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파티공간연출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여화선(Yeo, Hwasun),정윤정(Jeong, Yunjeo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29 No.-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문화, 예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파티문화가 보편화되었고 파티의 접근성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파티문화와 더불어 파티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성 있고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연출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였다. 파티공간연출에서 사용되는 화예디자인의 빈도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파티공간의 주된 연출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화예디자인은 파티공간의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는 연출요소로써 범위가 커져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세계적인 플라워 디자이너 프레스톤 베일리의 최근 6년간(2006년~2012년) 4개의 작품집에서 30개의 파티공간을 선별하여 각 구성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화예디자인은 파티공간의 총체적 이미지를 통합하는 연출요소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표현양식으로 화예 조형예술의 발전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다양한 연출요소가 화예디자인과 접목되어 더욱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는 파티공간을 창조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분석된 공간연출 요소의 특징을 인식하고 접목한다면 우리나라의 파티공간연출은 더욱 발전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파티공간연출에 있어서 화예디자인이 단순한 장식품이 아니라 공간의 가치를 재창출하고 선진화된 파티공간연출로 발전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More people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party space due to the progress in culture and art. And naturally people begun to desire more unique and emotionally stimulating space. Floral art and design is more frequently being used in directing a party and the role of floral art and design is getting more significant. Despite this change, the study on the floral art and design is still lacking.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30 party-directing spaces which were selected From Preston Bailey`s 4 recent collections of works (2006~2012) As a result, floral art and design was used as a directing element, which unifies images of party space, and showed potential of future progress as art and design due to its various expression styles. In addition, various directing elements could create more efficient and competitive party space in collaboration with floral art and design. Directing a party space in Korea would also improve if the outcomes from this study is applied. Floral art and design should be developed even more in order to recreate the value of the party space.

      • 기념공간으로서의 중명전 외부공간 조성에 관한 연구

        여화선(Yeo, Hwasun),오지운(Oh, Jiwoon),김신원(Kim, Shinwo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4 No.-

        덕수궁의 양관 중 하나인 중명전(重明殿)은 근현대사에서 ‘장소’로서의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왕실의 도서관으로 지은 최초의 양관이었으며,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된 치욕의 장소이며, 1907년 헤이그 특사를 파견하도록 결정한 현장이기도 하다. 국민들의 무관심 속에 민간소유물로 방치되었던 중명전은 2007년 문화재청이 매입하여 정밀한 실측과 해체 작업을 통해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하지만 중명전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덕수궁 궁역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중명전의 존재 자체가 인식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인접한 민간소유건물들과 미국대사관 관저 등으로 인해 입구조차도 인식과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 복원과 일반인에게 개방 후 수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이 일대는 서울 시내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정체성과 장소성이 부족한 공간으로 방치되어 있다. 중명전은 근현대사의 중요한 기억들을 담고 있는 중요한 장소이다. 비록 외세에 의해, 또한 우리의 무관심으로 인해 많은 변화를 겪었지만, 장소 자체의 중요성과 의미는 사라지지 않는다. 또한 장소가 기억하고 있는 정신과 혼은 강하게 남아있으며, 이는 결코 잊지 말아야 할 우리의 역사와 기록들이다. 중명전은 ‘빛과 광명이 그치지 않고 흐르는 전각’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현재 잠시 빛이 바랜 중명전을 물리적으로 재구성하여, 우리나라 역사 속의 아픔과 상처, 그리고 의지를 상징하는 공간으로 재계획한다. 이를 통해 역사 속에서, 그리고 국민들의 인식 속에서 다시금 그 의미를 회복하여, 역사와 기억의 빛이 그치지 않고 흐르는 새로운 중명전을 제안한다. Jungmyeongjeon, one of the western style building has great meaning as a "place". It was built in 1897 for library when King Gojong proclaimed of Korean empire. In the place, there were conclusion of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concluded in 1905 which is the beginning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ing Gojong despatched special envoy to Hague to appeal the iniquity of the treaty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Jungmyeongjeon is belonged to Deoksugung but it is physically separated from it now therefore people do not recognize the existence of Jungmyeongjeon. It is surrounded by private buildings and official residence of the US ambassador, therefore not easy to perceive entrance and accessed. Jungmyeongjeon is an important place which contains significant memories of korean modern history. Although it had several changes due to public indifference and foreign power, the importance of the place does not disappear. And the history and spirit of the place still remains. We should not forget it. Jungmyeongjeon means "the palace of infinite light". We suggest restructure faded Jungmyeongjeon to new Jungmyeongjeon filled with eternal light of history and memories, recovering the meanings from the people realization and history.

