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병합 100년, 한국문학의 식민성과 탈식민성 ; 1920년대 인도 시인의 유입과 탈식민성의 모색

        오문석 ( Moon Seok Oh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5 No.-

        근대시의 발전 경로에서 인도 시인의 영향은 이중적이다. 첫째는 인도에 대한 조선의 관심이 주로 서양을 매개로 한다는 점이다. 간디, 타고르, 나이두, 네루 등은 모두 서양이 주목한 정치인(혹은 종교인), 시인이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그들은 서양에 의해서 인정받은 동양인이다. 여기에는 서구적 근대성의 시선이 작동하고 있다. 둘째는 인도의 저명인사들이 대개 ``반근대``, ``반문명``의 태도를 취한다는 점이다. 그들은 서구적 근대성의 시선에서 자유로우며, 서구문명과 서구적 근대를 부정하는 근거로 ``동양``을 제시하고 있다. 그들은 동양인의 자존심을 회복시켜주고 있다. 하지만 ``동양 담론``은 일본의 식민지 이데올로기 중의 하나이다. 동양의 동일성은 한일병합의 근거로 작용한 바 있다. 인도에서 ``동양 담론``은 ``탈근대`` ``탈문명``을 통해서 ``탈식민화``의 가능성을 내포하지만, 조선에서 ``동양 담론``은 근대문명의 동양적 결정판인 ``일본의 식민지 이데올로기``에 깊이 감염되어 있다. 동양 담론이 (서구적) 근대화의 이데올로기와 충돌하지 않았던 것이다. 하지만 1920년대 인도 시인의 영향은 달랐다. 그들이 서구적 근대화에 대한 반성의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 흔적은 타고르의 영역판 시집을 둘러싼 번역 문제에서 찾아볼 수 있다. 타고르의 시집 번역에서 가장 큰 문제는 해당 시집의 ``종교성``을 부각시키는 문제였다. 특히 『기탄잘리』의 영역판에 등장하는 ``thou``의 번역이 문제였다. 오천석은 ``thou``를 ``님/그대``로 번역하여 종교적 성격보다 연애시의 성격을 강조하였는데, 김억은 그것을 철저하게 ``you``와 구별하면서 ``주님/하느님``으로 번역하여 종교성의 의미를 살리고자 했다. 하지만 타고르의 대표 시집 3권을 완역한 이후 김억은 ``thou``와 ``you``의 동일성을 ``동양적 특성``으로 강조하게 된다. 오천석의 번역어인 ``님/그대``에 자신의 번역어인 ``주님/하느님``의 뜻이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용운의 지적처럼 ``님``은 연인에서 국가, 부처까지 무한 확장이 가능한 개념이 된 것이다. ``님``을 매개로 해서, 문학과 종교(초월)의 통일성, 님과의 합일을 통한 주체의 소멸 등의 동양적 성격이 오히려 근대적 ``서정시``의 성격으로 자리잡게 된다. 이른바 ``전통 서정시``의 기본적인 모델이 완성된 것이다. 이것은 서구적 노블의 정착을 목적으로 하는 근대 소설의 발전 경로와 다른 점이다. 또한 조선에도 ``님의 상실-회복``의 서사가 정착하게 되고, 조선(=님)의 르네상스를 이데올로기로 정립하게 된다. 근대를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가 서로 결합하는 사고가 정착된 것이다. ``근대 이전``이 ``근대 이후``의 가능성을 모색하게 하는 낡은 창고로서 주목받게 된 것이다. 30년대의 ``신라``의 재발견은 그 일부에 해당한다. Indian poets such as Gandhi, Tagore, Naidu, Nehru and more influenced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poetry in two contradictory ways. First of all, Koreans were initially interested in the above mentioned poets in that they were most admired in the West. It is obvious that Koreans were strongly conscious that these political (or religious) poets were the Orientals recognized and praised by Westerns. In a certain way, it is implied that Koreans highly regarded Western perspective and modernity. On the other hand, it is noticeable that most of the eminent figures in India were against modernization and civilization. Not only did they reject to be confined to Western modernity but also unreservedly pictured the East in opposition to Western civilization and modernization. They indeed regained self-esteem and respect as Orientals. Nonetheless, it cannot be ignored that discourse on the Orient was central to Japanese imperialism and colonial ideologies. In fact,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was once justified in the name of the Oriental identity. While discourse on the Orient in India suggested the possibilities of post-colonization with post-modernization and post-civilization, the discourse in Korea was deeply imbued with Japanese colonial ideologies which were regarded as the Oriental representative of modern civilization. In other words, discourse on the Orient in Korea was not incompatible with the ideologies of Western modernization. However, under the influence of Indian poets in the 1920s, Koreans were challenged to reconsider Western modernization. A controversy over translating Tagore`s poems in English into Korean was exemplary in case. What was at issue in translating Tagore`s poetry was its religious implication. Especially, how to translate ``thou`` in the English version of 『Gitanjali』 into Korean was debated. Oh Cheonseok translated ``thou`` as ``you`` indicating a lover. In doing so, the poem was more likely to be romantic than religious. In contrast, Kim Uk distinguishably understood it as ``God/Lord/Jesus`` to underline the religious implication of the poem. However, after translating all three volumes of Tagore`s poems, Kim stressed that characteristical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ou`` and ``you`` in terms of an Oriental sensibility. He thus argued that Oh`s word ``you`` was equivalent to his word ``God/Lord/Jesus`` as Han Youngun`s ``Nim(you)`` was variously conceptualized as a lover, nation, Buddha, and more. From the concept of ``Nim,`` rather, Ori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unity of literature and religion and the deconstruction of poetic subject into oneness with ``Nim`` have been distinguished as those of modern poetry. This is to say that the elementary model of ``traditional`` lyric poetry came to be complete. Also, it is what differs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poems from that of modern Korean novels which aimed at the settlement of Western novels` style. Moreover, the narrative on ``the loss and recovery of Nim`` took root in Korea, and the Renaissance of the nation identified with Nim was established as ideology. Since the modern era, a notion to incorporate ``before the era`` and ``after the era`` has been diffused in a great degree. ``Before the modern era`` (pre-modernity) was much studied as ``an original storage`` to appreciate the potentials of ``after the modern era``(post-modernity). In the end, it partly resulted in the rediscovery of ``Shilla`` in the 1930s.

