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화 시기 제주로 이주한 전라도 사람들의 지역 적응 전략으로서 지연공동체 형성과 변화

        염미경 ( Yeum Mi-gyeung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용봉인문논총 Vol.- No.58

        이 글은 1960년대 이후 제주가 한국의 산업화과정에 편입되면서 제주를 이주지로 선택해 정착한 사람들 대다수가 전라도 사람들이었다는 사실에서 출발하여, 제주를 이주지로 선택한 전라도 사람들의 지역사회 적응 전략이었던 지연공동체의 형성과 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문헌 연구법과 심층면접법을 병행해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제주로 이주한 전라도 사람들은 새로운 지역에 적응하기 위해, 특히 이주 초기 자신의 연고 자원과 사회연결망을 잘 활용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동향인 밀집 지역을 형성해가는 지역 적응 전략을 구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제주에 정착한 전라도 사람들은 제주살이에서 겪는 차별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향우회를 조직해 활동함으로써 이주지의 지역 집단으로 성장해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산업화 시기 전라도 사람들이 제주 사회 적응과 정착에 활용한 지역 연고를 매개로 한 지연공동체 전략은, 이들이 제주 지역사회에 정착하는 데 효과적으로 기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started from the fact that most of the people who settled in Jeju were Jeolla-do people when Jeju was incorporated into Korea’s industrialization process since the 1960s, and wanted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community based on hometown. For the analysis, in-depth interviews with local community associations, including the first generation of immigrants, were used in parallel with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Jeolla-do people who migrated to Jeju made full use of a strategy to form a concentrated residential area by living in a dense area, which is a trend, to make good use of their related resources and social networks in order to adapt to a new area. Next, the people of Jeolla Province who settled in Jeju Island can confirm that they have grown into local groups in this region by organizing and activities as a response strategy to discrimination experienced in Jeju. The local adaptation strategy based on hometown, which is a medium of local solidarity used by the people of Jeolla-do for adaptation and settlement of Jeju society, can be seen that it effectively functioned to establish them in Jeju community.

      • KCI등재

        제주 성평등 마을만들기 실천 전략으로서 마을규약 개정 사례 분석

        염미경(Mi-Gyeung Yeum) 제주학회 2023 濟州島硏究 Vol.59 No.-

        이 논문에서는 여성가족부의 여성친화도시정책을 배경으로 추진된 지방자치단체의 성평등 마을만들기의 양상과 특징을 성평등 마을규약 개정을 일궈낸 제주의 한 농촌 마을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에는 문헌연구법과 심층면접법이 병행 사용되었으며,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을 알 수 있다. 우선 국가정책을 배경으로 출발한 지역정책이라 할지라도 추진 주체의 역할과 참여 형태에 따라 전략 구사 및 실행과정은 달라질 수 있는데, 이 논문의 사례지역인 제주의 경우 성평등 마을만들기의 실천 전략으로 성평등 마을규약 개정 사업이 시민사회로부터 제안되었고, 그 실행 과정에서 여성단체와 행정 그리고 마을 간 협업형 모델을 만들어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성평등 마을만들기가 일정한 성과를 거둔 데는 주요 주체들의 참여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이슈의 발굴과 이들 간 협업형 실행체계가 중요하게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대다수 농촌 마을들의 경우 인구구성의 변화를 겪고 있고, 성평등 이슈 외에 문화, 환경 등의 이슈와 결합한 새로운 자치운동이 등장하고 있는가 하면, 마을규약을 둘러싼 갈등 사례가 나타나고 있어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사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제주에서 추진된 성평등 마을규약 개정 사업이 모든 마을에서 순조롭게 진행되지는 않았으며, 마을규약 개정을 보류하거나 마을규약 개정 안건이 마을총회를 통과하지 못한 마을들이 있고, 마을규약 개정 성과를 이루었다고 해도 그 자체가 마을자치 실현을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라고 할 때 마을규약 개정을 시도했던 마을들에 대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gender equality village building by local governments promot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women-friendly city policy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rough the case of a rural village in Jeju that led to the revision of gender equality village ru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points can be found. First of all, finding out issues that can expand the participation of major actors and strengthening the cooperative implementation system among them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chieving certain results in the gender equality village building in the case area. Next, most rural villages are undergoing changes in population composition, and a new autonomy movement combining issues such as culture and environment in addition to gender equality issues is emerging, raising cases of conflict over village rules and the need for revision. The solution can also be said to be a task thrown into the case area. In addition, the project to revise the village rules for gender equality promoted in Jeju did not proceed smoothly in all villages, and there were some villages that delayed the revision of the village rules or failed to pass the village rules revision agenda at the village assembly. When it is said that even sea water itself does not guarantee the realization of village autonomy, a comparative study on villages that attempted to amend the village rules is necessary.

