm applied to everything in the human world.

      • KCI등재
      • KCI등재

        「사유록(四遊錄)」을 통해 본 해은(海隱) 강필효(姜必孝)의 학적 지향

        오보라 ( Oh Bo-ra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2

        본고는 강필효의 학문과 문학을 규명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해은선생유고』에 수록된 「四遊錄」을 살펴보았다. 「사유록」은 산수 유람을 넘어서 강필효의 생애와 교유, 학문ㆍ사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강필효는 「사유록」을 저술하여, 유람록이라는 형식을 통해 자신의 생애를 再構했다. 강필효는 유람을 강학의 연장으로 이해하였다. 강필효의 유람록 가운데서도 유람과 강학이 가장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로 「사유록」이다. 「사유록」을 살펴보면, 자연 경관에 대한 흥취보다는 강필효가 주변 인물들과 학문을 토론한 내용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강필효는 평생의 유람 중에서 자신의 학문ㆍ사상을 드러낼 수 있는 여섯 번의 유람을 선택적으로 기술하여, 「사유록」에서 학적 지향을 드러냈다. 「사유록」을 통해 엿볼 수 있는 강필효의 학적 지향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소론계 학맥을 현양하고자 하는 의식이다. 강필효는 스스로 소론의 嫡傳으로 자부하여 자신의 학맥이야말로 정주학을 올바로 계승했음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에 정자와 주자의 고사를 차용하여 소론계 학맥의 사승 관계를 宋代 性理學의 전수 과정에 빗대었다. 「사유록」 상ㆍ하편은 강필효가 윤광소에게 나아가 학문을 전수받은 내용으로 시작하여, 영남에서 소론계 학인의 자취를 확인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그렇다면 「사유록」 전편은 소론계 적전으로서의 학문적 계승 의식을 뚜렷이 드러내기 위해, 평생의 유람 여정을 재편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다음으로 간취할 수 있는 강필효의 학적 지향은 이이와 이황의 학설을 포용하려는 학문 태도이다. 이러한 면모는 특히 『심경』을 강론하는 대목에서 드러난다. 「사유록」에 채록된 윤광소의 언급을 보면, 윤광소는 당파에 따라 어느 한 학설을 무비판적으로 추종하는 것을 지양하고 이이와 이황의 학설을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강필효도 이러한 스승의 견해를 이어받아, 이이와 이황의 학설이 모두 주자학에 근본을 둔 것이므로 병존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강필효의 다른 저술을 살펴보면, 강필효가 양자를 동등하게 긍정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강필효는 이기심성론에서 이이의 입장을 지지하되, 이황의 설도 유연하게 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강필효의 학문은 소론에 본원을 두고 있으면서, 유연한 태도로 영남 남인의 학풍도 포용하고자 하였다. 강필효는 영남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지역 문인들과 원만한 유대관계를 이어가며 소론계 학풍을 전파했다. 다만 여전히 남는 의문이 있다. 「사유록」을 보면, 강필효는 주로 성리학의 주요 명제는 윤광소, 성근묵 등 소론계 학자들과 토론하고 있다. 영남 남인들과 유람을 함께 했으나, 그들과의 심도 있는 강론은 「사유록」에 수록되지 않았다. 강필효가 영남 남인들과 학문적으로 민감한 쟁점을 전면적으로 논쟁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이에 대한 연구는 후고를 기약한다. This article analyzed "Sayurok" to reveal Kang Pil-hyo's academic characteristics. "Sanyurok" provides a glimpse of Kang Pil-hyo's life, fellowship, learning, and ideas as well as his travel. Kang Pil-hyo regarded Confucianism as an extension of academic research. Kang Pil-hyo called his visit to No-sung at the age of 22 "the first travel," and in fact, the record at this time is more of a "lecture book" than a "travel book." For Kang Pil-hyo, travel and academic research were inextricably linked. Therefore, Kang Pil-hyo often read the Bible or lectured on learning with those who accompanied him on a cruise during his later tour of the landscape. "Sayurok" is a record of Kang Pil-hyo's academic journey. There are two main academic orientations of Kang Pil-hyo in "Sayurok". First, it is the ritual of succession of Soron Neo-Confucianism. Kang Pil-hyo believed that the academic style from Seong Hon and Yun Seon-geo to Yoon Jeung and Yoon Gwang-so inherited Neo-Confucianism properly. Thus, the meeting between himself and Yoon Kwang-so was portrayed in "Sayurok" in comparis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o-Confucian scholars of Songdae. Second, Kang Pil-hyo summoned a Soron scholar at an academic holy site in Yeongnam, clearly revealing his academic background in Soron. The writings of Yeongnam writers, who usually record tours of Cheongnyang Mountain and Oksan, make up the most important points about Yi Hwang and Yi Eon-jeok. However, Kang Pil-hyo not only mentioned Yi Hwang and Yi Eon-jeok, but also mentioned the activities and poems of scholars of the Soron world, such as Seong Hon, Yun Seon-geo, Yoon Jeung, and Yoon Kwang-so. Through this, Kang Pil-hyo repeatedly revealed that he succeeded in the Soron school.