      • KCI등재

        스마트 미러를 이용한 사용자 경험 개선과 서비스 제공가치 증진 방안

        오문석,한규훈,최현준,서영호,Oh, Moon-seok,Han, Gyu-hoon,Choi, Hyun-Jun,Seo, Young-Ho 한국항행학회 2017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1 No.4

        Smart Mirror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echnologies developed as a new communication method to escape the traditional technology by applying to the existing space. In this paper, we applied Smart Mirror to the beauty space to discover the service providing value needed to provide the beauty care service and to study the user experience for the value enhancemen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user experience for enhancing the value of service provis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affinity method were derived. Finally, the service value that can increase the user's satisfaction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suggested, which suggested a way to improve the user's experience through the smart mirror. 스마트 미러는 기존의 공간에 적용하여 전통적인 기능을 탈피하고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발전한 대표적인 기술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미러를 미용 공간에 적용하여 뷰티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서비스 제공가치를 발견하고 가치 증진을 위하여 사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비스 제공가치 증진을 위한 사용자 경험 연구를 위해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친화도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슈를 도출하였고, 최종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 가치를 도출함으로써 스마트 미러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문학사 교육과 문학 문화 - 최남선을 중심으로 -

        오문석 ( Oh Moon-seok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0 국제어문 Vol.49 No.-