      • KCI등재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제주도의 여성정책

        염미경(YEUM Mi-Gyeung),김수연(KIM Soo-Yeon) 지역사회학회 2007 지역사회학 Vol.8 No.2

        이 논문에서는 성인지적 관점에서 제주도의 여성정책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여성정잭의 현주소를 알아보고 향후 방향을 모색해본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치적 측면에서 제주도의 여성정책을 보면, 여성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여성의 경험에 근거하고는 있지만 정책의 성별영향은 고려하지 못하고 있으며 , 제도적 측면에서도 여성관련 조례가 극히 적고 성인지적 여성정책 수립을 위한 기반은 취약하다. 여성정책의 관리적 측면에서 보더라도 성인지적 정책을 추진하기에는 부족한 담당기관과 인력구조 하에 있다 앞으로 성인지적 성별분리통계가 이루어져야 하고 모든 정책에 성별영향평가 이루어져야 하며 여성정책 담당기구의 확대 및 전문 인력의 발굴과 양성이 필요하다‘ 나아가 정책의 수립과 운영, 그리고 내실을 꾀하기 위해 정책결정자들 또는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 간 파트너십의 형성과 민주적 의사결정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성인지적 관점에서 지역의 정책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아울러 중립적으로 보이는 정책이 여성과 남성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정책의 수혜가 남녀 모두에게 동등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해왔지만 정말 성불평등 효과는 없는지 다양한 정책 사례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sent address of the women’s policy of Jeju-do, which gropes for and looks at the possibility of women’s policies with gender sensitive perspective. Resource acquisition for an analysis in detail is a literature search method and interview method of emotional depths with community specialists. When we approach the women’s policy in Jeju-do from the gender sensitive perspective; it is fundamentally based on gender and assumes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as well as the gender equality. However, it does not recognize the different positions and roles of men and women in the society, as well as the it experiences. Thus, it cannot affect to the socio-structural inequality.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e women policy in Jeju-do should recogni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ives of men and women. We should formulate the status and role of the women policy development committee in order to derive a gender-sensitive perspective. Moreover, we should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the policy, as well as strive for a better reputation of the policy in Jeju-do. We should also group the statistical data according to the gender. Finally, we need to strengthen the organization in charge of the policy and inviter experts to participate and follow-up enacting “Women development basic ordinance."" Local se lf-governing bodies are strengthened the system of mutual understanding for organization and groups with which can represent women and with regional innovation development with gender sensitive perspective will be possible, when opening the passage.

