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02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분석, 2002년 학생생활연구소 활동

        연구자료 동덕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002 學生指導硏究 Vol.21 No.-

        본 실태조사에서는 2002년도 신입생 1577명 중 1259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일반적 특성, 환경 특성, 대학 및 전공에 관한 의견, 대학 생활에 대한 견해, 학생생활연구소에 대한 의견 등 다섯 영역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조사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영역은 신입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들이었다. 먼저 출생연도에 있어서는 1983년생이 가장 많아서 전체의 반수 이상(59.6%)을 차지하였다. 약학대학의 경우 1952년생의 비율이 37.8%로 타 단과대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약학대학생들의 높은 재수 및 삼수 비율(59.5%)을 반영해주고 있다. 입학전 사회경험이 있는 비율은 전체의 12.8%로 낮은 편이었는데, 공연예술대학의 경우에는 26.6%가 사회경험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여 다른 단과대학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한편, 종교에 대해서는 무교와 기독교가 각각 전체의 1/3 정도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비율이었으며, 천주교와 불교는 각각 전체의 15% 정도를 차지하였다. 단과대학별로는 공연예술대학이 기독교를 종교로 갖고 있는 경우가 반수 이상(51.5%)으로 가장 높았던 반면, 약학대학은 무교의 비율이 반수 정도를 차지하였다(48.6%). 출신 고둥학교의 소재 지역은 서울·경기지역이 전체의 8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서울 55.6%, 경기 24.9%). 단과대학별로는 공연예술대학의 경기지역 고등학교 출신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29.7%), 약학대학의 경우 경상도 및 충청도 지역 고둥학교 출신 비율이 높았다(30.6%). 이러한 결과는 생활지역에 관한 응답과도 관련이 있었다. 즉 약학대학생들의 서울지역 거주비율은 전체의 서울지역 거주비율인 77.4%보다 높은 89.2%였는데, 이는 약대생들의 경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지방 출신 학생들이 생활지역을 서울로 이주한 것에서 비롯된 결과로 보인다. 한편 통학에 소요되는 시간에 있어서는 1시간 이상이 소요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의 62.1%였고, 이 중 2시간 이상이 소요되는 경우는 5.6%를 차지하였다. 두 번째 영역인 신입생들의 '환경적 특성'은 주로 가정환경에 대한 질문들로 구성되었다. 부모님의 생존여부에 대해서는 대다수가(96.8%) 양친 모두 생존하는 경우였지만, 어머니만 생존하는 경우와 아버지만 생존하는 경우, 그리고 양친 모두 사망한 경우도 소수 있었다. 부모님의 학력을 살펴보면, 대체로 부친의 학력이 모친의 학력보다 높아서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소지한 비율이 부친의 경우에는 92.4%였던 반면, 모친의 경우는 80%에 해당되었다. 한편, 부모의 할력 수준이 대학졸업인 경우가 가장 높은 단과대학은 약학대학으로 부친의 경우는 78.4%가, 모친의 경우는 48.6%가 해당되었다. 부모의 직업에 있어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부친의 직업 유형은 관리직과 사무직으로 각각 전체의 1/5정도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는 전문직과 판매직이 각각 15% 정도를 차지하였고, 농어민의 비율은 3%정도로 나타났다. 모친의 경우는 상당수(64.8%)가 미취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전문직 비율이 가장 높은 경우는 약학대학의 경우로, 부친의 전문직 비율은 31.4%였고, 모친의 전문직 비율은 20%였다. 가정에 당면한 문제가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 64%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문제가 있다고 한 경우에는 경제적인 문제를 가장 많이 지목하였다.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무려 98%가 중류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연예술대학의 경우 32.8%가 가정이 경제적인 문제를 당면하고 있다고 하여 타 단과대학애 비하여 가장 높은 비율이었는데, 이들 부모의 높은 교육 수준이나 전문직 및 관리직 종사 비율이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공연예술대학 신입생들의 가정 경제가 특별히 어려운 것으로는 결론짓기 어렵다. 이에는 경제 상황에 대한 기대 수준의 차이 등 다른 요소가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외에 등록금 조달 방법, 월 평균 용돈 등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대다수(96%)가 부모로부터 등록금을 지원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용돈 수준은 월 30만원 미만이 가장 많은 36.3%를 차지하였다. 단 약학대학의 경우, 뭘 30만원 이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8.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예술대학, 디자인대학, 공연예술대학 신입생들이 이와 같이 응답한 비율이 차례로 높았다. 세 번째 영역인 '대학 및 전공에 관한 의견'에서는 동덕여자대학교와 자신이 선택한 전공 또는 단과 대학에 대한 견해를 묻는 다양한 질문들이 다루어졌다. 본 대학을 선택한 동기에 대해서는 반수에 가까운 비율(45.9%)이 '성적에 따라서' 선택하였다는 반응을 하였고, '지망 학과가 좋아서' 선택하였다는 동기에는 1/5(21%) 정도가 응답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단과대학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사회, 인문, 자연, 정보과학대학은 전체적인 경향과 마찬가지로 성적을 높은 비율(50% 이상)로 지목한 반면, 약학, 디자인, 공연예술대학은 지망 학과가 좋아서 선택하였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단과대학이나 학부 선택동기에 대해서는 대학교 선택 동기와 다소 다른 양상을 보여 성적보다는(17.2%) 적성 을 고려하였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53%). 특히 공연예술, 디자인, 예술대학의 경우에는 70% 이상이 '적성을 고려하였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약학대학 학생들의 경우 전공을 택한 이유로 '취업 전망'을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56.8%) 적성은 소수만이 선택하여(5.4%) 대조를 이루었다. 본교 선택에 영향을 미친 사람으로는 반수 정도(45.4%)가 자기 자신을, 그리고 1/5(22.3%) 정도가 교사를 들었으나, 약학대학의 경우 부모님을 지목한 비율과 디자인대학의 경우 교사를 지목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각각 45.9%, 34.1%). 또한 본교에 대한 인식이나 입시관련 정보를 얻은 통로로는 인터넷과 안내 책자를 가장 많이 들어서 매스컴을 통한 본교 홍보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고, 본교에 대한 홍보 중 인상 깊었던 것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반수 정도(46.4%)가 '기타'로 응답하여 많은 학생들이 홍보에 대해서 특별한 인상을 받지 못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본교 홍보시기로 가장 적절한 때로는 고 3중 1학기를 가장 많이(45.2%) 들었고, 다음으로 고 3의 2학기를 들었다(20.4%). 마지막으로 본교 입학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여러 문항들 중 만족 정도에 있어서는 전체의 59%가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표명하였고 나머지는 불만족한 편인 것으로 반응하였다. 또한 본교에 대해 만족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발전하는 이미지'(30.7%)와 '전공특화'(14.5%)를 지목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사실상 기타에 반응한 비율이 가장 높아서(32.1%) 많은 학생들이 본교에 대해 만족하는 특별한 이유를 지목하기 어려웠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여자대학교로서의 본 대학의 장점으로는 '성차별 없음'을 가장 많이 들었고 (37.2%), 그 다음으로는 '자립심과 독립심을 키울 수 있다'는 응답을 많이 하였다(23.9%). 그러나 장점이 없다는 항목에도 17.1%가 반응하여 여자대학의 장점을 발견하지 못하는 학생들도 어느 정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네 번째 영역인 '대학생활 영역'은 학교생활 전반 및 주요 관심사, 장래의 계획 등에 관한 질문들로 구성되었다. 대학에 진학한 목적으로는 가장 많은 학생들이 '사회적 지위획득'을 들었다(28.1%). 