        최근 교육현장에서 문학사 교육은 축소 위기에 직면해 있다. 처음에는 과거의 문학사 교육이 단편적 지식의 암기 교육에 그쳤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지식의 암기보다는 문학적 경험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문학적 경험과 문학적 실천이 강조되면서 지식을 강조하는 문학사 교육이 퇴조하게 되었다. 하지만 본 논문은 문학사 교육이 지식의 주입에서 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문학사 교육에 문화사 개념을 도입하면 지식 중심의 기존 문학사 교육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문학사 교육에서는 문학 개념을 당연한 것으로 전제하는 경향이 있다. 문학사 교육은 문학의 정전을 전수하고 보존하는 방법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문화사의 관점을 도입하면 문학은 이미 완성된 것이 아니라 생성과정에 있는 유동적인 대상으로 간주된다. 문학은 문화적 산물인 것이다. 그러므로 문학사 교육에 문화사의 관점을 도입하면 문학이라는 것이 문화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강조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문학사 교육은 고정된 지식의 전수 방법이 아니라 문학의 생성 배경을 확인하는 과정이 된다. 최근 문화적 환경의 급변으로 인해 문학 교육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문자 매체에 의존하는 문학을 구시대의 유물로 간주하는 태도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과거의 문학 정전을 전수하려고 노력하기보다는 문학이 문화적 산물이며 지금도 생성 중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어야 한다. 문학 문화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문학사 교육은 과거의 지식을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의 현재적 상황을 이해하는 바탕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은 그 사례로서 문학 개념에 큰 변화가 있었던 개화기를 선정하고, 최남선의 문학적 실험에 전제되어 있는 문화적 배경을 해명하고자 했다. 창가와 신체시와 같은 실험적 작품들은 최남선의 문화적 사명감이 반영된 결과물임을 알게 되었다. 그것이 `바다`에 대한 새로운 관점, 그리고 역사 지리학적 전망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통해서 문학 문화 개념이 문학사 교육에서 새 방향을 제시해줄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confronts a crisis of reduction from the university curriculum nowadays. At first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was rejected by the critical comment that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had been only a memorizing education not a direct abundant experience concerned with literature. However taking lesson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not just a acquisition of some new literal knowledge but a process of confirming the background of producing literature. Literature is a creature of the culture. Therefore the works of literature remained in the history are not the fixing canons as like a museum specimen. The circumstance around literature is rapidly changing a lot. Literature is regarded as the remains of the old era because a letter not a picture or a screen is the medium that conveys the contents of literature. So today we need the teacher in the literature class who let the student know the new discovery that literature is not the unchangeability in the narrow history of literature but the fluid object in the wider history of culture. The literature experiments by Choi, Nam Su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re the good examples for this pedagogic argument which the history of literature should be included in the history of culture. The great change in the concept of literature happened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Choi, Nam Sun, the brilliant poet and critic and publisher created the serial experimental works as like a song named `Chang-ga` or a new-style poem named `Sin-che-si` grounded on the cultural mission of the age. He introduced korean a new angle on a `sea` and completed the mission with the considerate prospect from historical geography.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nfirm that the concepts of the literature as a culture phenomenon will show us a new direction in the class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 KCI등재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모바일 광고의 시각적, 형용사적 색채 선호도 분석: 건강 관련 콘텐츠를 중심으로

        오문석(Oh, Moon Seok),한규훈(Han, Gyu Hoon),이희대(Lee, Hee-dae),오은석(O, Eun Seok)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4