      • KCI등재

        르 클레지오의 『황금물고기』에서 여성 인물들 간의 연대

        오보배(Bobae OH) 프랑스학회 2018 프랑스학연구 Vol.0 No.84

        La prédominance des personnages féminins et leur rôle important et salutaire dans la vie de Laïla nous invitent à lire Poisson d’or autour du theme de sisterhood, solidarité entre les femmes. Les rapports de Laïla avec quatre personnages secondaires, Tagadirt, Houriya, Simone et Sara, peuvent être compris comme modèles de la sororité chez Le Clézio, non seulement parce qu’elles sont des femmes, mais surtout que ces relations solidaires sont fondées sur les valeurs considérées comme féminines ou féministes. Il s’agit de la responsabilité pour Autrui, assumée par l’hospitalité (Levinas, Derrida) et des principes écoféministes comme le soin, le respect pour la Nature, la coexistence et la durabilité (Maria Mies, Vandana Shiva). La solidarité de nos personnages et leur esprit de résistance apparaissent à travers les chansons et les poèmes. Si les vers de Césaire, récités par Laïla, reflètent la colère contre les situations injustes qu’elle vit en tant que noire, les paroles de Black is the color of my true love’s hair, répertoire de Sara, représentent un amour véritable qui nous permets de surmonter tous les préjugés raciaux. Ces solidarités féminines s’interrompent, sinon échouent, par la pauvreté, la citoyenneté inaccessible et surtout par les hommes qui traitent leur femme comme un objet à posséder. Cependant, dans la perspective leclézienne à la fois réaliste et optimiste, la sororité est une lutte qui finit souvent par s’arrêter, mais qu’on ne cesse de reprendre de nouveau.

