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Characteristic of Reward in Computer Assisted Learning

        Eun Mo Yeon(연은모),Sun-Young Lee(이선영),Yoonkyung Chung(정윤경),Eun Soo Cho(조은수),Soongoo Kwon(권순구),Hun Jeon(전훈),Kye-Hyeng Lee(이계형),Sung-Hyun Yoon(윤성현),Yeonhee So(소연희),Sung-il Kim(김성일) 한국HCI학회 200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2

        Computer Assisted Learning (CAL) is quite different from in many aspects. CAL provides individualistic learning environment and facilitates autonomy of the learner. Thus the learners who uses CAL program has more sense of control and engages in more strategic learning than conventional learning environment. In this experiment, we used KORI (KORea university intelligent agent) which is a new type of ITS adopting TA (Teachable Agent) that fosters learning by teaching. So, we investigated the critical motivational factor that have influences in CAL learning and the effects of reward in CAL are another area of our interest. Thus, we divided two conditions that presence of reward and absence of reward. The 174 elementary school students(5th) were participated and they are randomly assigned the one of the reward conditions. Before entering the experimental instruction, all participants measured about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goal orientation questionnaire as independent variables. Then,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of method of using KORI program and asked to study for ten days with KORI program at least 20 minutes everyday in their home, about 10 days. After 10 days, they were rated interest and comprehension. Regression results suggest that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reward, metacognition is a positive predictor in interestingness. It indicate that metacognitive skills are required in CAL learning situation irrespective of reward. But on comprehension in the absence of reward, only self- efficacy appeared to be a positive predictor. In the presence of rewar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showed as a negative predictor of comprehension, whereas self-efficacy was a positive predictor. This result suggest that presence of reward especially interferes learning process of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in CAL learning situation.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reward interferes the learning process of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by debilitating intrinsic motiva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성취압력과 시간사용만족도의 잠재계층에 따른 학업수행능력, 심리 및 정서적 특성의 차이

        연은모(Yeon, Eun Mo),최효식(Choi, Hyo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성취압력과 시간사용만족도에 따른 잠재계층의 조합을 확인하고, 잠재계층에 따라 초등학생의 학업수행능력, 심리 및 정서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1차(2018년) 자료의 1,42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잠재계층에 따라 초등학생의 학업수행능력, 자아존중감, 학업스트레스,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BCH 보조변수(Auxiliary)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부모의 성취압력과 자녀의 시간사용만족도에 따라 ‘성취압력 중상-시간사용만족도 하’, ‘성취압력 상-시간사용만족도 중상’, ‘성취압력 중-시간사용만족도 중상’, ‘성취압력 중-시간사용만족도 중하’의 4개의 잠재계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계층 3(성취압력 중-시간사용만족도 중상)이 잠재계층 2(성취압력 상-시간사용만족도 중상)와 4(성취압력 중-시간사용만족도 중하)보다 학업수행능력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 학업스트레스, 삶의 만족도의 경우 잠재계층 3(성취압력 중-시간사용만족도 중상)이 다른 잠재계층보다 학업스트레스는 낮은 반면,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성취압력이 있더라도 시간사용만족도가 높을 경우 아동의 학업수행능력, 심리 및 정서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latent groups according to students’ perceived achievement pressure from parents and satisfaction with the time spent and examined its relation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psycho-emotional variables such as self-esteem, academic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data of 1,428 pairs of parent and child from the 11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ith a Latent Profile Analysis(LPA). Results Results of this study found 4 latent classes of the relationships, named as (1) above average pressure-low satisfaction group, (2) high pressure-above average satisfaction group, (3) average pressure-above average satisfaction group, and (4) average pressure-below average satisfaction group.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performance and psycho-emotional variables. For instance, students in average pressure-above average satisfaction group reported low academic stress but high self-esteem and high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This study derived implications for positiv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the time spent even under the academic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and psycho-emotional variables of their children.

