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 구성주의 교육과정의 공통적 특성 탐구 및 실행 분석

        오문자(Oh, Moon-ja)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2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2 No.2

        본 논문은 양질의 유아교육을 위한 정답으로 간주되던 아동중심 개념이 추상적이고 일반화된 어린이의 관점의 해석을 토대로 교육과정이 운영되어 왔음을 지적하면서, 어린이 삶의 관점을 존중하는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이 운영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패러다임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을 토대로 한 교육과정을 소개한 대표적 연구 문헌들을 살펴보며 공통적 특성들과 그 개념의 범위를 탐구해 보았다. 서로 다른 용어로 소개되어 온 사회적 구성주의의 교육과정의 변주곡들인 발현적 교육과정, 상호조정적 교육과정, 학습공동체 모델 교육과 정, 그리고 프로제따찌오네의 각각 특성들을 고찰하고 상호 비교 분석을 한 결과 네 가지 차원에서 기존의 교육과정과 차별화를 유도하는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이를 도구로 현장의 프로젝트 운영 사례를 고찰해 봄으로 해서 현장에서 사회적 구성주의 원리가 교육과정에 어떻게 해석되고 운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문헌연구와 사례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의 보육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현장 실천에 대한 함의를 이끌어 내었다. This paper argues for the need, in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to move away from adopting the perspective of the universal child in a vacuum which is based on the long-cherished tradition of child-centered approach, toward respecting the existence of a particular child living in real contexts, which represents the social constructivist approach. In order to find feasibility of this suggested change, 4 variations of early childhood curricular within the social constructivist paradigm that are represented by 4 different terminologies were identified : emergent curriculum, negotiated curriculum, community of learners model, and progettazione. And the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analyzed, to find 4 common threads that distinguish this approach from the existing one. Using this 4 common threads as a tool, the overall process of Designing a Maze project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both literature review and the project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issue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social constructivist curriculum in the current situation and its implication was offered.

      • KCI등재

        문화적 의미 구성과 소통의 매체로서 어린이들의 먹 놀이

        오문자(Oh, Moon Ja),서윤희(Suh, Yoon 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1

        본 논문은 시각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전통 문화 교육의 새로운 접근을 제안하고자 한다. 만 5세 어린이들이 먹을 만나서 탐색해 나간 한 현장 수업 사례를 통해, 먹이 지닌 교육적 잠재성과 어린이 자신들이 먹 놀이에 부여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어린이들은 미리 선정되고 계획된 일련의 활동들을 거치는 대신 레지오 에밀리아의 교육 원리를 토대로 장기간에 걸쳐 먹과 한지를 탐색하고 실험해보는 프로젝트 경험을 하였고, 교사들은 그 과정의 기록을 남겼다. 기록물에 대한 해석을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첫째, 먹 놀이 과정에서 어린이들에게 일어난 학습, 둘째, 먹 놀이가 어린이들에게 하나의 ‘언어’가 되어가는 과정, 셋째, 어린이들이 자신들의 먹 놀이에 문화적으로 부여하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교육 목표와 실천의 비연속성 및 프로젝트 접근과 시각문화교육의 연관성이 논의되었다.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field practice or “a story,” in which a group of five year old children encountered the Korean traditional medium or art, black ink. They explored and investigated the black ink and Hanji, not as a series of preplanned activities in art curriculum, but in the context of a long-term project, following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Reggio Emilia, Italy.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documented materials, it examines educative potentials of the black ink and the meanings the children attributed to the black-ink-play, along the following three lines: learning embedded in the black-ink-play, the black-ink-play as “a language”, and children's construction of cultural meanings of the black-ink-play. The lack of continuity between the goals/ideals of art curriculum and the dominant instructional practice is noted and some possible relevance of this project t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discussed.