반면에 대학의 근본 취지이자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진리와 학문 탐구'는 많지 않은 학생들(15.1%)이 반응하였다. 대학생으로서 추구해야 할 것으로는 '교양을 갖춘 지성인'을 가장 많이 들었고(40.2%), 다음으로 '유능한 사람'(24.6%), '사회문제 해결'(14%), '사회봉사'(5.7%)를 들었다. 대학에서 교수에게 기대하는 바로는 '전공 지도'를 희망하는 경우(30.3%) 이외에도 '인간적 유대'(23.3%)와 '진로지도'(21.4%)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나서 교수로부터 다양한 역할을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공공부 이외의 관심사로는 '인간관계'를 가장 많이(45.1%) 들었다. 졸업 후의 계획과 관련하여, 먼저 진로에 대해서는 취업이나 유학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높았으나(각각 35.9%, 27.7%), 단과대학별로는 차이가 있어서 약학 대학의 경우에는 취업을 계획하는 비율이 높았고(56.8%), 디자인대학의 경우에는 유학 계획이(60.5%), 그리고 공연예술대학의 경우에는 대학원 진학 계획(22.2%)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직업 선택 시 고려하고자 하는 점으로는 적성과 소질에 맞는지를 살피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79.2%), 다음으로는 보수 정도를 꼽았다(11.9%). 사회에서 성공 여부를 결정한다고 보는 요인으로는 '개인의 노력'을 가장 많이 지목하였고(40.1%), 다음으로는 '인간관계'를 꼽았다(16.2%). 마지막으로 부직(아르바이트)에 관한 질문들에서, 부직 희망 여부에 있어서는 대다수(82.5%)가 부직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희망하는 부직 종목으로는 '학업지도'가 가장 많았다. 또한 부직을 희망하는 이유로는 반수 정도(54.9%)가 용돈마련을 들었고, 다음으로 학비마련을 들었다(29.7%). 다섯 번째 영역은 학생생활연구소에 대한 인지 정도와 이용 의사에 관한 질문들이었다. 학생생활연구소에 대해서 '잘 모르겠다'는 응답과 '전혀 모르겠다는 응답을 한 비율이 90%를 넘어서, 대다수의 학생들이 연구소에 대해서 알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생활연구소를 이용할 의사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이용의사를 밝힌 학생의 비율이 12%애 불과하여 학생생활연구소의 홍보 필요성과 많은 학생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다양한 활동 개발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한편, 연구소에서 받고 싶은 심리검사로는 진로탐색검사를 가장 많이 들어서(42.8%) 학생들이 진로에 대하여 높은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희망 검사 종류로는 이외에도 적성검사, 성격검사, 지능검사가 있었다(각각 30.6%, 16.1%, 10.5%)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 가운데 본 대학교의 홍보 및 입시, 그리고 학생 지도에 있어서 고려할 필요성이 있는 점들을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에도 본 대학교에 대한 홍보를 적극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본 대학교가 최근 특화 중점 단과대학으로 삼아왔던 공연예술대학이나 약학대학의 경우 경기도 지역 고등학교나 충청 및 경상 지역 고등학교 출신의 신입생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입 지원 학생 수의 감소 추세애도 불구하고 지방 학생들의 서울지역 대학 진학 희망 정도가 아직까지 높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로서 본 대학교가 지방의 우수학생 유치를 위하여 학교 홍보를 전국적으로 실시해 야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둘째, 본 대학교에 대한 입시 홍보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신입생들이 본 대학교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친 사람으로 가장 많이 지목한 인물은 '자신'이었다. 그러나 약학대학의 경우에는 '부모님'을 그리고 디자인대학의 경우에는 '교사'를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서 입시생들 뿐 아니라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홍보도 다양하게 강구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홍보와 관련하여, 신입생들이 본 대학교에 대한 정보를 얻은 근원으로는 '인터넷과 안내책자'가 가장 많았던 점으로 보아, 본 대학교 홈페이지와 입시관련 안내 책자의 내용 구성이 대단히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대학교가 현재까지 펼쳐왔던 단과대학 특화 전략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한편, 그 범위를 넓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신입생들이 본 대학교를 선택한 이유로는 '성적'을 지목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단과대학별로는 응답 양상에서 차이가 있어 사회·인문·자연·정보과학대학의 경우에는 '성적에 의해서' 본 대학교를 선택하였다는 반응이 그대로 높게 나타난 반면, 약학·디자인·공연예술대학의 경우에는 '지망학과가 좋아서' 선택하였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후자의 단과대학들은 그동안 본 대학교가 중점적으로 특성화를 추진해온 대학으로서 입시생들로부터 '우수 전공(학과)'으로서의 평가를 획득할 수 있을 정도로 특성화의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전공(학과)에 대한 이와 같은 선호도는 차후에 소속전공(학과)에 대한 자부심과 학교에 대한 만족도와 관련될 수 있으므로 앞으로도 특성화를 꾸준하게 지속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또한 특성화를 사회·인문·자연,정보과학대학에까지 확대한다면 본 대학교에 대한 인지도가 상승될 뿐 아니라 우수 학생의 유치에도 결실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넷째, 본 대학교 입학 및 재학에 대한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구체적인 방안이 수립·적용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본 대학교에 대하여 반 이상(59%)의 신입생이 '보통'이거나 '만족한다'는 응답을 하였다. 이는 나머지 신입생들이 불만족한 느낌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들이 학교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대외 및 대내적으로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한편, 본 대학교에 대하여 만족하는 이유로 가장 많이 지목된 것은 '발전하는 이미지'와 '전공특화'였는 바, 이에 대한 지속적인 강화 또한 학생들의 만족도 증진에 있어서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여자대학교의 장점을 강화하고 부각시켜야 한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신입생들은 여자대학교의 장점으로 '성차별 없음'과 '자립심과 독립심을 키울 기회가 부여된다'는 응답을 많이 하였다. 그러나 17%에 해당되는 신입생들은 여자대학이 '특별한 장점이 없다'는 견해를 보였다. 이는 여자대학교가 남녀공학인 대학교와 비교하여 학생들의 선호도면에서 우월성을 차지하기 어려움을 시사하는 것으로서 본 대학교가 여자대학교로서의 장점, 즉 성차별 없이 자립심과 독립심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다양하게 부여하는데 주력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라 하겠다. 여섯째, 단과대학별 진로 지도에 있어 학생들의 희망과 계획을 고려한 구체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졸업 후 희망하는 바나 계획에 있어 단과대학별로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어, 약학대학의 경우에는 취업이, 디자인대학의 경우에는 유학이, 그리고 공연예술대학의 경우에는 대학원 진학이 타 단과대학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대학 차원에서, 그리고 각 전공(학과)에서도 차별화된 정보 제공과 진로지도를 위하여 구체적인 준비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연예술대학의 경우에는 본 대학교에서 대학원 진학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학생생활연구소에 대한 홍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소에 대한 신입생들의 인지도는 매우 낮았다. 또한 학생생활연구소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사도 높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소에 대한 홍보가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나타내주는 것으로, 신입생들이 수강하는 교양과목을 통한 홍보, 교내 게시판 및 상담소 주변 벽면을 통한 홍보, 안내문 배부, 연구소 홈페이지의 재정비, 다양한 상담 및 특강 프로그램 실시 등 여러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겠다.