      • KCI등재

        제주옹기의 전승체계 변화와 지역 문화자원화과정

        염미경(YEUM Mi Gyeung) 지역사회학회 2016 지역사회학 Vol.17 No.3

        지방 무형문화재 지정에서 무형문화재의 전승형태나 방법 등 전승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전문가 집단인 기능보유자로서 전승자와 전승집단 등과 같은 전승공동체의 특성 및 활동과 지방자치단체의 무형문화재정책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제주옹기를 무형문화재로 지정한 것은 제주옹기 기술의 전승에 대해 공적 관리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의미는 있지만 무형문화재의 특성 상 기능보유자를 지정해 해당 기능이 전승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로 지정받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기능인들 사이에 혹은 전수자집단 내부와 전수자집단 간에 전승 주도권을 둘러싸고 갈등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이 논문은 제주옹기가 지방 무형문화재로 지정받아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대상이 되면서 제주옹기 전승구도와 양상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전승자와 전수자집단 내부 및 이들 간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지원을 끌어내기 위해 제주옹기 전승자와 전수자집단이 시도한 문화적 대응에 초점을 두었으며, 과거 대표적인 옹기생산지였던 마을공동체가 제주옹기 전승주체로 등장하면서 전승 주도권을 쥐고 있던 전승자와 전수자집단과 마을공동체 간 관계 변화에도 주목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문헌자료 이외에 전문가집단 및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와 전수교육조교 등 전수자집단, 그리고 과거 옹기생산지 마을주민과의 심층면접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제주도 문화행정당국이 제주옹기를 무형문화재로 지정하면서 1990년대부터 제주옹기의 전승 및 보존활동을 해왔던 1대 기능인 및 민간 도예전문가집단 내부와 그 외 지역의 도예전문가집단 간에 전승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관계가 만들어졌고, 지방자치단체의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지정과 전승 주도권을 갖기 위한 노력으로 전승자와 전수자집단이 문화적 대응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박물관과 옹기축제가 기획되게 되고 이로써 제주옹기가 지역 문화자원으로 자리매김 되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와 전승 주도권을 가진 민간 도예전문가집단 간 관계 속에서 무형문화재가 된 제주옹기의 제작과정이 재해석되면서 전승체계가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거의 안착된 것처럼 보였던 제주옹기 전승구도가 과거 옹기생산지마을이 새로운 전승 주체로 등장하면서 제주옹기 전승 주도권을 둘러싸고,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승인된 기존 집단과 마을공동체 간 경쟁구도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문제는 기능보유자나 보유단체를 지정하고 있는 현재의 지방 무형문화재정책이 안고 있는 문제이며, 현재와 같은 지방자치단체의 무형문화재정책이 유지되는 한 제주옹기를 비롯한 무형문화재 기능 전승 주도권을 둘러싼 갈등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In the designation of a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haracteristics and activities of tradition communities such as traders and tradition groups,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olicies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are the policy holders of the expert group that influence the tradition structure such as the form and manner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fact that the local government designated Jeju onggi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means that it is meaningful that public management is carried out on the tradition of onggi technology of Jeju. However, it is meaningful to designate the holder of the function as the characteristic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will be conflicts between the function holders or between the leader group and the leader group.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and aspect of Jeju onggi as a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ed by Jeju onggi as a loc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he cultural response that the local and local governments tried to attract political support of Jeju onggi, and the village community, which was a representative onggi producing area, emerged as the main body of Jeju onggi, It also paid attention to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grant group and the village community. For detailed analysis, we used in-depth interview data with professional group,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function holder, full-time education assistant group, and past residents of onggi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Jeju cultural administration authorities have designated Jeju onggi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there has been a rivalry between the one function holders and the private pottery group that have been carrying out the traditional preservation activities of Jeju onggi since the 1990s. The museum and the onggi festival were planned in the process of designation of the holder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function of the local autonomous entity and the effort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 transmission group. Also,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dition system was changed by reinterpret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Jeju onggi, which became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autonomous entity and the private ceramics specialist group that has the initiative of success. Recently, the onggi village has been newly emerged in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activities of Jeju onggi, and a competition structure has been formed between the existing community and the village community approved by local governments around the initiative of Jeju onggi. These problems are the problem of the curre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olicies that designate function holders or holding organizations, As long as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olicies of the local governments are maintained, conflicts over the initiative of func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cluding Jeju onggi is likely to continue.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마을 만들기 전략으로서 제주 농촌의 학교 살리기 사례 분석과 지속가능 지역교육공동체 탐색