      • KCI등재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프로제따찌오네(progettazione)를 통해서 본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의미 탐색

        오문자(Oh Moonja),김희연(Kim Hee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2

        본고는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레지오 교육을 중심으로 한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유아교육과정 논의를 확대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두 교육과정에 관한 문서와 진술들을 검토하고 그 개념, 가정 및 가치관을 유추해 내어, 다섯 차원-교육과정의 개념, 교육적 가치ㆍ교육목적ㆍ교육목표의 관계, 교육과정 전개, 어린이와 교사의 이미지, 인식론적 가정-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비추어, 교육과정이 하나의 유기적 체제라는 인식을 강화하고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을 구성할 것, 언어의 고착화를 넘어 친숙한 개념들을 재해석할 것, 일상 속의 공동 의미구성 주제로서 어린이와 교사를 바라볼 것,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현장위에 군림하기보다 운영실제와 사이에 지속적인 양방향의 교류가 일어나는 ‘열린 교육과정’을 추구할 것 등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교육과정의 새로운 동향에 비추어 레지오 교육이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과정 담론 확장에 시사하는 바가 논의되었다.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6th Korea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progettazione of the Reggio Emilia education, this paper tries to unpack the current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o deepen the discussion of constructing educational value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Written documents and statements about these two educational approaches were examined to identify the underlying concepts, assumptions and values. Five themes or dimensions emerged during the process of comparative analysis: the concept of the curriculum itsel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values and the curriculum goals and objectives,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development, images of children and teachers, and finally, the epistemological assumptions of teaching/learning theori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s the following for extending diverse discourse on curriculum: to establish coherence and consistency in the curriculum by considering it as an organic and integral system, to re-interpret familiar concepts by re-examining and unpacking mindless verbalism, to consider both children and teachers as active agents for constructing their own curriculum in an everyday context, and to work toward the concept of curriculum as a sort of 'open curriculum' which is constantly redefining itself through two-way exchanges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experience in real time. This paper proposes, for promoting meaningful changes and establishing shared values in our educational field, the need to constantly engage ourselves in reflecting on and transforming our perspectives through the transactions with different perspectiv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과학 이야기’ 안에서 유아들의 이론 공동 구성을 지원하는 교사의 전략

        오문자(Oh Moonj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유아들의 과학적 소양 증진을 위해서는 과학적 사고의 본질인 이론 수립과 공동체의 의사소통을 통한 지식 구성과정을 경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유아들이 주체가 되어 주변 현상에 대한 이론을 수립해 나가는 대화를 ‘과학 이야기’라고 정의하고, 그 안에서 교사는 어떤 방식으로 유아들의 이론 공동구성을 지원해 나가며 동시에 유아들이 과학적 담화 방식을 배우도록 지원하는지를 미시적 담화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 이야기’로서 유아들의 소집단 프로젝트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사는 첫째, ‘확대경’을 통해 유아 이론의 논리적 일관성을 부각시키고, 둘째, ‘반향판’ 제공으로 유아들의 이론 재검토를 격려하였으며, 셋째 시ㆍ공간과 양식이 서로 다른 텍스트 간의 연결을 활성화시켰고,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적 의미가 담긴 관객을 설정해 주었다. 결론으로,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해, 교사들은 유아들 간의 담화가 이론 생성기능이 있음을 인식하고, 담화를 ‘굵직한 아이디어’(big idea)에 초점을 두고 교육과정 내용과 연결시키며, 유아들 이론 수립의 교육적 가치를 재고하고, 다양한 소통 양식을 상호교류적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Developing science literacy for young children can be facilitated by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ce that requires children to co-construct theories through communicatio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teachers can support children to make sense of the world around them and to appropriate the science discourse in the context of ‘science talk’. Through the microanalysis of transcripts of a small group projec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supported the children’s co-construction of theories, based on the following four guidelines: First, she worked along the logic of children’s theories by putting ‘a magnifying glass’ on them. Second, she encouraged children’s reflection on their own theories by serving as a ‘sounding board.’ Third, she activated the linkage among different types of discourse across time and place. and Finally, she invited the audiences who were meaningful to the group of children. In conclusion, the teachers were encouraged, from the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 (a) to view talk as a context for theory/knowledge building, (b) to focus on ‘big ideas’ of science curriculum during the science talk, (c) to appreciate the educational value of children’s naive theories, and finally (d) to utilize interactively a variety of modes of communication, in order to support children’s leaning of the scientific ways of thinking and talking.