      • 1989 년도 콩 관련 연구보문 요약

        연구자료 한국콩연구회 1990 韓國콩硏究會誌 Vol.7 No.1

        1. 재배육종 土性과 容積密度가 大豆의 뿌리 生長特性과 養分吸收機能에 미치는 影響 土性이 다른 두 土壤의 壓密狀態가 大豆의 根生長特性과 養分의 吸收機能差異를 알아보기 위하여 容積密度와 水分狀態를 달리한 Core에서의 幼根伸長과 容積密度를 달리하여 pot栽培 하였을 때 根의 總 길이와 表面積, 根半徑 및 養分의 吸收速度를 調査한 結果 다음과 같다. 1. 大豆의 幼根伸長은 容積密度가 낮을수록 빨랐으며 壤土에서는 土壤水分 狀態가 -4 bar 以下에서, 砂壤土에서는 -1bar 以下에서 急激히 減少하였다. 2. 幼根의 伸長은 ELE硬度計 土壤强度 2.0 以上에서 急激히 減少하였으며, 根伸長速度와 土壤强度間에는 2次式으로 表示되었다. 그러나 砂壤土에서 -10 bar 以下의 土壤水分狀態에서는 硬度에 關係 없이 根伸長速度가 낮았다. 3. pot 栽培試驗 結果, 뿌리의 總 길이는 容積密度가 1.2g/㎤인 壤土에서 가장 길었으며, 1.4g/㎤인 砂壤土에서 가장 짧았다. 細根의 平均直徑은 砂壤土에서 生育한 것이 壤土에서 生育한 것보다 굵었다. 뿌리의 總表面積은 容積密度가 낮을수록 넓었으며, 壤土에서 砂壤土보다 넓었다. 4. 養分의 吸收量은 乾物生産이 많은 壤土에서 많았다. 單位뿌리表面積當 吸收速度는 窒素가 壤土에서 597∼753n mole/day·㎠, 砂壤土에서 222∼365n mole/day·㎠이었으며, 容積密度가 높은 土壤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K는 99∼175n mole/day·㎠ P는 26∼46n mole/day·㎠이었고, Ca와 Mg는 各各 175∼230nmole/day·㎠, 163∼205n mole/day·㎠의 範圍를 보였으며 土壤間의 差異는 窒素보다 적은 傾向이었다. 韓國 土着大豆 根瘤菌의 菌株 認識을 위한 抗生劑 耐性 檢定法의 應用 本 試驗은 서울農大 試驗圃場에 存在하는 土着大豆 根瘤菌 分布의 多樣性을 밝힘과 아울러 이곳에서 分離한 分離菌들의 몇 가지 抗生劑에 대한 耐性의 一般的인 特性, 그리고 根瘤菌 菌株 認識을 위한 抗生劑 耐性 試驗의 適合性 等을 檢討하기 위하여 서울農大 試驗圃場의 여러 大豆品種의 根瘤에서 分離한 27개 大豆根瘤菌을 中心으로 streptomycin sulphate, ampicillin, kanamycin sulphate, oxytetracycline 等의 4가지 抗生劑에 대한 耐性을 알아보았다. 그 結果 27개 大豆根瘤菌은 4가지 抗生劑에 대해 21가지의 相異한 耐性類型을 보임으로써 서울 農大 試驗圃場에 比較的 多樣한 大豆根瘤菌들이 分布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27개 大豆根瘤菌은 streptomycin sulphate와 oxytetracyline, ampicillin에 대하여 1㎍/㎖의 낮은 濃度에서부터 200㎍/㎖의 높은 濃度에 이르는 넓은 濃度 範圍에 걸쳐 生育沮害를 보였다. 그리고 몇 가지 分離菌은 ampicillin에 대하여 400㎍/㎖의 보다 높은 濃度에서 生育沮害를 보인 反面, kana-mycin sulphate의 境遇 12.5㎍/㎖ 以下의 낮은 濃度에서 모든 分離菌들이 生育沮害를 나타냄으로써, 이는 다른 抗生劑들에 비해 生育沮害力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전에 血淸免疫學的 試驗에 의해 서로 다른 菌株로 밝혀진 두 가지 分離菌이 4가지 抗生劑에 대해 각각 같은 程度의 生育沮害를 보임으로써 抗生劑 耐性試驗은 正確한 菌株 認識에는 完全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養液栽培에 있어 根瘤菌의 接種 및 窒素反應에 關한 硏究 4個 大豆 品種 및 1個의 근류비착생계통을 供試하여 근류균의 接種與否와 4水準의 窒素濃度 및 2水準의 栽植密度條件에서 大豆의 養液栽培試驗을 實驗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근류의 착생은 근류균의 접종에 의하여 현저히 增加되었고, 品種別로는 生育中期에는 clark 에서 가장 많았으나 開化期末에는 황금콩에서 가장 많았고 팔달콩에서 가장 적었으며, 養液中의 질소농도 增加에 따라 減少되었는데 그 정도는 品種에 따라 달랐으며, 密植의 경우에 個體當 根瘤의 着生數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 植物體 中의 全窒素 含量은 生育時期에 따라 多少 차이가 있으며 品種別로는 황금콩과 장백콩에서 높고 근류균의 接種에 의하여 增加되었으며 密植에 의하여 減少되었다. 그리고 養液 中의 질소농도 增加에 의하여 生育中期에는 全窒素 含量이 增加되었는데 開化期末에는 근류균 접종 시에는 전질소 함량이 별로 增加하지 않았으나 근류균 비접종 시에는 窒素濃度의 增加에 따라 增加하였다. 3. 줄기 중의 allantoin 질소 함량은 전체적으로 볼 때에 팔달콩에서 떨어지고 근류균의 접종에 의하여 크게 增加되어 allantoin질소 함량은 근류의 착생과 高度의 有意的인 正相關을 나타내었고 그 增加程度는 질소농도가 높은 경우에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窒素濃度가 높은 경우 및 密植의 경우에 allantoin질소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그런데 근류균 비착생계통에서는 窒素濃度에 관계 없이 allantoin질소 함량이 매우 낮았다. 4. 줄기 중의 全窒素 含量에 대한 allantion窒素含量 比率은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增大되었는데, 그 정도는 황금콩 및 팔달콩에서, 그리고 密植條件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근류비착생계통에서 매우 낮았다. 그리고 窒素濃度의 增加에 따라 현저히 減少하였고 無窒素區에서 높게 나타났다. 5. 種實 中의 粗脂肪 含量은 養液 中의 窒素濃度가 增加함에 따라 또는 密植에 의하여 減少되었고 근류균 접종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6. 種實 中의 粗蛋白 含量은 養液의 질소농도가 增加함에 따라 增加되는 경향이었고 근류균의 접종 및 栽植密度의 영향은 현저하지 않았다. 溫度 및 PEG 處理가 옥수수와 大豆 品種의 發芽 및 苗伸張에 미치는 影響 옥수수品種(KS 16, KS 6, KS 15, Ga 209, 水原 19號, KS 5, 晋州玉 및 橫城玉)과 大豆品種(Hill 放射콩, 短葉콩, 八達콩, 白雲콩, 光敎, 黃金콩 및 長葉콩) 種子의 發芽와 苗伸張을 15℃ 및 30℃의 두 溫度와 PEG溶液 10個 處理에서 測定하였다. 이들 PER 溶液處理는 無處理를 包含하여 PEG 6,000, PEG 10,000, 그리고 PEG 20,000 分子量(MW)에 20, 25 및 30g/100㎖ H₂O로 하였다. 試料의 採取는 30℃ 處理에서는 4日間, 그리고 15℃ 處理에서는 12日 後에 實施하였다. 옥수수와 大豆의 品種當 20粒을 glass petri-dish 안에 Whatman No.1(12㎝) 濾紙 위에 넣어 自動注射器를 使用하여 0.2% Thiram을 添加한 處理溶液을 20㎖로 調節하였다. Dish는 Cap을 덮은 後에 Parafilm으로 封하였다. 種子는 處理期間에 15℃ 및 30℃ 恒溫의 無光條件에서 發芽시켰다. 옥수수의 苗水分含量은 15℃ 및 30℃ 모두 大豆의 苗水分含量보다 낮았다. 그러나 옥수수는 15℃ 및 30℃의 溫度에서 大豆보다 더 큰 苗長을 보였다. 옥수수와 大豆의 苗水分含量과 苗長은 PEG 6,000, PEG 10,000 및 PEG 20,000에 20에서 30g/100㎖ H₂O로 PEG濃度가 增加함에 따라서 減少되었다. 