      • KCI등재

        素谷 尹光紹 「孤舟錄」의 저술 배경 및 자기서사 양상

        오보라 ( Oh Bo-ra )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0

        본고는 素谷 尹光紹(1708~1786)가 「孤舟錄」을 저술한 동기는 무엇이며, 「고주록」에서 자신의 삶을 어떻게 재구했는지 살펴보았다. 윤광소는 尹拯의 각종 저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懷尼是非와 관련된 소론의 의리를 정립하고자 했다. 이처럼 윤광소는 윤증의 뒤를 잇는 소론계 문인 가운데 핵심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학계의 주목을 거의 받지 못했다. 윤광소는 「고주록」 을 통해 자신의 생애를 정리하고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대변하고자 했다. 윤광소의 전체적인 저술 경향을 고려했을 때, 윤광소는 당대 그 누구보다도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변론하여 세간의 비판에서 벗어나려는 의도를 강하게 지니고 「고주록」을 저술했다고 판단된다. 그의 문집에는 문예미를 추구하거나 감정의 진솔한 표현을 위주로 하는 시문이 거의 없고, 자신과 가문의 입장을 대변하는 글이 주를 이룬다. 또한 윤광소는 문집 이외에도 다수의 저술을 남겨, 회니시비 이후 정치적 열세에 속했던 소론, 특히 노성 파평윤씨 가문의 무고함·정당함을 드러내고자 했다. 「고주록」은 정치적 목적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저술이다. 윤광소는 「고주록」에서 자신이 오로지 능력에 의해 영조에게 신임받았음을 명확히 하고, 자신을 공격하던 반대 세력은 탕평 의리와는 거리가 먼 자들로 형상화했다. 제3자의 시각으로 보았을 때 윤광소가 반드시 의리의 측면에서 정우량보다 우위에 있다고 보기 어렵다. 『영조실록』의 사평에서는 윤광소가 사적인 원한 때문에 정우량을 공격했다고 하였으며, 윤광소가 사사로이 자신의 선조를 변호해 선정신 송시열을 공격한다는 비난은 윤광소 생애 내내 따라다녔다. 이처럼 윤광소의 정치적 행보를 둘러싼 세간의 평이 엇갈렸다.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린 윤광소로서는 자신이 직접 자신의 행보를 변론하고 의혹을 해명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때문에 윤광소는 「고주록」을 통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려 한 것 같다. 이처럼 윤광소는 평생에 걸쳐 자신과 가문의 입지를 변론하고 소론의 의리 명분을 확립하고자 노력했지만, 그의 노력은 당대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는 못한 듯하다. 윤광소 이후, 그의 가문에서 정계에 진출한 자가 드물었으며, 윤광소의 학문 역시 가문의 후손이 아닌 영남의 강필효에게로 이어진다. 아울러 윤광소가 자편한 문집은 윤광소가 세상을 떠난 지 90년이 지나서야 간행된다. 윤광소가 이러한 미래를 예견한 것은 아니겠지만, 결국 윤광소 이후 윤광소의 무함을 풀어줄 자는 윤광소 자신 이외에 없었다. 윤광소의 「고주록」은 윤증 이후 수세에 몰린 파평 윤씨 가문의 후손이 혼란한 黨爭 속에서 치열하게 살아남고자 한 기록이자 자기 변론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background and self-narrative pattern of the author of 「Kojurok」 by Yoon Kwang-so(尹光紹). Yoon Kwang-so systematically organized various writings of Yoon Jeung and tried to establish the justification of the insistence related to Hoenisibi(懷尼是非). As such, Yoon Kwang-so had received little attention from academia so far, even though he is a key figure among the Soron writers who succeed Yoon Jeung. Yoon Kwang-so tried to organize his life and represent his position through a self-narrative called 「Kojurok」. 「Kojurok」 is an article that reveals very strong political purpose. In this article, Yoon Kwang-so clarified that he was trusted by King Yeongjo solely by his ability, and embodied the opposing forces who attacked him as those who were far from Tangpyeong loyalty. From a third party's point of view, it is difficult to say that Yoon Kwang-so is necessarily superior to Jung Woo-ryang in terms of justification. As mentioned earlier, in the private review of Yeongjo Annals, Yoon Kwang-so attacked Jung Woo-ryang because of his private resentment, and criticism that Yoon Kwang-so defended his ancestors and attacked Song Si-yeol, the god of selection, followed throughout his life. As such, public reviews surrounding Yoon Kwang-so's political moves were mixed. Yoon Kwang-so, who was politically on the defensive, would have no choice but to plead his own actions and explain the suspicions. Therefore, it seems that Yoon Kwang-so tried to secure legitimacy for his actions through 「Kojurok」.

