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육성 흑염소 방목 산지초지에서 사료가치, 사초 건물 수량 및 방목 강도의 계절별 변화에 관한 연구

        성혜진,장세영,오미래,당옥교,정우령,김상우,최기준,전병태,문상호,Seong, Hye Jin,Jang, Se Young,Oh, Mi Rae,Tang, Yu Jiao,Ding, Yu Ling,Kim, Sang Woo,Choi, Gi Jun,Jeon, Byong Tae,Moon, Sang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6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grazing intensity of growing Korean native goats (Capra hircus coreanae) on mountainous pasture. It was carried out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mountainous pasture management and establishing feeding system of Korean native goats. Castrated, male goats (n=10)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BW) of $23.33{\pm}2.15kg$ and an average age of 4 months were used in this study. Grazing goats were supplemented by concentrates with 1.0% of BW.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forage was the highest in October ($22.71{\pm}0.25%$) a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p<0.05) in monthly comparison. The forage productivity of pasture was the highest from May to June ($1718.7{\pm}207.5{\sim}1672.0{\pm}422.8kg/ha$ but it was decreased in July ($1356.0{\pm}103.8kg/ha$) because of drought and summer depression. Average daily gains (ADG) of goats were the highest in June ($99.5{\pm}6.4d/g$). Grazing intensity was calculated by forage productivity and dry matter intake (DMI) and was the highest in May (65 head/ha).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grazing intensity was suggested to average 39 head/ha from May to October. It is desirable that adequate grazing intensity was maintained by adjusting supplemental feed. 본 연구는 산지초지에서 흑염소 방목 시 건물 채식량과 사초 생산량의 분석을 통해 적정 방목 강도와 초지 건물 수량 및 일당증체량의 계절별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산지 초지 활용성 제고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가축은 평균 $23.33{\pm}2.15kg$의 4개월 령 거세 흑염소 10두였다. 보충사료의 급여수준은 체중 1%로 고정 급여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산지 초지를 이용한 흑염소 방목지의 경우 계절별 사료 가치는 대부분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10월에($22.71{\pm}0.25%$) 가장 높았으며, 월별 조단백질 함량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방목지의 사초 건물수량의 경우, 5월~6월에($1718.7{\pm}207.5-1672.0{\pm}422.8kg/ha$)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으나 여름철 하고현상으로 인해 7월($1,356.0{\pm}103.8kg/ha$)에 생산성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계절별에 따른 흑염소 방목 시 일당 증체량은 실험 기간 중 6월에 $99.5{\pm}6.4d/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연중 방목 시 월별 사초 생산성은 변동이 있으나, 흑염소의 건물 채식량은 성장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월별 방목 적정 두수의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계절별 방목 강도 설정은 초지의 계절별 생산성과 채식량을 기준으로 분석되었으며, 5월(65두/ha)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본 실험 기간 동안의 평균 방목 강도는 39두/ha이며 계절별로 이를 초과하거나 부족할 시 보충 사료의 가감을 통하여 적정 방목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전라남도 남해안 유인도서 팔색조 분포 및 임상에 대한 연구

        김은미 ( Kim Eun-mi ),강창완 ( Kang Chang-wan ),전철현 ( Jeon Chul-hyun ),오미래 ( Oh Mi-rae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2