그러나 PEG 6,000, PEG 10,000 및 PEG 20,000 사이에서의 옥수수와 大豆의 苗水分含量과 苗長은 有意城 있는 差異를 發見할 수 없었다. 8個의 옥수수와 大豆品種 中 苗水分含量과 苗長에서 品種間 差異가 PEG處理로 觀察되었다. 옥수수 品種 晋州玉과 大豆品種 八達콩은 8品種 中에서 가장 길은 苗長을 보였다. 이 硏究結果는 PEG 6,000, PEG 10,000 및 PEG 20,000 溶液에서의 옥수수와 大豆種子 發芽試驗이 類似水分 stress에 同一함을 보였으며 早魃時 出現能力 增進을 爲한 品種選拔에 可能性이 있음을 보였다. 植物生長調節劑 處理가 大豆의 生育 및 收量에 미치는 影響 秋大豆型品種을 早播 또는 適播 栽培하여 個體當 生育量을 증대시키면서 건실한 生育을 유도하기 위하여 生長調節劑를 處理하였을 때 이들이 콩의 生育 및 수량형질에 영향하는 바를 調査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早播할 경우 適播에 비하여 主莖節數, 分枝數, 莢數, 100粒重 등의 형질들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a當 수량도 8% 증가했다. 2. TIBA 또는 ABA 처리는 莖長短縮, 莖直徑增大 및 倒伏輕減 등 건실한 生育을 유도하는데 效果的이었으며 結莢率 株當莢數 및 株當粒數를 증대시켜 종실수량이 6% 이상 증가하였다. 특히 TIBA 처리에 의해서는 12%의 수량이 증대되었다. 3. 生長調節劑 처리횟수에 있어서는 6엽기에서부터 5일 간격으로 2∼3회 처리하는 것이 건실한 生育을 誘導하여 수량이 증대되었으며, 3회 處理區에서는 倒伏輕減, 結莢率 및 千粒重 증대효과가 크게 나타나 16%의 수량이 증대되었다. 4. 본 實驗에 사용한 生長調節劑 중에서는 TIBA의 효과가 가장 좋아서 早播區나 適播區에서 모두 TIBA 3회 처리구에서 20% 이상의 수량이 增大되었다. 大豆(Glycine max L.)의 렉틴 分離 및 特性 本 實驗은 大豆(Glycine max L.) 방사品種의 種子蛋白質에서 렉틴을 分離하여 그 特性을 調査하기 위하여 遂行되었다. 렉틴의 分離方法은 (NH₄)₂SO₄의 50∼80% 飽和沈澱蛋白質을 Carboxymethyl cellulose column과 Sephadex G 100 column을 거쳐서 分離, 精製되었다. 純度의 檢定은 2∼30% polyacrylamide porosity gradient gel을 사용한 電氣泳動法으로 단일 band를 確認하였고, 또한 分子量은 11%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에 의하여 134,000 dalton임을 推定하였으며 45,000 dalton의 3개의 subunits로 構成되어 있음을 알았다. Schiff reagent에 의하여 분홍色 反應을 일으켰으므로 이것은 糖蛋白質임을 알 수 있었다. 本 糖蛋白質은 토끼와 사람의 赤血球에서 모두 赤血球 凝集反應이 일어났으며 사람의 血液型 中에서 赤血球 凝集程度는 A>B>O>AB型의 순서로 凝集이 잘 일어났다. 糖類에 의한 赤血球凝集沮害는 N-acetyl-D-galactoseamine과 D-galactose에 의하여 일어났다. 除草劑 處理가 콩의 生育 및 根瘤形成에 미치는 影響 콩밭에 사용하는 가 콩의 生育 및 根瘤形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밭 제초제인 랏소와 데브리놀을 올콩, 장엽콩 및 팔달콩에 농도별로 처리하여 出現率, 草長, 生體重, 株當節數, 分枝數, 莢數, 粒數, 百粒重 및 根瘤數를 조사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出現率은 除草劑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으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正比例的으로 減少하였으며, 사용권장농도에서도 無處理에 비해 有意的인 감소를 보였고 初期生育 단계에서 심한 奇形苗가 관찰되었다. 2. 草長은 제초제의 종류에 無關하게 濃度의 증가에 비례하여 감소하였으며 사용권장농도에서는 無處理에 비해 통계적 有意差가 없었으나 倍濃度區에서는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고 감소현상은 파종 3주 후부터 뚜렷하게 나타났다. 3. 株當粒數와 百粒重은 제초제의 종류에 無關하였으나 株當分枝數와 株當莢數는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有意性 있게 減少하였고 品種間에도 差異가 있었다. 4. 根瘤數는 除草劑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正比例的으로 감소하였고 그 程度는 제초제의 종류에 따라 品種間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5. 콩의 生育 및 收量의 減少는 根瘤形成力의 감소와 有意的 相關을 보였으며 除草劑의 과다사용에 의한 根瘤形成力의 低下는 콩 收量減少의 중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大豆品種의 렉틴 含量과 免疫學的 特性 大豆(Glycine max L.) 種子로부터 分離된 렉틴을 토끼에 免疫시켜 렉틴抗血淸을 얻었다. 이를 利用한 免疫化學的 方法을 使用하여 大豆렉틴의 免疫化學的 特性과 6개 大豆 品種의 種子에서 렉틴의 存在를 調査하였다. Crossed immunoelectrophoresis한 結果 種子는 4종의 침강선을 보임으로써 렉틴에 4종의 抗原成分이 存在함을 보여 주었다. 1% agarose gel을 利用하여 Immunodouble diffusion test한 結果 6개 大豆 공사품종 모두 렉틴 抗體에 대하여 침강선을 나타내었고 品種間 침강선은 모두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ELISA 方法에 의하여 6개 大豆 品種間 렉틴 含量을 調査, 比較한 結果 렉틴含量은 장엽콩>광교>황금콩>백운콩>장백콩=팔달콩 순으로 나타났다. 공시품종의 종자로부터 分離한 렉틴은 모두 토끼 赤血球는 凝集시켰으나 Fusarium sp., Alternaria sp., Colletotrichuna sp. 등의 곰팡이胞子는 凝集시키지 못하였다. 養液栽培에 있어 根瘤菌의 接種 및 窒素反應에 關한 硏究 養液栽培에 있어 근류균의 接種, 養液 中의 窒素濃度 및 栽植密度 등이 大豆品種의 生育 및 收量에 미치는 影響에 대하여 追究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莖長에 미치는 處理效果는 生育中期(V_7Stage)에 있어서는 현저하지 않았으나 開化期末(R₃ Stage)에서는 그 效果가 增大되어 根瘤菌 接種에 의하여 莖長이 增大되었는데, 그 정도는 황금콩과 장백콩에서 더욱 컸고 根瘤非着生系統에서는 현저히 떨어졌으며 窒素施用 또는 195ppm까지는 窒素增施에 의하여 增大되었고 密植에 의하여 增大되었다. 2. 乾物重에 미치는 영향은 生育時期에 따라 多少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根瘤菌 接種에 의하여 乾物重이 增大되었는데, 그 效果는 無窒素區에서 더욱 현저하였고 根瘤非着生 Clark에서는 현저한 減少를 보였으며 窒素增施에 의하여 장백콩과 팔달콩에서는 乾物重이 계속 增加되었으나 황금콩과 Clark에서는 窒素增施 效果가 微微하였다. 그리고 密植에 의하여 乾物重이 현저히 減少하였는데, 특히 八達콩에서 더욱 현저한 減少를 보였다. 3. 根重에 대한 地上部重 比率은 根瘤菌 接種에 의하여 無窒素 또는 低窒素 水準에서는 현저히 增加하였고 根瘤非着生 Clark에서는 현저한 減少를 보였으며 窒素增施 및 密植에 의하여 減少되었으나 八達콩에서는 窒素增施에 의하여 根重에 대한 地上部重 比率이 增加되었다. 