      • KCI등재후보

        뉴실버(New Silver)세대의 선호색채 연구 : 휴대폰 색상에 대한 선호도 중심으로

        여화선(Yeo Hwasun),서주환(Suh Joohwan),최정욱(Choi Jeongwook),김현영(Kim Hyun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서 실버세대의 특성을 이해하고 뉴실버세대의 색채 선호 특성을 휴대폰을 매개로 조사 분석하여 뉴실버세대의 감성과 기호를 탐지하고 뉴실버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제품의 디자인 제안시 그들의 감성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출시되고 있는'실버폰'의 색상을 조사하며 그들을 대상으로 남성과 여성을 집단으로 구분하여 선호색채를 조사·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뉴실버세대 남 ·여의 색상선호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남성 여성 모두 무채색을 좋아했고 남성은 퍼플블루(PB) 여성은 레드퍼플(RP)와 퍼플블루(PB)로 넓은 톤(tone)의 분포로 나타났다. 뉴실버세대 대상 선호 색채 조사를 통해 다양화된 뉴실버세대의 변화와 기호를 탐지 할 수 있었으며 뉴실버시장을 공략할 때 그들의 감성을 대변하는 색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뉴실버세대의 경우 색상 면에서는 무채색인 블랙(Black) 그레이(Gray or Silver) 화이트(White)과 유채색인 레드퍼플(Red Purple) 퍼플블루(Purple Blue)과 블루(Blue)을 선호하고 톤(tone)의 측면에서는 페일(Pale) 다크(Dark) 베리페일(Very pale) 라이트(Light)에서 높은 호감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휴대폰뿐만 아니라 다른 상품에 있어서도 새로운 기준의 색상이 적용되어야하며 차후에도 심도 깊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ilver generations through the study of the literature to identify a sensibility and preference of a new silver generation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a color preference trait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in connection with a mobile phone and to propose it as basic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ir sensibility in case of proposing a product design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As a resul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reference by male and femal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color preference. That is both male and female prefer achromatic color and male is PB while female is RP and PB which shows a distribution of broad tones. A mobile phone which is customized for the elderly tends to focus on the functional aspect rather than diversification of colors in the aesthetic aspect. Therefore this study could identify diversified changes and preferences of a new silver generation through a research on color preferenc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and found that a color which can represent their sensibility would be necessary when targeting a new silver market. This study found that new silver generations prefer achromatic colors such as black gray (silver) and white as well as chromatic colors such as RP PB and B in the aspect of hue while they show a high degree of preference for'pale','dark','very pale' and'light' in the aspect of tone. In sum it is necessary to apply colors based on a new standard to other products in addition to a mobile phone and such application must be made in depth.

      • KCI등재후보

        실버세대와 뉴실버세대의 색채 선호이미지 비교분석 : 패키지 디자인에서의 색채 이미지를 중심으로

        여화선(Yeo Hwasun),김은정(Kim Unchong),김현영(Kim Hyunyoung),김혜경(Kim Haeky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2