      • KCI등재

        사전인출과 사후인출을 접목한 학습 방법이 지연 기억에 미치는 영향

        연은모(Yeon, Eun Mo),최효식(Choi, Hyo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새로운 학습 내용에 대한 사전인출이 지연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전인출이 지연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 사전인출과 사후인출을 접목한 학습 방법이 사후인출을 반복하는 학습 방법보다 지연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도에 초등학교 5학년 28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 다변량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후인출 집단과 사전인출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복습 집단보다 더 높은 지연 기억검사 점수가 확인된 반면, 사후인출 집단과 사전인출 집단 간에는 지연 기억검사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전인출과 사후인출을 접목한 학습 방법 집단과 사후인출을 반복하는 학습 방법 집단 간에 지연 기억검사 결과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연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성취 수준과 학습 방법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새로운 내용에 대한 학습 전에 사전인출을 통해 새로 배울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인출하게 한 다음,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고, 배운 내용에 대해 사후인출을 하는 방법 또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pportunities to retrieve information prior to learning can greatly maximizing students ’ memory. To extend the testing effect which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retrieve information,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benefit of the attempt to retrieve information both prior and post to learning can have a greater impact on delayed memory of the learning material than the attempt to retrieve information only post to learning. Results from that data of 282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engaged in either prior or post retrieval performed better in delayed memory than students who only reviewed the learning material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delayed memory in between prior and post retrieval attempts Second, a combination of prior and post retrieval practices has no meaningful effect on students ’ delayed memory compared to a repeated retrieval post to learning. Thir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achievement level and retrieval strategies to enhancing delayed mem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us with insights on effective retrieval strategies on learning. Specifically, this study underlined the importance of attempts to retrieve information before students learn the materials and let them to retrieve afterward the learning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maximizing students memory.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잠재프로파일의 종단적 변화 및 영향 요인

        연은모(Eun Mo Yeon),최효식(Hyo-Sik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위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의 잠재프로파일 및 전이 과정을 탐색하고, 전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의 2차년도(2012년)와 6차년도(2016년) 자료의 1,18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교 시기(2차년도 자료)와 중학교 시기(6차년도 자료)의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두 시점 모두 ‘안정형 집단’, ‘사회적 위축형 집단’, ‘불안정형 집단’의 세 개의 잠재집단이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집단의 전이 과정을 확인한 결과, 심리적 특성의 안정적인 양상도 나타나지만, 긍정적 변화 및 부정적 변화 또한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방임적 양육태도, 부모효능감, 가족의지지, 친구의지지가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친구의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불안정형 집단에 계속 머무르기보다는 안정형 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다문화 가정 청소년이 더 안정적인 심리적 특성을 갖는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ngitudinal transition of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 profiles, which includes self-esteem,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nd the predictive effects of parental efficacy, familie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sample consisted of 1,188 adolescents in elementary school, who were re-examined in three years, when they were in middle school from the part of waves 2 and 6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A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three distinct profiles of psychological character among adolesc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able, social withdrawal, and unstable. As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tayed stable and played critical roles on the latent classes. Parental efficacy, and supports from family and friends played critical roles on the latent classes. Specifically, as adolescents perceived full of supports from friends, they were more likely to make transitions to the stable group.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의 우울, 지각된 가족기능, 양육태도,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연은모 ( Eun Mo Yeon ),윤해옥 ( Hae Ok Yoon ),최효식 ( Hyo Sik Cho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와 아버지의 우울, 지각된 가족기능, 긍정적 양육태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비교하고, 부모의 우울, 지각된 가족기능, 긍정적 양육태도가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1,5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에서 우울이 가족기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에서 우울이 긍정적 양육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가족기능은 긍정적 양육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가 나타난 반면,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기능이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만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우울은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확인되었으며,아버지의 우울은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의 간접효과만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커플 자료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APIM 분석 방법에 기초하여 부모의 우울, 양육태도, 가족기능,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련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측정 및 평가 관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examine actor and parter effect of parents of infants’s perceived depression, family functioning, and parenting attitude but also to seek for its influences o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ir children.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517 married couples who have infants from the 6th year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nd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listed belo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pression had significant actor and partner negative effect on the family functioning and the parenting attitude and the family functioning also presented a significant actor effect on the parenting attitude. However, the results of partner effect of the family functioning, only from mother of infants, was significantly positive on the parenting attitude. Lastly, mother’s perceived depression showed a direct effect and an indirect actor effect o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hereas father’s perceived depression only showed its indirect partner effect. These results appear that in order to reduc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both mother and father needs to perceive less depression but high family functioning and parenting attitude. In other words, to reduc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researchers should treat parents of infants together rather than being focused on individuals.