        모바일 단말의 급속한 보급은 전통적인 4대 매체를 탈피한 새로운 광고 시장을 형성하였고 현재 모바일 광고는 그 규모가 매년 성장하고 있다. 특히 동영상 광고 콘텐츠는 소셜 미디어와 동영상 플랫폼의 발전에 따라 그 영향력이 더욱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 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의 향후 소비 주체는 5060세대로 여겨지며 특히 경제적으로 안정되어있고 자신을 위한 소비를 추구하며 모바일의 활용이 능숙한 액티브 시니어가 그 주축이 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소비주체가 될 것이라 여겨지는 액티브 시니어와 모바일 광고의 큰 축을 담당하는 동영상 광고 콘텐츠 중 건강과 관련된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여 액티브 시니어에게 효과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모바일 동영상 광고에 사용된 색채의 시각적 특성과 형용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삼는 건강 관련 모바일 동영상 광고는 중장년층인 액티브 시니어의 시각적 특성과 선호도가 고려된 색채의 사용뿐만 아니라 제품의 특성을 고려한 형용사적 연상이 강조된 배색이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소비주체의 핵심이 될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인 광고 콘텐츠 제작에 있어 액티브 시니어 친화적인 색채의 사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rapid spread of mobile handsets has created a new advertising market that has moved beyond the traditional four major media outlets, and now mobile advertising is growing in size year by year. Video advertising content, in particular, is becoming more influential as social media and video platforms develop. Amid these changes, the nation s future consumption force is believed to be in the 50s and 60s. Especially, it is expected that active seniors who are economically stable, who are pursuing consumption for themselves and who are skilled in mobile use will be the center.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tudy on the visual and adjective characteristics of colors used in mobile video advertisements that can be effectively recognized by active seniors, targeting health-related content among active seniors and video advertising contents that are considered to be the main consumers in the future. Studies have shown that mobile video ads targeting active seniors require the use of colors that take into account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of active seniors, who are middle-aged, as well as those that emphasize adjective associati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 KCI등재

        이병기의 시조론과 「문장」의 기획

        오문석 ( Oh Moon-seok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6

        시조의 현대화는 최남선과 이병기를 통해서 시작되었지만, 둘의 방식은 달랐다. 최남선은 시조가 우리 민족의 가장 오래된 `노래`인 점을 강조하면서, 그것을 시조부활의 근거로 삼았다. 시조에서 구전문화의 흔적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복원하려 한 것이다. 반면에 이병기는 시조에서 구전문화의 흔적을 삭제하고 그 대신에 시조가 문자문화에 적응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시조의 현대화는 옛시조의 복원이 아니라 시조의 `문학화`를 통해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문학`이라는 개념이 문자문화의 산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문학의 하위 장르인 자유시를 시조의 모델로 설정한 것이다. 정형시(=시조)와 자유시의 공존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 이병기의 과제였던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그는 시조창(唱)과 시조작(作)의 역할 분담을 제안하여, 시조작을 노래로부터 해방시켰다. 현대시조가 문학이 되려면 `부르는 시조`가 아니라 `짓는 시조`(`읽는 시조`)가 되어야 했던 것이다. 또한 시조는 자유시 못지않게 그 리듬이 다양하다는 것을 강조하여, 내용과 형식(리듬)의 일치를 강조하는 현대시의 조건을 수락한다. 더구나 현대시의 조건이 언어의 자각에 있음을 이용하여, 시조야말로 조선어의 오래된 언어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으며, 조선말을 조선말답게 사용하는 장르임을 강조하고 있다. 일종의 언어민족주의를 내세운 것이다. 이병기의 시조론은 따라서 그의 초창기 한글운동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다. 또한 이것은 식민지 말기 『문장』에서 시도하였던 것, 즉 내간체 문장을 통한 현대 문체의 교정 작업에 이어지는 발상이다. 이병기가 『문장』의 수장(首長)인 이유가 시조론에서 드러난다. The modernization of shijo(시조) was triggered by two great poets, Choi Namsun(최남선) and Lee Byunggi(이병기). Yet the two poets took different paths. First, Choi believed the shijo is one of the oldest "songs" that had grown out of the oral tradition of Korea. He thus tried to restore its original form because for him the traces of oral tradition is the hallmark of shijo. Meanwhile, Lee emphasized that shijo should be readjusted to a written language by divorcing itself from the oral tradition. He believed that the modernization of the shijo was possible only when it was "literaturized". Literature, he thought, belonged to written or print culture, not to oral tradition. That is to say, for him, literature is the very product of modernization and the free verse is the symbol of modern literature. Accordingly, he tri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shijo with modern free verses. To do so, he separated shijo-writing from shijo-singing. It was because, in order for shijo to be included within the boundary of modern literature, it needed to be a verse for writing and reading, not for singing and listening. He also thought shijo was not far from the literary trend of modern poetry emphasizing the agreement between form and content because shijo, like modern free verses, has a variety of rhythm and beats. Additionally, he believed modern poetry could develop only when it was written in a vernacular (or national) language. was thus a perfect genre because it was a reservoir of old Korean language. In this respect, Lee was a linguistic (cultural) nationalist. His theory of was on the same line with Hangul Revival Movement. It also could be seen as a part of a larger literary movement--led by the literary magazine (『문장』)which brought about a revolutionary shift in style by using feminine epistolary style. Lee was actually the leader of .