        팔색조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으로 생존 개체수에 대한 파악은 멸종을 막기 위해 중요하다. 이번 조사는 2014년과 2015년에 실시하였으며 팔색조가 도래하는 시기인 5월 하순부터 번식기인 8월 하순까지 월 2회 이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한 유인도서 중 완도군, 고흥군, 여수시에 속하는 12개 도서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식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였고 임상도를 통해 현재의 번식지 상황을 살펴보았다. 팔색조는 9개 유인도서에서 41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오도에서 13개체가 관찰되어 전라남도 남해안 유인도서 중 가장 많은 개체가 관찰되었고 다음으로 거금도에서 10개체가 관찰되었다. 팔색조는 계곡 주변이나 상수원보호구역, 사찰 등 사람 접근이 어렵거나 제한되었고 산림 훼손이 덜한 지역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임상으로는 상록활엽수림과 낙엽활엽수림 그리고 침활혼효림 지역에서 관찰되었다. 이들 도서지역의 임상도를 살펴보았을 때 팔색조가 번식지로 선택한 지역은 4영급의 수목이 산림을 이루는 곳이었으며, 전라남도 남해안 유인도서 임상은 1970년대까지 성행하던 땔감용 그리고 목재용 벌채가 줄어들면서 기존에 작은 면적으로 남아있던 상록활엽수림과 식재된 곰솔림 그리고 맹아림 등의 숲이 30-40년이 지난현재 팔색조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숲의 규모나 구조로 성장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It is essential that we know how many Fairy Pittas survived globally since this species is an international endangered species.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Fairy Pitta at 12 inhabited islands belonging to Wando-gun, Goheung-gun, Yeosu-si, located at the southern coast of Jeollanamdo province from 2014 to 2015. We visited these islands from the end of May to the end of August during 2 years for more than twice a month. We searched for literatures and the map of forest type for understanding the habitat environment. We confirmed 41 Fairy Pittas in 9 inhabited island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individuals(13) inhabited was the Geumodo Island which belonged to Yeosu-si, followed by the Geogeumdo(10) Island that belonged to Goheung-gun. We observed these forest species around the valley, temple and protection area of source water where human approach was difficult and restricted and thus, forest damage was less. These birds were observed in the evergreen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nd mixed forest of soft and hardwood. According to the forest type map in several islands, the trees of 4 grade age-class were composed of forests of the breeding areas. Authors believe that deforestation for fuels and timbers flourishing in the 1970s declined and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stayed within a small area. Also, the black pine forest( planted in the 1970s) and the sprout forest became a good forest condition for the Fairy Pitta’s breeding in terms of size and structure after 30-40 years.

      • KCI등재

        한국에서 갈색지빠귀(Turdus feae)와 대륙점지빠귀(Turdus viscivorus)의 첫 관찰기록 보고

        김동원(Dong-Won Kim),오미래(Mi-Rae Oh),허위행(Wee-Haeng Hur),박진영(Jin-Young Park),최유성(Yu-Seong Choi),김화정(Hwa-Jung Kim),남형규(Hyung-Kyu Nam),김성현(Sung-Hyun Kim) 한국조류학회 2021 한국조류학회지 Vol.28 No.2

        인천광역시 옹진군 소청도에서 국내 미기록 지빠귀과 Turdus feae 1개체와 T. viscivorus 1개체가 각각 2016년 5월 26일과 2020년 11월 21일에 관찰되었다. 이는 국내에서 T. feae와 T. viscivorus의 최초 기록이며, 두 종의 국명을 각각 ‘갈색지빠귀’와 ‘대륙점지빠귀’로 명명한다. A Grey-sided Thrush (Turdus feae) and a Mistle Thrush (T. viscivorus) were observed in the Socheong Island on May 26, 2016, and November 21, 2020, respectively. These are the first records of both species in Korea.