4. 풋트當 收量에 미치는 根瘤菌의 接種 效果는 品種間에 차이가 있어 황금콩과 팔달콩에서는 增收效果가 인정되었으나 장백콩과 Clark에서는 增收되지 않았고 根瘤非着生 Clark에서는 收量이 현저히 낮았으며 窒素增施效果도 品種間에 차이가 있어 황금콩과 팔달콩에서는 窒素增施에 의하여 增收되었으나 장백콩과 Clark에서는 增收效果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密植에 의한 增收效果도 황금콩에서는 현저하였으나 기타 품종에서는 뚜렷하지 않았다. 5. 個體當 收量도 황금콩과 팔달콩에서 根瘤菌 接種에 의한 增收效果를 나타내었고 窒素施用效果는 密植條件에서는 窒素增施에 의한 增收效果를 나타내었으나 疎植條件에서는 根瘤菌을 접종하였을 때는 增收되지 않았으나 근류균을 非接種하였을 때는 팔달콩과 Clark에서 窒素增施에 의하여 增收되었다. 그리고 密植에 의하여 個體當 收量이 全般的으로 減少되었다. 6. 收量은 乾物重, 植物體 中의 全窒素含量, 그리고 開化期末의 근류수와, 植物體 中의 全窒素含量은 莖長, 乾物重, 근류수 및 근류중들과, 그리고 줄기 중의 allantoin 질소함량은 根瘤數 및 근류중들과 各各 有意的인 正의 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우리나라의 콩 種子 곰팡이의 發生頻度 및 分布 전국 53개 지역에서 採集한 60개 콩 種子標本으로부터 檢出되는 곰팡이의 出現率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콩 種子 26,760粒으로부터 총 20屬의 곰팡이가 분리되었는데, 이 중 17屬은 同定되었다. 중요한 種子 傳染病菌으로는 Cercospora kikuchii, Colletotrichum truncatum, Diaporthe phaseolorum var. sojae, Fusarium sp., Macrophomina phaseolina가 檢出되었는데, 황색콩(14,595粒)의 경우 이들에 의한 種子 感染率의 합은 8.8%였으며 58-85%의 地域에서 檢出이 되었고, 검은콩(12,165粒)의 경우에는 19-67%의 地域에서 이들이 檢出되었는데, 총 2.35%의 종자가 이들에 의하여 感染되었다. 그 밖에 동정된 곰팡이로 Chaetomium sp., Alternaria sp., Penicillium sp., Myrothecium verrucaria, Epicoccum sp., Nigrospora sp., Cladosporium sp., Curvularia sp., Drechslera sp., Rhizoctonia sp., Sphaceloma glycines를 檢出할 수 있었다. 道別 곰팡이 汚染率은 전북(21.1%), 전남(18.4%), 충남(15.4%)이 다른 道에 비하여 높았고, Bacillus sp.에 속하는 細菌의 汚染은 제주도와 충북지방에서 採集된 種子에서 심하였다. 대두 Bowman-Birk형 Protease Inhibitor들의 품종간 비교 대두로부터 추출, 정제한 Bowman-Birk 형 protease inhibitor들의 함량과 전기영동양상을 비교하고 정제된 inhibitor 내에 존재하는 각 isoinhibitor들의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종실 내 총 chymotrypsin 저해활성도와 cysteine 함량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8품종의 대두로부터 Sephadex G-75를 이용하여 얻은 정제된 Bowman-Birk형 protease inhibitor들의 함량은 단백질 100g 당 6.67∼9.36g으로 품종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정제된 Bowman-Birk형 protease inhibitor들의 전기영동 양상은 품종간에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각 band의 함량에도 차이가 있었다. 8품종의 정제된 inhibitor에서 나타나는 총 14개의 전기영동 band 중 10개의 band가 protease 저해활성도를 보유하였고 그 중 chymotrypsin 저해활성도가 높은 것은 band 7이었으며, 그 함량은 단백질 100g 당 0.768∼1.271g으로 품종간에 차이를 보여 종실 내 chymotrypsin 저해활성도가 높은 품종에서 함량이 많았다. 대두 품종별 chymotrypsin 및 trypsin 저해활성도는 각각 종실 g당 52,200∼15,225와 164,700∼37,500으로 품종간에 3배 및 4배의 차이를 보였고, 단백질 g당으로 환산한 값은 158,662∼40,033 및 500,608∼120,347로써 종실 g당 저해활성도와 같은 경향이었으며 3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품종별 cysteine 함량은 단백질 g당 0.1258∼0.0763n moles로써 품종간에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실내 총 chymotrypsin 저해활성도와 정의상관 관계가 있었다. 韓·日 大豆品種의 生育特性에 關한 硏究 生態型이 다른 大豆 4品種을 供試하여 栽植密度의 連續的 變動이 可能한 Fan-designed plot를 利用하여 大豆의 栽植密度에 따른 生態的 變化와 適正 栽植密度를 推定하였다. 1. 莖長과 分枝數, 莖太 等은 栽植密度에 따라 顯著히 變化하고, 莖長은 密植에서 顯著히 伸長하였다. 株當 分枝數와 莖太는 密度增加에 따라 漸減되었다. 栽植密度에 따른 倒伏限界線은 節間長 5㎝를 基準으로 하면 15.1∼78株/㎡였는데, 莖太/主莖長比 1%를 基準하면 13.7∼64.2株/㎡로써 이들은 圃場倒伏과 상당히 接近하고 있어 이 指標는 倒伏을 推定하는 方法으로서 有效하게 利用될 수 있을 것으로 認定되었다. 2. 開化期와 種實肥大期의 乾物重의 器官別 比率은 疎植에서는 莖과 葉柄에 比하여 葉身의 比率이 컸으나 密植에서는 逆으로 葉身의 比率이 작았다. 品種別로는 그 變化가 Nanbushirome에서 顯著하였다. 3. 葉面積指數는 密植에 따라 增加하는 傾向이었으나 最高收量을 얻는 最適葉面積指數는 Nanbushirome는 4.1, Suzukari와 長葉콩은 6.4∼7.0이었다. 八達콩은 이들 品種과는 달라 密植할수록 增加하는 傾向이었다. 4. 開化期의 透光率은 4品種 모두 密植에 따라 漸減하고 22株/㎡ 以上의 密植이 되면 3% 以下로 急減하였다. 또, 光合成 速度는 品種別, 時期別로는 大差 없었다. 5. 栽植密度에 따른 收量의 變化는 3品種에 있어서는 2次曲線을 나타내어 Nanbushirome는 34株/㎡, Suzukari는 35株/㎡, 長葉콩은 45株/㎡가 最高收量을 얻을 수 있는 栽植密度로 推定되었다. 그러나 八達콩은 密植할수록 收量이 增加하는 傾向이어서 本 試驗에서 設定한 이 增加하는 傾向이어서 本 試驗에서 設定한 栽植密度의 範圍內에서는 可能한 限 密植하는 것이 有利하다고 推察되었다. 6. 放射狀空間配置法(Fan-designed plot)는 새로이 育成한 品種과 새로운 栽培法의 適應性을 많은 地域에서 檢定할 때에 小面積에서 效果的으로 使用될 수 있을 것으로 判斷되었다. 大豆의 生長解析과 作物-環境 模型化에 關한 硏究 大豆群落에 吸收된 日射量과 乾物生産과의 關係를 究明하고, 이들間에 適切한 파라메타를 設定하여 氣象環境의 經過로부터 大豆의 生育 및 收量을 評價·豫測 可能한 作物環境모델 開發의 第1段階로써 오오부리소데品種을 供試, 播種期로 달리하여 實施한 實驗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大豆群落에서 日射吸收率의 徑時的 變化는 모든 播種期에서 一定한 變化樣相을 나타냈는데, 生育初期 0, 그 後 曲線的으로 增加하여 生育盛期에 0.6∼0.75 程度의 最高値를 나타낸 後 生育末期 多少 減少하는 傾向이었다. 