      • KCI등재
      • KCI등재

        동영상 타이틀에 나타난 모션그래픽의 활용 사례연구 - 게임 동영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오문석 ( Oh Moon Se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6 한국디자인포럼 Vol.14 No.-

        게임 동영상은 게임의 내용에 대해 관객에게 긴장감과 흥미를 유발시키고, 게임 동영상이 시작하기 전에 집중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짧은 시간 안에 유저(User)에게 함축적인 내용과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게임 타이틀에 모션그래픽의 이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현대의 게임 동영상은 마케팅 산업의 확대와 함께 게임 타이틀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었고, 게임에 있어 하나의 독립된 영역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인쇄 미디어가 아닌 영상 미디어, 특히 게임 동영상 타이틀 분야에서 모션그래픽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연구하고, 이것을 통해 영상분야의 정보전달에 있어 모션그래픽의 활용이 효과적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법이라는 것을 기술하고자 한다. Game video triggers the tension and excitement as to the contents of game in the audience, and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them to concentrate before the start of the game video. Therefore, motion graphics are more frequently used for the game title in order to transmit the implicit message and contents to users within a short time. The importance of game title for game video is being highlighted more and more in modern society amid the expansion of marketing industry, and has been coming into the spotlight as an independent sphere of game. This study tries to analyze how the motion graphic is being applied to the image media, not the print media, specifically in the field of game video title, and on that basis, it intents to state that the application of motion graphic is one a way for image communication which ensures an effective transmission of message in terms of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n the image field.

      • KCI등재

        오장환의 사잇길

        오문석(Oh, Moon-seok) 한국언어문학회 2015 한국언어문학 Vol.95 No.-

        The poets of the 1930s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y their poetic orientations. One group pursued poetic innovation by receiving modern civilization of the West; the other had recourse to nostalgic restoration of the lost tradition. Oh Jang-hwan, however, denied to belong to either of poetic groups. He stood on the in-between space, neither on the modern city nor on the traditional village. At one point, he paid attention to the seamy side of the modern city in which prostitution, gambling and drugs prevailed to criticize hypocritic life of the city. Of course, he did not champion traditional life. He engaged in disclosing the hypocricy and duplicity of traditional morality when many cultural nationalist harked back to the so-called traditional way of life. For him, traditional ethics was a kind of monstrous social machine forcing individuals' sacrifice under the name of family. In order to imagine a flight-line from this oppressive traditional ethics, he often idealized the modern individual's desire that challenged traditional norm. Viewed in this way, he seemed to be a pessimistic skeptic who denied both modernity and tradi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he was not a skeptic. Rather he was closer to the experimentalist, who juxtaposed both modernity and tradition to make them deconstruct each other. In other words, he chose 'middle path' when the society forced to choose either modernity or tradition. By doing so, he opened up a new possibility of combining modernity and tradition dialectically.