      • KCI등재

        ‘대화’의 유아교육적 의미

        오문자(Oh Moon-J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5

        본 논문은 Bakhtin을 비롯한 사회문화적 시각에서 대화의 의미와 특성을 살펴보고, 그 이해를 토대로 유아교육적 함의를 끌어내고자 한 시도이다. Bakhtin의 대화론(dialogism)에 의하면, 모든 발화는 이전의 발화에 대한 반응이고, 진정한 대화는 다름의 만남을 통해 새로움을 창출하는 위력이 있으며, 대화 속의 화자와 청자 모두 능동적이며 역동적인 역할을 하며 참여한다.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유아 학급에서는 대화를 지식의 전달이 아닌 지식 생성을 위한 맥락으로 간주할 것, 단순 교수법이 아닌 교육 원리 및 문화로서 대화를 간주하는 귀 기울임의 교육을 실천할 것, 그리고 현재만이 아닌 과거와 미래와 대화함으로 해서 교육과정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결국, 대화의 모든 잠재성은 교육자가 담화를 대화적 시각에서 바라보기로 선택할 때만 가능한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icate meanings of the concept of dialogue, and to find theur implications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Discussing the essential nature of dialogue in discourse, Sociocultural theorists including Bakhtin, argue that all utterances are responses to previous utterances, that dialogue has the potential to transform existing understandings through encounters of differences, and that the roles of both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re both active and defined reciprocally in dialogues. Based on Bakhtin's dialogic perspective, three suggestions are made with reference to early childhood classrooms: First, to view dialogue not as a vehicle to transmit ready-made knowledge but as an occasion to create new knowledge and transform understandings ,second, to practice “the pedagogy of listening” by considering dialogue as an educational principle rather than an instructional technique to be uncritically applied to any context, and finally to dialogue with the present, the past and the future to construct actual curriculum for children. In conclusion, it was emphasized that rich potentials of dialogue can only be actualized when educators make a conscious choice to view all discourse as dialogic.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 차원의 인지 행위로서 유아 학급담화

        오문자(Oh Moonj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3

        본 논문은 학급에서 사용되는 언어, 즉 학급담화와 학습의 관계에 관한 연구 문헌들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정리해 봄으로 해서 유아 학급담화 연구와 현장 실천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마련해보고자 한 시도이다. 우선 지식의 사회적 구성과 정과 담화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1) 공유의미의 구성 맥락으로서 사회적 상호작용, 2) 인지, 담화, 학습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육 현장의 학급 담화에 관한 연구 문헌 고찰을 통해, 1) 교육적 목표로서 ‘언어를 사용하여 학습하는 방법 배우기’의 의미와 중요성, 2)교사 주도적 담화의 유형, 3) 학급 구성원들 간의 담화의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앞의 문헌 고찰을 토대로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유아 학급담화를 사회적 차원의 인지 행위로 바라볼 필요성을 역설하고, 유아교육에의 함의로써 1) 이야기나누기의 재 개념화, 2) 교사와 유아가 함께 참여하는 역동적 담화 공동체 구성, 3) 맥락적 탐구를 통한 담화 지원 등의 제안을 끌어내었다. This paper tries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for studying and practicing classroom discour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from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based on the theories of Piaget and Vygotsky.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onstruction process of knowledge and the use of language, namely the discourse, two related areas of research were reviewed: 1) social interactions as a context for co-construction of meaning and 2) relationship among cognition, discourse and learning. Also reviewed was the research literature covering the classroom discourse in school setting, under three sub topics of 1) “learning how to use language for learning” as an educational goal, 2) teacher-directed classroom discourse, and 3) peer learning discourse. Fi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specifically gearing toward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rgue for the need to: 1) re-conceptualize the ‘sharing time’, 2) construct the dynamic discourse community among teachers and children, and 3) employ the ‘contextual inquiry’ approach for the research as well as the classroom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