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및 모-자녀 관계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치료놀이를 적용한 모-자 미술치료를 중심으로 -

        오가영 한국미술치료학회 2011 美術治療硏究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effect of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heraplay in a multi-cultural family between a mother and child. Within the multi-cultural family, the child developed a socio affective profile, whereby the child could not get along with other children nor follow the teacher’s instruction in the class room. The art therapy program is based on theraplay which involve four aspects of interaction (structure, engagement, challenge, nurture). The program consists of 50-60 minutes weekly, and a total of 10 sessions were conducted between a mother and child. The therapist introduced games of interaction to the mother at the end of each session of art therapy. In addition,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a mother-child relationship test was conducted on the mother and the child’s socio affective profile development test was conducted by the child’s teacher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 the child’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societal competence improved, scores of anxiety, anger, and aggression decreased, score of conflict and dependence between a mother and child decreased, and the score of intimacy improved. As a result, the case study of mother-child art therapy based on theraplay proved that art therapy provided a favorable influence to the child’s social affective profile.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유아 모-자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며, 치료놀이를 적용한 모-자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유아 교육기관 내에서 또래와 어울리지 못하고 교사의 지시에 잘 따르지 못하는 사회·정서발달상 문제행동을 보이는 다문화 가정의 유아와 그의 모이다. 본 연구의 모-자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치료놀이의 4가지 차원(구조, 개입, 도전, 양육)을 적용시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일주일에 한 번씩 시간은 50-60분 정도 소요 되었고, 총 10회기를 모-자에게 실시하였다. 미술치료 실시 후, 모에게 상호작용을 위한 놀이에 대해 소개해 주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모에게는 모-자녀 관계 질문지를 어린이집 담임교사에게는 사회·정서발달 질문지를 사전·사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는 사회·정서발달에서 사회적 유능감이 향상되고 불안과 분노·공격성의 점수가 낮아졌으며, 모-자녀 관계에서 모-자의 갈등과 의존성 점수는 낮아졌으며, 친밀감 점수는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치료놀이를 적용한 모-자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상 문제행동과 모-자녀 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KCI등재

        갯벌 고립사고 대응 인명구조대원을 위한 갯벌 보행용 안전신발의 적정 유형 연구

        오가영,선섭희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7 No.1

        Background Recently, the number of isolated accidents among visitors experiencing mudflats is increasing. However, there are no safety boots for rescue workers. Through user research and experiments, I would like to propose a type of safety shoe suitable for mudflat walking. Method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 meaningful type of safety shoes for mudflat walking was derived. The user research method was FGI for rescuers belonging to the Korea Coast Guard and walking experiment observation in three mudflat areas as an experimental environment. Results As a result of observation, the types suitable are inflatable tube type, mudder boots-wing type, and overalls boots type. What is important in common is the material and surface treatment that prevent mud from sticking to the shoe, and the shape and structure that allow feet to escape from the mudflat. Lightweight materials, shape and structure, and fixation power between the feet and shoes were important. Conclusion As a preceding study on safety shoes for mudflat walking, which are helpful for lifesaving activities in mudflat acci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improvements based on types suitable for mudflat walking and user need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absence of such safety shoes will be reconsidered and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be used as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safety shoes for mudflat walking in the future. 연구배경 최근 갯벌 체험 인구가 늘어나며 조석 미인지 및 갯벌에서 보행의 어려움으로 인한 갯벌 고립사고가 증가 추세다. 그러나 신속 구조를 위한 구조 대원용 갯벌 보행용 안전신발은 부재하다. 이에 선행 연구로서 사용자 조사와 실험을 통해 갯벌 보행용 안전신발의 적정 유형을 제안하여 향후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조사를 통해 갯벌 보행용 안전신발로서 유의미한 유형을 도출하였다. 사용자 연구 방법은 해양경찰청 소속 구조대원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FGI) 실시 및 갯벌 현장에서 실시한 보행 실험 관찰조사(Observation)이다. 조사 환경으로 선정한 국내 3개 지역의 갯벌에서 보행 실험을 통해 갯벌 보행에 적정한 안전신발의 유형과 사용자 니즈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발목 이상 무릎 아래로 발이 빠지는 펄 갯벌에서 보행이 적정한 유형은 팽창 튜브형, 머더부츠 윙형, 가슴 장화형으로 나타났다. 공통으로 갯벌이 신발에 잘 들러붙지 않게 소재와 표면처리가 중요하며, 발 빠짐 못지않게 발 빼냄을 해결하는 형태와 구조가 필요하였다. 접지면적을 넓힘으로써 체중을 분산시켜 발 빠짐을 최소화하도록 하며 갯벌로부터 발을 들어 올리기 위해서 경량화 소재와 진흙이 쌓이지 않는 형태와 구조, 발과 신발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력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갯벌 사고 인명 구조활동에 도움이 되는 갯벌 보행용 안전신발에 관한 선행 연구로서 갯벌 보행에 적정한 유형과 사용자 니즈를 기반으로 개선점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안전신발의 부재에 대해 재고하고 향후 갯벌 보행용 안전신발 제품의 개발에 있어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가 지침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멘탈헬스케어 디바이스 개발을 위한 제품 착용 방식 선호 유형 연구