      • KCI등재

        메타버스를 위한 디지털 휴먼과 메타휴먼의 제작기법 분석 연구

        오문석(Oh, Moon Seok),한규훈(Han, Gyu Hoon),서영호 (Seo, Young-H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3

        1996년 최초의 가상 인간의 등장 이후 가상 인간을 통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나 기술적 한계로 그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였었다. 그러나 최근 기술의 발전을 통해 가상 인간은 디지털 휴먼으로 다시 등장하게 되었다. 디지털 휴먼은 실제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인간의 모습, 행동과 유사한 3D 가상 인간으로 기술의 발전은 가상 인간의 제작을 용이하게 만들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활용 분야와 수요에도 불구하고 제작 과정상의 한계로 인하여 디지털 휴먼의 개발과 사용의 범위가 제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휴먼에 대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디지털 휴먼을 정의하였고 제작 기법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혼합현실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발전된 형태의 디지털 휴먼으로서 메타휴먼을 제안하였다. Since the first virtual human appearance in 1996,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hrough virtual human beings, but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they have not been able to exert their influence. However, with recent advances in technology, virtual humans have reemerged as digital human beings. Digital Human is a 3D virtual human being similar to human appearance and behavior that is hard to distinguish from reality, and technological advances have facilitated virtual human production and are being utilized in a variety of fields. However, despite various applications and demands, the scope of digital human development and use is limited by limitation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this study, we defined digital human through the analysis of prior studies on digital human and based on our work on fabrication techniques, we propose meta-human as an advanced form of digital human that can overcome current technical limitations and apply to mixed-reality environments.

      • KCI등재

        공공장소의 UX 기반 스마트 미러 디스플레이 활용 체계 연구

        오문석 ( Oh Moon-seok ),원종욱 ( Won Jong-woo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9 No.-

        스마트 환경으로의 급격한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는 IoT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사물간의 방대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사람들에게 유기적이고 편리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그 중 스마트 미러디스플레이의 활용은 대중들이 이용하는 공공장소의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에서 차세대 매체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장소에서 효과적으로 스마트 미러 디스플레이를 활용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그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UX 평가를 위하여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허니콤(Honeycomb) 모델과 제이콥 니슬(Jacob Nielsen)의 사용성 평가 원칙을 바탕으로 사용성, 목적성, 매력성, 공간성의 주요 4개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공공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공장소를 공익시설, 교통시설, 상품판매시설, 서비스이용시설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사용자 경험 기반 분석을 위하여 설문을 통한 통계적 분석기법을 활용한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그에 따른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였고 연령 및 성별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공공시설의 이용도가 높고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욕구가 높은 10대, 20대의 경우 공익, 교통, 상품판매, 서비스 시설에서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도가 가장 높았다. 30대 이상의 층은 사용성과 목적성에 대한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향후 스마트 미러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효과적인 공공장소 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 The rapid change of the media paradigm into a smart environment is creating an organic and conveni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through the formation of a vast network among objects using IoT Internet. Among them, the utilization of smart mirror display has been highlighted as a next generation media in communication using digital devices in public places that the public uses.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derive the method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in order to utilize smart mirror display effectively in a public place. Based on Peter Morville `s Honeycomb model and Jacob Nielsen` s usability evaluation principle, four major factors of utilization convenience, communication efficiency, media interest, and spatial suitability were derived for UX evaluation while the public places were classified as 4 categories of Public facilities, transportation facilities, commodity sales facilities, and service utilization facilitie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publicness. Based on this, we us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 through questionnaires for the objective user experience based analysis, and then set and verified hypothesis and derived the results of age and gender analysis. As a result, the desire for media interest was shown to be high in young people without distinction in each place, and those in their 30s or older showed a high desire for ease of use and communication efficiency. Based on the results of age and gender, we prepared basic data to apply the needs of each floor in the future production of public space contents using Smart Mirror Disp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