      • KCI등재

        흑염소 방목초지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문상호,김상우,최기준,장세영,박재현,전병태,김명화,김성진,오미래,Moon, Sang Ho,Kim, Sang Woo,Choi, Gi Jun,Jang, Se Young,Park, Jae Hyun,Jeon, Byong Tae,Kim, Myoung Hwa,Kim, Sung Jin,Oh, Mi Ra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흑염소 사육을 활성화하고 경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산지초지의 활용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흑염소 방목 이용 농가(20호)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야초지로 이루어진 방목지의 경우 계절별 초지 생산성이 여름에 가장 높았으며(p<0.05), 봄철과 가을철에는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반면 목초지로 이루어진 방목지의 초지 생산성은 봄철에 가장 높은 생산성을 나타냈으며 가을철에 생산성이 다소 저하(p<0.05)되긴 하였지만, 대체적으로 계절별 생산성의 차이가 야초지 방목지에 비해 완만하여 비교적 안정적인 생산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계절별 방목지 초지의 사료가치 비교 결과 목초지의 경우 계절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건물함량을 나타냈고, 야초지는 봄에서 가을로 갈수록 건물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목초지의 경우만 가을철에 증가하였고(p<0.05), 야초지의 경우에는 봄에 비해 여름과 가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목초지의 경우 야초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지방 함량은 높고 조섬유소 함량은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계절에 따른 농장별 흑염소의 일당증체량은 농장별 초지 생산성 및 초지관리 기술에 따라 다양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흑염소 사육의 활성화와 경영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방목 야초지를 우수한 사료가치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계절별 생산성의 변화도 적은 방목 목초지로 갱신 및 조성을 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산지초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서 초지관리 기술의 메뉴얼화와 보급으로 초지 생산성의 개선을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basic information for the promotion of the goat industry and the improvement of mountainous-pasture management by investigating seasonal changes in forage and livestock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grazing-pasture type. The forage productivity of rangeland was the highest (p < 0.05) in summer and decreased in autumn; but that of pasture was the largest (p < 0.05) in spring and had relatively stable productivity with minor seasonal differences, although it decreased slightly in autumn. The dry matter content was not seasonally different at pasture, but it was changeable from spring to autumn at rangeland. The crude protein content increased in autumn at pasture (p < 0.05), and decreased in summer and autumn compared with spring at rangeland. The crude fiber content was lower and the ether extract was higher at pasture compared with rangeland. The average daily gain of the goats was different depending on forage productivity and pasture type; consequently, the lowered forage productivity at rangeland compared with pasture means that rangeland needs to be changed or improved to a pasture type that provides a more effective grazing system for goats.

      • KCI등재

        프로티언 경력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외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박윤희 ( Park Yoon-hee ),정홍전 ( Jeong Hong-jeon ),오미래 ( Oh Mi-ra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8 HRD연구 Vol.2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프로티언 경력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하는 것이다. 프로티언 경력 연구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을 통해 프로티언 경력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 대상, 연구 방법, 관련 변인 등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첫째,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프로티언 경력에 관한 양적연구 논문에서 연구 대상, 하위요인, 측정도구, 연구방법을 분석하였고, 둘째,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프로티언 경력에 관한 양적연구 논문에서 프로티언 경력 관련 변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Torraco(2005, 2016)의 통합적 문헌 분석 방법 및 절차에 따라 2017년 6월 시점 기준까지 국내·외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프로티언 경력 관련 키워드로 양적연구 논문을 검색하여, 논문의 목적에 부합되는 총 43편의 논문(국내논문 27편과 국외논문 16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논문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프로티언 경력에 관한 양적연구는 해외에서 2008년에, 국내에서 2010년 이후에 논문 발표가 시작되어 현재까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둘째, 연구분야 측면에서는 인적자원개발뿐 아니라 경영, 심리, 관광 분야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프로티언 경력 연구가 진행되었다. 셋째, 연구 대상은 주로 근로자 및 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방법 측면에서는 개인 수준의 연구와 횡단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므로 앞으로는 개인수준과 팀 수준 및 조직수준을 포함한 다수준 연구와 종단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프로티언 경력은 독립변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향후 연구 방향 및 논의점, 그리고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about protean career with an emphasis on empirical studies published in Korea and abroad.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ze samples, dimensions, measures, and methods, and 2) to analyze related variables with protean career. According to the Torraco’s guidelines (2005, 2016) of conducting the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research were carried out. The keywords related to protean career were used to search the literature in databases such as DBPia, Kiss, EBSCO (Business Source Premier), and ProQuest. Through these procedures, a total of 43 articles were finally remained for the analysis based on criteria of retaining the literature retriev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the empirical studies on protean career has been conducted since the year of 2008 abroad and since the year of 2010 in Korea. Second, the previous studies of protean career have been conducted in the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business administration, psychology, tourism,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ird, the most research samples were employees and students. Fourth, the research methods employed cross-sectional design rather than longitudinal design. Additionally, previous literature of protean career heavily focused on individual level rather than using multi-level approach. Finally, the protean career was mostly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