        21C는 현대의학의 발달 생활수준의 향상 출산률 감소현상 등의 원인으로 급격히'고령화 사회'로 변해 가고 있으며 이러한 고령화 현상은 우리사회전반에 걸쳐 소비문화의 변화와 실버산업의 급성장을 가져왔다. 본 연구는 기존의 실버세대를 실버세대와 뉴실버세대로 세분화하여 각 세대가 선호하는 색채이미지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실버세대와 뉴실버세대의 개념 및 특성을 구분하고 파악하기 위해 그들의 가치관 경제속성을 범주로 구분하였다. 실버 및 뉴실버세대의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색채 이미지의 대표 형용사 12개를 사용하여 어의구별방법(Semantic Differential)으로 일상생활에서 활용도가 높은 건강보조식품 한방보조식품 기능성화장품 패키지의 색채 선호이미지에 대한 설문 조사를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는 실버 및 뉴실버세대의 색채 선호이미지는 건강보조식품 한방보조식품 기능성화장품 패키지의 경우 '맑은' '자연스러운' 이미지가 공통적으로 선호되었다. 또한 색채 선호이미지 우선순위는 세대별 영역별로 차이가 있는데'자연스러운','맑은' 이미지와'온화한','은은한' 이미지 등이 실버와 뉴실버세대에서 품목별 차이를 보이며 선호되었다. 이러한 색채 선호이미지에 나타난 제반 결과를 토대로 실버산업의 컬러 마케팅을 위한 기초자료 및 기업이윤을 위한 마케팅 전략의 활용성을 높이는데 본 연구의 자료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21st century due to medical advancement improved life style decreased birth rate our society is rapidly becoming aging society and since 2000 Korea both in name and reality became one of the aging society. This phenomenon changed our consuming pattern and brought rapid growth in silver industry. This study is to compare silver and new silver generation's color image preference to figure out if there's difference in their preference and to find out what are the differences if there are any. To differentiat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silver and new silver generation we divided them into groups of same point of view and economic ability. With the standard that differentiates silver and new silver generation with color research center's 12color image adjectives and through Semantic Differential Methods we had one to one interviews about their color preference on health food oriental health supplements cosmetic packages. As a result in health food oriental health supplements and cosmetic packages they preferred'clear','natural' images. At the same time silver and new silver generation showed difference in their color preference in color image scale; 'natural' and 'clear' image and'mild','delicate' image. With the concept of silver and new silver generation and their color prefer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rporations or industries with a guidance for silver industry color marketing and their marketing strategy.

      • KCI등재

        화훼디자인 작품에 나타난 색채 이미지 선호도 분석

        여화선(Yeo Hwasun),김영미(Kim Youngmi),김신원(Kim Shinw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2

        화훼디자인 작품에서 색이 주는 이미지가 작품의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나 그동안 이러한 연구가 부족했다. 따라서 색채 이미지 선호도 조사를 통해 화훼디자인 분야에서 색채 이미지가 작품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로는 일본의 월간잡지 "화시간(花時間)"의 20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디자인계열 대학생 대학원의 석·박사과정 화훼디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1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작품별 선호도와 색채 이미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고 작품에 대한 선호도 분석을 하였다. 화훼디자인 작품은 색채 이미지가 작품의 선호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의 결과로는 작품의 선호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색채 이미지는 고급스러운(3작품) 서양적인(3작품) 차가운(3작품) 장식적인(2작품) 동적인(2작품) 고전적인(1작품) 순으로 높았다. 또한 특정한 색채 이미지의 선호도가 높을수록 작품의 선호도가 높아지는 경우와 모든 요소가 비슷하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로 구별된다. 이와 같이 어느 특정한 요소가 선호도에 전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모든 색채 이미지는 종합적으로 작품의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차 후 연구에서는 화훼디자인 작품에 따라 기법 형태 소재별색채에 대한 이미지 선호도의 차이가 작품의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Studies on how images provided by colors in flowering plant designs affect the degree of preference to those works are neede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lor images on the degree of preference to a work of art in the field of flowering plant design by conducting a study on the degree of preference to color images. For this study twenty pieces of art were selected from Hanajikan(花時間) a Japanese monthly magazine. As for the study method a survey was carried out on undergraduates graduates and postgraduates majoring in design and other related subjects as well as plant design experts. Repeated measures ANOVA tes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preference to works of art and the degree of preference to their color images using SPSS 13.0. Then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degree of preference to works of art was made by analyzing the degree of preference to works of art and the degree of preference to their color imag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lor image that most affected the degree of preference to a certain work of art was high-class (three pieces) followed by Western (three pieces) cold (three pieces) decorative (two pieces) dynamic (two pieces) and classic (one piece). In addition in some cases a high degree of preference to a certain color image positively affected preference to a given work while in other cases all color images similarly affected preference to a given work. As above all color images collectively affected preference to a given work rather than a specific factor exclusively affecting preference to the work. Furthermore the research about affection to preferences for the work which is derived by difference in preferences for color image affected by techniques forms color material is needed.