      • KCI등재

        채주문(蔡周文) 사건의 서사화 양상을 통해 본 조선 후기 복수 서사의 이념성

        오보라 ( Oh Bo-ra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7

        본고는 복수를 둘러싼 쟁점들이 복수 서사를 통해 유교 이념으로 포섭되고 유교 이념을 실천하는 행위로 미화되는 과정에 주목하여, 蔡周文 사건의 서사화 양상을 분석했다. 채주문의 복수 살인은 장계, 옥안, 판부 등의 공문서에 형성된 내러티브를 통해 정당한 행위로 판결되었다. 당초 황성엽에 대한 옥안에서는 채서우가 황성엽에 의해 죽은 것인지 명시되어 있지 않았지만, 경상감사의 장계 등에서 각종 정황 증거를 거론하여 채주문의 행위를 정당한 행위로 평가했다. 하지만 채주문의 복수 살인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이러한 논란을 해소하고자 창작된 것이 바로 정상리의 「채효자복수기사」이다. 채주문의 가문과 인척 관계였던 정상리는 실기류 산문을 통해 채주문의 복수가 정당한 행위였음을 역사적 사실로 명문화했다. 그 뒤 정민병과 고성겸은 「채효자전」을 지어, 채효자 사건을 인구에 회자될 만한 흥미롭고도 특출난 효행으로 윤색했다. 정민병은 정상리의 再從姪이었으며, 고성겸은 정민병과 교유했던 상주지역의 유생이었다. 따라서 이들은 정상리의 의도를 계승·발전하여, 복수사건을 보다 극적으로 탈바꿈하는 데 주력했다. 이들은 복수 준비 과정, 복수 살인 장면 등을 확대하고 새로운 서사를 삽입하여, 복수 서사를 흥미롭고 생동감 있게 만들었다. 정민병과 고성겸이 새로 삽입하거나 확대한 서사 요소들은 모두 ‘孝’라는 가치와 긴밀하게 조응을 이루고 있다. 그리하여 이들이 창작한 「채효자전」은 독자들로 하여금 복수 관련 쟁점들을 상기하지 못하게 하고, 오로지 채주문의 행위를 보기 드문 위대한 효행으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정민병과 고성겸이 이러한 서사화를 통해 노린 것은 궁극적으로 채주문이 정려를 받고 역사서에 기록되는 것이었다. 요컨대, 정상리, 정민병, 고성겸은 의도적으로 채주문의 복수 관련 의혹들을 제거하여, 채주문의 살인을 칭송할 만한 윤리적 행위로 탈바꿈했다. This article analyzed the narrating style of Chae Ju-mun incident, noting that the issues surrounding revenge were captured as Confucian ideology through revenge narrative. First of all, Chae Ju-mun’s revenge murder was recognized as a legitimate act through narratives formed in official documents such as Jang-gye, Ok-an, and Pan-bu. Originally, it was not specified whether Chae Seo-woo was killed by Hwang Seong-yeop, but various circumstantial evidence was cited by the Gyeongsang provincial governor evaluated Chae's revenge murder as a legitimate act. Also, Jeong Sang-ri’s 「Chaejumunboksugisa」 resolved various suspicions surrounding the Chae Ju-mun’s murder, glorifying his revenge murder as a legitimate. In other words, Chae Ju-mun’s revenge murder was justified by the narrative of official documents and articles. Rather than re-discussing whether the revenge was justified or not, Jeong Min-byung and Ko Sung-kyum focused on drawing Chae Ju-mun’s revenge murder as a symbol of ‘filial piety’. Jung Min-byung's 「ChaeHyojajeon」 showed that Chae Ju-mun’s revenge murder was closely linked to ‘filial piety’ by expanding the long and difficult revenge preparation process and the brutal revenge murder scene. And in Go Sung-kyum's 「ChaeHyojajeon」, Chae Ju-mun’s revenge murder were portrayed as public punishment based on humanity. Through two exhibitions, various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revenge murder are eliminated, and revenge is only embodied in the practice of Confucian ideology called ‘filial piety’. In addition to 「ChaeHyojajeon」, there are countless narratives about revenge. It needs to be studied more broadly how these revenge narratives relate to contemporary ideologies, laws, and social situations.