      • KCI등재

        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효능감, 행복감과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 간 관계:

        연은모(Yeon, Eun Mo),최효식(Choi, Hyo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4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과,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행복감이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한국아동패널의 7차년도(2014년 조사) 자료 중 1,433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양육효능감은 부모 각자의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가 확인되었다. 반면,상대방효과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아버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만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양육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과 간 크기, 상대방효과 간 크기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반면,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간 크기 비교 결과,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자기효과가 상대방효과 보다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효육감과 행복감 중 어머니의 양육효육감이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effects of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self-efficacy on their happiness by using APIM(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nd its influences on their child s social competence. 1,433 couples who have children from the 7th year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2014. The results of APIM illustrated that, first, the actor effect of parenting self-efficacy on happiness was significant in mothers and fathers, while its partner effect was significant only in mother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ctor and partner effects in mothers and fathers. However, results revealed that greater actor effects than partner effects in relation to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their happiness. Third, in models,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on their child s social competence was verified.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ddre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학부모의 교육 참여, 부모효능감,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 간 관계: 가족 유형 및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연은모(Eun Mo Yeon),최효식(Hyo-Sik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5

        본 연구에서는 학부모의 교육 참여, 부모효능감,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가족유형 및 학교급에 따라 구조적 관계의 차별적인 특징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의 2,497가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t 검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부모/조손 가정보다는 양부모 가정,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가정보다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가정의 학부모의 교육 참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학부모의 교육 참여 수준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자녀의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이 지지가 되었다. 셋째, 가족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교육 참여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경로, 교육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에서 가족 유형에 따른 경로계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경로 모두 한부모/조손 가정보다 양부모 가정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교육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 부모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에서 학교급에 따른 경로계수 크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는 초등학생 집단이 더 큰 영향을 미치지만, 부모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는 중/고등학생 집단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족 유형 및 학교급에 따라 학부모의 교육 참여가 부모 및 자녀 특성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nd parental efficacy on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chievement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family type and school level. Using data from 2,497 families that participated in the 2018 National Survey on Children’s Life, t-tes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wo-parent families reported higher levels of educational involvement than single-parent families and custodial grandparent families. Also, two-parent families raising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showed higher educational involvement than two-parent families raising children attending middle schools. Second, parental efficacy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s of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on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chievement. Third,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chieve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family type, with two-parent families having greater involvement than single-parent families and custodial grandparent families. Fourth, multiple group analysis repo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nd school achievement as well as parental efficacy and school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 KCI등재

        교실목표구조와 피드백 유형이 학습자의 실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은모(Yeon, Eun M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과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실 환경을 결정하는 주요 변인인 교실목표구조와 피드백 유형이 실수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학업 성취 수준에 따라 실수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및 경북 소재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192명과 중학교 2-3학년 149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이원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 피드백 유형이 실수의 학습 활용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교실목표구조의 주효과와 상호 작용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초등학교의 경우 교실목표구조와 피드백 유형이 모두 실수에 대한 도전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중학교의 경우 상호 작용효과만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 실수에 대한 긴장에 교실목표구조, 피드백 유형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종합적으로 봤을 때, 피드백 유형 중 달성 피드백, 교실목표구조 유형 중 수행목 표구조가 실수에 대한 인식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실수-기반 학습에 필요한 실제적인 교실 환경 조성 방안에 기여한다는 의의가 있다. To extend the potential benefits of errors, the study examined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error perception. In details, we aimed to examine how introduces classroom goal structure and feedback to encourage students’ positive perception of error. 192 elementary school and 149 and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the experiment and were randomly alloted to four different groups depend on classroom goal structure and feedback. As a result, students’ perception in consideration for improving errors and preferences for risk taking increased under the performance-oriented classroom goal structure and to-go feedback. However, students’ perception for strain on error was not affected by either classroom goal structure or feedback. These results provide new insights about the factors we invest effort into build students’ positive error percep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rror tolerant learning environm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자녀 간 대화 빈도 인식에 따른 진로개발역량, 학업적 특성 차이