      • 서울역사(驛舍) 광장의 색채분석에 관한 연구

        여화선(Yeo, Hwasun),이하나(Lee, Hana),서주환(Suh, Joohwa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0 디자인지식저널 Vol.16 No.-

        1925년 9월에 준공되어 경성역으로 개장한 이후 서울의 관문인 서울역사와 서울역사 광장은 지난 60여 년간 민중의 소통과 교류의 사회적 현상의 중심지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상업주의와 개발우선주의로 인해 개발의 중심지로 변모되었고, 과거 서울역사의 공공성을 상실하고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서울역사 광장은 도시민과 관광객 등의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공간을 이용하고 머무는 곳으로 중요한 장소이다. 서울역사가 구 서울역사, 서부역사, 남부역사 등의 증축을 진행함과 동시에 광장의 면적 또한 건축물과 함께 증가하였고, 이용자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광장 또한 주변과의 관계성을 고려하지 않은 계획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색채계획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본 논문에서는 서울역사 광장과 서울역환승센터를 구성하는 시설물의 색채를 추출하고, 현재 상황을 분석 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시설물의 색채결과는 기존경관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 또한 서울역사라는 한 공간 내에서도 통일성이 없는 색채 현황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서울역사의 색채계획의 문제점을 상기시키고, 향후 서울역사의 긍정적인 이미지개선을 위한 색채계획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Kyeong-sung Station is completed in September 1925 opened the gateway to Seoul Station and Station Square since the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people over the last 60 years was used as a center of social phenomena. But since the 1990s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ism and development of preferred stock have been transformed into a centerpiece, the past history of Korea and the losses of the public had led to several problems. Station Square and the city dwellers and tourists to the area directly by the people and stay in place is an important locations. Seoul Station, Western history, Southern history, progress and expansion, while the square building with an area of increased also, user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e square plan was not considered. In particular, this issue was the colors appear prominently in the plan, in this paper and the Station Square Station Transit Center to configure the color of public facilities to extract,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alyzed by using color to draw the issue, the future a positive image of Seoul station as a basis for improvement were suggested.

      • 디자인 유형화에 따른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사례연구

        여화선(Yeo, Hwasun),서주환(Seo, Juhwan),정예슬(Jeong, Yeseul)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4 No.-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의 많은 도시는 빠른 도시변화와 치열한 경쟁 속에 인간에게 일어나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을 찾고 있다. 그 해결책으로 도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매력적인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보다 친환경적이며 에너지 소비를 억제할 수 있고 사회공동체를 결속시켜주어 지속가능한 발전 체제를 가능하게 해 줄 도시디자인의 한 범주인 도시농업을 전세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디자인의 정의와 도시농업의 가치를 탐색하고, 우리나라 도시농업의 추이를 알아보고, 대표지역으로 서울시의 도시농업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해외 선진 사례지역분석을 통해 도시농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해외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외국의 도시농업은 법적 기반을 근거로 여러 측면에서 필요성이 강조되고 발전되어 왔고, 도시농업을 위한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이 존재하고 여러 가지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었으며 도시환경을 보전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또한 생태지향적인 농업으로 도시 안에 자연친화적인 공간을 조성하고 있었다. 선진사례를 바탕으로 도시농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농업 관련 시설을 확충, 도시 농업 포털 사이트 구축, 농사와 텃밭관리를 위한 교육, 도시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자체의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Many cities of the world, including Korea, are looking for various methods to solve many problems among people. As the solution, urban agriculture which is one of the urban designs is being pushed ahead internationally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to make attractive environment of urban. This research covers the value and progress of urban agriculture in South Korea and observed the current situation of Seoul as the representative region. And, there is objective to find method to vitalize the urban agriculture through analysis developed country such as Germany, U.K, and Japan as an example. As a result of analyzing international case, foreign urban agricultures have been developed and emphasized its necessity based on legal.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facilities and programs for urban agriculture, and it has been used for diverse purpose. Also, it has been utilized as a way of preserving urban environment. Moreover, urban agriculture helps to build ecofriendly place in city. Based on the exemplification as I mentioned above, in order to vitalize urban agriculture, we need to make agriculture facilities, create web-site, educate about agriculture and management of garden, and local government need to plan for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city.