      • KCI등재

        西陂 柳僖 物名考 의 체계 및 의의 재탐색

        오보라(Oh Bo ra) 대동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58 No.-

        본고는 문통 에 수록된 물명 관련 저술들을 폭넓게 검토하여, 물명고의 특성을 재검토했다. 유희는 물명고 를 저술하기 이전에 시물명고 와 유록 이라는 저술에서 물명을 고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물명고 로 집성했다. 이때 유희는 백과사전식 유서보다는 본초서를 전범으로 하여 물명고 를 편찬했다. 하지만 유희가 본초서를 전범으로 삼았다고 하여 물명의 분류 기준까지 기존 본초서를 그대로 따른 것은 아니다. 유희는 전통적인 본초 분류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자신만의 분류 기준을 세우고, 이를 물명고 의 분류 체계에 적용했다. 이 과정에서 유희는 분류 체계의 논리적 정합성을 추구했다. 한편, 유희는 물명고 의 표제항 설정에서 ‘총집’보다는 ‘물명 변증’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에 비해 재물보 는 백과사전식 유서를 전범으로 여겼으며, 변증보다는 총집에 주안점을 두었다고 생각된다. 때문에 재물보 가 백과사전식 유서를 전범으로 삼았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본초강목 의 표제항을 수용한 흔적들이 더 많이 나타나고, 물명고 는 본초서를 전범으로 삼았는데도 오히려 본초강목 과 유사한 표제항이 적게 나타나는 것이다. 조선후기에 名物度數之學이 성행하면서 많은 물명서들이 편찬되었다. 유희의 물명고 역시 그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편찬되었다. 그런데 당대대부분의 물명서가 단지 사물의 이칭을 수록하는 데 그친 것과 달리, 물명고 에는 물명의 변증 과정이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더불어 유희는 물명고 를 편찬할 때 치밀한 물명 변증을 통해 표제항을 재조정하려고 애썼다. 즉 물명고 는 실증적 학문 태도을 바탕으로 편찬되었다. 물명고 의 보다 큰 가치는 ‘物’의 세계를 독창적으로 구조화했다는 점에 있다. 유희는 ‘物’을 분류함에 있어 관습적인 분류 체계를 답습하지 않았다. 대신에 佛敎・本草學・度數之學・小學 등 다양한 분야의 ‘物’에 대한 설명을 비판적으로 흡수하여, 나름의 논리적 체계 위에서 ‘物’을 구조화했다. 물명고 는 서구 근대 과학의 사물 인식・세계관과 대비되는 동양의 전통적인 사물 인식・세계관을 보여준다. 이 점이야말로 물명고 의 독자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onstitution and meaning of Sŏ P a(西陂) Yuhŭi(柳僖)’s Mulmyŏnggo(物名考) by looking at Munt ong (文通) in a broader way. Yuhŭi confirmed the names of things in Shimulmyŏnggo(詩物名考) and Yurok(類錄) , before writing Mulmyŏnggo . His long-term research results had been incorporated into Mulmyŏnggo . Yuhŭi compiled Mulmyŏnggo with the Ponch osŏ(本草書) as an example, rather than the encyclopedia. However, He did not follow the classification of the Ponch osŏ. He critically examined the classification of the the Ponch osŏ and categorized things on his own. Yuhŭi emphasized logic when categorizing things. Also, he emphasized an empirical research when arranging the items in Mulmyŏnggo . In other words, Yuhŭi compiled Mulmyŏnggo by positive methods. This aspect of Mulmyŏnggo is a unique feature that distinguishes it from other thesauruses. Many thesauruses were compiled in the late Joseon period. By the way, Mulmyŏnggo had a clear logic unlike most thesauruses that simply listed different names of things. Moreover, Mulmyŏnggo illustrated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method for things. These features were the greatest significance of Mulmyŏnggo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