        염미경(Yeum, Mi-Gyeung) 제주학회 2021 濟州島硏究 Vol.55 No.-

        이 논문에서는 교육부의 학교 통‧폐합 정책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서 학교 살리기가 지역공동체의 활성화와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농촌에서 지속가능 지역교육공동체의 가능성을 탐색해본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에는 문헌연구법과 심층면접법이 병행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을 알 수 있다. 우선 농촌지역 학교붕괴 문제는 교육적 접근뿐만 아니라 지역발전전략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 논문의 사례지역에서 추진된 학교 살리기가 일정한 성과를 거둔 데는 학교 살리기 추진 주체의 인적‧물적 자원의 적절한 동원과 전략 구사 및 사회․정치적 환경변화 등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다음으로 어떤 마을 만들기 전략이든지 지역이 바라는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이해당사자들의 참여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이슈를 제시하고, 관련 전략들을 다양하게 구사할 필요가 있음을 이 논문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결국, 농어촌의 학교와 지역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일부 구성원의 노력만으로는 이루기 어렵고, 지역의 이해당사자들 모두의 참여와 지원이 필요하다. This thesis attempt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local education communities in rural areas by looking at the process of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which is a strategy for responding to the local community s response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 school integration and abolition policy.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the in-depth interview method were used in parallel to collect data for specific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points can be found. First of all, the problem of school collapse in rural areas needs to be recognized as a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as well as an educational approach. The reason why the school revival promoted in the case area of this thesis achieved certain results was the proper mobilization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subject of school revitalization, the use of strategies, and changes in the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Next,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case of this paper that any town development strategy needs to present an issue that can expand the scope of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for certain achievements and that related strategies need to be used in various ways. In the end, in order to revitalize schools and communities in rural areas, it is difficult to achieve only with the efforts of some members, and participation and support from all stakeholders in the region is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산업화시기 제주이주민의 지역정착과 사회연결망

        염미경(Yeum Mi-gyeung) 제주학회 2018 濟州島硏究 Vol.49 No.-

        이 논문은 산업화시기 제주로 이주한 사람들이 새로운 지역에 정착하면서 어떠한 사회적 연결망을 활용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들이 제주에 정착하면서 지역집단화으로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문헌연구방법과 함께 1세대 이주자들, 1.5세대와 2세대 향우회 관계자들과의 심층면접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출신지를 떠나 새로운 지역에 정착해 살아가는 1세대 이주들은 신의 출신지와의 직접적인 교류를 통해 또는 지연망을 통해 연대의식을 강화시키면서 정착지에 적응해갔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최근 들어 향우회의 세대교체 속에서 실리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향우회 집행부가 세대교체 되면서 향우회의 존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 향우회들은 각종 행사에서 참여와 단결을 강조하고 청년회를 기구화해 청년들의 참여를 활성화시키려고 하는가 하면, 정착지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활동으로 확대해나가고 있음을 제주지역 사례에서도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organizational process and changes of Hyangwoohoe as a kind of social networks based in hometown through case, Jeju. For the research methods, the opinions from the members of Jeju migrant’s community associations and the persons interested in each Jeju migrant’s community association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 found that the first generation of immigrants to leave the birth home lives to settle in new areas are adapted to the settlements while strengthening a sense of community to stand mediating the home through direct exchanges with the homeland, but also through the various events of hometown. Next, the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ing role of local hometown through the Jeju practice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Hyangwoohoe was a mechanism for emotional, social and economic adaptation to a new area. Next, migrants tended to migrate an intact even in terms of political beliefs and their attitude in terms hometown area. However, as recently hyangwoohoe replaced three executives, the political activities of hyangwoohoe are changing in the direction of the pursuit of benefit. Finally, there is a voice that concern the viability of hyangwoohoe. In these circumstances hyangwoohoe is trying to emphasize the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through various events and enable the participation of young people by creating the youth group in hyangwoohoe. Also hyangwoohoe is doing efforts to attract new immigrants and members of hyangwoohoe can see that expanding its activities to communities where they l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