      • 농촌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외 사례 비교분석 연구

        이진원(Lee, Jinwon),여화선(Yeo, Hwasun),서주환(Seo, Juhwa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7 No.-

        본 연구는 농촌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외사례 비교분석 연구로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사업으로 진행되는 ‘농촌토털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및 활용 방안연구’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낙후되어있는 농촌의 환경 및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농촌토털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해 해외에서 만들어지고 사용하는 농촌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외사례의 항목 비교분석을 통하여 구성요소의 특징을 조사하고 파악하고자 함이다. 국외 농촌디자인 가이드라인 사례 중 영국과 아일랜드의 농촌 주거환경디자인 중심 가이드라인 사례 6개를 선정하였고, 각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개발계획 및 정책, 제정법, 대지선정 및 계획, 농촌건물디자인, 조경 영역으로 분류하고 세분화하였다. 각 가이드라인별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요소와 항목을 정리하여 6개 가이드라인의 내용 유무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농촌토털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시 기준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농촌디자인 가이드라인의 활용도를 높여 농촌의 환경 및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the comparison analysis study of the regional design guideline which is the fundamental study of the Total Design Guidelin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ura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examples of overseas countries" regional design guidelin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ir components. The 6 examples of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UK and Ireland which is design centric are selected and each contents are categorized and departmentalized in 6 areas, development plan, legislation and policies, siting, rural building design, landscaping. The components and items which have similar meanings of each 6 guidelines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e basic data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the Total Design Guidelin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ural and will help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rural areas and rural living environment by raising the utilization of regional design guideline.

      • 농촌 토털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서주환(Seo, Juhwan),여화선(Yeo, Hwasun),김효일(Kimm, Hyoil)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4 No.-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사업으로 진행되는 농촌 토털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로서 농촌의 환경 및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토털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연구과정의 기초 연구이다. 농촌의 환경은 도시의 산업적 변화에 영향을 받아 지속적인 성장과 변화의 과정을 오랫동안 수용하였으나, 농촌 주민의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과 농촌에서의 생활환경에 대한 관찰과 서비스 관점에서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또 다른 부작용과 병폐를 양산하는 모순으로 드러나고 있다. 또한 시대상의 변화와 인간생활의 여러 조건이 변화되어 도시뿐만이 아니라 농촌의 삶의 질 고취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시점에서, 농촌의 자원에 대한 재해석과 이해를 바탕으로 토털디자인을 공공디자인, 주거환경디자인, 제품디자인, 포장디자인의 관점과 배경에서 접근방향성에 대한 기초연구이다. 본 연구는 농촌의 필요자원에 대한 탐색에서부터 새로운 가치 확대에 대한 자료 조사에 이르기까지 방향성에 대한 제시를 통해 접근하고 있으며, 본 연구를 기초로 농촌 토털디자인의 분야별 시나리오와 가이드라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is the fundamental study of the Rural Total Design Guidelin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he purpose of the Rural Total Design Guidelin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which is proceeding as a project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s to improve environment of rural areas and rural living environment. Even though the rural environment has been developed and changed continuously which was influenced by the urban industry for a long time, in the way of observation and service of substantial life improvement of rural residents and the environment of farm life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rural environment has not been made and many side effects and contradictions have occurred. From this point of time, people are paying attention to the inspiration of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as well as that of urban which was caused by he changes of the phrases of the time and the human life conditions, this research will conduct the fundamental research of the total design, residential environment design, product design, package design base on reinterpretation and comprehension of rural resources. This research studies the needs of the rural economy and the direction of the new value from investigation of the relevant materials to suggestion of the new concept to expand. Ultimately, the research will proceed to suggest the scenario and guideline of Total Design of Rural base on fundamental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