        연은모(Eun Mo Yeon),최효식(Hyo-Sik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초, 중, 고 학생의 부모-자녀 간 대화 빈도에 대한 인식 차이에 따른 차별적인 특징을 갖는 유형을 탐색하고, 탐색된 유형에 따라 초, 중, 고 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학업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초 · 중등 진로 교육 현황조사(2018)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초, 중, 고 학생의 부모-자녀 간 대화 빈도에 대한 인식 차이는 초등학생 6개 잠재계층(자녀 학교생활 대화 상, 자녀 상-부모 학교생활 대화 상, 자녀 하-부모 하, 자녀 상-부모 상, 자녀-부모 학교생활 대화 상, 자녀 하-부모 중), 중학생 6개 잠재계층(자녀 하-부모 하, 자녀 중-부모 중, 자녀 상-부모 하, 자녀 상-부모 중상, 자녀 하-부모 상, 자녀 최상-부모 최상), 고등학생 7개 잠재계층(자녀-부모 학교생활 대화 상, 자녀 상-부모 하, 자녀 중-부모 중, 자녀 중-부모 상, 자녀 하-부모 하, 자녀 상-부모 중상, 자녀 최상-부모 최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초, 중, 고 모두 잠재계층에 따라 진로개발역량(자기이해와 사회성, 직업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와 준비도)과 학업적 특성(자율적 학습 동기, 자기주도학습)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부모-자녀 모두 대화 빈도가 높다고 인식한 집단과 부모보다 자녀가 인식한 대화 빈도 수준이 높은 집단의 진로개발역량과 학업적 특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초, 중, 고 학생은 부모와의 대화 빈도를 부모와 다르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인식의 차이가 진로개발역량과 학업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ssify the parents" and their children"s perception of contact frequency an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academic outcomes according to perceptional differences. Data of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2018) were used, an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utilized to explore the parents" and their children"s perception of contact frequency.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s contact frequency was classified into six group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seven groups in high school.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job understanding,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sign and reparation) and academic outcomes (autonomou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classified groups related to contact frequency significantly differed. In general, groups who reported a higher perception of contact frequency by children than parents showed higher vocational identity and better academic outcomes. This result implies that perceived contact frequenc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an differ by school level, and its differences can be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academic outcomes of adolescents.

      • KCI등재

        다문화 가정의 부모-자녀 간 관계 특성에 따른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차이

        연은모(Eun Mo Yeon),최효식(Hyo-Sik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8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 어머니와의 관계의 질에 따라 차별적인 특성을 갖는 유형이 있는지 확인하고, 차별적 특성을 갖는 유형에 따라 자녀의 학교생활, 자아존중감, 다문화가족정체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의 5,540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 일원분산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다문화 가정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 어머니와의 관계의 질에 따라 ‘아버지 하-어머니 중 집단(6.5%)’, ‘아버지 중-어머니 하 집단(2.0%)’, ‘아버지 하-어머니 하 집단(18.6%)’, ‘아버지 중-어머니 중 집단(31.2%)’, ‘아버지 상-어머니 상 집단(41.7%)’의 잠재계층이 확인되었다. 둘째, 일원분산분석결과 5개 잠재계층에 따라 자녀의 학교생활, 자아존중감, 다문화가족정체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상-어머니 상 집단(41.7%)’이 나머지 4개 잠재계층보다 학교생활, 자아존중감, 다문화가족정체성 수준이 높았으며, ‘아버지 중-어머니 중 집단(31.2%)’이 ‘아버지 하-어머니 중 집단(6.5%)’, ‘아버지 중-어머니 하 집단(2.0%)’, ‘아버지 하-어머니 하 집단(18.6%)’보다 학교생활,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 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을 높기 위해서는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와의 관계의 질을 높여 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sychological outcomes (school participation, self-esteem, and difficulty related to multicultural identity) depending on their perception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 total of 5,540 samples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18 were analyzed b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best-fitting model identified five groups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1) father low-mother average (6.5%), (2) father average-mother low (2%), (3) father low-mother low (18.6%), (4) father average-mother average (31.2%), and (5) father high-mother high (41.7%).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ne-way ANOVA, the father high-mother high (41.7%) group of adolescents showed more school participants and higher self-esteem and multicultural identity than the other profiled groups. The father average-mother average (31.2%) group of adolescents also scored higher than the other three groups (father low-mother average (6.5%), father average-mother low (2%), and father low-mother low (18.6%) of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improving multicultural adolescents" perception of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s would be important in improving psychological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