        오가영,선섭희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7 No.2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mental health problems is increasing in Korea, particularly among young people. Current wearable devices such as wristbands and watches have limitations in measuring certain bio-signals necessary for mental health care, hence the need for headgear wearable produc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ypes of headgear wearable products and suggest preferred wearing types for future use.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understand mental health services and types of wearable headgearproducts were identified through test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onsumers in their 30s who needed general mental care, not for therapeutic purposes, and product test surveys were conducted to record users' experience in using representative products. Results Four types of wearable headgear products were derived based on the wearing method and location of the sensor: head mounted display, EEG headset, headband, and adhesive patch. User survey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type was headband, followed by adhesive patch, EEG headset, and head mounted display. Preferences were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and time characteristics of product use. Conclusion The suggestion is to develop and design wearable products based on their specific types and designated purposes of use. This can aid in research and production for various age groups and purposes. Overall, a type-oriented approach can be beneficial for the development of wearable products. 연구배경 2021년 보건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약 4분의 1은 평생 한 번 이상 불안, 우울 등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바있으며, 특히 젊은 층에서 심리적 문제가 증가 중이다. 비대면멘탈헬스 케어 및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받을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등장하고 있으나 기존 손목 밴드나 워치 등의 형태로된 제품으로는 뇌전도파 등의 멘탈헬스 케어에 필요한 생체 신호 측정에 한계가 있어 반드시 헤드기어 웨어러블 제품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헤드기어 웨어러블 제품의 착용 방식을 중심으로 한 제품 유형을 파악하고 향후 사용자가 선호하는 착용 유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문헌조사를 통해 멘탈헬스 서비스에 대해 이해하고 헤드기어 웨어러블 제품의 착용 방식별 유형을 도출하였다. 사용자 조사를 위해 치료 목적인 아닌 일반적인 멘탈 케어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층인 30대를 주사용자로 하여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실제 유형별 대표 제품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기록, 사용 과정에서 느끼는 선호 요소와 볼편 요소에 대해 질의 응답하는 정성적 방법으로 제품 테스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착용 방식에 따른 유형을 1.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형, 2. EEG 헤드셋형, 3.헤드밴드형, 4. 점착패치형으로 도출하였다. 이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부위와 센서 위치에 따른 결과이다. 사용자 조사 결과 가장 선호하는 유형은 헤드밴드형이며 점착패치형, EEG 헤드셋형,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환경과 시간적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유형을 추구하며 이는 유형별 선호 요소에 따른 결과이다. 결론 개인적인 멘탈헬스 케어 가능한 헤드기어 웨어러블 제품 개발 및 디자인에 도움이 되는 착용 방식 중심의 유형을 제시하였으며,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착용 방식별 선호하는 유형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다소 제한적인 실험에서 나아가 다양한 연령의 대상과 제품에 관한 연구로 이어져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지지면의 수평 진동에 따른 동적 자세 제어 특성에 관한 연구

        오가영,박용군,권대규,김남균,Oh, G.Y.,Piao, Y.J.,Kwon, T.K.,Kim, N.G.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9 의공학회지 Vol.30 No.6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ynamic postural control for maintaining upright standing on a support surface during continuous sinusoidal horizontal translation in anterior-posterior direction. 15 healthy young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 analysis of body movement was analyzed using Ariel Performance Analysis System. Motion pattern was analyzed by seven markers on subject's body. Position of markers were head, chest, hip, right knee, left knee, right ankle and left ankle. Seven different frequencies of support surface were employed ; 0.1, 0.25, 0.5, 0.75, 1, 1.5 and 2Hz at 2cm of moving path of motionbase.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dynamic postural reponses at the condition of eye open. The results showed that median frequency of the knee, ankle were increased in all frequency bands. Following the frequency of perturbation increased, postural control strategy was changed from ankle strategy to combined strategy. The experiment results could be applied to the dynamic postural training for the elderly and the rehabilitation training for the patients to improving the ability of postural control.