2. 大豆生育 各 時點의 現在乾物重과 그 時點까지 大豆個體群이 吸收한 日射量의 積算値間에는 直線的인 比例關係가 成立되었으며, 이 때의 比例係數, 즉 吸收日射量의 乾物로의 變換比率은 4月 26日 播種 1.61, 5月 16日 播種 1.55, 5月 31日 播種時 1.57로, 平均 1.57이었다. 3. 日積算日射量에 對한 大豆 全生育其間의 吸光係數는 平均 0.48이었다. 4. 大豆 地上部全乾物重의 모델에 依한 計算値와 實測値는 適合度檢證에서 잘 一致하고 있어 今後 作物生長解析에 有效하게 利用될 것으로 判斷되었다. 콩의 氣孔擴散抵抗에 미치는 光合成 有效輻射와 葉水分포텐샬의 影響 土壤 水分狀態가 매우 相異한 條件에서 黃金콩과 八達콩의 氣孔擴散抵抗 및 葉水分포텐샬(ψ₁)과 群落上의 光合成有效輻射量(PAR)을 測定하여, 잎의 水蒸氣와 CO₂ flux 調節에 關係하고 있는 葉表面 및 襄面의 氣孔擴散抵抗과 이들 反應에 影響을 미치는 PAR 및 ψ₁의 關係를 調査하여 얻은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氣孔擴散抵抗은 土壤 水分狀態에 따라 ψ₁ 또는 PAR에 의한 變化關係가 相異하게 나타났으며 土壤 水分이 不足한 條件에서 ψ₁은 한낮에 黃金콩은 -15.9bar, 八達콩은 -19.3bar까지 떨어져 品種間 差異가 있었다. 2. ψ₁이 黃金콩에서 -10bar, 八達콩에서 -13bar 떨어질 때까지는 氣孔擴散抵抗과 ψ₁간에는 아무런 關係가 없었으나 그 以下에서는 ψ₁ 이 減少됨에 따라 氣孔擴散抵抗이 급격히 增加하였고, ψ₁ 減少에 따라 氣孔擴散의 增加는 葉襄面보다 表面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3. 土壤水分이 充分한 條件에서 葉襄面의 氣孔擴散抵抗은 PAR에 의하여 크게 變하는데, PAR 200Wm^(-2) 以下에서는 PAR이 적어짐에 따라 葉襄面의 氣孔擴散抵抗은 급격히 增加되나 그 以下에서는 큰 變化 없이 一定水準을 보였다. 그러나 葉表面의 氣孔擴散抵抗은 環境에 따라 變異幅이 커서 PAR의 一定한 關係를 찾아낼 수 없었다. 콩에 의한 施肥燐酸의 利用과 土壤의 有效 燐酸 中 殘存 施肥燐酸의 含存比 燐酸吸收能과 有效燐酸含量이 相異한 4個 土壤에 콩을 栽培하면서 植物體의 施肥燐酸과 土壤燐酸의 吸收量, 施肥燐酸의 利用率 및 土壤 中 施肥燐酸이 有效燐酸으로의 殘存하는 比率에 대하여 調査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콩의 開化期 및 收穫期 乾物重은 燐酸吸收能이 낮고 有效燐酸含量이 높은 土壤에서 많았고 燐酸의 施肥反應은 燐酸吸收能이 크고 有效燐酸含量이 낮은 데서 높았다. 2. 植物體의 總燐酸吸收量 中 土壤燐酸吸收量이 많았고 施肥燐酸吸收量은 매우 낮았으며, 燐酸吸收量은 土壤의 燐酸吸收能과 否의 相關을, 有效燐酸含量과는 正의 相關을 보였다. 3. 施肥燐酸 利用率은 開化期에 平均 1.1%, 收穫期에 6.2%이었으며 燐酸吸收能이 크고 有效燐酸含量이 낮은 土壤에서 利用率이 낮아지는 傾向이었다. 4. 土壤 中 施肥燐酸이 有效燐酸으로 殘存하는 比率은 開化期에 15.3∼46.4%, 收穫期에 12.6%∼31.3% 범위로 평균 30.0%와 22.5%이었다. 5. 開化期 土壤의 燐酸吸收能은 開化期 및 收穫期 土壤의 有效燐酸含量과 높은 否의 相關을 보였다. 콩 모자익 바이러스(SMV)에 대한 低抗性 遺傳 콩 모자익 바이러스(SMV)에 대한 콩 品種의 低抗性 遺傳樣相을 究明하기 위하여 SMV-G5H strain에 低抗性인 八達콩과 모자익反應을 나타내는 銀河콩 및 壤疽反應을 보이는 密陽콩 새알콩 短葉콩 等을 母本으로 人工交配한 3組合의 F₁ 및 F₂世代와 이들 F₁世代를 戾交配하여 얻은 6組合의 BC₁F₁世代를 材料로 SMV-G5H를 汁液接種하여 反應을 調査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SMV-G5H strain에 低抗性인 品種과 壤疽反應을 보이는 品種間에 交配된 組合의 F₁은 全個體가 抵抗性이었고, F₂世代는 低抗性과 壤疽反應을 보인 個體가 3:1로 分離되었으며, 모자익 反應을 나타내는 品種과 壤疽反應을 나타내는 品種이 交配된 F₁은 모두 모자익 反應을 보였고, F₂世代는 모자익과 壤疽를 나타낸 個體가 3:1로 分離되었다. 2. SMV-G5H strain에 低抗性인 品種과 壤疽反應을 보인 品種間에 F₁에 低抗性 品種을 戾交配한 BC₁F₁은 모두가 低抗性이었고, 壤疽反應 보인 品種을 戾交配한 BC₁F₁은 低抗性과 壤疽反應을 보인 個體가 1:1로 分離되었다. 모자익과 壤疽反應을 보이는 品種間의 F₁에 모자익 反應을 보인 品種을 戾交配한 BC₁F₁은 모두가 모자익 反應을 보였고, 壤疽反應을 보인 品種을 戾交配 BC₁F₁은 모자익과 壤疽反應을 보인 個體가 1:1로 分離되었다. 3. SMV-G5H strain은 壤疽反應에 대하여 低抗性이 單純優性이고, 모자익 病微은 壤疽 病微에 대하여 單純優性이었다. 耐病 機械化 適應 新品種 "無限콩" 無限콩은 1978년 黃金콩에 美國 導入種은 Wells를 人工交配하여 F₁, F₂를 作試에서, F₃을 AVRDC에서 世代 促進하였으며, '82∼'84, 3個年間 "水原133號"라는 系統名으로 地域適應試驗을 實施하여 1988年에 農水産部 主要農作物 種子審議會에서 中南部 6個道 2毛作地帶에 奬勵品種으로 決定됨과 同時 "無限콩"으로 命名되었다. 이 品種의 특성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伸育型은 無限型이고 花色은 紫色이며, 葉形은 圓形이고 毛茸色은 灰白色이다. 2. 成熟莢色은 淡褐色이고, 莢은 非開裂이며, 種皮色과 臍色은 各各 黃色과 淡褐色이다. 3. 100粒重은 20g 內外로 中粒種이며, 成熟期가 黃金콩과 비슷한 中晩生種으로 倒伏에는 多少 强하다. 4. 콩 모자이크病 및 壤疽病에 强하며, 기타 病蟲害에도 中程度 以上의 耐病蟲性을 보였다. 5. 收量은 全國 14個所에서 標準品種對比 6%가 增收되었다. 短莖種 콩의 密植栽培와 播種의 省力化에 關한 硏究 慶尙南道農村振興院 田作圃場에서 1986年부터 1987年까지 2個年間 短莖種콩에 對한 密植栽培 및 播種機種別 活用可能性 究明試驗을 實施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試驗1> 裁植密度가 生育 및 收量에 미치는 影響 1. 八達콩, 短莖콩 供히 標準處理인 10a當 33,000本에서 100,000本까지 密植할수록 ㎡當 節數와 莢數가 增加되었다. 2. 密植에 의한 莢當粒數의 減少幅은 八達콩보다 短葉콩에서 더 컸다. 3. 收量은 條點播에서 八達콩은 10a當 100,000本까지 密植할수록 增加되었고 短葉콩은 66,000本까지는 增收되었으나 그 以上에서는 減收되었다. <試驗2> 播種機種別 活用可能性 究明 試驗 1. 10a當 播種作業 所要時間은 慣行 760分에 比하여 多目的 播種機가 40분, 벼 直播機 47分, 手動式 播種機 166分, 벼 移秧期 227分 等의 순으로 播種時間 節減效果가 있었다. 2. *株率은 手動式 播種機와 多目的 播種機가 0.5% 以下로 낮았으나 벼 移秧期處理에서는 66%로 높았다. 3. 10a當 收量은 慣行(248㎏/10a=100%)에 비하여 벼 移秧期 處理를 제외한 全 處理 供히 統計的인 有意性이 인정되지 않았고 벼 移秧期 處理의 경우는 22%난 有意 減收되어 실용화에 이르기까지 많은 技術의 補完이 필요할 것으로 思料된다. 廣地域 機械化適應 新品種 "長莖콩" 長莖콩은 1979年 光敎에 Harcor를 人工交配하여 選拔한 品種으로 '84∼'85年, 2個年에 걸쳐 生産力檢定試驗을 實施하였고, '86∼'88, 3個年에 걸쳐 "水原 138號"라는 系統名으로 地域適應試驗을 實施하여 '88年에 濟州道를 除外한 全國의 奬勵品種으로 決定됨과 同時 "長莖콩"으로 命名되었으며, 이 品種特性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伸育型은 無限型이며, 花色은 白色이고, 葉型은 圓形이며 毛茸色은 灰白色이다. 