      • KCI등재후보

        자폐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

        오가영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자폐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발달장애 1급 진단을 받은 자폐증 아동으로 장애 통합어린이집에 다니며, 또래 그리고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어렵고 교사의 지시에 잘 따르지 못하는 아동이다. 본 연구의 대상에게 치료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일주일에 한번 씩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치료사 2명과 어린이집 담임교사에게 사회성 기능 행동 평가를 사전·사후 실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사회성 기능 행동 평가(사회적 책임, 자기주장, 친사회적 신체자세)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아동의 프로그램 활동내용을 질적 분석한 결과 아동의 사회성에 관한 행동들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모습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결론을 내 릴 수 있다. It turns out that art therapy has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ity of the autistic child. The for 6 year old of autistic child who attend handicapped children inclusive child care center in J city has level 1 developmental disorder. The autistic child has problems instruction with child's peer as well as his teacher and he is not follow his teacher. The autistic child received a total of 12 art therapy sessions once a week. For the effect of this art therapy, the child’s socio affective profile test were conducted on two art therapists and the child’s teacher.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there were great improvements in the child’s sociability(social responsibility, self-assertion, pro-sociality). Also, when the art therapy program was analyzed, it showed that art therap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ld. The result proved that art therapy can provide a favorable influence to the autistic child sociality.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서장애 아동의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오가영,이영환 미래유아교육학회 200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정서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낮은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그림검사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정서적인 문제로 복지관에 의뢰되어온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정서장애 선별지로 아동을 선별하였으며, 자아개념검사와 그림검사(K-HTP, KFD, KSD)를 실시하였다.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나누고 실험집단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에서 자아개념의 하위요인 중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자아개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아개념은 유의한 차이가 일어나지 않았다. 그림검사에서도 실험집단의 대부분의 아동들에게서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서장애 아동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concept of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 1. How does a group art therapy program influence on the cognitive self-concept, the emotional self-concept, the social self-concept, and the physical self-concept of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2. How does a group art therapy program improve the drawing of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irty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in the institute of the social welfare located in Jeon-ju. Those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n=15), and control(n=15) group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given 15 sessions for eight weeks, which was twice a week, each session. However,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didn’t receive any program.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f-concept test by Im Cheun Ken(1995), K-HTP(K-House-Tree-Person) by Burn(1987), KFD(Kinetic Family Drawing) by Burns(1970) & Kaufman(1972) and KSD(Kinetic School Drawing) by Prout & Phillips(1974), which are applied in two groups individually, using qualitative evaluation instrument. In order to se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concept of emotionally handicapped children, pre-test were compaired with the post-test in self-concept tes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using K-HTP, KFD, KSD Drawing test results, which were pre and post- tested, were analyzed on the effect of the children by group art therapist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The child’s involvement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 catagories in self-concept; cognitive self-concept, emotional self-concept, and physical self-concep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elf-concept. In drawing test, the child’s involvement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made a positive change.

      • KCI등재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국제결혼가정(온누리안) 자녀의 자아 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오가영,이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09 美術治療硏究 Vol.16 No.3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search for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in self-esteem and sociality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childre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7 children who are from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and attends to elementary school in chonbuk.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7, which a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self esteem and sociality tests were conducted on the children. The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12 periods of 60-70 minutes for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academic-general self, peer-related self, home self, physical-appearance self, and personality self among the self esteem sub scal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cooperation and sociality of the sociality scale. Therefore,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for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children had positive effects on enhancing self-esteem and sociality.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전라북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교사로부터 사회성이 부족하고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17명의 아동을 보고 받았으며, 참여를 원하는 아동 7명을 실험집단으로 무선 표집한 아동 7명을 통제집단으로 선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과 사후에 Harter(1985)의 자아존중감 척도와 정범모(1971)의 사회성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게만 자발적인 참여, 감정표출, 긍정적인 자아상, 상호작용에 효과적인 내용으로 구성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 1회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이에, 실험집단 자아존중감 척도의 학업 및 전반적 자아, 친구관련 자아, 가정적 자아, 신체외모 자아, 성격적 자아가 향상되었으며, 실험집단 사회성 척도의 협동성, 사교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의 행동이 사전보다 사후에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국제결혼가정 자녀만으로 제한하였으나, 향후에는 일반아동과 함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다면 좀 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KCI등재

        마음챙김 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오가영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1

        본 연구는 마음챙김 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주의집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만 5세 유아이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 13명(남7, 여6)과 통제집단 12명(남7, 여5)을 선정하고 두 집단이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에게 2018년 9월 4일부터 11월 6일까지 마음챙김 놀이프로그램을 총 8회기를 실시하였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과 사후에 정서지능과 주의집중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SPSS 20.0을 활용하여 집단 내 사전과 사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정서지능 전체,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그리고 주의집중력 전체, 집중력, 충동성, 감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험집단 정서지능의 타인조절과 주의집중력의 적응성 그리고 통제집단에서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유아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마음챙김 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indful Game Program affect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Attention of the child. The subjects were the children, where are located at the I City, and were five ages.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program, The experiment group consisted of the thirteen kids (boys 7, girls 6), and the control group selected the thirteen kids (boys 7, girls 5). Two groups were testified as the same groups who have the same characters. The Mindful Games was carried out at eight times totally from September 4, 2018 to November 6, 2018. To prove the effect of the programs, the Child Attention Scale for Teacher was practiced to the subject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analysis of the materials was compared in the group before and after by using the SPSS 20.0. At the results, there were a difference in the whole emotional intelligence, self-conscious, self-control, others-awareness, and total attention, concentration, impulsiveness, sensitivity a little bit.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t in the others-control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availability of attention in the subject groups and control groups. Therefore, it seems that Mindful Game Program considering child’s developmental level will help improve infa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at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