2. 成熟莢色은 暗褐色이며, 莢은 非開裂이고 種皮色과 臍色은 各各 黃色과 淡褐色이다. 3. 100粒重은 20∼23g 內外의 中大粒種이며 成熟期가 黃金콩과 비슷한 中晩生種이며 成熟期가 黃金콩과 비슷한 中晩生種으로 倒伏에는 多少 强하다. 4. 콩모자이크病, 紫斑病 및 露菌病에 强하다. 5. 收量은 全國 16個所에서 標準品種對比 8%가 增收되었다. 2. 두유 두유 응고효소 생산균의 분리 및 동정 150개의 토양시료로부터 두유 응고효소를 생산하는 세균 17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주는 Bacillus cereus(8균주), Bacillus pumilus(8균주) 및 Bacillus licheniformis(1균주)로 동정하였다. 분리된 두유 응고효소 생산균주 중 Bacillus pumilus 118 및 Bacillus licheniformis 192균주가 비교적 높은 두유 응고효소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들 두 균주의 효소활성은 pH 6.0∼7.0의 범위에 있어서 pH 7.0에 가까울수록 저하되며 그 최적온도는 65℃였다.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Saccharomyces uvarum의 혼합배양에 의한 두유의 발효 중 당 이용에 미치는 작용 S. uvarum KFCC 32021의 발효여액은 10% 농도에서 L. acidophilus KFCC 12731의 산생성 및 생육을 촉진하였으나, 촉진작용은 100℃에서 10분간의 열처리에 의해 실활되었다. 또한, 이 여액은 두유의 sucrose, raffinose 및 stachyose 등의 과당류를 분해하여 단당류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L. acidophilus KFCC 12731의 24시간 단독배양에서 두유의 단당류는 전량 소비되었으나 과당류는 거의 전량 잔존하였다. S. uvarum KFCC 32021의 단독배양에서는 단당류, sucrose 및 raffinose는 완전 소비되었고, stachyose는 일부 잔존되고 manninotriose가 축적되었다. 혼합발효에서의 당 소비 유형은 S. uvarum의 단독배양에서와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혼합배양에서 S. uvarum KFCC 32021은 두유의 과당류를 L. acidophilus KFCC 12731이 이용할 수 있는 단당류로 분해시켜 줌으로써 발효액의 산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豆乳의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가 젖산균의 酸生成과 대두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농축대두단백으로 두유를 만들고 protease를 이용하여 대두단백질을 여러 가지 정도로 가수분해한 후, 단백질이 일부 가수분해된 두유에서 L. acidophilus 또는 L. bulgaricus의 생육과 산생성을 관찰하고 제조된 대두젖산균음료의 관능성을 조사하였다. protease처리에 의하여 젖산균에 의한 산생성이 촉진되었는데, 특히 L. acidophilus에 의한 산생성이 현저하게 촉진되었다. 그러나 pH와 생균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15분 가수분해 시료에서 이미 산도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그 후 3시간이 경과하여도 산도의 변화가 현저하지 않았다. 01% protease 처리로 대두 젖산균 음료의 전체적인 기호도가 다소 개선되었다. protease 처리 15분에 비단백태 질소의 함량이 상당히 증가하였고 2시간에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미생물 Protease 또는 Papain으로 처리된 豆乳에서 젖산균의 酸生成과 대두요구르트의 제조 본 연구에서는 농축대두단백으로 두유를 만들고 미생물 protease와 papain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여 대두단백질을 가수분해한 후, 단백질이 일부 가수분해된 두유에서 L. acidophilus의 생육과 산생성을 관찰하고 제조된 젖산균음료의 관능성을 조사하였다. Protease 처리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촉진되었는데, 미생물 proteaserk papain보다 효과적이었으며 2종의 효소를 혼합 사용했을 때는 상승효과가 보였다. 그러나 protease 처리로 pH와 생균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미생물 protease의 경우는 가수분해시간 15분까지, papain의 경우는 가수분해시간 45분까지 산생성 촉진효과가 현저했으나 그 후에는 3시간이 경과하여도 큰 변화가 없었다. 미생물 protease 0.2% 또는 papain 0.2% 처리로 대두젖산균음료의 전체적인 기호도와 맛이 다소 개선되었다. Protease 처리 15분에 비단백태질소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그 후 3시간까지 서서히 증가하였다. 3. 장류 장류의 제조기술 첫째, 우리 나라의 醬類工業이 早速히 家內工業的인 零細性에서 脫皮하여 一定水準의 施設規模를 갖춘 企業으로 育成 發展시켜야 하겠습니다. 이에는 斯界業者들의 覺醒과 關係當局의 制度的, 政策的 뒷받침이 따라야 하겠습니다. 둘째, 醬類工業에 從事하는 企業家나 從事者 모두가 우리 國民의 日常生活에 必須的, 基本的인 調味料를 生産한다는 矜持와 使命感을 가지고 生産에 임함으로써 보다 衛生的으로 安全하고 優秀한 品質을 生産할 수 있어야 밝은 展望이 期待된다고 하겠습니다. 장류의 규격, 품질 및 위생 1) 종래 식품의 품질관리가 완제품의 성분규격검사에 치중하는 품질관리를 하여 왔던 점을 개선하고자 '88. 6. 15 보건사회부가 중심이 되어 학계, 국가식품검사기관, 식품관련협회, 식품제조업소 공동으로 간장을 비롯한 111개 개별식품에 대한 제품의 정의 원료구비요건, 제조가공기준, 사용할 수 있는 첨가물, 주원료 성분배합기준, 성분규격, 표시기준, 보존 및 유통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수재한 식품기준 및 규격을 전면 개정 고시하여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으나, 2) 경제 및 산업발전의 영향에 따른 각종 오염물질의 증가와 식품제조과정 중의 품질관리 소홀과 기구, 용기, 포장 등에서 유래될 수 있는 유해 중금속, 유해미생물 또는 특성 유해성분 등에 대한 국내의 실태조사와 선진국의 관리실태등을 참고하여 각 식품의 성분규격에서 이들 물질을 제어할 수 있는 품질관리 방향이 검토되어야 할 것임. 장류의 생산 수급 및 연구현황과 문제점 곡류를 위주로 한 한국인의 식사에 지금까지 장류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왔지만 그와 유사한 각종 조미료가 개발되고 식사 또한 육류나 유지등이 증가하여 장류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감소추세에 있다. 그러나 경제성장으로 전통식품의 상품화가 계속되고 따라서 장류의 공장생산이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이므로 장류산업은 앞으로도 신장할 전망이다. 대기업이 참여할 정도로 매력적인 것은 되지 못할 것이며, 다만 지금과 같은 80여개업체는 더욱 수가 줄어들어 시설개선이나 품질향상이 이루어질 것이다. 장류에 대한 연구 또한 요즈음 전통식품의 연구나 조리과학적인 연구들이 활성화됨으로써 장류 전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으로써 장류 전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제품도 다양화와 고급화될 것이다. 식생활 양상도 느리기는 하지만 시대에 알맞게 변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통식품의 옛모습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시켜 나가야 될 줄 믿는다. 콩의 소화율을 높이고 곡류와 영양상의 균형을 도모하며 기호성을 높인 장류를 개발한 우리 선조들의 슬기를 우리는 전승 발전시켜 나가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두유박을 이용한 보리된장 제조 두유제조에서 얻어지는 두유박을 활용할 목적으로 보리된장을 만든 결과 된장 숙성 중 환원당은 모든 시험구가 숙성 50일경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고 두유박의 배합비가 많을수록 환원당의 함량이 감소하였고 amino태 질소 함량은 각 시험구 다같이 50일까지는 현저히 증가하나 그 이후에는 증가가 약간 둔화되며 시험구별로는 두유박 배합비가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총산 함량은 30일까지는 현저하게 증가하나 그 이후에는 둔화되었으며 각 시험구별로는 그 차이가 극히 적었다. 숙성 80일 되는 각 시험구의 색도에서는 두유박의 배합비가 많을수록 명도가 높으며 적색도가 약해지는 반면 황색도가 높아졌다. 숙성 90일 되는 된장의 관능검사 결과 콩나물 된장국은 대조구가 가장 좋고 두유박의 배합비가 많을수록 맛은 약간 떨어지나 시험구 A(보리코지 100, 대두 75, 두유박 25), B(보리코지 100, 대두 50, 두유박 50), C(보리코지 100, 대두 25, 두유박 75)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된장 그대로의 맛도 대조구가 가장 좋고 두유박의 배합비가 많을수록 점수가 떨어졌으나 대조구와 시험구 A, B 사이, 시험구 A, B, C 사이, 그리고 시험구 B, C, D(보리코지 100, 대두 0, 두유박 100)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두유박을 이용한 쌀된장 제조 두유 제조에서 나오는 두유박을 활용하기 위하여 쌀된장을 만든 결과 된장 숙성 중 환원당은 모든 시험구가 40∼50일경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고 두유박의 배합비가 많을수록 환원당의 함량이 감소하고 amino태 질소함량은 각 시험구가 다같이 50일까지 현저히 증가하나 그 이후에는 증가가 둔화되며 시험구별로는 두유박 배합비가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산 함량은 30일까지는 현저하게 증가하나 그 이후에는 둔화되었으며 두유박의 배합량이 많을수록 그 함량이 적었으나 그 차이는 근소하였다. 80일 숙성 된장의 색도는 두유박의 배합비가 많을수록 명도가 높았으며 적색이 약해지는 반면 황색이 강하게 나타났다. 숙성 90일 되는 된장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한 결과 콩나물 된장국은 대조구가 가장 좋고 두유박의 배합량이 많을수록 그 맛은 다소 떨어지나 대조구와 시험구 A(쌀코지 100, 대두 75, 두유박 25) 사이, 그리고 시험구 A와 시험구 B(쌀코지 100, 대두 50, 두유박 50), C(쌀코지 100, 대두 25, 두유박 75), D(쌀코지 100, 대두 0, 두유박 100)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된장 그대로의 맛도 대조구가 가장 좋고, 두유박의 배합비가 많을수록 맛이 떨어지는 경향은 있으나, 대조구와 시험구 A 사이, 시험구 A와 시험구 B, C 사이, 그리고 시험구 B와 시험구 C, D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돌연변이에 의한 한국된장균의 유전적 육종 한국재래식된장에서 분리된 특향생성 Bacillus sp.의 NTG 변이주를 모균주로 하여 자외선에 의해 다시 돌연변이시킴으로써 amylase, protease의 증강과 동시에 deaminase가 감소되는, 한국된장의 발효시간 단축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량변이주를 육종할 수 있었다. Amylase의 경우는 4.4배, protease의 경우는 4.2배까지 동시에 증강시킬 수 있는 우수한 변이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두 효소 동시증강균주 중 deaminase 생성을 90%까지 저하시키는 한 균주를 개발할 수 있었다. 한편, 각 변이주와 모균주와의 효소학적 특성은 거의 동일하였으며 고농도의 식염용액에서도 효소생산 및 작용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Aspergillus spp.에 의한 콩된장 발효과정 중의 효소활성 변화 발효식품인 장류의 제조 중 원료처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생대두, 수침대두, 볶은 대두 및 증자대두를 제조하여 이것과 Asp. oryzae, Asp. niger, Asp. awamori 및 자연발효균을 접종시켜 제조한 쌀고오지 및 식염을 각각 60:30:10(W/W)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대두 된장(S_0), 수침대두 된장(S₁), 볶은 대두 된장(S₂) 및 증자대두 된장(S₃)을 제조하면서 발효과정 중 amylase, protease, lipase 및 lipoxygenase 활성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콩된장 제조 중 접종시킨 미생물 상호간의 amylase 활성도는 자연 발효균>Asp. oryzae>Asp. awamori>Asp. niger 순이었고, 각 처리대두에 따른 활성도는 S_0>S₁>S₂>S₃구 순이었으며, protease 활성도는 자연 발효균>Asp. niger>Asp. oryzae>Asp. awamori 순이었으며, 각 처리구에 따른 활성도는 S₃>S₂>S₁>S_0구 순이었다. Lipase 활성도는 미생물 상호간에 별 차이가 없었고, 처리구에 따른 그 활성도 크기는 S_0>S₁>S₃>S₂구 순이었으며 lipoxygenase 활성도는 콩된장 제조 중 접종시킨 미생물 상호간에 있어서는 자연 발효균> Asp. oryzae>Asp. awamori>Asp. niger순이었고, 각 시험구간에는 S_0>S₁>S₃>S₂구 순이었다. 밀가루 고오지에 의한 두유박이용 밀된장 제조 두유 제조에서 얻어지는 두유박으로 밀가루 고오지를 이용하여 밀된장을 만든 결과 된장 숙성 중 환원당은 모든 시험구가 숙성 50일경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고, 두유박의 배합비가 많을수록 환원당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amino태 질소 함량은 각 시험구 다같이 50일까지는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